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플립드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RIM 프레임워크 개발

        간진숙,엄미리,김필성,진서연,이지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고등교육에서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의 실천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립드러닝은 학생들이 수업 중 활동을 통해 응용, 분석, 평가와 같은 높은 수준의 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교수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교수자가 수업 설계 및 실행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지만, 현재 플립드러닝 컨설팅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와 컨설팅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대학의 플립드러닝 수업컨설팅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플립드러닝 강좌를 운영한 경험이 있는 61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학의 CTL 컨설팅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 수업컨설팅 요소 및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학 플립드러닝 컨설팅을 위한 RIM(ReadinessImplementationManagement) 프레임워크는 단계, 주요 구성 요소, 각 단계와 요소의 세부 내용 등에 초점을 맞추어 제안되었으며, 내·외부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선되고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실천적 함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nsultation framework for flipped learning that could systematically guide instructors or consultant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ion models, and then examined the perception of 61 professors who had experience using FL in their classrooms. We also analyzed answers about the elements and contents of consultations of 7 experts and consultants in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 constructed RIM(ReadinessImplementationManagement) framework that enhances the procedural perspective by focusing on steps, core elements, and the details of each step and element, was improved and underwent validation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expert review. Finally, we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대학 영어 수업에서 AI 기반 적응형 학습이 TOEIC 학업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간진숙,박미경,이지연,이유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9

        Objectives This article aims to validate the efficacy of AI-adaptive learning (AI-AL) in college English courses. It achieves this aim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AI-AL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s in TOEIC and self-per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is investigation involves analyzing TOEIC exam outcomes, encompassing key English education components like listening, grammar, vocabulary, and reading. Methods We computed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25.0 and performed a paired t-test on the pre- and postexam results of an online mock TOEIC for 61 students enrolled in Sections A and B of AI English 2 at H University. To explore the change in learners’ self-perception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we examined 56 selected reflective journals. Additionally, we conducted two rounds of expert Delphi assessments to validate the content.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online exams showed a modest increase of 5.246 points in the average score of the listening comprehension section,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Secondly, the average score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section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of 12.459 points, indicating a statistically notable difference. Thirdly, upon analyzing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using factors employed to ass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desire to learn” had the highest frequency (96.4%). This was followed by “self-reflection” (91.1%), “attributing results to their efforts” (66.1%), “persistence in learning” (62.5%), “goal setting” (48.2%), “self-management” (46.4%), “identifying learning resources” (35.7%), and “selecting learning strategies” (30.4%).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I-AL positively influences learners’ proficiency in TOEIC RC and self-per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relevant in today's era of hyper-connectivity and personalized learning, as it substantiates the potential of AI-AL in catering to individual learners' needs and learning pace, while offering practical solutions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colleges looking to integrate AI-AL programs into their curriculum.

      • KCI등재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ARCS 모형을 기반으로

        간진숙,이유은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논총 Vol.4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s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classes for distance education, and to derive the conditions and definitions of good classes in dista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learners, 240 students' self-submitted opinions on subjects with the top 5% of lecture evaluation scores among distance education at H University in 2021 were analyzed along with 31 distance education-related essays from the 'Good Instruction Recommendation' contest. Consequently, learners considered the following types of classes to have good instruction: One in which one can discover a changed self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ones that stimulate curiosity with sufficient immersion, concentration, attention, and interest; and ones that connect personal interests to real-world situation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and previous studies, five conditions and operational definitions of good instruction in distance education were derived by matching with Keller's ARCS model,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exper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conditions that guarante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measure learners' progress in learning goal competency and class satisfaction in distance education classes that are designed with good class conditions and defin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원격교육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학습자의 인식을 고찰하여 원격교육에 대한 좋은 수업의 특징을 알아보고, 대학의 원격교육에서 좋은 수업의 조건과 정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2021학년도 H 대학교에서 시행된 원격교육 중 강의평가 점수 상위 5% 교과목에 대한 학생 자율 서술의견 240건과 ‘좋은 수업 추천하기 공모전’에 출품된 원격교육 관련 공모작 31건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학습경험을 통해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발견되는 수업, 학습 내용의 충분한 몰입과 집중, 흥미와 관심을 자극하여 질문을 유도하는 수업, 개인적 관심사를 이끌어 실제상황과 연결 지을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특징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관한 다섯 가지 조건과 조작적 정의를 Keller의 ARCS 모형 하위전략과 매칭하여 도출하였고, 전문가에 의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원격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조건을 세우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조건과 정의를 기준으로 설계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목표 성취역량 향상도 및 수업 만족도 측정에 관한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지역문제해결형 PBL 수업이 간호대학원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학업성취 경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간진숙,김수희,권명순,이유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4 교육혁신연구 Vol.34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문제해결형 Project-Based Learning (PBL) 수업이 간호대학원생의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취 경험 인식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문제해결형 PBL 수업의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H 대학교에서 개설된 지역문제해결형 PBL 수업인 『간호교육방법론』을 수강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문헌 고찰, 수업 설계 및 운영, 문제해결 능력 조사, 학업성취 인식도 질문지 개발 및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양적 자료의 분석은 정규성 검증과 대응 표본 t-검증을 하였고, 질적 자료는 Rovai, Wighting, Baker와 Grooms의 자기보고식 CAP 인지학습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후 이를 기준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조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 사전 조사 대비 사후 조사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t=-3.496). 학업성취 경험 인식도는 수업목표, 기대 수준, 팀 활동, 학습량, 난이도, 평가 방식, 학업 성과에 대한 만족도 전체 평균이 4.7점(5점 척도)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방형 질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업성취 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은 정신적 항목의 학습 전이, 정서적 항목의 자기 성장, 인지 항목의 비판적 사고 요소에서 높은 학업성취를 경험하였다. 논의 및 결론: 전공 또는 직무와 관련된 실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방안을 프로토타입으로 설계한 지역문제해결형 PBL 수업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 협동심, 협업 능력, 현업 수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로는 대학의 지역문제해결형 PBL 수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효과성 연구와 실제 지역사회에 적용한 사례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는 실증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학습목표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간진숙,신미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objective achievement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took ‘e-leaning theory’ and ‘educa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courses at H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ing objective achievement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follewed by –person interview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both ‘e-learning theory’ and ‘educa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Second,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e-learning theory’, but no significant in ‘educa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Third, learning objective achievement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both subj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er-centered flipped-learning to develop and improve the college students’ competence required in higher education.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학습목표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H대학교 2016학년도 2학기‘이러닝교육론’및‘교육방법및교육공학’수강생 24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학습목표성취역량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및 학습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모수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이러닝교육론’과 ‘교육방법및교육공학’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이러닝교육론’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교육방법및교육공학’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습목표성취역량은 ‘이러닝교육론’과 ‘교육방법및교육공학’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서 요구되는 대학생들의 역량 개발 및 향상을 위해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 및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효과

