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배경에 따른 혈문증강 시약(Fuchsin Acid, Eosin-Y, Acid Yellow 7) 적용의 현출도 비교실험

        김아람(A-Ram Kim),김우중(Woo-Joong Kim),정혜영(Hey-Yo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강력사건에서 혈액지문은 범인과 피해자를 연결하는 중요한 증거물이기에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많은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부터 Fuchsin Acid와 Acid Yellow7간의 비교는 이루어져왔으나, Eosin-Y의 경우 국내에 조직염색시약으로만 알려졌을 뿐 직접적으로 지문에 적용된 사례가 없다. Fuchsin Acid는 특유의 붉은색으로 인해 밝은 배경에서 좋은 대조비를 보이지만, 어두운 배경에서는 Gel lifter를 적용해야 형광이 관찰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Gel lifter 사용 시 지문의 좌우가 바뀌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cid Yellow 7은 노란색의 결과물이 현출되기 때문에 밝은 배경에서는 대조비가 좋지 않지만, 어두운 배경에서 매우 강한 형광을 나타냈다. Eosin-Y의 경우 분홍색의 결과물로 인해 밝은 배경에서 Acid Yellow 7에 비해 대조비가 좋았으며, 어두운 배경에서는 Fuchsin Acid 보다나은 형광이 관찰되었다. 물론 Eosin-Y가 밝은 배경에서의 Fuchsin Acid 및 어두운 배경에서의 Acid Yellow 7 형광에 비해서 효과성은 다소 떨어지나 배경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에 현장에서 근무하는 수사요원에게는 보다 효과적인 혈액지문증강이 될 것이다. In serious crimes, bloody fingerprints are crucial evidence that make links between suspects and victim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lated to bloody fingerprints for a long time. There are many comparative studies for effectiveness of Acid Fuchsin and Acid Yellow 7, but nothing about Eosin-Y in this country. Acid Fuchsin is a useful reagent that has unique red color distinguishing from light colored background. but it is useless on dark surfaces. In order to make it visible, we should use BVDA Gel lifters. On the contrary this, Acid Yellow 7 makes stronger fluorescence on a dark background. In this study, we got the conclusion that Eosin-Y is more useful than the others not only on dark background but also light background.

      • KCI등재

        “나부-슈마-이쉬쿤(Nabû-šuma-iškun)의 죄” 문헌에 나타난 종교 범죄 분석

        김아리(Kim, A-Ri)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2021 중동문제연구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셀루커스 왕조 시대의 문헌인 “나부-슈마-이쉬쿤의 죄”에서 언급된 종교 범죄를 분석하여 이 문헌이 어느 정도 고대 근동의 종교관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문헌은 총 4개의 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8개의 구절에서 종교범죄를 언급하고 있다. 고대 근동 종교관에 입각하여 문헌에 언급된 범죄 행위의 내용을 분석 한 결과 이들 행위는 신의 의지를 무시한 행위나 신들의 위계질서를 어지럽힌 행위, 종교적 금기 중에서 신에 대한 예의를 어긴 행위 , 신의 자산을 탈취한 행위로 범주를 나눌 수 있었고 이는 신에 대한 범죄로 여겨지는 행위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비록 이 문헌이 셀루커스 왕조 시대에 작성되었지만 이 문헌의 내용은 그 이전 시대 즉 고대 근동의 전통적인 종교 세계관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much Ancient Near Eastern religious thought was reflected in the document “the Crimes of Nabû-šuma-iškun,” written in the Seleucid period, by analyzing religious offenses written in the document. This document consist of four columns in which there are eight passages concerning religious offen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entioned religious offenses of the “the Crimes of Nabû-šuma-iškun,” these crimes can be categorized the following four ways: the acts of ignoring divine will; the acts against divine hierarchies; offenses against religious taboo, especially concerning etiquette toward the gods; and theft of god’s possessions. These crimes were traditionally considered religious offenses in the concept of Ancient Near Eastern Religion. Thus, even if this document is written in the Seleucid period, the document reflected the Ancient Near Eastern religious worldview.

