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非外像性 謄주腹膜炎 8例에 對한 臨床治驗 및 文獻考察

        金弘均,咸泰元,鮮于鍈,孫鐘夏 최신의학사 1972 最新醫學 Vol.15 No.4

        A Series of 8 cases of bile peritonitis treated in the 3 year period, Mar. 1969 to Jan. 1972, is presented. In this group, half of the cases were of perforation of acute cholecystitis; other casees were of idio pathic and rupture of subcapsular cholangitic abscess. The chief pathology of the bile peritonitis is induced by a salt of Na. glycocholate and Na. tauro?cholate which irritate, weaken and destroy the peritoneum and serosa so that a serious stage of endotoxic shock may be induced, the diagnosis is difficult. The treatment of bile peritonitis is surgical. 2 deaths occured in this series.

      • KCI등재

        1+등급 한우의 부위별 조리방법에 따른 영양소 잔존율

        김홍균,정혜정,이근종,김성민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6

        The focus of the study was to maximize the output data for Korean cuisine.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for different cuts of Korean beef (Hanwoo beef) subjec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Five cuts (short rib, sirloin,chuck roll, tenderloin, and fore shank) of Korean Hanwoo beef were prepared and used in this experiment. Two different cooking methods (dry-heat cooking and moisture-heat cooking) were applied to each cut. The sodium contents of dry-heat cooked short rib (86.44), sirloin (76.81), tenderloin (86.65), and fore shank (85.89) decreased. Potassium contents of dryheat cooked sirloin (94.99), chuck roll (89.19), and fore shank (92.66) decreased. Calcium contents of dry-heat cooked sirloin (61.49), chuck roll (73.97), and fore shank (91.46) decreased. Iron contents of dry-heat cooked chuck roll (79.71), and tenderloin (90.79) decreased. Phosphorus contents of dry-heat cooked sirloin (87.87), and tenderloin (99.88) decreased. Mineral contents of all cuts cooked by moisture-heat decreased. Finally, the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represents output data of each cooking method with yield % of each item. 굽기에 비해 삶기를 했을 경우 중량과 부피의 감소가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로 조금씩의 차이를 보이기는하지만 지방은 조리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수분과 단백질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기질함량은 굽기를 했을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삶기를했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잔존율는 굽기에서 삶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조사되었고, 수분, Na, K, P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잔존율 변화는 기존 분석자료와 비교했을 때 조리후의영양소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나 잔존량계수 계산법을 사용하게 되면 영양소가 감소하거나 증가 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한우는 더다양하며, 등급 품질 역시 5등급으로 구성되어 한우의 일부 특성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추후 국내에 유통되는 다양한 브랜드 한우를 이용한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슬관절 후방 십자 인대에서 기원한 건막 거대 세포종: 1예 보고

        김홍균,최창현,정국진,이영민,신미경,황지효,Kim, Hong Kyun,Choi, Chang Hyun,Chung, Kook Jin,Lee, Young Min,Shin, Mi Kyung,Hwang, Ji Hy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국소형 거대 세포종은 주로 지 관절의 활액막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슬관절 내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리학적으로 다핵의 거대 세포를 특징적으로 가지는 질환으로 완전 절제 시 재발율은 낮다. 슬관절 내에 발생하는 경우 무증상에서 간헐적 잠김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관절경적으로 완전 절제가 가능하나 불완전 절제 시 45%까지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후방 십자 인대의 전연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1예를 관절경 하에서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확진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Localized forms of giant cell tumor are known to arise commonly in the synovial membrane of the finger joints. Multinucleated giant cells are its characteristic pathology finding, giant cell tumor shows a low rate of recurrence after complete excision. When occurring at the knee joints, giant cell tumor manifests a wide form of symptoms, from no symptom at all, to intermittent locking. Complete excision is possible by arthroscopy, but if done incompletely, it is reported to recur in 45% of cases. We present here a case of giant cell tumor that has arisen from the anterior portion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excised by arthroscopy and followed by pathologic confirmation.

