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桃紅四物湯이 L1210細胞가 移殖된 마우스의 免疫系에 미치는 效果

        趙鈴林,鄭鉉雨 대한동의병리학회 1999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3 No.1

        桃紅四物湯은 醫宗金鑑에 最初로 收錄된 處方으로 四物湯에 桃仁·紅花를 加味한 處方이다. 本 方은 月經不調나 經前腹痛등 瘀血로 인한 부인의 각종 月經異常에 사용되는 處方으로써 지금까지 대부분 血流障碍疾患에 대한 硏究를 진행하여 왔다. 腫瘍은 현대인의 사망률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疾患중의 하나로 東醫學에서는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正氣補養·補血 및 破積·活血·解鬱·行氣등의 治法들을 兼用하고 있으며, 西醫學에서는 化學療法·放射線療法·手術療法·遺傳子療法·免疫療法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副作用등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天然藥物로 구성된 韓藥材가 이러한 副作用을 解消시켜 주고, 또한 "正邪鬪爭"관점에서 '正氣'가 보강되면 免疫力도 增强됨으로써 癌細胞에 대한 抗病能力이 뛰어날 것으로 思料되기 때문에 瘀血을 치료하는 동시에 補血할 수 있는 桃紅四物湯을 癌細胞가 移植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다음 抗癌作用 및 免疫機能 活性化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實驗方法으로 급성백혈병세포주인 L1210 cell line에 대한 citotoxicity에 미치는 桃紅四物湯의 效果를 MTT assay를 통해 살펴보고, 이와 동시에 in vivo상에서 L1210細胞柱를 2×106cells/mouse씩 腹腔에 주입한 후 桃紅四物湯을 1일 1회씩 7일간 경구투여한 후 癌細胞의 增殖과 T lymphocytes, B lymphocytes의 活性度, 그리고 腹腔 macrophages에서 생성되는 NO의 量을 측정한 結果 in vitro상으로 L1210癌細胞柱의 增殖率은 對照群보다는 감소하였지만 臨床的인 有意性은 認定되지 않았지만 in vivo상에서는 對照群에 비하여 약 20(%)정도 L1210細胞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또한 thymocytes의 경우는 正常群과 비슷한 增殖을 나타내었고, 腹腔 macrophage에서 생성되는 NO의 量은 正常群보다도 탁월한 NO의 量을 촉진시켰으며, splenocytes의 增殖은 對照群보다는 增殖이 活性化되었지만 臨床的인 有意性은 인정하기 어려웠다. 이와같은 結果들을 볼 때 補血을 시켜주면서도 瘀血을 치료하는 扶正祛邪의 代表方劑인 桃紅四物湯이 NO에 의한 抗癌效果는 물론 免疫系의 活性化(T cell중 TH cell)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思料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DohongSamulTang(DST) on anti-tumor, proliferation of immunocytes and nitric oxide(NO) production from peritoneal macrophages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This study estimated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in vitro and in vivo. and estimated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in L1210 cell-transplanted mice, and the NO production from peritoneal macrophages and body weight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DST didn't inhibite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line in vitro. 2. DST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3. DST was accelerate significantly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s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4. DST was accelerate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5. DST incresed the NO production from peritoneal macrophages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6. DST increased the body weight as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 KCI등재

