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파트 단지 조경사업에서 발생하는 민원 특성 분석 - 민원의 공공성과 조치용이성 분석을 중심으로 -

        조세환,이명훈,조현길,김인호,안승홍,오정학,Cho, Se-Hwan,Lee, Myeong-Hun,Jo, Hyun-Kil,Kim, In-Ho,An, Seung-Hong,Oh, Jeong-Ha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에 의해 발생한 민원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조경사업 과정에서 민원 발생의 원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의 민원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LH공사, SH공사, 경기도시공사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민원 사례를 대상으로 전체 672건의 조경민원을 공통언어 추출방법을 통해 73개로 범주화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자료를 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공공성(공공적-개인적)-조치용이(어려움-쉬움)의 유형별 특성과 입주민과 조경가의 민원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화된 73건의 민원은 공원, 녹지 및 가로수, 보행로, 시설물, 기타 등 5개 항목으로 재범주화 될 수 있었다. 둘째, 조경 민원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것이 녹지 및 가로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물, 보행로, 공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항목별로 공공성과 조치용이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설물', '가로 및 녹지'와 '보행로', 등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민원 인식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나 공원에 대한 민원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인식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73개 민원 중 35개(47.9%)는 공공성이 높고 동시에 조치가 용이한 반면, 25개(34.2%) 민원은 개인적이고 동시에 조치가 어려운 사항으로 분석되어 이들 민원사항에 대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미리 점검을 하여 민원으로 인한 사업비의 추가 부담과 입주민들의 신뢰 저하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mplaints caused by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in the case of apartment complex. Furthermore, its purpose was also to propose as the basis data for the minimization of complaints in the course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apartment complex civil complaints, we collected basic and case study data from LH Corporation, SH Corporation and GICO from 2009 to 2012. We also categorized 672 landscape complaints to 73 categories and conducted a survey from residents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urvey is to use IPA can collect character(public-private), handling of civil affair(easy-hard) and analyze typical characters and difference of civil complaint awarenes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idents. First, we were categorized 73 civil complaints by type in 5 categories such as park, green space and street trees, pedestrian road, facilities, and others. Second, the most common landscape complaints appear in green spaces, street trees, facilities, pedestrian roads and park orders. Third,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for each item which are publicity and measures the ease. 'Facilities', 'landscape and greenery', 'pedestrian road' and others were commonly appears from residents and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 complaints. However, complaints of park appear different awarenes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idents. Fourth, 35 from 73 civil complaints(47.9%) are having high publicity and easy to measure, 25 civil complaints(34.2%) has analyzed to individual and difficult to measure so about the these complaints need to check from the design step so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roblem of additional expense by civil complaints burden and decrease the confidence of residence problem were considered.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방법(ANP)을 이용한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정책의 전략적 관리방안

        조세환,정광섭,김상원,원제무,Cho, Se-Hwan,Jeong, Gwang-Seop,Kim, Sang-Won,Won, Jai-Mu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1

        본 연구는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정책이 나가야 할 방향과 전략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정책단계별 수준선정을, 둘째, 수준별 중요도를 측정하고, 셋째, 이상의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강 르네상스 개발계획의 기조인 회복, 창조의 중요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제2단계 정책수준에서는 도시공간 재편, 자연성 회복, 이용성 증진 순으로 정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단계 정책수준에서는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 한강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개편, 한강 중심의 Eco-Network 구축 등의 순서로 중요도를 보였다. 특히, 제3수준의 세부계획인 4정책수준의 중요도는 도시공간재편의 경우 수변도시의 유형별 개발 및 토지이용 다양화, 워터프런트 타운 조성의 경우 수변공간을 공공 및 복합용도로 활용, 그리고 한강변 경관개선의 경우 건축물의 종합적인 관리방안 수립,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은 통합디자인 계획 등이 주요 정책지표로 부각되었다. 중요도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전략적 정책 방향은 통합디자인 계획을 통한 테마가 있는 한강공원 조성과 함께 도시공간구조를 재편하는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면서 다른 정책계획들과 연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strategic management direction and ideas of the policy for Seoul City's Hangang Renaiss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levels were established for each step of the policy and the policy priority by level was derived. The policy priority by level was analyzed by a decision making model through the Analytic Network Process(ANP) and the priority would be the standard to judge the order of priorit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priorities of two basic concepts: restoration and creation. The fourth level, detail plan of the third level, showed priority that development by type for waterside city in case of reorganizing cit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land utilization, utilization of riverside space in water front town for public and composit purpos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plan on constructions in case of improving the landscape of Hangang and unified design plan rose to important element in case of forming Hangang park with the me. Based on the results of priority analysis, we would like to propose for the direction about the policy on Hangang Renaissance project, the policies forming Hangang Park with theme through unified design plan and reorganizing city space have to be proceed preferentially and connected with other plans.

