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DS 집계수준에 따른 교통사고로 인한 교통류 악화 생존모형 비교분석

        가은한,이상협,이재현,이청원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반복적 정체는 운전자들이 기존의 통행경험을 통해 사전적으로 대비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사고, 기상, 공사 등의 비반복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비반복적 정체의 경우에는 운전자들의 사전적 대비가 불가능하여 교통류에 심각한 악화요인으로써 작용한다. 이에 대한 기존 연구로써 비반복적 정체요인 중 사고요인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IC to IC 단위로 집계된 검지기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가 존재하나, 분석단위가 교통사고로 인한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을 정도로 짧지 아니하여 재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점검지기 자료를 이용하여 생존분석을 통해 사고요인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재분석하고, 이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그 적실성을 다루었다.

      • 자율협력주행차량 전용차로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사점

        가은한,김선호,이청원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최근 자율협력주행차량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원천기술 개발 및 관련 인프라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자율협력주행차량에 대한 연구는 자동차산업에서 시작되어 자율협력주행차량의 제어기술 및 통신기술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자율협력주행차량은 운전자들의 편리와 편의를 제공하는 측면 외에 차량군 형성을 통한 교통류 흐름의 개선하는 측면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교통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통운영전략 측면에서 전용차로, 가변속도제어(VSL), 램프미터링(RMS) 등이 연구되었지만, 자율협력주행차량에 대한 교통운영전략은 현재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율협력주행차량의 교통운영전략 중 자율협력주행차량 전용차로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자율협력주행차량은 테스트베드 외에는 주행하지 않고 있고 현재 안전성 검증 단계에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자율협력주행차량 전용차로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전용차로가 도입되지 않았을 때의 자율협력주행차량으로 인한 교통류 영향평가를 살펴본 연구들에 따르면 차량군 형성을 통해 기존 일반차량만 구성된 교통류에 비해 교통량과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협력주행차로 전용차로의 도입은 자율협력주행차량의 시장침투율 (Market Penetration Rate)이 일정 수준 이상 될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자율협력주행차량의 전용차로로 인한 효과는 자율협력주행차량의 시장침투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자율협력주행차량의 전용차로 도입 초기에는 기존 버스전용차로를 활용하여 점차 전용차로를 확장하는 것이 효율성이 높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자율협력주행차량의 교통운영전략으로써 전용차로의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쓰기 태도 및 쓰기 효능감 발달 연구 -6학년에서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은아 ( Eun A Ka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6학년에서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쓰기 태도 및 쓰기 효능감 발달 양상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천안 지역 소재 초, 중, 고교 세 곳 173명의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학년에서 10학년 학생들의 쓰기 태도는 학년별로 뚜렷한 발달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학년에 상관없이 긍정적이지 않은 쓰기 태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쓰기 태도는 모든 학년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쓰기 효능감은 6학년에서 9학년까지 부적 발달의 경향을 보였으며 10학년에서 다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년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쓰기 효능감은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형성하고 쓰기 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쓰기 경험과 성공 경험을 제공해야 하고, 학생들의 삶의 맥락 속에서 쓰기 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며, 쓰기가 가치 있고 중요한 활동이라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aspects on attitude toward writing and writing self-efficacy. To do this, data were gathered from 173 sixth to tenth grade in Cheonan and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attitude toward writing was not found the developmental trends in grade, regardless of grade students are not so positive writing attitude. Secondly, girls as a group possess more positive writing attitude than boys in all grade levels. Thirdly, writing self-efficacy indicated negative developmental trends in sixth to tenth grade levels and writing self-efficacy score went up somewhat in tenth grade,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ly, regarding gender difference on writing self-efficacy,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boys is higher than that of girls,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초·중학생들의 문단 쓰기 실태와 문단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가은아 ( Ka Euna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이 연구는 초·중학생들의 문단 쓰기 실태를 확인하고, 문단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양상을 탐색하여 문단 쓰기 교육의 과제를 점검하고 교육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초·중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문단 쓰기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과, 교사들은 문단 쓰기 교육의 효과와 교육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으나 지도 방법을 잘 모르고, 실제 쓰기를 하지 않는 현실적 제약 때문에 문단 쓰기 교육을 충실하게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문단 쓰기를 교육 내용으로 확보하고 다양한 글을 쓰는 과정에서 문단 쓰기를 지속적으로 교육하기, 문단 쓰기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문단 쓰기 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그리고 교사들의 문단 쓰기 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양성 기관에서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교육과정을 보강하고 체험 중심의 교사 연수와 워크숍을 활성화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agraph writ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paragraph writing education. Also,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effective educational teaching plans for paragraph writing. To attain the research goals, this study gathered the writing composition of 23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lso, 236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on paragraph writing education. Results from the data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were deficient in their paragraph writing composition. Second, teachers have already known the effectiveness of paragraph writ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However, they didn`t recognize the teaching method well. Also, they didn`t implement paragraph writing education sufficiently in class.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agraph writing should be included in writing educational contents. In addition to, instructors should educate their students on paragraph writing consistently. For meaningfu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writing practice should be designed to help instructors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on paragraph writing.

      • KCI등재

        초등교사의 쓰기 교사 정체성과 쓰기 교육 실천 양상

        가은아(Ka, E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필자 정체성과 쓰기 교사 정체성을 탐색하고 쓰기 교육의 실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자유로운 글쓰기, 질문지 응답, 면담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긍정적 쓰기 경험으로 ‘즐김’, ‘위안과 치유’, ‘칭찬과 상’으로 보고하였으며, 부정적 쓰기 경험은 ‘쓰기 교육의 상실’, ‘평가와 점수’, ‘대학을 위한 논술’, ‘과제’로 보고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는 스스로를 ‘겁 쟁이 필자’이면서 ‘잘 쓰기를 욕망하는 필자’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필자 정체성은 쓰기를 싫어하지만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중적인 교사’와 쓰기를 잘 지도하고 싶어서 ‘헤매고 있는 교사’라는 쓰기 교사로서의 정체성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해 석되었다. 이러한 필자 정체성과 쓰기 교사로서의 정체성은 자신이 겪은 부정적 쓰기 경험을 학생들에게 대물림하지 않겠다는 다짐과 즐겨 쓰는 필자를 기르기 위한 쓰기 수업을 실천하는 모습으로 실현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riter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actical aspect of writing i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free writing,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gave an interview. This study execut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data.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ed ‘enjoyment’, ‘comfort and healing’, and ‘compliment and reward’ as positive writing experience. And they considered ‘loss of writing instruction’, ‘evaluation and grade’, ‘an essay test for college admission’, and ‘assignment’ as negative writing experience. In addi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writers who desire good writers’ as well as timid writers’. In conclusion, the writer identi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identity as writing instructors, which was ‘twofold teachers’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riting but disliked writing, and ‘wandering teachers’ who wanted to teach skillfully. In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ed their identity as writers and writing instructors by giving writing lessons for training enjoyable writers and by resolving not to transmit negative writing experience to thei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