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niscalpel Needle Therapy with Integr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Carpal Tunnel or Tarsal Tunnel Syndrome: Case Series of Three Patients

        김재익,김혜수,박기남,전주현,김정호,김영일 대한침구의학회 2017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7 No.2

        Objectives :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effects of miniscalpel needle therapy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or tarsal tunnel syndrome.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CTS) or tarsal tunnel syndrome (TTS) (first case, patient with CTS and TTS; second case, patient with CTS; and third case, patient with TTS) were treated with miniscalpel needle (MSN) therapy and integr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Neuropathic Pain Scale (NPS), Boston scale score, and AOF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were measured. Results : In general, outcome measures after treatment showed improvement in all cases. In the first case (CTS and TTS), scores on the NRS, NPS, and Boston scale decreased, and AOFAS ankle-hind foot scores increased. In addition, Tinel’s sign showed improvement. In the second case (CTS), scores on the NRS, NPS, and Boston scale, and Tinel’s sign, were decreased. In the third case (TTS), scores on the NRS and NPS, and Tinel’s sign, showed improvement, and AOFAS ankle-hind foot scores were increase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N therapy has a meaningful clinical effect in CTS and TTS.

      • KCI등재후보

        허리둘레와 허리둘레-키의 비와 대사증후군과의 상관성

        김재익,유병철,전만중,김정민,최종순,박지영,이용환 대한비만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3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지표로서 허리둘레와 허리둘레-키의 비(waist-to-height ratio, W/Ht)와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에서 2006년 사이에 모 대학병원에서 건강진단을 받은 수진자 가운데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2,299명을 대상으로 허리둘레와 W/Ht를 측정하여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인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에서는 허리둘레와 W/Ht 모두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 < 0.01). 여자에서도 허리둘레와 W/Ht가 모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들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 < 0.01). 대사증후군 구성 질환의 허리둘레와 W/Ht에 따른 교차비는 남자에서는 고혈압이 W/Ht(OR=2.19, P < 0.01)와, 고혈당(OR = 1.71, P < 0.01), 저 HDL 콜레스테롤(OR = 2.21, P < 0.01)과 고중성지방(OR = 3.09, P < 0.01)은 허리둘레와 관련이 있었으며, 여자에서는 고혈압(OR = 2.19, P < 0.01), 고혈당(OR = 1.82, P < 0.01), 저 HDL 콜레스테롤(OR = 1.85, P < 0.01), 고중성지방(OR = 2.59, P < 0.01) 모두 W/Ht와 더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허리둘레와 W/Ht 모두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므로 두 지표 모두 임상적, 역학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스크리닝 도구로 사용하기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따른 자해, 자살 손상의 특성

        김재익,오주환 대한응급의학회 2014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5 No.2

        Purpose: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which is a serious social problem, we analyzed therelationship with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and suicidal attempt and completed suicide. The results ofthis study could serve as fundamental material for suicidepreventive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health. Methods: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pleted suicide,attempted suicide, and total injured according to gender,age,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 were comparedusing the injury surveillance dataset, the material from indepthinvestigation of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Allinjuries from suicidal attempts and completed suicide of suicidalattempts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rate of injury by attempted suicide was higherin women than in men; however, completed suicideshowed more male dominance, in comparison with otherinjuries. And, for age, the highest was observed for 30-40s. The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subgroup showed thehighest level of attempt, and for the occupation, unemployed,skilled agriculture or fishery workers, soldiers, students,and housewives showed the highest value. Conclusion: Vulnerabl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groups, including women, low level of education, unemployed,skilled agriculture or fishery workers, soldiers, students,and housewives are weaken to attempted suicide,and intensive 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ive policyare necessary to those groups.