      • KCI등재

        웹 사이트를 통한 조경수목 유통정보활용 실태분석

        조세환,류재호,Cho Se-Hwan,Ryu Jae-Ho 한국조경학회 2004 韓國造景學會誌 Vol.32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use of internet web sites for information on landscape trees, and to suggest an improved direction for internet information content concerning of landscape trees. 10 areas of 5internet web-sites that are presented by an internet search with Yahoo Korea, Empas and Naver were studied for their importance and satisfaction degrees by landscape architects who use them. The us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web-sites for landscape trees, but were not satisfied with it. It was proposed that the web-sites should provide higher quality information on the growth history, price, shipping and handling, payment and the place of origin. Especially, the paper proposes that web-sites should more aggressively utilize information on the quality of landscape trees such as tree forms, trimming states of roots, etc.

      • KCI등재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조세환,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2

        This study aims to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new urban ideal of regeneration. A book review highlights the emergence of new trends of urbanization in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beyond the new town Ideal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meaning of ‘landscape’ in landscape urbanism represents not the visual and decorative pictures, but the dynamic process in the context of changes and evolutions. Also,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and landscape have a meaning in the same context of flow and process with changes of velocity. Finally, these key words convey a meaning with the new urban trends of urbanization in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in the context of value-oriented characteristics of dynamics and process. Urban regeneration is emerging as the new urban ideal in the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beyond the new town ideal of industrial society. It is in the same context as landscape urbanism with respect to green infrastructure buildings and designs for the transformation of urban surfaces covered with concrete and asphalt into the ecological surface, and of the ecological surfaces into the cultural surface that could be communicated with human beings. This research revealed the six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as follows. The First, the strateg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urban surfaces into ecological surfaces, the second, the strateg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ecological surfaces into cultural surfaces, the third, the introduction of mixed and convergence land use, the forth, the transformation of former sites(e.g. military and factory) into urban parks, the fifth, the introduction of waterfront park zones that have the function of ecological and park-oriented mixed land use and, the sixth, the building and design of green infrastructure i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 CBD. These strategies call for the reforms of development laws and regulations to restrict building coverage ratio, building heights, and the introduction of park-oriented mixed zoning regulation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ating the above listed strategies was the introduction of a strategic planning system instead of the traditional master plan system. This system uses a value planning approach and brand making by imagery. It is able to construct the meaning of an image and its creativeness directly.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도시재생적 실천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산업사회를 넘어 지식정보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나타나는 도시화의 새로운 특성과 양상, 또 산업화시대의 신도시 이상을 넘어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도시 이상과의 상관성 맥락에서 도시재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서의 랜드스케이프의 의미가 도시를 대상으로 시각적, 장식적 차원의 정태적 풍경이 아니라, 변화, 진화 등의 맥락에서 동태적 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지식정보산업사회가 지식 정보의 흐름 등 가속적 변화와 과정적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특징에 따라 도시화도 형태와 기능 중심에서 흐름, 네트워킹, 중심성과 결절성, 지표면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는 가치지향의 과정적, 동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 3자간에는 그 본질적 개념에 있어 상호 관통되고 소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시대의 도시화에 대한 반성으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이상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도시재생은 본질적으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점유된 도시 경관판을 그린 인프라 구축과 디자인이라는 맥락에서 생태판에 문화를 도입한 문화판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일정의 괘를 같이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8개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도시가 자연과 역동적으로 소통하고 진화할 수 있는 생태판의 구축, 생태와 도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생태판의 문화판으로의 전환, 주택 및 상업지역에서의 그린 인프라 구축 등의 관점에서, 건폐율 규제, 높이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도시이전적지의 공원화, 하천 등 도시워터프론트의 공원화 등의 전략에서 공원의 도시적 관입 및 확산과 더불어 공원혼합용도에 대한 도입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관판을 형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으로 사회의 변화에 역동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전략계획제의 도입이 논의되었고, 특히, 이미지니어링을 통한 가치계획을 추구함으로써 기능중심의 도시화에서 가치창출과 브랜드형성 차원의 도시화로 진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 모든 전략을 위해 기존의 경관, 토지이용 등 건축 및 도시개발 관련 각종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