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잡곡의 항산화 활성 비교

        강동석,조문구,Kang, Dong Seok,Cho, Moon Gu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some traditional and a few super food mixed rice. Amongst nine chosen samples, traditional five grains were analyzed and results revealed highest content of crude-protein ($8.05{\pm}1.11%$) and lowest crude-fat content ($1.74{\pm}0.29%$); however, the calories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358.05{\pm}0.34kcal$) in the samples.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annins were extracted from nine samples with 80% methanol and biochemical activity was measured.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otal tannin was $206.5{\sim}452.0{\mu}g/mL$, $0.126{\sim}0.340{\mu}g/mL$, and $548.1{\sim}774.8{\mu}g/mL$, respectively. The traditional five grains showed the highest values except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5 to 40.3% higher in eight samples than the traditional five grains sample. From these results, it is conjectured that a mixture of five grains, might exhibit equal or considerably higher effect as healthy diet when compared to super foo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ould serve as basic data for the use of traditional mixed grains rice diet for good health.

      • KCI등재

        정보화 생명주기 및 전사적아키텍처(EA) 기반의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 연구

        강동석,신신애,정승호,최영진,Kang, Dong-Seok,Shin, Shin-Ae,Jung, Seung-Ho,Choi, Young-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6 No.2

        The purposes of e-Government are to connect government agencies without boundary, and to deliver better quality e-services to citizens. The frontier countries try to reach the e-Government goals using 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GIF). Even though Korea also has interoperability regulations, that is obscure. So we have some limitations to take the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advantage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EU, U.S., U.K., and Australia), and reviews Korea's regulations. After that, we suggest EA based Korean e-Government Interoperability Framework(K-GIF), that is to manage the interoperability from business to information technology over the whole IT life cycle. 전자정부는 기관 및 업무의 경계 없이 정부를 하나로 연결하고, 국민에게 최상의 정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전자정부 선진 국가들은 명확한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수립 및 운영함으로써 전자정부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보화 관련 법제도 내에 상호운용성과 관련된 사항들이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을 뿐, 체계화된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가 부재하여 전자정부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U, 영국, 미국 등 주요 해외국가들과 우리나라 간의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분석하고 정보화 생명주기 전체에 걸쳐 상호운용성을 관리하고 업무에서 정보기술까지를 상호운용성 범위로 포괄하는 EA기반의 한국형 전자정부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K-GIF)를 제안한다.

      • KCI등재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중심으로 -

        강동석,유시형,Kang, Dong-Seok,Yoo, Si-H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6 No.3

        학술적 중요성 이외에 실무적으로도 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정보시스템 또는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민간기업에서도 IT 투자의 비즈니스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민간부문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한정된 국가예산을 가지고 투입되는 정보화 부문에 대한 투자효과 평가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여러 정부부처별로 진행되고 있는 공공 정보화사업의 체계적이고 비교가 가능한 성과평가를 위해서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표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대상으로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validity of indicators assessing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in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affairs. As people inves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IT) or IT system, private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investment in IT and it's business value. Moreover, the need of evaluating effectiveness on the investment in IT with the limited national budget are on the increase in public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struct of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so that we systematically compare and measure performance of public informatization project processed by each public organizations. It needs to develop indicators and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m. we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of indicators assessing PMIS(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ffectiveness on the Administration DB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

        GIS 를 활용한 지석묘 공간분포패턴의 사회경제적 배경 이해

        강동석(Kang, Dong-seo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중앙고고연구 Vol.0 No.8