        蒲公英 및 山査肉의 實驗的 效果

        鄭鉉雨 대한동의병리학회 199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2 No.1

        東醫學에서 疾病의 原因에 대하여 三因類로 설명을 하고 있다. 그 중에서 病理的 産物인 痰飮과 瘀血로 발생하는 疾病에 대하여 많은 설명을 하였고, 瘀血의 病機 및 治法에 대하여 歷代醫家들은 氣血方面과 血流障碍方面으로 설명을 하였다. 또한 東醫學에서는 瘡瘍 및 癰疽로 분류되는 癌을 치료하기 위해서 補氣·理氣·散結·消腫·活血化瘀 등의 治法들을 사용하고 있으나, 西醫學에서는 手術療法·放射線療法·免疫療法·化學療法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治療法 또한 아직까지는 미흡한 상태라 할 수 있어 國內外的으로 惡性腫瘍을 치료하기 위한 硏究를 다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현재 抗癌劑를 이용한 抗癌作用과 韓藥材를 이용한 많은 硏究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癌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方法들을 통하여 시도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本 著者은 消腫散結시키는 蒲公英과 散瘀行滯시키는 山査肉이 免疫細胞의 增殖을 促進시켜주면서 抗癌作用이 있을 것으로 思料되는 바 in vitro實驗으로 皮膚癌細胞인 A431 cell line과 骨髓癌細胞인 KHOS-NP cell line에 蒲公英과 山査肉을 投與하여 癌細胞의 增殖을 살펴보고, 免疫細胞인 T cell과 B cell의 增殖을 살펴보는 동시에 腹腔內 macrophage에서 分泌되는 NO의 量을 測定하였으며, 또한 in vivo實驗으로 蒲公英과 山査肉을 일정기간동안 實驗動物에 投與한 후 腹腔內 macrophage에서 분비되는 NO의 量과 T cell의 apoptosis 및 subpopulation의 量을 관찰하였다. 이 結果 蒲公英과 山査肉은 in vitro上에서 A431 cell 및 KHOS-NP cell에 있어서 임상적인 抗癌作用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T cell 및 B cell의 增殖은 촉진시켰다. 또한 마우스 腹腔內 macrophage에서 分泌되는 NO의 量은 蒲公英이 減少시킨 반면 山査肉은 NO의 量을 增加시켰다. 한편 in vivo上에서는 蒲公英과 山査肉 모두 NO의 量을 減少시켰고, T cell의 apoptosis에 있어서는 對照群에 비하여 增加는 시켰지만 有意性은 인정되지 않았다. T cell의 subpopulation에서 山査肉은 TH cell의 對照群에 비하여 增加를 시켰지만 蒲公英은 減少시켰고, TC/TS cell의 경우에 있어서는 山査肉은 對照群에 비하여 별다른 影響은 미치지 않았지만 蒲公英은 增加되었다. 그리하여 山査肉이 抗癌作用보다는 血液循環이나 免疫細胞의 조절에 관여하는 藥物로 認定할 수 있는 바, 이는 健脾시키고 活血시키는 山査肉의 效能이 再立證되었다 思料된다.. To investigate effect of water extract of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on human cancer cell-lines and immunocytes, this research estimated proliferation of A431 cell line, KHOS-NP cell line, mouse thymocytes and mouse splenocytes, Nitric Oxide(NO) from macrophage, apoptosis and subpopulation of the mouse thymocytes. The result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wasn't effected the proliferation of A431 cell line. 2.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wasn't effected the proliferation of KHOS-NP cell line. 3.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accelerated the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4.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nocytes. 5. Taraxaci Herba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from macrophages in vitro, being compared NPS+IFN treated group. 6. Crataegi Fructus accelerated the production of NO from macrophages in vitro, being compared NPS+IFN treated group. 7.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from macrophages in vivo, being compared LPS+IFN treated group. 8. Taraxaci Herba and Crataegi Fructus accelerated the induction of apoptosis of the mouse thymocytes. 9. In subpopulation of mouse thymocytes, Taraxaci Herba decreased TH cell, but Crataegi Fructus increased TH cell 10. In subpopulation of mouse thymocytes, Taraxaci Herba decreased TC/TS cell

      • KCI등재

        腫瘍免疫反應調節에 미치는 內託羌活湯의 效能에 對한 硏究

        鄭遇悅,田炳熏,鄭鉉雨 대한동의병리학회 1997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1 No.2

