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의 中小企業과 中小企業政策

        金漢圭 啓明大學校産業經營硏究所 1989 啓明大學校ㆍ挑山學院大學國際學術세미나 Vol.1989 No.-

        金漢圭氏의 報告는 韓國의 中小企業現況과 中小企業政策의 歷史的 推移에 대하여, 「綜合社會政策的」視野에서 행한 분석이었다. 報告 후 以下와 같은 質問과 回答이 있었다. 金氏의 回答에 있어서는 가끔 鄭基淑所長으로부터도 補充回答이 있었다. 또 啓明大學校側으로부터 日本 實情에 관해서 桃山學院大學側에 대하여 質問도 있었다. (問1) 1960년대 이후 韓國中小企業比重이 低下한 이유는 무엇인가. (答) 社會的·經濟的變動, 특히 大企業(財閥을 중심으로 하는)의 急成長에 의하여 中小企業의 相對的 地位가 낮아졌다. 또 1960년대에는 民族資本이 形成되지 못하고 外資導入企業이 성장하였다. 그러나 大邱地域의 섬유산업은 이 時期에 일정한 정도 성장하고, 地域別·産業別로 볼 때 차이가 있다. 그러나 統計法上 全國統計 밖에 발표되지 않으므로 그 차이는 알기 어렵다. (問2) 財閥規制의 必要性에 대하여 (答) 法律上의 문제로서는, 大企業과 中小企業이 대등한 입장에서 경쟁하도록 기대되고 있으나 실제의 효과는 다르고 실효가 있다고는 말 할 수 없다.' (問3) 中小企業政策一般에 대해서는, 그 추이를 알 수 있었으나, 重點的産業에 대한 원조는 있는가. (答) 中小企業固有業種이 정부에서 지정되어 있고, 그 수는 약 300업종에 달한다. 예컨대, 紡織業·染色業·外依制造業·(포)·靴 등의 皮革製品 제조업 등이 있다. (問4) 構造改善政策은 中小企業固有의 政策인가. (答) 이때까지의 일곱가지 法律을 「工業發展法」으로 통합한 것이고, 中小企業에 대하여 特定한 法律은 아니지마는 실질적으로는 中小企業에 집중한 施策이다. (問5)「第1金融圈」「第2金融圈」이라 함은 무엇인가. (答)「第1金融圈」이라 함은, 일반시중은행이 활동하는 영역이고, 「第2金融圈」에는 投資信託·信用金庫 등이 포함된다 (問6)「系列化促進法」이란 어떠한 法律인가 (答) 大企業相互의 水平的統合이 아니고 大企業과 中小企業과의 협력체제를 강화화기 위하여 행정이 원조하는 政策이 규정되어 있다. (問7) 韓國의「系列化促進法」에 해당하는 法律이 日本에 있는가 (答) 1971년의 「下請中小企業振興法」의 一部에는, 母企業을 中核으로 하여, 下請企業의 組織化를 촉진하는 內容이 포함되어 있다(業種은 한정되어 있지마는). (問8) 日本의 下請企業振興協會의 機能·實態에 대하여. (答) 등록된 母企業(發生企業)과 下請企業(受注企業)과의 業務를 알선하고, 또 그 사이에 트러블이 있으면 水平紛爭處理를 행하고 있다(主로 大阪府下請振興協會에 대해서 설명이 있었다). (問9) 今日 報告의 問題意識이랄까, 韓國中小企業振興의 政策적意圖는 무엇인가. (答) 中小企業政策一般은 아니고, 韓國經濟의 특수성을 생각하여야 한다고 본다. 또 중소기업문제를 취급할 때, 倫理的次元에서 취급할 것이 아니고「綜合社會政策的」視點에서 행해져야 한다. 이때까지의 政策으로는 中小企業의 持續的發展은 곤란하지 않을까. (問10)「綜合社會政策」의 意味는, (答) 이것은 生産第一主義, 效率主義를 止場하고, 균형이 이루어진 사회구조를 이룩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는 政策的觀點에서이다. 즉, 經濟政策·社會政策·文化政策 次元을 통합한 槪念이고, 西獨에서 사용하고 있는 用語와 같다. (問11) 韓國에서의 企業者精神에 대하여, (答) 韓國에서는, 왕성한 企業者精神과 國家의 經濟政策·中小企業政策이 一體化되지 않으면 經濟發展이 안된다는 것이 실정이다. (問12) 日本의 円高問題에 대하여, 그 對應策은 어떠한가. (答) 大阪府堺市의 수출산업인 自轉車部品, 베어링, 깔개(敷物)業에 대하여, 円高의 영향,「業種轉換」의 실태, 거기에의 行政機關의 대응책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국제관광 재개형태 분석연구: 북한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한규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2

