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靺鞨의 成長과 高句麗의 靺鞨服屬

        영천(金永天) 고구려발해학회 2008 고구려발해연구 Vol.32 No.-

        靺鞨은 先秦時代의 肅愼, 漢代의 ?婁, 北魏代의 勿吉, 隋ㆍ唐代의 靺鞨로 이어지는 퉁구스系종족이다. 읍루단계의 말갈은 後漢이래 부여에 복속되어 있다가 삼국시대 초에 독립하였다. 晉代에 들어 말갈은 부자상속을 통해 군장직을 세습하게 되는 단계에 이른다. 그러나 아직 왕국의 형태로까지 발전하지 못한 상태였다. 남북조시대의 물길은 약 1세기 동안 25회나 중원왕조에 조공할 수 있을 만큼 경제적 기반을 갖추었으며, 이러한 성장기반을 바탕으로 부여를 세력권에 두기 위하여 고구려와 각축전을 전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말갈은 고구려라는 장벽에 막혀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룰 수 없었다. 鄒牟王代말갈을 군사적으로 제압한 이래 靺鞨經略은 고구려 국가경영의 기본지침이 되었다. B.C.28년 장백산 일대의 백산부 말갈을 세력권 아래 두었고, 이후 고구려는 柵城을 군사거점으로 삼아 백산부 및 불열부 말갈에 대한 작전을 수행하는 기지로 활용하였다. 280년 고구려는 휘발하를 따라 송화강 유역으로 세력을 확산하는 과정에서 속말부 말갈의 여러 세력을 제압하였다. 398년에 광개토대왕은 慕容氏ㆍ백제ㆍ거란에 대한 군사행동을 수행하던 중 寧古塔以南의 백산부 말갈과 불열부 말갈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였다. 안거골부 말갈이 494년 부여를 축출하여 농안 일대를 점령하였으나, 594년경 고구려는 농안 일대를 탈환하였다. 고구려는 북으로 더욱 팽창하여 북류 송화강 하류 지역을 장악함으로써 伯都訥일대와 拉立河유역에 있던 백돌부 말갈을 세력권 아래 두게 되었다. 그 결과 고구려는 伊通河및 북류송화강 유역 일대를 포괄하는 요새망을 구축하고, 속말부ㆍ백돌부ㆍ안거골부 말갈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하게 되었다. 고구려는 580년대 이후로는 소위 말갈7부 중 흑수부를 제외한 백산부ㆍ속말부ㆍ백돌부ㆍ안거골부ㆍ호실부ㆍ불열부 등 동북만주족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게 되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고구려가 지배하였던 말갈은 소규모의 부락으로 산재해 있던 세력들의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라, 제 나름의 성장을 이룬 세력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질적연구의 지적 전통과 그 예

        영천(金永千) 한국교육학회 1997 敎育學硏究 Vol.35 No.1

        한국 교육학계 내의 질적연구는 그 짧은 역사로 인해 연구경향이 편향성을 띠게 되고, 더불어 단순하면서도 대중적인 인식을 양산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이러한 경도된 연구경향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질적연구의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지적 전통이 개략적으로나마 논의되고 있다, 그리하여 미래의 질적연구자들이 한국 학교교육에 질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어, 보다 다양한 해석적 체계를 도입ㆍ응용해 볼 수 있도록 배려했다. 아울러 주제적, 방법적 관점에서 각각의 지적 전통을 대표하는 모범적 연구의 예를 소개함으로써 질적연구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테스트워크 순차이송금형 설계 및 제작

        영천,심응철,이현상,홍용수,정완진,Kim, Young-Cheon,Sim, Eung-Chul,Lee, Hyun-Sang,Hong, Yong-Soo,Chung, Wan-Jin 한국금형공학회 2012 한국금형공학회지 Vol.6 No.2

        In April 2010, the die and mould grand prix for university student was held in Osaka as a special event of Inter Mold Japan. The students from Korea, China, and Japan participated to demonstrate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skill of die and mould. Based on the given product drawing of Test Work, progressive die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Also, production of Test Work should be carried out.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to participate in the grand prix and to learn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from real die design and making. Test Work is made of SPCC and includes piercing, blanking, deep drawing and burring. From the analysis of product drawing, process planning and die design was carried out. Progressive die for Test Work was manufactured using CNC milling, grinding, wire-cutting and polishing. The production was successfully completed using mechanical press and product showed very good accuracy satisfying all dimensional tolerances.

