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린이(유아) 성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재윤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the historical, theological, and practical arguments that support the paedocommunion. The sacrament theory of the Latin fathers, such as Cyprianus and Augustinus, known to have practiced paedocommunion, was consistent in that the forgiveness of sins and the sacraments were directly linked. Reformed theology does not directly link the sacraments and the forgiveness of sins. Instead, the sacraments are defined as signs and seals of the covenant of grace. As a result, these differences in sacramental theory prevented the Reformers from practicing paedocommunion. Rather than describing this paedocommunion only as a beautiful tradition of the ancient church, this difference in the sacramental theories should be considered more closely. There are also positions in support of paedocommunion as covenant-communion in Reformed-Presbyterian churches. However, the church is both a covenant-community and a faith-community. The covenant is embodied through faith. The covenant of grace sealed in infant baptism must be realized through public confession of faith and the Lord's Supper. On the one hand, in the Reformed Church, the sacraments are not independent, but depend on the preaching of the holy gospel that inspires faith. To have a covenant-monistic understanding without arranging the means of grace of the Reformed Church in a balanced way is no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formed theology. Lastly, the educational and missionary arguments of supporting the paedocommunion also have weaknesses. Above all,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where the sacraments are not settled in their own meaning, restoring the order of the traditional Reformed church, that is infant baptism-public confession of faith-Lord’s Supper, is an important means of realizing the pastoral and missionary purpose. 본 논문은 어린이 혹은 유아 성찬을 지지하는 교회사적, 신학적, 실천적 논거에 대해서 반박하고자 한다. 어린이 성찬 지지자들은 어린이 성찬이 고대교회에 일관되게 시행된 전통으로 본다. 그러나 어린이 성찬은 고대교회에서도 항상 일관되게시행된 것이 아니었다. 3세기 이전에는 엄격하게 금지되기도 하였다. 어린이 성찬을 시행한 것으로 알려진 키프리아누스(Cyprianus)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와 같은 라틴 교부들의 성례론은 죄사함과 성례를 직접적으로 연결한 점에서 일치하였다. 개혁주의는 성례와 죄사함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지 않는다. 대신에 성례를 은혜언약의 표와 인으로 규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런 성례론의 차이가 종교개혁자들이 어린이 성찬을 시행하지 않도록 했다. 이런 어린이 성찬을 단지 아름다운전통으로만 묘사하기 보다는 성례론의 이런 차이를 좀 더 세밀하게 고려해야 한다. 개혁-장로교회들 안에서 언약-성찬으로서의 어린이 성찬을 지지하는 입장도 존재한다. 그러나 교회는 언약-공동체이자 믿음-공동체이다. 언약은 믿음을 통해서구체화된다. 유아세례에서 인쳐진 은혜 언약은 공적 신앙고백과 성찬을 통해서 실현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개혁교회에서 성례를 독자적이지 않고 믿음을 일으키는거룩한 복음 설교에 의존적이다. 개혁교회가 가진 이런 은혜의 방편들을 균형 있게배치하지 못하고 언약-일원론적인 이해를 가지는 것은 개혁신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성찬이 가지는 교육적, 선교적 논거 또한약점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성례가 원래적 의미로 전혀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에서는 전통적인 개혁교회가 가진 유아세례-공적신앙고백-성찬의 순서와 질서를 복원하는 것이 목회적-선교적 목적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야한다.