        고창분지 일대는 폐쇄적 지형조건을 지니고 있으며, 지석묘군 밀집분포양상, 주형 지석묘 집중분포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공간적 분석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고창 분지 내에는 고창 상갑리·죽림리지석묘군, 상금리 지석묘군 등과 같은 대규모 군집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군집의 형성배경 이해를 위해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중심지 석묘군의 선정과 권역설정, 권역 내의 취락입지 적합성 및 가용농지 면적비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고창분지 내 지석묘는 군집규모, 밀도, 주형지석묘의 분포위치 등에 따라 등급화가 가능하다. GIS를 활용한 등급화 분석을 통해 고창·대산·해리 지석묘군을 최상위 등급이 분포하는 중심지석묘군으로 선정하였다. 중심지석묘군의 분포권역은 가시권 분석과 비 용-거리분석, 버퍼분석, 행정구역정보 등을 활용하여 지석묘 축조집단의 취락공간으로 복원가능하다. 이것은 취락은 넓은 의미에서 생활공간뿐만 아니라, 생업경제 활동영역 과 매장의례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지석묘군의 분포정보를 통해 취락의 공간적 범위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중심지석묘 권역 내 취락 입지의 적합성과 가용농지 분포정도는 취락공간을 점유하고 있던 지석묘 축조집단의 규모 발달정도, 사회복합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취락입지 적합성 평가는 중심지석묘군 권역의 경사, 사면향, 고도, 수계와의 거리 등 지형조건을 평가하였으며, 가용농지는 논, 밭 등 경작 가능한 농지의 면적비를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중심지석묘군 전체 권역의 50% 이상 지역이 지형적으로 취락입지에 유리한 최상위 등급 분포지 역이며, 가용농지 면적 또한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중심지석묘군이 분포 하고 있는 지역이 인간의 거주에 적합한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며, 생업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리한 지형적, 사회경제적 조건을 갖춘 중심지석묘군 분포지역은 한정된 자원의 이용과 통제, 사회통합 과정을 거쳐 수장층이 성장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였으며, 계층사회의 경제적·정치적 권한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지석묘를 축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In this thesis, Gochang Basin has been set as a spatial analysis level. The region has features of closed geographical condition, formation of concentrated dolmen group,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pillar-formed dolmen distribution area, etc. Especially, There are large size dolmen groups such as Gochang Sanggap-ri, Juknim-ri dolmen group, Sanggeum-ri dolmen group, etc. This thesis used GIS spatial analysis method for understanding formation background of these groups. I selected central dolmen group and set the analysis region and evaluated suitability of settlement position in the region, available farmlands area ratio, etc. It was possible to classify dolmen in Gochang basin according to scale of group, density, location of pillar formed dolmen distribution, etc. It was the reason of selecting central dolmen group that Gochang, Daesan, Hari dolmen group have highest class of distribution. As a result of analysis, central dolmen groups were distributed forming locally special sphere. This thesis reconstructed settlement spaces of construction of dolmen group using visible area analysis, cost-distance analysis, buffer analysis, administrative block information in dolmen group distribution area. A settlement is a concept including all of not life space but also economic activity area for living and funeral-cemetery space in broad sense. In that sense, it is possible to set spatial scale of community us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dolmen group. Social economic conditions, such as suitability of community location and distribution scale of available farmlands, might affect as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degree of development of constructing dolmen group scale and social complexity. It was used spatial condition analysis, such as slope, slope direction, altimeter, distance from water system, etc., for evaluating of suitability of settlement position. This thesis analysed cultivatable farmland area (race paddy, field) and ratio in central dolmen group area. In the result of evaluation, central dolmen groups occupied over 50 % of in most of total regional areas where are highest grade of distribution area in settlement position and area securing cultivatable farmland factors. Central dolmen groups were distributed in regions where has suitable geographical conditions for human community and had social economic background which supported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critical living economy when the dolmen had been constructed. These central dolmen group distribution areas where have advantageous geographical, social economic conditions had affected on development of top ruling class through a process using and controlling limited natural resources and social integration. The construction of dolmen might had contributed on tools of sustaining economic and political authorities in class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안축(安軸)의 시(詩)에 있어서 의식(意識)세계와 주제(主題)의식

