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장추상화 : 개념추상화를 도입한 문장교열

        김곤,양재곤,배재학,이종혁,Kim, Gon,Yang, Jaegun,Bae, Jaehak,Lee, Jonghyu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5

        Sentence ion is a simplification of a sentence preserving its communicative function. It accomplishes sentence revision and concept ion simultaneously. Sentence revision is a method that resolves the discrepancy between human's thoughts and its expressed semantic in sentences. Concept ion is an expression of general ideas acquired from the common elements of concepts. Sentence ion selects the main constituents of given sentences and describes the upper concepts of them with detecting their semantic information. This enables sen fence revision and concept ion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a syntactic parser LGPI+ and an ontology OfN are utilized for sentence ion. Sentence abstracter SABOT makes use of LGPI+ and OfN. SABOT processes the result of parsing and selects the candidate words for sentence ion. This paper computes the sentence recall of the main sentences and the topic hit ratio of the selected sentences with the text understanding system using sentence ion. The sources are 58 paragraphs in 23 stories. As a result of it, the sentence recall is about .54 ~ 72% and the topic hit ratio is about 76 ~ 86%. This paper verified that sentence ion enables sentence revision that can select the topic sentences of a given text efficiently and concept ion that can improve the depth of text understanding. 문장추상화(Sentence Abstraction)는 문장의 의사전달 기능이 보존된 단순화이다. 이는 문장교열(Sentence Revision)과 개념추상화(Concept Abstraction)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문장교열은 사람이 생각한 바와 문장으로 표현된 의미의 차이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개념추상화는 개념들의 공통된 요소로부터 얻은 보편적인 관념을 표현하는 것이다. 문장추상화는 문장의 주요구성성분들을 선별해 내고, 이들의 의미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상위개념을 표현함으로써 문장교열과 개념추상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추상화를 위한 구문분석기 LGPI+와, 온톨러지 OfN을 구체화하였다. 문장추상기 SABOT는 LGPI+와 OfN을 활용하며, 구문분석 결과를 처리하여 문장에서 추상화 할 후보난어를 선택한다. 문장추상화를 활용한 원문이해 시스템으로 23개 이야기의 58개 문단에 대해 중요 문장에 대한 문장재현율과 선별된 문장들의 주제관련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결과, 문장재현율은 54~72%의 범위이었고, 주제관련성은 76~86% 정도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를 유사 시스템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약 10~20%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추상화를 활용하여 글의 화제문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문장교열과 원문의 이해심도를 보다 더 깊게 할 수 있는 개념추상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유한 오름 시간을 갖는 음전위 펄스에서 시변환 플라즈마 덮개의 거동 연구

        김곤호(Gon-Ho Kim),김영우(Young-Woo Kim),김건우(Gun-Woo Kim),한승희(Seunghee Han),홍문표(Mun-Pyo Hong) 한국진공학회(ASCT) 1999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8 No.3(2)

        플라즈마 이온주입에서 유한한 고유 오름 시간을 갖는 음전압이 펄스 형태로 평면 타겟에 인가될 때 타겟 주위로 형성되는 시 변환 플라즈마 덮개(time dependent sheath)를 관찰하였다. 이때 형성되는 시 변환 플라즈마 덮개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펄스 오름 시간동안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덮개는 플라즈마 밀도의 역수와 펄스 오름 비율의 루트에 비례하고 펄스 시간의 루트에는 비례하며 이온 질량에 관계없이 진행하는 이온 매트릭스 덮개의 전개가 관찰되었으며 펄스 오름 시간 이후에는 이용의 음속도에 비례하는 동적 플라즈마 덮개의 전개가 관찰되었다. It was observed that the time-dependent sheath which was formed around the planar target biased by negatively voltage pulse with a finite rise time in the plasma source ion implantation. Results show that the time-dependent sheath consisted of two parts: the ion matrix sheath development during the pulse rise time and the dynamic sheath motion after attaining the full pulse. The ion matrix sheath development which is in proportion to square root of the pulse time and the pulse rise rate over the plasma density but independent of the ion mass. The dynamic sheath propagates with approximately the ion sound speed.

      •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정전 탐침 자료 분석 알고리즘 개발

        김곤,김대경,황순모,김용현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1999 이학기술연구지 Vol.1 No.-

        ECR 식각 플라즈마에서 정전 Langmuir 탐침으로 얻은 자료의 해석을 위하여 Dauberchies 웨이블렛과 이중 직교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료해석 방식에서는 해석자의 선택적 입력 값을 최소로 하고 자료의 잡음제거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평균을 기초로 하는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본 알고리즘에서는 Dauberchies 웨이블렛을 이용하여 자료의 저주파 성분만을 추출함으로 포화 이온 및 전자 전류성분을 변환 자료에서 직접 구하였다. 또한, 원시 자료의 1차 미분자료에 대한 이중 직교 웨이블레서 변환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전위를 직접 구할 수 있어 웨이블렛 변환을 거치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전자온도를 구하는 영역이 일관성 있게 정의되었다. 전자분포 모델은 ECR 플라즈마의 특징인 hot과 bulk의 두 가지 온도를 가지는 bi-Maxwallian 분포로 가정하고 Martquardt 방법을 사용한 비선형 fitting 방법으로 두 가지 전자 온도를 구하였다. 포화 이온 및 전자 전류 곡선의 플라즈마 전위에 해당하는 전류 값으로부터 플라즈마 이온 및 전자 밀도를 얻었으며 임의의 자료에 대한 알고리즘의 정확성 검사 결과 90%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A new algorithm for automating the analysis of Langmuir-probe traces taken from the ECR magnetized plasma is developed through the Daubechies wavelet and the bi-orthogonal wavelet transformations. This approach minimizes the operator-specified inputs and provides de-noised data without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averaging techniques. In this algorithm, the electron and ion current lines are obtained from the low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Daubechies wavelet processed data. From the bi-orthogonal wavelet transform for the differentiated data, the plasma potential can be clearly determined. The region for obtaining the electron temperature can be systematically chosen from these processed data without operator-specified inputs. The electrons are modeled by a bi-Maxwellian distribution with hot and cold temperatures and nonlienar fitting method (a Martquardt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electron temperatures from this region. Ion and electron plasma densities are obtained from the ion and the electron current at the plasma potential, respectively. The evaluation results by using the artificially generated data shows over 90% accuracy.