        간진숙,권명순,이유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It was to confirm how project-based learning methods work on the learning goal achievement competency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and how the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review, class design, questionnaire development, survey, and learners' perception survey and result analysis in sequence for graduate students who took the “Nursing Education Methodology” class applied with the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normality test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in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he learning goal achievement capability of learn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survey of perceptions of learning experiences, 1) Participation class, understand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w experiences, information technology acquisition, collaborating learning, and task solving within class hours were derived from th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experiences of health education classes. On the other hand, difficult lesson program and inhibition of team activity were derived from dissatisfaction factors. 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lanned to apply to the clinical field, self-directed learning model, new and in-service nurse education. 3) 7 self-images changed to new nursing educator were derived. 4). 6 kinds of necessary competence for professional nursing educator were derived. 5) 3 learning subjects and contents needed for strengthening effective field-based health education were derived. 6) A total 5 categories of competence improved by the learning class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nursing graduate student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s nurse educator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curriculum and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professionalism of nurses is also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ollow-up studies on how nursing graduate students who have learned educational expertise apply it in the clinical fields and how it is effective will be conducted. 목적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이 간호대학원생의 학습목표 성취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간호교육방법론」을 수강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수업 설계, 질문지 개발, 설문조사, PBL 운영 그리고 학습자들의 인식조사 및 결과 분석의 순서로 양적⋅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적 자료의 분석은 정규성검증과 대응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질적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목표 성취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①건강교육 수업 설계 경험의 만족 요인으로는 ‘참여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이해’, ‘새로운경험’, ‘정보 기술 습득’, ‘협동학습’, ‘수업 시간 내 과제 해결’로 도출되었다. 불만족 요인으로는 ‘어려운 수업 설계’, ‘팀활동 저해’였다. ②학습결과물 적용방안은 ‘임상 현장 적용’, ‘자기 주도적 학습모델에 적용’, ‘신규 및 재직 간호사 교육 적용’이었고, ③간호교육자로서 변화된 자신의 모습은 총 7개, ④본인이 생각하는 전문 간호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필요 역량은 총 6개, ⑤효율적인 현장 중심건강교육 강화를 위해 필요한 학습주제 및 내용은 총 3개, ⑥수업을 통해 향상된 역량은 총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프로젝트기반 학습법은 간호대학원생이 간호교육자로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호사의 교육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수립 및 교수⋅학습법 적용 능력의 중요성을 안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교육적 전문지식과 기술의 습득, 태도를 겸비한 간호대학원생이 이를 임상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대학 물리학 수업과 전통적 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 비교

        간진숙 ( Kan Jin-sook ),이영인 ( Lee Young In ),엄미리 ( Eom Mi Ri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물리학 수업에서 플립드러닝 수업방식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방식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K대학교 대학 물리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1개 분반(실험집단)으로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을 적용하여 운영하였고, 나머지 1개 분반(통제집단)으로 전통적 강의식(Traditional Lecture) 수업을 운영하였다. 학습목표에 따른 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플립드러닝 수업방식 학습자들(실험집단)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방식 학습자들 (통제집단)의 두 집단간 동질성을 확보한 후, 학업성취도를 사전·사후 총 4회 점수 및 기말고사 점수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4회 검사 중 첫 회를 제외한 3회 점수와 기말고사 점수에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통제집단 학습자들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플립드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인 학습 지도와 피드백, 학습자들의 참여학습 등을 제공하여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것임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수업방식이 대학 물리학 수업의 학업성취도 달성에 효과적인 수업방식임을 입증한 사례 연구라는 점에 가치가 있으며, 추후에는 다양한 학문 계열, 교수자의 수업능력, 교수학습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ing method of General Physics flipped learning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Specifically, a flipped learning model of General Physic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class. In addition, after guarantee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learners(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lecture based teaching method learners(control group)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pre-test and post-test four times and final exam. As a result, in the scores of the 3rd time and final exam excluding the first time out of a total of four tests,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s confirms that the instructor's continuous learning guidance and feedback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even in the case of a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is a case study that proves that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getting high academic performance in General Physics, and in the future, empirical research that can be usefully applied according to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instructor's teaching ability, and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