        강동석 ( Dong Seok Ka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이 글은 안축의 시세계에 있어서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두 의식세계와 그주제의식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이는 그간 주목했던 안축의 현실주의적 작품군과 무관할 듯 보이는 내면주의적 작품을 동시에 고찰함으로써 그의 시세계의 문학적 편폭을 넓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우선 안축의 시는 ``풍속의 바른 것과 그른 것, 백성의 기쁜 일과 슬픈 일에관한 것이 열에 아홉이다.``라고 했던 이제현의 언급처럼, 풍속과 백성에 관계되는 것이 주를 이룬다. 특히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삶을 살고 있는 백성의 모습과, 관료서의 책임감을 통감하며 보이는 반성적 선언, 그리고 사회를 혁파하고자 노력했던 모습 등은 그의 대표적인 시세계의 모습이다. 이러한 시세계의 기저에는 성리학의 수입이 있으며, 결국 이와 같은 의식과 주제가 녹아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 그의 시세계에는 현실주의와 층위를 달리하는 내면주의적 작품 성향도 많다. 이는 외부 세계나 주위환경의 영향을 내면적인 경험이나 정신에 적용시키려는 문학적 경향으로서, 그가 자연과의 접촉을 시도하고 자연의 아름다움, 자연의 유구함을 작품화하는가 하면, 현실과 거리가 있는 선계를 동경하는 작품을 남겼던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작가가 지속적으로 자연과의 접촉을 시도하고 선계로의 동경 등을 주제로 하고 있는 이유는 자연이 주는 심적안정에서 기인된 것이며, 이는 현실세계에서의 고뇌로 인한 초세적 태도를 견지하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이처럼 안축 시는 현실주의적 작품군과 내면주의적 작품군이 공존하여 시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서로 무관한 듯하지만 긴밀한 연관을 가진 것으로서, 안축 시를 해석해내는 데에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is considered two consciousness and their subjective sensation which are the center of the poems of Ahn-Chook, This is the attempt to value his poems in an appropriate way through the association and probability of consciousness that may not be related to his realistic literary works that received attention in the meantime.First of all, the poems of Ahn-Chook mainly consist of a custom and people as Lee, Je-Hyun mentioned; ``Nine out of ten are about right and wrong of custom and the joys and sorrows of people.`` Especially, the people who suffered from hardship derived from the geographic setting, the reflective declaration of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government officer and the endeavor to reform the society are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This has the background of Neo-Confucianism, its main idea, and its consciousness is well reflected in his poems. Meanwhile, he wrote loads of poems that show inner-sides which are contrary to realism. This is the reason why he left many literary works on natural beautyand its perpetualness through trying to contact with nature and yearning for an ideal world; this is the literary tendency that tries to apply the effects of the surroundings to his internal experience and spirit. Especially, the reason why the writer tried to contact with nature and wrote about yearning for nature is because nature give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it is obtained by the idea that he sticked to become transmundane on account of anguish in reality. As above showed, the poems of Ahn-Chook is formed with realistic literary works and consciousness literary works that he had paid attention. Although the two look unrelated to each other, in actual, they are effective in order to interpret his poems because of their close relations.