      • KCI등재

        물관리기본법의 평가와 그 과제

        김홍균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4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which was enacted on June 12, 2018 as part of an initiative to unify water management, has provided a new milestone through providing ground rules needed to operate the National/Watershed Commission on Water Management, establish plans such as the Framework Plan for National Water Management (FPNWM)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Watershed Management (CPWM), and to adjust disputes related to water. Still, there is a long way left to go in order to reach true integration in managing water resources. A number of ambiguous and ineffective regulations - though they may be considered typical flaws of all basic lawscontinue to be found in the Framework Act. The Act also lacks consistency with other related laws, making it somewhat insufficient to be cited a top framework act. For exampl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ational/Watershed Commission on Water Management remain limited, and plans such as the FPNWM·CPWM and other water related plans tend to overlap one another. The vagueness in defining what is and is not subject to water disputes and weak force of the decision, and the lack of linkage to other law and policy are also examples of what needs to be improved. Thu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revision of the current Act,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enacted quite recently. Such need is imperative not just because the water management issue is an imminent problem, but also because it would affect decades and generations to come. While it may sound unrealistic and unreasonable to amend the Act that has just been enacted, an interim review of at least some parts of the Act that needs revision would still be deemed meaningful. That is because the Act would need to be amended in any way in order for it to soft-land and function well. The direction is clear, and that includes the strengthening of the Commission’s role and function(clarifying legal status as national agency, enlarging authority, ensuring independent budget), enhancing efficiency in laying out the FPNWM and the CPWM(change of establisher of FPNWM, integration of duplicated plans), clarifying the subject of water dispute adjustments and ensuring effectiveness of the decision(providing legal force to adjustment), and improving legal systematization and the coherence among related laws and systems(provision of linkage with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물관리일원화 일환으로 2018. 6. 12. 제정된 「물관리기본법」은 국가·유역물관리위원회(이하 ‘물관리위원회’라 한다)의 운영,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이하 ‘국가계획’이라 한다)과 유역물관리종합계획(이하 ‘유역계획’이라 한다)의 수립, 물분쟁의 조정 등의 근거 규정을 마련함으로써 통합물관리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완전한 통합물관리의 길은 아직 멀다고 할 수 있다. 기본법이 갖는 일반적인 한계라고 할 수 있지만 애매모호한 규정, 실효성이 떨어지는 규정 등이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관련 법과의 체계성·연계성이 떨어져 최상위의 기본법으로서의 위상에도 부족한 측면이 있다. 물관리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상의 한계, 국가계획·유역계획과 다른 물관련 계획과의 중복성, 물분쟁 조정 대상의 불명확화와 그 효력의 약화, 다른 법제도·정책과의 연계규정의 미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에 비록 최근에 제정되었지만 동법에 대한 개정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는 물 문제가 당장의 문제만이 아니라 백년, 수백년 지속될 문제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동법이 통합물관리라는 오랜 숙원 사업을 급한대로 끈 상황에서 동법이 제정되고 얼마 되지 않아 개정한다는 것이 당장의 현안이 아니고 현실성·타당성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개정 필요성이 있는 부분에 대한 중간 점검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통합물관리가 연착륙을 하고 정상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조만간 어떤식으로든 다시 손질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개정 방향은 분명하다. 물관리위원회의 기능 및 역할 강화(행정기관으로서의 지위 명시, 권한의 확대, 독자적 예산 확보), 국가계획과 유역계획의 체계성·효율성 제고(국가계획 수립권자를 국가위원회로 변경, 중복성이 있는 계획의 통폐합), 물분쟁 조정 대상의 명확화와 실효성 확보(법적 구속력 부여), 법체계성·종합성·연계성의 제고(관련 법·규정과 연계 규정) 등이다.

