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상계 화엄의 禪的경향성에 대하여

        石吉岩(Seok Gil-Ahm)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4 No.-

        의상과 의상계의 화엄사상은 중국 화엄교학과는 구별되는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독자성은 신라 下代로 갈수록 더욱 강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의상계 화엄의 독자성이 성립된 원인의 하나로서 ‘禪的 경향성’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상 및 의상계 화엄의 ‘禪的 경향성’의 사례로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을 지적하였다. 첫째, 이 선적 경향성의 원천으로,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 에 나타나는 북종선 문헌 『大乘五方便門』의 영향을 지적할 수 있다. 즉 의상의 화엄사상은 성립과정에 이미 북종선의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師資相承의 계보의식이 나타난다. 사자상승의 전승의식이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며, 그 계승의 증표로 ‘法界圖印’을 사용한 사례가 있다. 이것은 선종의 사자상승 및 전승의식과 유사하다. 셋째, 북종선에서 사용되었던 指事問義의 방식을 의상계 화엄에서도 역시 즐겨 사용하고 있다. 넷째, 의상계의 華嚴性起은 부분적으로 선종의 영향 아래 성립된 것이며, 따라서 신라 下代에 선종이 전래되었을 때 의상계 화엄승들이 쉽게 선종으로 전향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사례 검토를 통해서 , 의상계의 화엄사상이 중국 화엄교학 및 여타의 화엄사상과 구분되는 독자성을 가지게 된 배경의 하나로 선종의 영향을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상계 화엄의 ‘선적 경향성’은 의상뿐만 아니라 의상계 화엄의 해석에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The Huayan thought of Euisang or Euisang line has characteristics distinguishable from the doctrines of Chinese Huayan System. Su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eem to have consolidated itself even strongly towards the last days of Silla dynasty. This article focuses upon its tendency toward Chan Buddhism as one of its bases for su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points out the following four particulars as the examples of this tendency. First, the original source for this tendency toward Chan Buddhism can be found in the influence of the Dachengwufangbienmen(大乘五方便門), a text belonging to the northern Chan(禪) tradition, in Euisang’s Hwaeomilseungbeopgyedo(華嚴一乘法界圖).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Euisang's Huayan thought is already in debt to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Chan. Second, there appears the consciousness of the inheritance from mentor to disciple(師資相承) in it. Comparatively clear is such a consciousness, evidencing it through the use of the seal of the Beopgyedo(法界圖印) for example. This is similar to such a consciousness in the tradition of Chan Buddhism. Third, the style of zhishiwenyi(指事問義, the style of illuminating a meaning by the medium of a concrete object), which was usual in the northern Chan, is also used frequently in the Huayan Buddhism of Euisang line. Fourth, the thought of Huayanxingqi(華嚴性起) in Euisang line is established partly due to the influence of Chan Buddhism, which seems to have caused the Huayan monks of Euisang line to convert easily to Chan Buddhism when Chan Buddhism was transmitted to Korea in the last days of Silla dynasty. From the above examples, it can be ascertained that the influence of Chan Buddhism might be focused as one basis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uayan thought of Euisang line apart from Chinese Huayan doctrinal system and other Huayan thoughts. Shortly, the tendency toward Chan Buddhism in the Huayan thought of Euisang lin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interpreting the Huayan thought not only of Euisang but also of Euisang line.