      • KCI등재

        추연(秋淵) 권용현(權龍鉉)의 삶과 시문학

        강동석 ( Kang Dong-seok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본고는 추연 권용현(1899~1988)의 생애와 문집 그리고 그의 시세계를 다룬 것이다. 한문학의 終熄을 대개 舊韓末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金昌熙, 張錫英, 盧相稷, 金圭泰, 辛檍 등 20세기 한학자들은 많은 문집을 남기고 한문학을 전승했다. 그렇다면 한문학의 종식은 구한말이 아닌 한참 뒤로 설정되어야 하며, 실제 여전히 진행중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20세기 한문학의 외연과 확장’이라는 큰 틀 안에서 그간 연구가 진행된 적이 없는 추연 권용현의 삶과 문학을 조명한 것이다. 우선 추연은 高宗 己亥(1899년), 慶尙南道 陜川郡 草溪面 柳下里에서 출생하였고, 90세(戊辰, 1988년) 11월 19일 세상을 떠났다. 일찍이 艮齋 田愚에게 학문을 배운 적이 있었다. 雲華堂이라는 서재를 짓고서 “이윤의 뜻을 품고, 안자의 학문을 배우며, 운곡 주자를 조술하고 화양 송시열을 종주로 삼는다. [志伊學顔祖雲宗華]”라고 한 것을 보면, 그의 학문적 지향점을 알 수 있다. 추연의 문집은 4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詩는 略 300首, 散文 略 2,200餘篇이 있다. 시는 대개 送詩와 遊記詩가 많다. 그러나 그 중심에는 天理詩가 있으니 종식된 듯한 성리시가 다시 20세기에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아울러 遊記詩가 많이 보이는데 그 안에는 한가로움과 맑음을 주된 심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는, 추연이 그의 삶 안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이자 정신적 이상향으로 설정하여 시를 창작한 것이다. 또한 추연의 한시 가운데 독특한 작품으로는 「乘飛機」와 같은 작품이 인상적이다. 즉 비행기에 올라 느낀 심사를 읊은 것인데, 소재와 주제 등이 이전의 한시에서는 볼 수 없던 것들이다. 이처럼 추연의 시에는 穆陵盛世에나 어울릴법한 天理詩를 비롯하여 近代 飛行機의 탑승을 주제로 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와 주제가 담겨 있다. This paper examines Kwon Yong hyun’s(權龍鉉) life and his poetry. In the twentieth century, Chinese scholars, such as Kim Chang Hee(金昌熙), Jang Seok Young(張錫英), Noh Sang Jik(盧相稷), Kim Kyu Tae(金圭泰), and Shin Uk(辛檍), passed many literary texts and handed down Chinese literatures. After that, although it appears as if Chinese literature had stagnated, in the end it is concluded that the genre is actually in progres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Kwon Yong-hyeon, whose subject has never been studied under the research framework “Extension and Expans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Kwon Yong-hyeon was born in 1899 and died at the age of 90. He was initially under the tutelage of Kanjae Jeon Woo(艮齋 田愚). He built Wun Wha dang(雲華堂) and “Long for Lee yun(伊尹), learned An ja’s(顔子) scholarship, thought of Ju Ja(朱子) as the best, followed the will of Whoa Yang, and we can see his academic point of view. Kwon Yong-hyun's collection consists of 44 volumes. There are roughly 300 works in verses and 2,200 works in prose. The verses mainly comprise singing and farewell songs. However, at the center of his work is Chun li (天理) Poetry, which has relevance and meaning because it was created in the twentieth century. In addition, there are many works that sing about travels, and these songs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leisure and sunshine as its main imagery. His works reflect Kwon Yong-hyun’s life goals and spiritual ideals.