      • 지하수의 공유화

        김홍균 대한변호사협회 200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61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까지 나오면서 우리나라의 물 부족 문제는 현실적인 문제로 되고 있다. 이제는 싫든 좋든 물 부족 문제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하여야 할 때이다.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으로는 지하수의 개발․이용이 제시되고 있으나 지하수 과사용 에 따른 고갈 및 오염이 가속화되면서 그것을 사용하는 우리의 안전을 확실히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지하수를 토지소유권의 일부라고 보는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 을 것이다. 모든 토지 소유자가 자기 토지라는 이유만으로 그 토지의 지하수를 무제한으로,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지하수 고갈, 지반의 침하,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하수 문제의 해결책은 무엇인가. 그 해결의 실마리이자 결론은 지하수의 공유화라 할 것 이다. 공공자원으로 인식되어야 할 지하수를 더 이상 무상재로 파악하지 않고 이를 공유로 할 필요성 이 있는 것이다. 지하수를 토지소유권의 구성 부분, 사적 소유권의 대상으로 고집하는 것은 소유권의 사회적 기속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 지하수의 공적 성격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도 역행하는 것이다. 공유화의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지하수법에서 지하수에 대한 국유의 선언, 토지소 유권의 지하한계 설정, 지하한계에 걸쳐 있는 대수층의 공유화, 특허제의 실시, 지하수이용부담금의 활 성화 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기후변화적응법의 제정

        김홍균 한국법제연구원 2015 법제연구 Vol.- No.48

        It is important to adapt to climate change in order to respond to the negative impact of ongoing greenhouse emission as well as to prepare for the future. Indeed, policies for mitigation are as important as adaptation policies. The two must progress together as they supplement each other.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s aware of this point and is putting efforts to deal with both adapting to and mitigat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However, adaptation has often been neglected more than mitigation. Discussions on adaptation have often been left vague and too general. More often times has it been considered an exclusive problem of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developed nations are also the subject of climate change. Thus the issue on adaptation is important for them as much as it is to developing countries. In South Korea, efforts to adapt to climate change are poor while emissions continue to grow. The reasons to such stagnation are mainly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skepticism, and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Legislative deficiencies cannot be ignored as well. Korean adaptation system has been based on one article of Green Growth Basic Act. The current legislative framework can only be criticized in that it is weighing more importance on mitigating greenhouse gases while it should be adapting to climate change, to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to incorporate specific regulations on the methods and details of adaptation. The answer is to enact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 Our future no longer depends on saying we tackle climate change; it depends on whether we show action or not. Preparation will help curtail expenses while planned-out adaptation will cut down the cost even more.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adaptation)은 과거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하여 이미 진행되고 있는 불가피한 기후변화 악영향에 대응하는 동시에 미래에의 영향에 준비하기 위해 중요하다. 기후변화 방지를 위해 적응과 완화(mitigation) 정책은 다 같이 중요하고 서로 이익이 되기 때문에 같이 발전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기후변화협약체제는 완화와 함께 적응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적응은 완화에 비해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한 국제사회의 논의는 구체적이지 않고, 일반론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 동안 적응은 개도국만의 문제로 치부해 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적응 문제는 선진국도 기후변화 영향에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선진국에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적응노력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온실가스의 배출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적응노력이 걸음마 단계인 이유는 적응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시행상의 어려움 등을 들 수 있다. 입법적인 불비도 무시할 수 없다. 기후변화대응이 완화와 적응 양 방면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 법체제는 온실가스 완화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응과 관련한 내용적, 절차적인 규정을 구체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현행 법제를 개선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 유력한 답은 기후변화적응법의 제정이다. 지금은 우리의 미래가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려있다고만 말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사전 준비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계획된 적응은 보다 비용을 저렴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동물성 지방 대체재로 첨가된 액상 재료에 따른 식물성 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검사

        김홍균,배준환,위기현,김효태,조영재,최미정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9 산업 식품공학 Vol.23 No.1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the meat analog were studi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ensory preference and mimicking animal meat. The meat analog was made with different types of liquid materials such as oil, water, lecithin, polysorbate 80, or the emulsion of these components. At the aspect of density, the sample mixed with oil was higher than the sample mixed with water. Cooking loss value was higher at the sample with water than the sample with oil and this was the result opposite to the liquid holding capacity analysis. Also, texture profil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amples with medium chain triglycerides (MCT) oil onl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all attributes except for adhesivenes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sensorial properties and it showed that the overall acceptance was high when the juiciness and softness increased. This result was highly related with the addition of emulsion. Therefore, emulsion technology can be a good candidat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t analog and for mimicking the taste of animal m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