      • 현수법장의 교판론과 퇴옹성철의 불교관 비교 연구

        석길암 ( Seok Gil-ahm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본 논문은 현수법장(643-712)의 화엄교판관과 퇴옹성철(1912-1993)의 불교관을 비교 검토한 것이다. 특히 화엄교판에 대한 퇴옹의 해석 특징과 퇴옹이 지향한 불교관을 『백일법문』을 통해 검토하였다. 퇴옹은 “과거·현재·미래 삼세의 모든 부처님과 역대의 조사(祖師) 모두가 자기 마음을 깨쳐서 성불했지, 언어와 문자에 의지해서 도를 얻은 사람은 단 한 분도 없다”는 관점에 의해 교종 전체와 선종을 구분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백일법문』에서는 불교 교학의 정통성을 판석하는 기본적 관점으로 중도를 제시하는데, 이 중도는 화엄사상에 기반한 이해라고 생각된다. 퇴옹은 선의 이론적 기반인 화엄사상을 원용하여 불교 교학 전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퇴옹이 『백일법문』에서 강조하는 ‘진여법계의 중도’가 불교 교학전반을 이해하는 틀로 활용한 것은, 돈오돈수론을 중심으로 하는 그의 선불교 전통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다. 곧 퇴옹은 화엄사상과 화엄교판이 지향하는 본래의 의도를 드러내는 것보다는 자신이 생각한 중도의 관점을 화엄사상과 화엄교판에 의해 드러내는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퇴옹은 『백일법문』에서 자신이 지향하는 불교관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불교의 시대적 정당성 확보에도 많은 관심을 할애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같은 부분은 퇴옹의 관점에서 보면, 불교전통이 약화되었던 시대적 상황에 대한 고려,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근대불교학에 대한 대응, 다종교시대에 있어서 불교의 사회적 역할 등에 대한 고민까지 일정 부분 담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불교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승가와 불자 교육에 있어서 기본적 관점이 미비했던 현실에 대한 선사의 응병여약으로서 ‘백일법문’을 위치 지우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이것은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이지 사실 전체 『선문정로』에서 이 돈오원각론, 실참실오론, 구경무심론은 서로가 서로를 성립시키는 3위일체적 관계에 있다. This thesis is a comparative review of Xian Shou Fazang(643-712)’s Huayan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and Toeong Sungchol(1912-1993)’s view of Buddhism. In particular,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oeong҆s interpretation of Huayan Classification and the view of Buddhism appeared at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百日法門). Toeong proposed the view that “among the Buddha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ll saints of the past were awakened by their minds to achieve Buddha-hood. No one has gained awakening through relying on language and script.״ In his Sermon of One Hundred Days, the middle way is presented as a basic view point that marks the legitimacy of Buddhist teaching, which is thought to be an understanding based on the Huayan Thought. Toeong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uddhist doctrines by applying the Huayan thought,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Seon. The middle way of the dharma and the world of true suchness, emphasized in his book, was used as his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ntire Buddhist doctrines.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has deeply been related to his recognition of Seon Buddhist tradition, centered on sudden awakening with sudden practice. Indeed, he was paying more attention to revealing his view of the middle way through Huayan thought as well as its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rather than to revealing his original intention. Toeong is thought to have devoted to pay attention to secure the contemporary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In Toeong’s point of view, it has believed that a certain amount of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situation of his time when the Buddhist tradition was weakened. He was responding to the newly emerged modern Buddhism, and to the social role of Buddhism in the contemporary multi-religious era. This could be the reason why his Sermon of One Hundred Days was placed as his recipe for the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ituation where there was a gap between traditional Buddhist monks and lay Buddhists.

