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기방법에 따른 표고버섯 톱밥봉지배지의 갈변 및 자실체 생육 특성

        김길자,김다미,안호섭,최진경,권오도 한국버섯학회 2018 버섯 Vol.22 No.1

        표고 톱밥봉지재배시 배지의 배양과정을 보면 균사배양이 완료된 후 균사가 더 성숙하면서 융기가 일어나게 되 고 점차적으로 융기가 형성된 표면이 적갈색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적갈색 피막은 배지내 수분 증발을 막고 각종 오염발생원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바로 갈변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톱밥봉지재배 시 배지의 효율적인 갈변촉진방법과 배양기간을 제시하고자 시험을 추진하였고 시험품종으로는 ‘선우’, ‘선형’ 그 리고 대조구로 ‘산조701’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고버섯 톱밥 봉지재배시 후배양 온도에 의한 자실체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은 8°C에서 자실체 품질 및 수량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은 선우 933g, 선형은 681g이었다. 톱밥봉지재배시 통기방법에 따른 갈변완료기간은 88일에서 95일 소요되었으며 뒤집기만 한 것보다 비닐에 공기구멍을 준 처리의 갈변이 7일 정도 빠른 경향이었다. 그러나 뒤집기만간 한 경우는 측발이가 없었으며 공기구멍을 처리한 구는 모두 측발이가 12.5~39% 발생하였다. 다만 뒤집지 않고 비닐 구멍만 12개 처리 한 구가 측발이 발생율이 12.5%로 가장 낮았다. 톱밥봉지재배시 통기방법에 따른 자실체 수량은 뒤집지 않고 비 닐 구멍만 12공 처리한 것이 560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뒤집어서 5㎝ 깊이로 12구멍 처리한 것이 453개 순 이었다. 통기방법에 따른 배지 갈변, 자실체 생육 및 수량은 품종마다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산소 공급과 가스 발생을 유도하였을 때 갈변이 촉진되었고 작업과정에서 받은 충격으로 인해 측면 발이가 많이 발생하여 결과적 으로 수량 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갈변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작업수행시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ascal의 思想에 나타난 明暗의 이미지 : 聖書를 中心으로

        金吉子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교육연구소 1986 가톨릭敎育硏究 Vol.1 No.-

        “영혼의 상승은 모든 피조물을 지나 신의 왕좌에 이르기까지 멈출수 없으며 그 안에서 비로소 휴식을 발견하기 시작한다" Pascal의 삶을 대변하는 이 메시지는 정점을 향해 끊임없이 달리는 자신의 신앙적인 산체험이기도 하다. Montaigne의 회의주의, Descartes의 이성주의를 거쳐 성서에 귀착함으로서 과학과 철학 그리고 신학의 길을 신음하며 탐색해 온 그의 생애는 “신”이라는 정점과의 관련 하에서만 의미를 찾고 있다. 진리를 향한 움직임으로 자신의 우주를 확장한 불멸의 작품 Pensees와 통일적 이미지를 훌륭히 보완해 주는 그의 소품들의 구조는 빛과 어둠이라는 이중적 형태를 구성하고 호교론적 방법론을 확장함으로서 정의 와 논증에 기초를 둔 이성적 사고에서 출발하여 필연적으로 신학의 영역에 들어서고 있다. 본 소고는 그의 작품에 산재돼 있는 성서의 이미지들을 조사하고 그 메시지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겠다. 여기서 우리의 연구 범위는 그의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신학적 고찰이 아니다. 우리는 인간의 언어를 빌어 신을 이야기하는 이미지들을 통하여 뜻하지 않게 그의 내면세계에 접하게 되고 사상의 뿌리를 밝혀주는 빛과 어둠의 이미지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독서치료를 통한 여대생의 부정적 정서 회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김길자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3

        Today, the mental health has a great deal of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surrounding.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way of bibliotherapical intercession by stages and patterns as to examine the recovery process of students with negative emotion by using the grounded theoretical method. This research collected materials through focus-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book reports of 4 experiments involving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from 21 to 23, all hav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 recovery process of female students with negative emotion involved causal factors such as “recognition of hidden wound”, “Sense of inferiority”, and “difficulty in forming relationships”, as well as contextual factors like “sympathetic attitude”, which altogether brought about the core phenomenon, “pursuit for healthy ego”. This core phenomenon induced to recovering the bright and positive attitude through using the strategies of ‘self insight’ and application of ‘management plan’, influence by such incoherent conditions as ‘intimate surroundings’ and \ ‘support system patterns’. And as time passed, the recovery process appeared tin four stages; ‘issues recognition’, ‘emotional responses’, ‘issue solution’ and ‘self application’. 오늘날 정신건강 관련 문제는 개인 및 사회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고 깊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부정적 정서를 지닌 여대생의 회복과정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함으로써 단계와 유형에 따른 독서치료 중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자들은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21세에서 23세 사이의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대생 4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독서치료활동에서의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및 참여자의 독후 활동 기록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정적 정서를 지닌 여대생의 회복과정은 ‘잠재적 상처를 인식함’, ‘자신에 대한 열등감’, ‘관계형성의 어려움’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이해하려는 태도’라는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건강한 자아상을 추구함’이라는 중심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친밀한 분위기’, ‘지원체제의 유형’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기통찰’과 ‘대처방안의 적용’의 전략을 사용하는 ‘밝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 찾아가기’의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회복과정은 문제인식단계, 정서적 반응단계, 문제해결단계, 자기적용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다.

      •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비스 질 요인 분석 및 고객만족도 조사 : S 여대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길자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10 사대도협회지 Vol.11 No.-

        본 논문은 서비스 질에 관한 이론적 관점을 기초로 이용자와 도서관과의 관계를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의 관계로 설정한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를 이용해 ‘도서관서비스헌장’을 제정하여 고객 지향적인 대학도서관의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털목이 신품종 ‘건이’

        김길자,이숙재,김명석,안호섭,김동관,권오도,박흥규 한국버섯학회 2016 한국버섯학회지 Vol.14 No.4

        Geoni, a new variety of Auricularia polytricha, was bred in JARES(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12. Geoni was selected through the monospore hybridization with JNM21008 and JNM21014 in 2010. Based on a performance test conducted from 2011 to 2012, the Geoni was selected from a line showing an excellent light brown pileus and strong pest resistance. Geoni has a favorable chewiness, light brown and smooth pileus. In addition, Geoni was rich in dietary fiber. MCM(mushroom complete medium), Malt and PDA(Potato Dextrose Agar) mediums were suitable for cultivating the Geoni. The number of effective stipes was 39 ea/0.9 kg and minor axis and major axis of pileus were 6.9 cm and 8.7 cm respectively. The yield of Geoni was 291 g/0.9 kg in plastic bag. Geoni was required 40~54 days for culture at 20oC and 24days for the primordia and growth period, which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Pung-un). Somatic incompatibility was formed between parental strains and Geoni. Analysis of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new variety Geoni”revealed a different profile from the parental strains when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were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