      • KCI등재

        38선 넘고 바다 건너 한라산까지, 월남민의 제주도 정착 과정과 삶

        김아람 ( Kim A Ram ) 역사문제연구소 2016 역사문제연구 Vol.20 No.1

        The present dissertation aimed at clarifying the destruction of life brought about by war, the recovery of life, the reality of reconstruction in the region during the 1950s, and its meanings, through a process in which residents north of the 38th parallel became residents of Jeju island. Thus, the study attempted to focus on the following issues. The first is the succession and change of life before and after defection to the South. Here, conditions like the presence of a Christian faith, socioeconomic status in North Korea including family members, and the motivation for defection had a complex effect. The second is the war experience of refuge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 and the US military during the war, refugees were the most important civil affair, but their policy aim was to reduce interruptions in terms of military operations, and the main contents involved surveillance and control. The actual experiences of refugees are displayed, not by a number, but by how the war destroyed lives and what efforts and will power were required by the persons involved to subsequently restore their lives. The thir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by the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church. The evacuation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was the decisive cause that expanded the Christian church in Jeju island, and the church played a certain role in settl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Jeju island. `Boebhochon` is the place where a Resettlement Project and the founding of a church was accomplished together by an elder. The fourth is an aspect of Resettlement Project in the 1950s. Because the North Korean refugees were unable to return to their original residence after the war, the government and the US conducted new policy in regards to them. The `Resettlement Project` was begun to settle North Korean refugees and was conducted in Jeju island as a recovery project for the victims of the Jeju Uprising. The Resettlement Project as expanded to refugees in South Korea and regular urban residents by the mid 1960s. With the case of Beobhochon, the study will be able to analyze the planning, management, and results of the Resettlement Project, which was a major relief policy by the Syngman Rhee government.

      • KCI등재

        소유경영기업의 최고경영자 교체에 관한 실증연구 :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인의 비교

        김아리(Ari Kim),조명현(Myeong-Hyeon Cho) 한국전략경영학회 2011 전략경영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국내기업들을 표본으로 하여 경영성과와 최고경영자 교체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유 경영기업들을 대상으로, 후임 최고경영자를 결정함에 있어 소유경영자 또는 전문경영인 중 선택을 해야 하는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경영성과가 소유경영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유경영기업의 경우 경영성과가 좋을수록 최고경영자를 소유경영자로 교체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체 전 최고경영자가 전문경영인인 소유경영기업은 경영성과가 우수할 경우에 소유주 자신이 직접 최고경영자로 교체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유경영자가 성과가 좋은 기업에 대하여 직접 경영하기를 선호한다는 Barth, Gulbrandsen and Schone(2005)의 주장을 실증분석을 통해 지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Based on succession events in Korean owner-managed firms,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firm performance on CEO turnover and its influence on the choice of owner-manager or professional CEO.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ms with higher performance are more likely to choose a owner-manager. Furthermore, agreeing with the study by Barth, Gulbrandsen and Schone(2005),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in the owner-managed firms prefer to directly manage firms with good performance.

      • KCI등재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Ah-Ra Kim),황윤경(Yun-Gyeong Hwang),이재준(Jae-Joon Lee),정해옥(Hae-Ok Jung),이명렬(Myung-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 된 흰쥐 수컷 32마리를 1주일 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200 ㎎/㎏/day) 병합투여군(HFC-EJ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400 ㎎/㎏/day) 병합투여군(HFC-EJ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체중증가량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차는 없었지만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섭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식이효율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들(HFC, HFC-EJL, HFCEJH)이 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간조직 및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는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장간막지방조직 무게도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혈청 중 ALT 및 AST 활성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병합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ALP와 LDH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함량,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의 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 중 중성지방 함량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N)과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간조직 중 GSH 함량은 비파잎 에탄올 투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어진 과산화지질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을 병용투여 한 흰쥐의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파잎에 함유된 polyphenol과 flavonoid 등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지방조직의 체지방 형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으로써 체내 지질대사 개선과 심혈관계질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나, 이외의 성분이 어떻게 이상지질혈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는 추후 생화학적인 작용기전 등이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ves (EJ) on the lipid metabolism of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fat/cholesterol diet for four week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7 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 normal diet group (N),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HFC),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administered 200 ㎎/㎏ day EJ (HFC-EJL), an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administered 400 ㎎/㎏/day EJ (HFC-EJH). The serum ALT and AST activities of the EJ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HFC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rum ALP or LDH activities. The serum total and 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tended to be decreased in the EJ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while the serum HDL-cholesterol decreased in the HFC group and increased only minimally in the EJ groups. The total cholesterol in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s was lower in the EJ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riglycerides in the mesenteric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s were lower in the EJ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he liver GSH levels of the EJ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C group. The liver TBARS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J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EJ ethanol extract may improve the lipid metabolism of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prevent oxidative stress by stimulating antioxidative systems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