        Each country has varying restrictions on international travel which are entry ban, quarantine and strengthened airport inspections and recommendations. Those measures still fluctuate depending on the status of each country, however, they show signs of being eased as a whole. Global Covid-19 situations and vaccine rates are the key factors of the resumption of international travel, whereas some countries go their own way regardlessly. Dependence on tourism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global pandemic all affect reopening borders as well as domestic politics and attitudes toward to the Covid-19. Meanwhile, North Korea continues to enforce the highest alert system since the country declared an emergency taking the strictest inbound travel restrictions. None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appears to make any changes on the regime’s restriction rules in the near future. 코로나19 시기 해외입국자에 대한 조치는 기본적으로 입국금지, 시설격리, 검역강화 및 권고사항 등 3가지로 분류 가능하며 이에 따라 해당 국가의 국제관광 허용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어느 나라나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조치가 강화되거나 완화되는 파동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나선형 형태로 완화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국제관광 재개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복합적이지만 코로나19 상황과 백신접종률은 핵심 요인이다. 하지만 이런 요인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정책을 펼치는 국가도 있는데 이는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과거 글로벌 전염병에 대한 경험과 기억, 국내외 정치적 상황, 국민 인식 등에 영향 받은 것이다. 한편 북한은 코로나19에 대해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한 뒤 최대치의 방역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을 분류했던 기준에 비춰보면 어느 나라보다도 강력한 최상위의 입국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는데 ‘20년과 ‘21년 북한의 외래관광객 수는 0명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꼽아본 국제관광 재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북한 맥락에 적용해 본다면 북한이 단시일 내에 해외입국자 대상 제한조치를 완화할 가능성은 적다. 관광산업 측면에서도 그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고 분석된다.

      • KCI등재후보

        Selection of a Grammatical Subject in English Correlative Conjunction Phrases: An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김한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5 No.4

        The topic of selection of a grammatical subject in a correlative conjunction phrase has long faile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linguists due to some difficulties not only in figuring 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NP’s conjoined by a correlative conjunction but also in its heavy dependency on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each correlative conjunction demonstrates. In this paper, I have explored the seemingly complex patterns in the selection of a grammatical subject in a correlative conjunction phrase in the frame of the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2008). I show that, with the help of three newly developed constraints such as MinDist, Focus, and PARSE which are ranked relatively to each other, an optimal grammatical subject out of two NP candidates conjoined by a correlative conjunction can be correctly selectable.

      • KCI등재후보

        Semantic Features as a Cause of Tensification in Korean Sub-compounds

        김한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8 No.4

        Nominal compounds of ‘N1 + N2’ in Korea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major categories: co-compound, sub-compound, and fusion. Among these three major categories, insertion of /t/ in the compounding process and subsequent tensification are found only in sub-compounds. This peculiar phenomenon of /t/-insertion which causes, in turn, tensification in sub-compounds has been long controversial because linguists have not been able to expect in which phonological environment of sub-compounding insertion of /t/ takes place. In this paper, I explore a phonological rule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ect the phonological environments of sub-compounding that allow insertion of /t/ and automatic tensification of the subsequent consonant in the onset of N2. In this process, I show that semantic feature(s) between two combined root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structural descriptions in phonology.

      • KCI등재후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ransitive Verb Alternation of English and Korean in the Aspectual Event Syntax

        김한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6 No.4

        In this paper I applies Borer (1993)’s way of classifying English intransitive action verbs such as ‘run’, walk, among many others, to the corresponding Korean intransitive action verbs such as ‘tali-ta’ and ‘keət-ta’, and show how they are different from - or similar with - each other in terms of syntactic structures and verb classification. Unlike the English verb ‘run’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an unaccusative verb as well as an unergative verb in Borer’s theory, the corresponding Korean verbs ‘tali-ta’ or ‘t’wi-ta’ can behave not only as an unergative and unauucsative verb, but also it can behave as a transitive verb. Though Borer’s perspective on classification of verb types may be thought of as somewhat radical mostly due to its heavy dependency on aspectual representation of a whole sentence which a verb is just part of, it is clearly suggesting a new and great insight into the controversial topic of classification of verb types. So it is worth adopting this insightful perspective for the analysis of corresponding Korean verbs and seeing if it also works for the Korean ones.

      • KCI등재

        Revisiting ‘It’-Extraposition in English: An Extended Optimality-Theoretic Analysis

        김한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7 No.2

        In this paper I discuss a more complicated case of ‘It’-Extraposition in English in the Optimality Theory [1] by further modifying and extending the analysis done in Khym (2018) [2] in which only the ‘relatively’ simple cases of ‘It’-Extraposition such as ‘CP-Predicate’ was dealt with. I show in this paper that the constraints and the constraint hierarchy developed to explain the ‘relatively’ simple cases of ‘It’-Extraposition are no longer valid for the more complicated cases of ‘It’-Extraposition in configuration of ‘CP-V-CP’. In doing so, I will also discuss two important possibilities: first, the long-bothering question of which syntactic approach between P&P (Chomsky 1985) [3] and MP (Chomsky 1992) [4] should be based on in projecting the full surface forms of candidates may boil down to just a simple issue of an intrinsic property of the Gen(erator). Second, the so-called ‘It’- Extraposition phenomenon may not actually be a derived construction by the optional application of Extraposition operation. Rather, it could be just a representational construction produced by the simple application of ‘It’-insertion after the structure projection with ‘that-clause’ at the post-verbal position. This observation may lead to elimination of one of the promising candidates of ‘Iti…[CP that~]i’ out of the computation table, and eventually to excluding the long-named ‘It’-Extraposition case from Extrsposition phenome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