        癰疽에 사용되었던 內託羌活湯이 細胞의 增殖과 機能에 영향을 주는 외부자극중의 하나로 알려진 BRM(biological response modifier, 생물반응변조체)으로 가능할 것인가에 着眼하여 內託羌活湯에 관한 BRM의 作用과 抗腫瘍 作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本 實驗에서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강력한 發癌性化學物質인 3-MCA로 腫瘍을 誘發시키고, 또한 leukemia cell line인 3LL cell과 sarcoma cell line인 S180 cell, Fsall cell을 皮下에 이식하여 腫瘍의 發生을 誘導하면서 癌 發生 및 그 經過에 미치는 內託羌活湯 抽出液의 영향을 평가하고, 동시에 그 免疫調節作用을 究明하기 위하여 癌腫細胞의 試驗管內 增殖에 미치는 影響과 試驗管內 및 生體免疫 反應에 미치는 影響을 測定·平價하였다. The sprig NaetakKanghwal-Tang has been used for curing as a traditional medicine without any experimental evidence to support the rational basis for their clinical us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or antitumoral effects of NaetakKanghwal-Tang extract against cancer, and to study som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effect. Some kind of tumors were induced by the typical application of 3-methylcholanthrene(MCA) or by the implantation(s.c) of malignant tumor cells such as leukemia cells(3LL cells) or sarcoma cell(S180 cells and Fasll cells). Treatment of the NaetakKanghwal-Tang extract(dailly 1㎎/mouse, i.p.) was continued for 7 days prior to tumor induction and after that the treatment was lasted for 20 hrs. Against squamous cell carcinoma induced by MCA, NaetakKanghwal-Tang decreased not only the frequency of tumor production but also the number and weight of tumors per tumor bearing mice(TBM). NaetakKanghwal-Tang also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3LL cells and S180 cells implanted tumors by frequency and their size, and some developed tumors were regressed by the continuous treatment of NaetakKanghwal-Tang extract into TBM. However, when tumor was induced by Fsall cells implantation, the growth of implanted cells in mice was delayed by the water extract of NaetakKanghwal-Tang until 7 days and then rapid growth ensued. In vitro treatment of NaetakKanghwal-Tang extract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some kind of cell lines such as Fsall cells, A431 cells strain but i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3LL cells, S180 cells and it augmented the DNA synthesis of mitogen-activated lymphocytes. NaetakKanghwal-Tang also stimulated leucocyte migration ability. MIF and IL-2 production of T lymphocytes, but not IL-6 production of B cells. NaetakKanghwal-Tang administration into mice enhanced Arthus reaction and DTH to sheep erythrocytes, and NK cells activitie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aetakKanghwal-Tang extract exhibited a significant prophylac

      • KCI등재

        사회적기업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일터영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현우,서정기,류태모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목적과 사회적인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에서 최근들어 기업에서 중 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윤리적 행동에 관한 리더십인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의 자발적이고 직무외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영향력에구성원들의 정신과 관련된 개념인 일터영성의 매 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진흥원에 등록된 사회적 기업의 36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 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이 모두 조직시민행 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일터영성에는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 모두 유의적인 정(+)의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일터영성은 조직시민 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미치고 있었다. 넷째,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이 조직시민행동에미치는 영향력에는 일터영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일터영성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는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바람직한 행동으로 자발적이고 직무외적인 행동인 조직시 민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리적 리더십과 일터영성이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 of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ethical leadership,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workplace spirituality and develops the research model andhypothetical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ical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workplace spirituality and test the mediation effect ofworkplace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behavior. The suggested hypothetical relationships were tested with primary data from a sample 367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it is found that transparency, contribution, integrity and which are composed factors ofethical leadership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transparency, contribution, integrity and which are composed factors of ethical leadership havepositive influence on workplace spirituality. Third, workplace spirituality have positive influence on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workplace spiritua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ethical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us, the hypothesis on the mediating role of workplace spirituality was supported. This study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search by developing antheoretical model, incorporating the role of ethical leadership and workplace spirituality. In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organization develop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behavior, ethical leadership of leader and improving workplace spirituality of employees need to beconsidered to adopt.