      • KCI등재

        에코 프린팅의 지속 가능 측면에서의 가치와 국내 적용에 관한 연구

        김재윤,한왕모,김선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2

        Background During the textile production process, the dyeing process has a direct adverse effect on water quality and soil due to the use of chemical dyes and syringes. Accordingly,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on eco-friendly dyeing methods are steadily taking place, and natural dyeing as one of the alternatives is drawing attention. In 2008, a technique called echo printing was devised by Australian dyeing craftsman India Flint, and with the new technique, the intrinsic spiritual value has the meaning of eco-friendly design in a pure sense. But at home, they focus on borrowing techniques and import and use raw materials, which are somewhat distant from echo printing in the aforementioned true sense. Thu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sults of focusing only on the external value of the eco-printing technique were recognized and that the domestic ecocorting was desirable only when domestic plants were used. Methods First,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eco-printing is investigated and the period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and meaning of eco-printing is discussed. Second,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econ-routing and recognize problems and promote the need for this research. Finally, as a way to improve the problem of domestic eco-printing, we will conduct eco-printing using domestic plants and present the potential as an eco-printing material for domestic plants through the results. Samples worked in the same process as traditional eco-printing methods, using pine trees, the country's largest water species, cherry trees, and acacia leaves, which are commonly available around the researchers' residences. Result The echo-printing results of cherry and giant oak trees showed brown colors. Pine leaves showed a light imprint only on the woolen fabric, but it is thought to be difficult to recognize them as a significant result, making them appear to be a specimen unfit for echo printing. Acacia tree leaves were imprinted with a green pigment, which is expected to change color in the future depending on the use of the syring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explored ways and possibilities for the real value and meaning of eco-printing being implemented in Korea. We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iscovery of various domestic materials for eco-printing, follow-up research on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products, and encourage discussion of various design methodologies that focus on non-material aspects, mentality and intrinsic value for the pursuit of true sustainability. 연구배경 텍스타일 생산 공정 중 염색 공정은 화학 염료와 매염제의 사용으로 인해 수질 및 토양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염색법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안 중 하나로서 천연 염색이 주목받고 있다. 2008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염색 공예가 인디아 플린트(India Flint)에 의해 에코 프린팅(eco printing)이라는 기법이 고안되었고 새로운 기법이라는 것과 더불어 내재된 정신적인 가치는 순수한 의미의 친환경 디자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기법을 차용하는 것에 치중하여 원 재료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앞서 말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에코 프린팅과 다소 거리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에코 프린팅 기법의 외적 가치에만 집중한 결과에 문제점을 인식하고 국내에서 시행하는 에코프린팅은 국내 식물을 사용하여야 바람직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에코 프린팅에 대해 조사하여 에코 프린팅이 갖는 시대적, 환경적 의의와 의미를 고찰한다. 두 번째로 국내 에코프린팅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고취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에코 프린팅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국내의 식물들을 이용하여 에코 프린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국내의 식물들이 갖는 에코 프린팅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시료는 국내 가장 많은 수종인 소나무와 국내 가장 많은 가로수인 벚나무 그리고 연구자의 거주지 주변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대왕참나무와 아카시아 잎을 사용하여 기존의 에코 프린팅 방식과 동일한 공정으로 작업하였다. 연구결과 벚나무, 대왕참나무의 에코 프린팅 결과에서 갈색의 색상이 나타났다. 소나무 잎은 모직 원단에서만 옅은 각인 상태를 보였지만, 이를 유의미한 결과로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사료되어 소나무 잎은 에코 프린팅에 부적합한 시료로 보인다. 아카시아 나무 잎은 녹색의 색소가 각인되었으며, 이는 추후 매염제의 사용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에코 프린팅이 진정한 가치와 의미를 지니기 위한 방안과 그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에코 프린팅을 위한 다양한 국내 재료들을 발견하고, 제품에의 적용과 상용화에 대한 후속 연구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진정한 지속가능성의 추구를 위한 비물질적 측면의 고려와 정신성, 내재 가치에 중점을 두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의 논의를 고취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DEA 모형을 활용한 지하철 운영기관의 효율성 평가

        김재윤,심광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4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s a methodology of comput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each decision making unit (DMU) by comparing it with other DMUs having similar input and output structure.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efficiency of six Korean rail transit corporations using DEA. Several evaluations have been carried out by means of the input oriented CCR and BCC models,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Seoul Metro and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 are the efficient DMUs. In addition, we clarify the possibilities to save input and/or output variables and the weak points by means of factor analysis, and present the reasonable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efficient DMUs. It is expected that this approach can give a feedback for effective management of Korean subway corporations. 자료포락분석은 다중투입과 다중산출을 가진 서로 동질성을 가진 집단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법을 활용하여 6개 도시 국내 지하철 기관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투입방향 CCR 및 BCC 모형에 의해서 분석된 평가 결과 서울Metro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효율적인 집단으로 나왔다. 또한,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 경우 현실적인 개선방향과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투입 및 산출요소의 절감요소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성과는 국내지하철 운영기관에 효과적인 경영활동을 위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동북한 신석기시대 후기의 문화에 대한 일고찰 - 자돌점선문토기의 편년과 지역성 -