      • KCI등재

        고려 후기 역사를 노래한 한시의 여러 양상과 그 의미

        강동석(Kang Dong-seok)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우리나라 영사시는 최치원이 <변하회고(汴河懷古)>를 읊은 이래, 고려조와 조선조에 많은 이들에 의해 지어졌다. 그 가운데 고려 후기의 영사시는 양적, 질적인 면에서 다소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예컨대 이규보의 <동명왕편>과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43수 외 여러 수, 이승휴의 <제왕운기> 외 여러 수, 이제현의 <비간묘(比干墓)>를 비롯한 여러 수, 최해의 <사호귀한(四皓歸漢)> 외 여러 수, 이곡의 영사시 27수 외 여러수, 이색의 <치이자가(鴟夷子歌)> 외 여러 수, 이첨의 영사시 46수 외 여러 수, 정도전의 <원유가(遠遊歌)> 외여러수등은그들의문집가운데일부라고할수있으나역사, 문학사, 정신사 측면에서 상당히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있는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이상의작품을대상으로, 즉고려후기영사시의제양상과그의미에대해살핀글이다. 그들의 영사시를 살펴본 결과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첫째, 유가의 정통적 사관 발현을 들 수 있다. 공자가 ‘불어괴력난신(不語怪力亂神)’이라 말한이래, 유자들에게 중요한 사상이된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유자임을 강조했던이 규보의<동명왕편>을보면이와는상충되는면모를볼수있다. 이는공자의사관외에천주적(天主的), 감계적(鑑戒的), 교훈적(敎訓的) 성격이 가미된 것으로 우리 민족의 자주 적정신함양이라는측면에서어느정도변개된역사관이라볼수있다. 이외에도이승휴의 <동명왕편>이라든가 이제현의 <비간묘> 등의 작품 또한 이러한 성격이 강하게 드러났는데, 이들이 지니는 의미는 바로 춘추필법의 대의를 강조하였다는 데 있다. 둘째, 현실비판과 세태 풍자가 고려 후기 영사시에 많이 노출되고 있었다. 당대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는 의인화 소설이라든지 연아시(演雅詩) 등을 통해서도 표출할 수 있었지만, 우회적 수법의 한계와 장르의 편협함 등으로 인해 영사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이들은대개중국의역사적사실이나인물을통해그것을경계로삼고있으나, 실제우리의역사또한전적을밟지말자는데목적이있었다. 그리고그의미는도덕적패러다임을제시함으로써 사대부로서의 책무를 다했다는 데 있다. 셋째, 역사적 인물로의 내면 투사가 하나의 특징이다. 이는 영사시 만이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역사의 한 인물을통해 우의적으로 자신의처세관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그인물의 특성에 자신의 심사를 투영하여 울분을 노래하거나 앞으로 살아갈 방향을 우회적으로 읊은 것이다. 이는 다른 장르의 작품들과 더불어 고려 후기 사대부들의 신분적 한계라든지, 국내 외로 혼란한 시대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나름 의미가 있다. Since the composition of byunhawhoigo by Chi-won Choi, historical poetries in our country have been composed by a myriad of people under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historical poetries of the late Goryeo Dynasty have retained supremacy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based on the writers' spiritual and literary fields. To illustrate, some pieces of collection of works–Gyu-bo Lee's more than 43 pieces of poems such as Dongmyeongwangpyeon , Gyewonchunboyoungsasi, Seung-Hyu Lee’s such as Jyewangwoongi , Jye-Hyun Lee’s such as Biganmyo , Hye Choi’s such as Sahoguihan , Gok Lee’s more than 27 pieces of historical poems, Saek Lee’s such as chiyijaga , Cheom Lee’s more than 46 pieces, Do-Jeon Jung’s such as Wonyouga - have been considerably significant throughout the history, history of literature, and intellectual history. Therefore, based on these works mentioned above,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different aspects and meanings of historical poetries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result, historical poetries of the late Goryeo Dynasty sha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First, orthodox view of Confucianism is often revealed in those works as Confucius stated “Buluhgoiryeoknanshin”, which has been an essential idea to Confucians. However, some contradictory ideas are observed in Dongmyeongwangpyeon composed by Gyu-bo Lee who is one of the strong believers in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historical views of people have been somewhat changed. As people in our nation have a tendency to cultivate consciousness autonomously, their historical views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Catholic, didactic, moral traits other than Confucian traits. Other works such as Dongmyeongwangpyeon by Seung-hyu Lee and Biganmyo by Jye-hyun Lee also include the contradictory ideas to Confucianism, which indicate that they put much emphasis on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Second, historical poetries of the late Goryeo Dynasty include the criticism of reality and satire of society. Even though the reality of that time had been criticized through other methods such as personification novels and Yeon-a poem, their limits on indirectness and narrowness of those genres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historical poetry. This historical poetry has reflected the historical facts and figures in China, but also has had the purpose of not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our own history. And this indicates that they have fulfilled their duties as scholar-gentry class by suggesting moral paradigm. Third, another characteristic is the inner conflict of historical figure, in which only historical poetry can include. In other words, the writer expressed his or her own view of living allegorically through the historical figure by letting out his pent-up anger or suggesting new direction of living. This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reflects the chaos of that period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nation, such as class limits on scholar-gentry class of the late Goryeo Dynasty.