      • KCI등재

        Ag<sub>2</sub>O첨가에 따른 0.96 Pb(Zr<sub>0.52</sub>Ti<sub>0.48</sub>)O<sub>3</sub>-0.04 Pb(Mn,W,Sb,Nb)O<sub>3</sub>의 유전 및 압전 특성

        정현우,임성훈,이은선,전창성,이상렬,Chung, Hyun-Woo,Lim, Sung-Hun,Lee, Eun-Sun,Jeon, Chang-Sung,Lee, Sang-Yeol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7 No.11

        The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silver added 0.96 Pb(Z $r_{0.52}$ $Ti_{0.48}$) $O_3$-0.04 Pb(Mn,W,Sb,Nb)$_3$ ceramics were examined. By varying the contents of silver(0.0, 0.4, 1.0 mol%), the effect of silver addition on PZT-PMWSN ceramics was investigated at various sintering temperature(900, 1000, 1100 $^{\circ}C$). As increasing silver contents,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was increased and sinterability was enhanced. At the specimen with 0.4 mol% Ag and sintered at 1000 $^{\circ}C$,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_{p}$), mechanical quality factor( $Q_{m}$),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_{r}$) and dielectric loss were 0.502, 811, 991, 0.006,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ZT-PMWSN/Ag composites have enhanced piezoelectic and dielectric properties and sintering temperature was lowered.red.

      • KCI등재

        古代哲學思想이 東醫病理學에 미친 影響

        鄭遇悅,李鎭弘,鄭鉉雨 대한동의병리학회 1997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1 No.2

        學問은 어느시대를 막론하고 그 胎動當時의 時代的·社會的·政治的·思想的 背景속에서 발전한다. 韓醫學 또한 이러한 背景속에서 발전되었다. 醫學은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학문으로 인체의 陰陽平衡狀態를 建康이라 정의한다면 疾病이란 인체의 陰陽失調(陰陽偏盛偏衰)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疾病을 유발시키는 원인과 그 원인으로 인하여 인체에 나타나는 각종 症狀들에 대 病理機轉을 밝히기 위해서는 韓醫學의 胎動當時의 배경들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하겠다. 그리하여 《黃帝內徑》이 著述되기 前 古代 哲學思想이 韓醫學 理論定立-東醫病理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하기 위하여 현재 출간되고 있는 韓醫學 서적을 중심으로 고대 서적들을 참고하여 陰陽五行論과 精氣神論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古代 哲學思想인 敬天崇祖思想과 陰陽五行思想, 精氣神學思想들이 그 시대의 學術的 思想을 반영하듯 韓醫學에서도 역시 主流를 이루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病因論도 고찰할 수 있었다. 즉, 韓醫學의 認識方法인 由果析因ㆍ類比推理ㆍ以象測臟 및 以表測裡의 方法을 통하여 疾病의 原因과 病理機轉등을 밝혔는데, 이것이 바로 그 時代的ㆍ學術的 背景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Because a time, society, politics, thought bring about effect learning, formation of oriental medicine is formed this background also, Before《Nae-Kyung》was written to study numerous effect antiquity philosophically on oriental medicine pathology investigated books from antiquity to presently.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Before the Chroicles of Lu witch docters acted. 2. In the Chroicles of Lu, philosophically were "the Uem-Yang-O-Haeng theory", "Jeong-Chi-Shin theory" and "Chen-Yin-Shang-Ueong theory" etc. 3. This theories were effected formation of oriental medicine(the cause of a disease, course of disease, pathologic change, therapy etc)

      • KCI등재

        교사와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현우,정동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교사 및 학교의 특성과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사 및 학교의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및 학교 특성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 및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t-검정과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다층분석을 통해 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는 교사 변인에 있어서 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 교수효능감, 전문성 인식, 직무 스트레스에 따라 차이가 있고, 학교 변인에 있어서는 학교의 설립 유형, 학급당 학생 수, 학급의 보조원 배치 여부, 학교의 조직풍토, 학교장 수업지도성, 학교 교육과정 적합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 특성과 학교 특성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면 교사 수준의 변인이 학교 수준의 변인에 비해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종 모형에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 학력, 교수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학교 조직풍토, 학교 교육과정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level analysis by utiliz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difference depending on input variables and process variables of teachers. Also,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difference depending on input variables and process variables of school. Second,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teachers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teacher and school-level variables set in the present study describe more than 70% of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results of input of the teacher 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by step depending on the research model, the level of teacher variables has more effect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the variables of schoo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