        김재윤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5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Seopohang Upper Culture, the Zaisanovka Culture, the Jingu-Xingsheng Culture and the ruins in the Mudan River basin of the late neolithic era in the east northern Korea, and the range which shows common characteristic is getting wider as well. Recently, as a increase of the materials of the Zaisanovka Culture in the Maritime Province, the time range of this era gets widt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haracterist of the linner dot pattern technique that decorates potteries in the Xingsheng site in the Duman River interior, Gvozgevo-4 site in the East Sea shore and the Klerk-5 site. These potteries decorated by this technique among the potteries of the east northern Ko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could be classified by assemblage, and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is assemblage of the linner dot pattern(Jadoljemseonmun) pottery is shown only in the Doman River basin when the range of the Late Neolithic Era in the east northern Korea includes the Duman River basin, the Lake Xanka basin in the Maritime Province interior and the Mudan River basin. the complex pattern pottery appears from the second stage in this assemblage. It identifies in the Seopohang site for the first time and continues to the Gvozgevo-4 site which belong to the third stage. The punctured design around the rims of pottery that is engraved pattern appears only in the East Sea shore on the third stage. As a result, the assemblage of the linner dot pattern pottery is identified only in the Duman River basin in the east northern Ko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and it represents its own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second stage of this assemblage.

      • KCI등재

        유라시아 초원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의 인간형상물 제작의미에 대한 고찰

        김재윤 부산고고학회 2022 고고광장 Vol.- No.30

        The Iron Age of the Eurasian steppe is represented by the Scytho-Siberian culture, and it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reas where animal pattern decorations, weapons, and harnesses were commonly used. Among them, animal pattern decorations appear 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the cultur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production in both regions is different even with human figures. Since the late Paleolithic period, the tradition of burying human figures has been confirm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the Scito-Siberian culture, but each region has developed into different shapes and methods of use. In Altai, Siberia, the eastern region, it has been buried in tombs since the late Paleolithic period, and human figures were mainly made of bone material until the Bronze Age. It has developed into a maximized form in the Altai Pazirik culture, the eastern part of the Scytho-Siberian culture, and has implications for revival. On the other hand, in the western part of the Black Sea, it has been found in residential areas since the late Paleolithic period and is deeply related to living rituals. This trend is also found in ritual spaces in residential areas in the Cuckuten Tripoliye culture of the cruising era. Human figures buried in tombs in the Scyto-Siberian culture of the Iron Age are decorated with ritual item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This phenomenon, like animal pattern decoration, can be a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the Scythian-Siberian culture. Also, it can be seen that human figures represent continu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urasia prehistoric culture. 유라시아 초원의 철기시대는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으로 대표되는데, 동물문양장식 및 무기, 마구 등이 공통적으로 사용된 지역을 포괄한 개념이다. 그 중에서 동물문양장식은 이 문화권에서 흑해 부근 및 볼가 강 부근인 서부지역과 중앙아시아 및 시베리아를 포함한 동부지역에서 다른 특징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인간형상물로도 양 지역의 제작의미가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인간형상물을 부장하는 전통은 스키토-시베리아 문하권의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서 확인되지만 각 지역은 다른 형상과 사용방법으로 발전했다. 동부지역인 시베리아 알타이에서는 후기 구석기시대부터 무덤 속에 부장되었고 주로 뼈를 소재로 한 인간형상물이 청동기시대까지 제작되었다.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의 동부지역인 알타이 파지리크 문화에서 극대화된 모습으로 발전했고 부활을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반면에 서부지역인 흑해지역에서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주거지에서 발견되며 생활의례와 관련성이 깊다. 이러한 경향은 순동시대인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에서도 주거지 내의 의례공간에서 발견된다. 철기시대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의 무덤속에 부장된 인간형상물은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생활의례품에 장식된다. 이러한 현상은 동물문양장식과 마찬가지로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의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을 구분하는 특징이 될 수 있다. 또한 인간형상물은 유라시아 선사문화 연속성을 드러내는 유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