      • KCI등재

        포은 시의 심상과 그 함의

        강동석(Kang, Dong-seok) 포은학회 2020 포은학연구 Vol.26 No.-

        본고는 포은 시의 심상을 분석하여 그것이 지니는 함의를 풀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포은 시에 나타난 심상과 그 미학적 원리를 통한 시적 효과를 밝혀냄으로써 포은 시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의 시 읽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포은의 시에는 물[水- 海, 江, 溪, 川, 雨]을 비롯하여 천지, 달[月] 등 역동적인 심상을 그린 작품이 산재한다. 그 ‘천지’에서 적출한 음과 양, 뜨는 달과 지는 달의 밝음과 어두움, 그리고 거기에서의 그리움을 인도(人道)로 가져온 점, 물에서의 생명력과 인(仁)의 안배를 그리고 있는 점, 구름을 통해 도를 적출한 점 등을 종합해보면, 그러한 심상들의 함의가 바로 도의 실천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은 시의 도학적 면모와 호방한 풍격 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은의 시에는 그가 목도한 산천, 암석, 초목, 사찰, 역참, 성루 등에 대한 심상을 언어화 한 작품들이 발견되는데, 곧 안정과 귀거래를 지향하는 함의가 있다. 특히 국내의 산뿐만 아니라 중국의 사행길에서 만난 수많은 산을 지나며 「鐵山」과 「三山」 두 작품만을 지었는데, 거기에는 상승의 심사를 활용하여 높은 정신경계의 지향, 포부, 이상 세계의 동향보다 안정을 추구하고 이를 그리고 있었다. 특히 버드나무를 소재로 한 작품에서 더욱 그러함이 발견되었다. 한편 소나무, 대나무, 매화, 난 등을 대상으로 창작한 작품에서는 그의 충직과 정신 경계 등이 잘 드러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book is to analyze the inscriptions of Poeun poetry and to solve the implications of it. This is to explore ways to read poetry from a new perspective on Poeun poetry by revealing its poetic effect through its aesthetic principles and the imagery shown in Poeun poetry. Poeun s poems have many works depicting dynamic images such as water, sky, earth, and moon. When summing up the yin and yang extracted from the sky and the earth, the brightness and darkness of the rising moon and the setting moon, and the longing there, the arrangement of life and love in the water, and the deeds in the clouds, we can see that the meaning of these images is concluded by the practice of morality. Through this, the Taoist aspect of Poeun s poems and the proud aspect of Poeun s poems were also identified. Poeun s poems also found works that were written in the language of his thoughts on mountains, rocks, grass, trees, temples, backcham, and pavilions, which were aimed at stability and the desire to return. This is especially true in works made of willow trees. Meanwhile, his loyalty and mental boundaries were well illustrated in his works for pine trees, bamboo, plum blossoms and orchids.

      • 초기대수 학습 자료 개발

        강동석(Kang Dong Seok)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육연구 Vol.- No.15

        방정식의 도입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1학년 단계로부터 6-나 단계로 이동됨에 따라 초등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초기대수(early algebra)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4-가 단계에서 6-나 단계 사이의 교과서 활동을 Küchemann의 문자 사용 유형에 의해 초기대수적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유형1과 유형3의 낮은 문자 이해 수준에 해당하는 유형이 많았고 유형4, 유형5, 유형6은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6학년으로 이동되는 문자 x를 학습하기 전에 초기대수의 다양한 문제를 접해보고, 이를 해결하는 사고과정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초기대수를 활용한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수적 사고 요소를 분석하고 초기대수적 사고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방정식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인지할 뿐 아니라 패턴과 일반화를 통한 추론 활동으로 대수 학습과도 쉽게 연계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될 것이다. An equation, which was introduced 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for the first time in the 7th curriculum, will be introduced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Accordingly, There is the necessity to study the early algebra .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extbook activities between 4th grade and 6th grade in the 7t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ypes of letters use of Kücheman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use conditions of activities from the viewpoint of early algebra. In this result, the types of 1 and 3 of lower level of understanding letters were mostly used types contrary to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letters. Moreover, before learning the letter x moved to 6th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terials utilizing early algebra , to contact the students with the various problem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thinking process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algebraic thinking factors and developed the teaching materials to learn early algebraic thinking. With these materials, the students can learn the concept of an equation more clearly and make basics that the inference activity through the pattern and generalization can be easily related to learning algeb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