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융합 시대 영화 지원체계 및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프랑스 CNC와 영화진흥위원회를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1999년, 민간 거버넌스 정책 기구로 출범한 영화진흥위원회는 극장 티켓 가격에 포함되어 징수되는 영화발전기금을 주요 재원으로 삼아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영화인력이 플랫폼을 넘나드는 활동 양태와 극장을 찾는 관객의 선택 기준의 변화 등 기존 극장 중심 영화산업과 OTT(Over-The-Top), 방송의 미디어 융합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프랑스의 CNC(CNC, Centre National du Cinēma et de l’image Animēe)는 프랑스의 문화정책의 영향 아래 영화를 영상산업의 중심에 두고 보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정책 및 심사제도 역시 CNC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정책의 기조를 큰 틀에서 알아보고, 문화정책의 틀 안에서 프랑스 CNC가 OTT 등의 새로운 미디어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고 정책을 설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진흥위원회의 새로운 영화 지원체계 및 거버넌스의 방향성을 알아본다. Launched in 1999 as a private governance policy organization, the Korean Film Council has been operated using the film development fund collected as part of theater ticket prices as its main source of finance. However, the phenomenon of media convergence between the existing theater-centered film industry, OTT (Over-The-Top), and broadcasting is becoming clear, including changes in the activity patterns of film personnel across platforms and changes in the selection criteria of audiences visiting theaters. Under the influence of France's cultural policy, France's CNC (CNC) is carrying out protection and support policies that place films at the center of all video industries. The Korean Film Council's support policy and screening system were also greatly influenced by CNC. This study examines the keynotes of cultural policy in France and Korea in a larger framework, and examines how French CNC views new media environments such as OTT and designs policies within the framework of cultural policy. Through this, it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the Korean Film Council's new film support system and governance.

      • KCI등재후보

        現代中國語 被動標識의 文法化 - ‘被’, ‘讓’, ‘叫’, ‘給’를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08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17

        The grammaticalization is revealed by the study of some passive markers’ evolution( ‘bèi(被)’, ‘rὰng(讓)’, ‘jìao(叫)’, ‘gĕi(給)) in ancient and modern Chinese. The features of the grammaticalization of passive marker in Modern Chinese langiage are found by comparison of passive markers themselves. Finally, This paper want to explain the reasons why the some passive markers(‘bèi(被)’, ‘rὰng(讓)’, ‘jìao(叫)’, ‘gĕi(給)) becomes dominant as passive markers at same time and it’s differances.

      • KCI등재

        韓中 ‘앞/뒤’ 意味의 空簡認知

        김선아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28

        This article, through it’s examination of the spatial location reference in Modern Chinese and Korean, explores the basic theory of location re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Spatial relations are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relations in the objective world. Korean and Chinese belong to different types of language, but there are the words of locality in both languages to express the spatial relations. However there are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cause of the different types of language and cognitive styles. In using the method of contrastive linguistics, this article describes and contras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spatial relations on the both-way. And with the usage of cognitive functionalism for reference, the paper explain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 맞춤형 학습을 위한 미술 학습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3

        Along with 2022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educational innov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are extensively discussed.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art subjects would respond to the social demands for an alternative school system and participate in this change.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ere does the re-emphasis on educational innovation, on whic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anchored, derive from? What meaning does personalized education have in the context of art subjects, and how can art learning analysis be conceptualized? Finally, what is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an art learning analysis system? As a result, the developmental, cognitive,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at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in the art department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core areas of art learning analysis are proposed as ‘aesthetics’, ‘inquiry’, ‘originality’, ‘aptitude’. These core areas of art learning analysis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instructor's feedback on art activitie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 and interpreting the semantic structure within each top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trend from a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nd explored new ways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art learning analysis. 2022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교육 혁신과 디지털 전환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학교 교육 체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미술 교과는 어떻게 대응하고 그 변화에 참여할 것인가의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 문제를 가지고 선행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육 혁신을 다시 강조하게 되는 시대 의식은 무엇인가? 맞춤형 교육은 미술교과의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미술 학습분 석은 어떻게 개념화될 수 있는가? 마지막으로, 미술 학습분석 체제는 어떤 방향에서 구축되어야 할 것인가? 연구 결과로 미술과 안에서 학습자 특성을 규정하는 발달론적, 인지적, 사회문화적 관점을 논의하고 이에 기초하여 ‘조형’, ‘탐구’, ‘독창성’, ‘태도’로 미술 학습분석의 핵심 영역을 제안하였다. 미술 학습분석의 영역은 미술활동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을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각 주제 안에서 의미구조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최근 교육의 흐름을 조망하고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미술교육의 방안을 미술 학습분석이라는 개념을 통해 새롭게 모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사용과 확산에 있어 개인적 영향과 사회적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김선아,박정은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신산업경영저널 Vol.34 No.1

        This study figures out the antecedents such as individual influence (information needs, self-expression needs, fun needs) and social influence (subjective norm, visibility, image)on use diffusion of SN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use-diffusion on continued intention to use of SNS. First, only self-expression needs among individual influence factors positively affect rate of use and variety of use. Second, subjective norm has a positive effect on rate of use. Moreover, Image has a positive effect both rate of use and variety of us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concepts of Use Diffusion Model. Second, this study applies use diffusion model to innovative service. Third, this study focuses on personal purchase situation. In conclusion, the companies should develop individual-needs focused contents to their SNS contents. Especially, SNS users have a great tendency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the SNS, so companies should focus on this issues. 현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지금까지 등장한 어떠한 기술보다 빠르고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어 기업 관점에서 개방된 SNS 플랫폼을 자사의 사업 분야와 접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 가치를 창출하고, 고객의 욕구와 갈망을 비즈니스에 결합하여 다양한 수익의 원천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사용과 확산 및 점차 커지는 영향력을 이끄는 원동력을 개인적 영향과 사회적 영향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이고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혁신적인 기술 제품에만 적용하여 연구되었던 사용-확산 모델(Use-Diffusion Model)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한 것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SNS의 사용량 및 사용 다양성이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SNS 지속적 사용의도로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 본 결과 SNS의 사용량 및 사용다양성이 높을수록 SN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근거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사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내재적인 동기를 제고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은 소비자들의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와 같은 SNS의 전체적인 사용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다양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SNS 플랫폼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