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 Lukoff의 < Spoken Korean >(1945/1947)과 < English for Koreans (영어학본) >(1954)에 대한 비교 연구

        강남욱 ( Kang Namwook )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5

        이 연구에서는 프레드 루코프(F. Lukoff)가 1945/1947년에 발간한 한국어 교재인 < Spoken Korean >과 1954년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발간한 영어 교재인 < English for Korean(영어학본) >을 비교하고, 당대 구조주의 언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에 기반한 청화 구두식 학습법이 어떠한 방식으로 외국어 교재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2종의 교재가 발간된 배경과 저자가 이 교재에 어떻게 참여하였는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두 교재의 구성 요소로서 ‘교수 방식에 따른 단원 구성 체계’, ‘교수요목과 대화문의 주제’, ‘청각 구두에 대한 지시’의 세 가지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194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어지는 청각 구두식 외국어 교재의 구성 양식에 대한 일관성과 특징과 함께 편찬 주체의 언어학적 접근 배경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두 교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어 교재에서 청각 구두식 교재의 유형화와 분석 방법의 준거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mpares < Spoken Korean >, a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d by F. Lukoff in 1945(Book one)/1947(Book two), and <English for Korean(Yeong-eo-hak-bon), an English language textbook published in 1954, and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audio-lingual method, based on the Structural linguistics and Behaviorism of the time, is reflected in foreign language textbooks. First, this study outlined the background of the two textbooks and how the authors participated in their development, and then compared the components of the two textbooks, including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The syllabus of the textbook and topics of dialogues’, and ‘The instructions on audio-lingual approach’. Through this study, it gives some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consistency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style of audiovisual foreig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1940s to the 1950s,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nguistic approach of the compilers, an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books in detail.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typology and analysis of audio-lingual Korean textbooks as a foreign language in future.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매개(mediation)’ 영역 설정의 필요성과 방향

        김호정 ( Kim¸ Hojung ),강남욱 ( Kang¸ Namwook ),신필여 ( Shin¸ Pilyeo ),박민신 ( Park¸ Minsi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1 언어와 문화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rationale and utilization of “mediation,” which is the sub-domain of the curriculum, in < The Curriculum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Overseas (2021) >. To this end, we first extended the concept of “mediation” from a limited concept of linguistic activity that helps third-party communication as direct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in “relational mediation” that establishes and manag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 “cognitive mediation” that enables access to knowledge and concept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mediation in this way, mediation was divided into mediation activities and mediation strategies to examine each subtype and concep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ationale for introducing the domain of medi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he need to promote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users and learners' peer groups, attitudes and speech tone, and multimedia utilization in education. And lastly, for the utilization of “medi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cessity of the validation of descriptors,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such as self-assessment grids was sugges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김호정 ( Kim Hojung ),신필여 ( Shin Pilyeo ),강남욱 ( Kang Namwook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4

        본 연구는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이 현지의 상황·맥락적 특수성에 부합하며 국가별 외국어 교육 정책과 현재 교육 제도 내에서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대응되기 위해서 어떠한 원리를 기반으로 설계되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해외 외국어 교육 과정의 동향과 학술적인 경향은 어떠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해외 여러 국가에서 외국어 교육 과정 설계 시 거시적 통용 방향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해외 초·중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한국어를 정규 교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었으나 교육과정의 다양성과 표준화의 문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포괄 준거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국지 준거 사이의 간극 문제, 상호 비교의 척도로서의 호환성 확보 문제에 대한 선결해야 할 부분들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주요 쟁점과 연구 문제를 기반으로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것에 요구되는 속성들과 그 개념들을 논리적인 정합성을 기하여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의 4대 원리(principle)인 ‘유연성(flexibility), 응집성(coherence), 용이성(availability), 국제통용성(standardness)’과 하위의 원리 속성을 대표하는 ‘개방성(openness), 다원성(plurality), 체계성(systemicity), 연계성(connectivity), 투명성(transparency), 실제성(authenticity), 비교가능성(comparability), 호환성(compatibility)’의 원칙(rule) 8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inciples that should serve as the basis for design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overseas K-12 schools to ensure that it complies with the local situation, has context specificity, and responds actively and flexibly within the purview of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of the concerned country and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o this end, we first tried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re was consensus on the direction of macroscopic usage, especially through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when designing foreign language curriculum in overseas countries.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rriculum at overs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 found that the number of countries adopting Korean as a regular subject was steadily increasing. As a measure of mutual comparison, we identified not only the diversity of curriculum, or the gap between ambiguous, abstract, and broad criteria and specific and individual local standards, but also the issues for ensuring compatibility. Based on these issues and our understanding, we tried to construct key concepts and principles required for design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overseas K-12 schools with logical consistency. Consequently, we proposed a bi-hierarchic framework for curriculum design comprising the four principles of Flexibility, Coherence, Availability, and Standardness, which encompass eight rules, namely Openness, Plurality, Systematicity, Connectivity, Transparency, Authenticity, Comparability, and Compat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