      • KCI등재

        가락국(駕洛國)의 불교(佛敎) 전래(傳來) 문제와 성격에 대한 검토

        석길암 ( Gil Ahm Se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본 논문은 『삼국유사』『가락국기』조와 『파사석탑』조를 중심으로 가락국의 불교 전래와 성격을 둘러싼 일연(一然)의 인식과 현대 역사학자들의 논의를 검토한 것이다. 이 기록들을 채록하고 있는 일연 자신은 허왕후의 도래와 함께 불교가 전해졌지만, 수용되지는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가락 불교의 수용은 왕후사의 창건을 기점으로 한다고 파악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학계에서의 최근 논의는 허왕후 도래시에는 불교가 전해지지 않았으며 왕후사 창건을 전후하여 불교가 가락국에 전래되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와, 『가락국기』의 건국신화 성립에 신라 중대 의 정치세력 및 이후의 불교적 색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삼국유사』에 나타난 가락국의 불교 수용 기사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의 둘로 나뉘어져 있다. 논자는 가락국의 불교 전파 시기는 왕후사 창건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4세기 말 무렵까지 가락국이 동아시아의 해상 교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는 점 때문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도 공인 연도만 372년과 384년일 뿐이며 공인을 위한 인지과정을 포함한다면, 불교의 전파 자체는 3~4세기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특히 허왕후로 상징되는 도래세력과 아유타의 연결을 굳이 불교를 매개로 한 각색일 것이라는 기존 역사학계 일부의 시각을 지양한다면, 다양한 문화교류의 측면을 고려해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1세기 전중반에 이미 중국, 한반도 북방 및 일본을 연결하는해상 교역망에 김해 가락국 지역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가락국기』의 불교 전래 기사 해석에 굳이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purports to investigate the Master Ilyeon’s recognition and modern historians’ debates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and its traits in reference to the articles of the Kingdom of Garakguk and the Stone Stupa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 Master Ilyeon (一然, 1206~1289), the Author of the Samguk Yusa, is regarded to have recognized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through the coming of Queen Heo (許王后, 33-189), while distinguishing it from the acceptance of Buddhism that is supposed by him to have begu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Wanghusa (王后寺). On the other hand, recent debates on this issue are divided into two positions, the one arguing that the coming of Queen Heo did not accompany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which is supposed to have begun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Wanghusa, and the other arguing that the articles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Samguk Yusa should not be trusted due to the anachronistically strong reflection of political powers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dynasty and subsequent traits of Buddhism in the composition of the foundation myth of the Kingdom of Garakguk. Above all, however, the date of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should be traced back to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Wanghusa, since the Kingdom was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overseas trade in East Asia by the end of the 4th century. Even in the cases of Goguryeo and Baekje, only the years of official recognition are recorded as 372 and 384, while the actual transmission of Buddhism should be regarded to have occurred around the 3rd or the 4th century in consideration of the acquainting process before its official recognition. Especially, precluding some previous historians’ suspicio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rival of foreign powers symbolized by Queen Heo and the Kingdom of Ayodhya might be a creation by the medium of Buddhism, the diverse aspects of cultural exchange should be considered fully. In shor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area of the Kingdom of Garakguk around Kimhae was participating vivaciously in the overseas trade network that had included China, the northern parts of Korea, and Japan alread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1st century, the article of the Kingdom of Garakguk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should not be interpreted negatively.

      • KCI등재

        화엄경의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석길암 ( Gil Ahm Seok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0

        본 논문은 화엄경 편집의 사상적 의도를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화엄경의 편집시기와 그것이 편집되던 불교사회의 내부적 배경에 대한 유추를 시도한 것이다. 편집의 사상적 의도에 대해서는, 별행경과 『육십화엄』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첫째 ‘여래출현’ 혹은 ‘여래성기’라는 관점의 확장, 둘째 법회 서분과 결분에 정형화되어 나타나는 동명동호(同名同號)의 다불(多佛)·다보살(多菩薩)이 화현(化現)하는 구조의 의미와 그 확장, 그리고 경명 중의 ‘방광(方廣)’과 경 전반에 걸친 성문(聲聞)에 대한 입장 등이 그것이다. 검토 결과, 화엄경의 편집은 별행경(別行經)의 유통, 성문·소승의 불전으로부터 ‘비불략(毘佛略, vaipulya)’을 ‘보살장’ ‘대승’ ‘마하연’으로 구분하는 경론들의 한역(漢譯) 시기로부터 유추할 때 대략 4세기 초반에서 4세기 중엽에 이르는 시기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화엄경이 편집된 불교사회는 불탑신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동시에 아비달마 불교가 흥성했던 지역, 그러면서 대승경전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던 곳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doctrinal intention in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in order to infer the date of its editing and the intern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society in the editing process. As for the doctrinal intention in the editing,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ly independent scriptures and the Flower Garland Sutra of 60 fascicles. The difference is prominent, firstly, in the expansion of the no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Tathagata’ or ‘arising of the Tathagata nature,’ secondly, in the significance and expansion of the structure of the incarnation of multiple Buddhas and Bodhisattvas with the same names and pen names which appear with typified forms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dharma talks, and in the approach to the sutra title of ‘vaipulya’ and sravakas throughout the sutra. As a result of the above investigation,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when it is inferr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originally independent scriptures and the dates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treatises distinguishing vaipulya (毘佛略) and the Buddhist texts by sravakas in the Hinayana Buddhism by the terms of ‘pusazang’ (菩薩藏), ‘dasheng’ (大乘), and ‘maheyan’ (摩訶衍), is supposed to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be tween the beginning and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In addition, the Buddhist society in the editing process is supposed to be characterized by stupa worship, the thriving of the Abhidharma Buddhism, and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Mahayana sutras.