      • KCI등재

        장일순의 생명사상에 관하여 - 상생(相生), 공생(共生), 전생(全生)을 중심으로 -

        김재익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1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life thought of Jang Il-soon. His perception for life initially limited to the Korean Nation and advocated peaceful unification for the symbiosis(相生) of the Korean Nation. However, he is imprisoned for claiming peaceful unification after 5.16 Military Coup. After he was released from prison, Cooperative Life movement was developed the goal of coexistence(共生). It was a time when we were seeking coexistence in the affairs of human beings. In 1977 his thought is changed. He looks at the death of the farmers and the land collapsed with agriculture poisoning, crosses human and human affairs, comes to think of human-nature affairs, and new thoughts with the universe. It is the so-called holistic worldview(全生). In the background of the converted thinking, there was a fundamental problem recognition of Western style modernization. That is, it is not anthropocentrism but ecocentrism. It built a spiritual worldview based on the indigenous thought of the Donghak (東學). After all, Jang Il-soon’s thought begins with Peaceful Unification, reaching the spiritualization of everyday. Jang Il-soon regarded the life of the universe as one grass and adjusted the revolution in everyday with the holistic worldview as a base. 이 글은 장일순의 생명사상의 큰 줄기를 되짚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생명에 대한 그의 인식은 초기에는 민족에 국한되어 우리민족의 상생(相生)을 위한 평화통일을 주창했다. 그러나 5·16이후 그는 통일에 대한 주장으로 옥고를 치르게 된다. 그가 출소한 이후 1965년도에는 당시 시대적 상황의 영향 아래 ‘다함께 잘 살자’라는 기치를 내걸고 협동조합운동차원의 생명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는 장일순의 생명사상의 중기에 해당하며, 인간과 인간사의 관계 속에서 공생(共生)을 모색했던 시기였다. 이후 1977년은 그의 사상의 일대 전환기이다. 그는 농약중독으로 쓰러져간 농민과 땅의 죽음을 통해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넘어 인간과 자연의 관계 나아가 우주와의 관계의 공생을 다시 말해 전생(全生; 전일적 세계관으로서의 공생)을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바탕에는 서구식 근대화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인식이 있었다.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우주만물이 하나라는 전일적(全一的) 세계관을 중심으로 나아갔다. 여기에는 동학(東學)이라는 우리민족의 자생적이고 토착적인 사상을 기반으로 삼아 영성적(靈性的) 세계관을 구축하였다. 결국 장일순의 생명사상은 민주평화통일을 시작으로 하여 일상의 영화(靈化)에 이른다. 장일순은 풀 한 포기에도 우주적 생명이 깃들여 있다고 보며 전일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일상으로부터의 조용한 혁명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아침 첨두시간대 지하철 이용수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 지하철 역세권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

        김재익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1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way riderships and land use patterns within station neighborhood areas in the case of Daegu Metroplitan City. The attribute data used by this research was collected from electronic card readers at subway stations. The spatial data were obtained and/or derived from ArcGIS buffering analys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identifies the relationship with three different models - linear, semi-log, and log model.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number of get-on increases as population and ratio of residential use increase within 800m boundary of a subway station. Second, the number of get-off increases as number of employee and students, the ratio of commercial and manufacturing use increase. Third, the elasticity of manufacturing land use to the number of subway riders is more elastic than that of commercial land use.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지하철 사용자를 오전 첨두시간대의 승차자와 하차자로 구분하고 지하철역 주변의 토지이용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토지이용, 지하철역의 입지, 버스노선 등의 공간자료를 입력하고, 인구수, 고용자수, 학생정원수 등의 속성자료와 통합하여 역별 특성을 나타내는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철 승차자수와 하차자수의 결정요인을 회귀분석하였으며 이때 추정모형을 선형모형, 준로그모형, 로그모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지하철 승차자는 역 주변의 인구수가 많을수록 증가하고, 토지이용 중 주거지 비율이 높을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계버스의 수와 환승주차장의 존재 여부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하철 하차자수를 결정하는 요인의 분석 결과 역 주변의 고용과 학교의 정원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상업용지와 공업용지의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의 탄력성은 상업용지의 비율보다 공업용지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중소도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가 식생상태에 미친 효과

        김재익,이섬결,현준용 국토연구원 2019 국토연구 Vol.101 No.-

        본 논문은 2000년대 초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3개의 중소도시들을 대상으로 2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른지금 과연 개발제한구역의 해제가 식생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청주, 춘천, 진주 등 세 개의중소도시를 선정하여, 원격탐사기법으로 획득한 기준연도(2001년)와 비교연도(2017년)의 표준식생지수를 비교하고, 그 변화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이중차분모형(Difference-in-difference Model)을 활용하되, 기본모형과 통제변수가 포함된 두 개의 모형으로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세 도시 공통적으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지역은 식생상태가 해제 전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개발제한구역이 환경적 가치를 갖고 있음을 방증한다. 식생지수를 악화시키는 요인은 인구수, 토지가격 등 개발과 관련된변수들로 나타나 개발 규제의 완화로 인해 진행된 개발 행위라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eenbelt release on vegetation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three medium-sized c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two types of the difference-in-difference models are performed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the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by utilizing the panel data of the study areas which includes both attribute data such as population and land price, and spatial data such as distance to the city cen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release of the greenbelt restriction made the vegetation condition worse off in all three medium-sized cities. This reflects that the greenbelt functions as a green area reservoir, and proves that the greenbelt restriction is an effective tool to control l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