      • SCOPUSKCI등재
      • Lighting Design in Partitioned Office Buildings

        김곤 安東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7 공업기술연구논문집 Vol.4 No.1

        As the global economy moves increasingly toward a so-called post industr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economy, office environments take on an ever increasing importance and now, almost half the total employment is in the form of office work. Office design over the last decades has dramatically shifted to open planning with tearing down full height walls. Due to continuous complaints of acoustic and visual disruption, poor air quality and thermal comfort, the vast totally-open plan continues to evolve into both partially or fully partitioned plan. Inherent with this type of office, the designer must identify all of the influences which will affect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system and the seeing ability of the people it will serv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ether the existing design guidance in relation to multi-partitioned spaces is appropriate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partitioned interior types on the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electric lighting design. Results from the evaluation of electric lighting performance show that, on the average, a reduction of 20% was experienced in the partitioned area, compared to the nonpartitioned area.

      • 現代建築에서 透明性 要素의 特性 및 適用計劃에 關한 硏究

        김곤,윤성훈 安東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9 공업기술연구논문집 Vol.6 No.1

        모더니즘 이후 피막으로서 뿐만 아니라 공간의 확장 개념으로서 투명성을 가진 유리재료를 건축물에 사용되게 되었고, 이러한 재료들은 단순히 건축물을 형성하는 부수적인 역할을 뛰어넘어 건축물 자체의 조형철학을 표현하는 재료로서 자리 매김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건축의 디자인 표현방법으로 나타난 투명성의 개념을 유리재를 중심으로 분석 대상 건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유리가 투명성의 표현 방법으로서 적용될 수 있었던 특성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유리를 통한 투명성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건축에 있어서 투명성의 적용가능성과 그 의미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 현대 건축에 있어서도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기술력의 과시,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개방적인 이미지 표현의 한 개념으로 다양하고 새로운 투명성의 표현을 건축에 적용시키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me true a entirely new architecture with a new material and skills which made a found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ransparenc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ransparency that is variously express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So, we can summarize and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expression as follows: ①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us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of light : Transformation of building facade in a changing point of view /Transmission from exterior environment to interior space, transmission from interior space to exterior environment /Reflection of urban streetscape using the reflective glass /Dematerialization and non-scale /Expression of non-gravitation ②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using the exposed structure and building control system ③ Expression of ideal images: Contrast/Disappearance/Visual connection/New high-technology image

      • 도심지 地下業務空間의 自然採光 효율 및 이용실태

        김곤 安東大學 1998 安東大學 論文集 Vol.20 No.1

        Recently, an increase in the design of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s for varied living spaces like offices is beginning to receive more attention.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key design element of underground spaces for office works and to discover the design guidance in relation to lighting. At the first stage, this paper deals with the evaluation of already-built environment to figure out what problems exit in real world. A series of field measurement and occupant satisfaction survey were performed within underground spaces of high-rise offices recently built in Korea. The visual aspect in terms of illuminance and the human response with regard to naturally occurring lighting in the underground environment are what is of major interest. Not surprisingly, the survey result reveals a high level of appreciation for daylighting benefits attainable with views to the outdoors. By using Dry Area, for the purpose of taking daylight, a series of configurations of underground structure are issued and their daylighting performances are estimated by a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design guidelines with key design factors verified.

      • 천창 및 인공조명을 이용한 지하공간의 조명계획

        김곤 安東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2000 공업기술연구논문집 Vol.7 No.1

        최근의 공동주택 단지를 계획함에 있어 지하공간에 대규모 주차장을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옥외 지상공간에 수용하지 못하는 주차면적을 부가적으로 수용함과 아울러 주거환경의 질적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적정조도나 휘도를 고려하지 않은 지하주차장의 인공조명계획은 차량의 빈번한 사고유발이나 유범화 등의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과다한 설비계획 및 무계획적 운용의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와 도면검토를 통하여 대표적인 지하주차장의 형상을 도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여 현 조명설계의 문제점 및 운용방법의 개선을 도모, 지하주차공간에 적절한 통합적 인공조명계획 및 운용 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아래 수행되었다. Recently, the underground parking spaces have been constructed owing to lack of parking spaces in spite of their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erived from the fact they are under 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lighting design guideline of skylight built in underground parking space for the Improvement of Visual Environment. A set of field survey established a prototype configuration of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 The daylighting analysis computer program, Lumen-Micro 7.5 performed the parametric evaluation of toplighting system based on open ratio. The result revealed that toplight of 0.3% open ratio provides the minimum light level and 3% open ratio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driving area in underground parking. In addition, open ratio of 20% should be recommended to satisfy the standard uniformity ratio of 1:4. Artificial Lighting contributes to the desirable ratio of uniformity with a higher minimum light level in under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