      • KCI등재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그 방법적 이슈들

        영천 ( Young Chun Kim ),주재홍 ( Jae Hong Jo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3

        포스트모더니즘은 질적 연구의 이론화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으로서 새롭게 부상한 포스트모더니즘이 질적 연구의 방법적 이론화에 어떤 문제의식과 연구주제 그리고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의 첫 번째 내용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가정과 전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전제를 다음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1) 메타내러티브의 거부, (2) 진리와 실재의 구성, (3) 재현의 불가능성, (4) 권력과 지식의 유착. 연구의 두 번째 내용으로서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적 가정과 전제가 질적 연구에 어떤 방법적 이슈들을 제기하고 있는지를 개념화시켰다. 포스트모더니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질적 연구의 방법적 실천 아이디어들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었다: (1) 국지적·맥락적 지식의 탐색, (2) 자기반성(Self-Reflexivity), (3) 다성성(Multivocality). 질적 연구에서 이러한 세 개의 방법적 이슈들은 우리나라에서 아직은 심도 있게 연구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그 내용들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 Qualitative Researchers in the West have recently applied ideas of postmodernism to theor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a new intellectual tradition called "postmodern qualitative research" has emerged across disciplines, and therefore has enabled qualitative researchers to interpret and practice qualitative research works with new methodological concepts. However, the idea of postmodernism in qualitative research has not been intensively discussed in Korean context. There are lack of research on implications and usefulness of postmodern methodolog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concept of postmodern qualitative research, an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e former part of this paper discusses the basic premise of postmodernism through four major themes: (1) rejection of meta-narratives; (2) construction of truth, and reality; (3) doubt of complete representation; (4) clos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ower. Based on these four ideas,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discusses the methodological issues: (1) qualitative research as pursuit of local knowledge; (2) self-reflexivity; (3) multi-vocality. As a conclusion, the methodological ideas were suggested for general research acts when qualitative researcher write and present their research works and results.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생각해보는 교육과정 연구: 탐구주제와 연구영역들

        영천 ( Young Chun Kim ),주재홍 ( Jae Hong Jo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의 관점이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에 어떤 시사점과 문제의식을 제공해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교육과정의 네 번째 연구패러디임으로 인정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소개와 그에 기초한 교육과정 이론화 작업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이에 연구의 첫 번째 내용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연구 개념들을 다섯 가지로 정의하고 각 개념을 이해하는 작업을 하였다. 다음 두 번째 연구내용으로서 그러한 개념들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연구한다면 어떤 시사점과 연구문제들을 새롭게 발견하거나 구성하거나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연구 작업들과 서구의 연구 작업들에 대한 분석들에 기초하여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에 줄 수 있는 연구의 새로운 영역들을 크게 네 가지로 개념화시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추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한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의 새로운 주제들 또는 연구문제들은 어떤 것들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다섯 가지의 제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erging themes and research domains from the point of postmodernism. The inquiry was based on authors` evaluation that postmodern approach toward curriculum theorizing was not serioulsy introduced in Korea even though it has been energetically discussed as the fourth paradigm in curriculum research in the West. For this purpose, first, the major concepts of postmodernism were explained. They were as follows: (1) Incompleteness of meaning and representation; (2) rejection of absolute knowledge and truth; (3) difference; (4) deconstruction; and (5) Rhizome. Second, the implications and emerging themes of postmodern approach in curriculum studies were identified in four ways. They were as follows: (1) Critique of traditional curriculum model; (2) Deconstructive reading on school knowledge and textbooks; (3) Instructional methods to emphasize the multiplicity and complexity; (4) Representation and theorizing of the Other. Lastly, the authors emphasize that five suggestions will be researched as further research topics in Korea which Korean curriculum scholars are expected to theorize.

      • KCI등재

        항공보안요원 인권관점 실천을 위한 특화된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영천,박민우,박원태 한국항공운항학회 2022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0 No.4

        Human rights education is to acquir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human rights, to develop values, attitudes and character that respect human rights, to develop the ability to overcome human rights violations and discriminatory acts, and to protect and promote the human rights of others. In order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uch as the disabl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alized human rights education plans for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o practice human rights perspectives.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ivil Aviation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Guidelines」, specialize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initial aviation security education and regular education courses. The point is that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aviation security education program for aviation security personnel based on the essential knowledge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o perform security screening tasks in the aviation security education course. When this happens, various efforts must be made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uch as the disabled, during the security screening process, so that human rights violations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bility to detect dangerous terrorist items such as weapons or explosives that can be used for illegal sabotage through practical security screening training. For aviation security and aircraft safety,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raining, such as human rights training, must be continuously made while thoroughly preparing for terrorism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