      • KCI등재

        『삼국유사』의 사료선정과 채록방식으로 본 일연 불교사관의 한 측면 - 「기이」편 및 「흥법」 이하 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석길암 ( Seok¸ Gil-ah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본 논문은 『삼국유사(三國遺事)』와 관련한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는 『삼국유사』의 내용이 가지는 다양성, 많은 분야에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종합성 외에, 『삼국유사』만의 흡인력과 재생산력의 원천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다. 둘째는 『삼국유사』의 독특한 사료 선정과 채록방식을 통해서 일연스님이 의도한 것은 무엇일까 하는 점이다. 첫째 문제와 관련하여, 논자는 『삼국유사』의 사료선정과 채록방식이 대승 경전의 구성기법과 유사한 부분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삼국유사』는 사료와 사료를 병렬적 혹은 중층적으로 배치하고, 혹은 주요 사료를 중심으로 주요 사료의 사실성을 확인하는 사료를 병렬적 혹은 중층적으로 조직한다. 그리고 각각의 항목들이 다시 다른 항목들과 때로는 편목을 넘어서 사실성을 확인하는 코드로 작동하도록 사료를 재구성하여 채록하는 것이다. 이것은 앞서 대승경전이 스스로 불설로서의 정통성과 권위를 획득해가는 방식과 대단히 유사하다. 둘째 문제와 관련하여, 논자는 『삼국유사』의 ‘유사(遺事)’라는 명칭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유사(遺事)’는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한다는 의미에서 ‘빠뜨린 이야기’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유사(遺事)’는 ‘빠뜨린 이야기’가 아니라 ‘남겨야 할 이야기’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일연의 독특한 사료선정과 채록방식은 ‘남겨서 보여주어야 할 이야기’를 구성하는 대승경전의 구성방식과 대단히 유사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dealt with two issues related to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First, in addition to the diversity of the contents 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ir comprehensiveness that makes it accessible in many academic fields, an important question is where does the source of the attraction and reproductive power 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ome from? Second, what is the intention of Il-yeon through the unique style of selecting and recording of historical sources of this work. Regarding the first problem, the author tried to clarify that the style of selecting and recording of the sources 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similar to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Mahayana Sutras. The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rranges historical sources and historical materials in parallel to each other or in multiple layers, or organizes historical sources that confirm the truth of major historical sources in such a structure. And each item is reconstructed and recorded so that each item may work as a code that checks the truth of other items and sometimes beyond the catalogued items. This is very similar to the way Mahayana Sutras acquire its legitimacy and authority as Buddhist scriptures. Regarding the second problem, the writer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name “Memorabilia (遺事)” in the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In general, “Memorabilia (遺事)” tends to be interpreted as “missing stories” in the sense of supplementing the missing part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However, the word “Memorabilia (遺事)” was arguably used to mean ‘stories to be left behind’ rather than ‘stories that were left out’. This is because Ilyeon's unique selecting and recording style is very similar to the style in the construction of Mahayana Sutras that comprise the 'stories to be left beh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