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의 유초기 냉해에 관한 연구 1. 유묘기 엽령별 냉해발현 및 회복양태

        권용웅,김주헌,안수봉,Kwon, Y.W.,Kim, J.H.,Ahn, S.B. 한국작물학회 1979 한국작물학회지 Vol.24 No.1

        수도 유초의 초분별 냉해발견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품종 진흥, 철원 001, 통일, 유신을 재료로 주간 $26^{\circ}C$ 13시간 (광도 20,000 lux) / 야간 $18^{\circ}C$11시간의 인공기상실에서 생장한 유초를 초령 1, 2, 3, 4, 5 엽기에 각각 처리기간을 2, 4, 6, 8 일간으로 달리하여 주간 11$^{\circ}C$ 13시간 (광도 20,000lux) / 야간 6$^{\circ}C$11시간의 저온처리를 한 후 주간 26$^{\circ}C$/ 야간 18$^{\circ}C$ 조명실로 옮겨 파종일로부터 30일간 생장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후 냉해에 의한 유초의 고사 현상은 처리후 3일간에 종료되었으며 초령별 유초생존율은 Japonica 품종 진흥은 모두 100%, 철원 001는 2엽기와 3엽기에 각각 8일간 저온 처리구에서만 95% 정도이었고 그 밖에는 100%이었으며, $Indica{\times}Japonica$교배품종들은 품종, 초령, 기간별로 내냉성이 달랐는데 제 1, 2, 3, 4, 5 엽기 별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저온처리 최장기간은 통일의 경우 4, 6, 1, 4, 8 일이었고 유신은 6, 6, 1, 4, 2일이었다. 2. 저온처리 종료후 과온에 3일간 냉해를 발견시켰을 때 진흥과 철원 001는 1~5 엽기 모두에서 8일간 처리를 하여도 냉해로 인해 엽신이 고사하지 않고 6~8일간 처리할 경우 극미한 백반이 다소 형성될 뿐이었으나 통일과 유신은 엽신의 황적변고사현상이 심하였는데 처리기간이 길수록, 노엽일수록 심하였고 완전전개한 신엽이 처리후 엽면적의 10% 이하 고사하는 범위의 내냉한계는 4일 미만의 저온이었다. 3. 저온처리기간중에는 모든 품종이 각엽기 모두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체 되었으며 처리종료 후에는 신장을 재개하였으나 각엽기 모두 저온기간이 길수록 신장속도가 감소되었으며, 진흥은 1, 4, 5 엽기, 철원 1 호는 1, 4 엽기, 유신은 1 엽기에 2일간 처리할 경우에만 무처리구와 같은 정도로 회복되었고, 그밖에는 저온기간중 생장이 정체된 차이를 보상하지 못하였다. 4. 파종후 30일간 생장한 묘의 건물중은 저온처리후 엽신이 정상이었고 표생존율도 95% 이상이었던 처리구의 묘에서도 감소가 있었으며 건물중이 무처리구묘의 90% 이하가 되지 않는 저온처리한계기간 (최대가역장해기간)은 제 1, 2, 3, 4, 5 엽기별로 진흥 2, 3, 4, 4, 4 일간, 철원 001 4, 1, 1, 2, 1 일간, 통일 2, 0.5, 0.5, 1, 2 일간, 유신 4, 1, 0.5, 1, 1 일간이었다. 5. 냉해에 의한 엽신변색고사와 초장신장억제는 실용상 중요한 묘고사율 및 묘건물중과의 관계가 뚜렷하지 않았고 품종 및 묘령별 내냉성의 차이를 분화시키지 못하였으나 묘고사율은 뭄종간 내냉성의 차이를 충분히 분화시켰으며 묘건물중은 외견상 냉해치상이 없을 경우에도 감소되고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므로 유묘내냉성검정은 고사율과 건물중증가억제율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6. 저온처리 및 내냉발견 후에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최장처리기간과 생존묘의 묘대말기 건물중이 무처리구의 90% 이하가 되지 안흔ㄴ 최장처리기간은 품종별 묘령별로 각각 달랐음로 이둘 두 요인의 값을 곱하여 내냉성종합평점으로 표시하면 진흥은 1, 2 엽기, 철원 001는 2, 3 엽기 통일과 유신은 3엽기에 약하였고 최저기온 $0^{\circ}C$, 최고기온 $15^{\circ}C$, 평균기온 $8^{\circ}C$의 온도조건하에서 육묘할 경우 비가역적 생장조해를 받을 위험이 없는 최장저온기간으 대체로 보아 진흥 3일, 철원01 2일, 통일과 유신 각각 1일이었다. 7. 주간 To characterize elastic and plastic chilling injury, rice seedlings grown at 28/$16^{\circ}C$ day/night temp. under 20K lux (13hrs.) in a phytotron were subjected to a 11/$6^{\circ}C$, 20K lux condition for 2, 4, 6 or 8 days at 1, 2, 3, 4 or 5th leaf-stage, respectively, followed by further growth under 28/$16^{\circ}C$condition till 30th day after seeding. Japonica variety Jinheung and Chulwon No.1 survived almost 100% without any significant , discoloration and death of leaves due to chilling even under the chilling of 8 days at all seedling ages tested. Tongil and Yushin, varieties from Indica x Japonica cross, showed increasing discoloration of leaves and death of plants with increase in chilling intensity. The longest chilling duration shown seedling death less than 5% was 4, 6, 1, 4, 8 days for Tongil, and 6, 6, 1, 2, 2, days for Yushin at 1, 2, 3, 5th leaf-stage, respectively.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nd death of leaves or suppression of height growth was not explicitly related to seedling death or the dry weight reduction. The degree of seedling death or dry weight reduction could differentiate chilling tolerance of varieties and seedling ages, but somewhat differently. Reduction in dry weight due to chilling occurred even without any visible injury or seedling death. These suggest that both the degree of seedling death and reduction in dry weigh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st of varieties for chilling tolerance. Combined evaluation of seedling death and dry weight reduction indicated the most susceptible seedling age to chilling injury to be 1 to 2nd leaf-stage for Jinheung, 2 to 3rd leaf-stage for Chulwon No.1, 3rd leaf- stage for Tongil and Yushin, respectively.

      • 作期移動에 따른 水稻 F₂世代의 登熟特性 分離樣相의 變化

        申辰澈,權容雄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5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0 No.2

        水稻의 品種育成上 Indica×Japonica 交雜種에 있어서 多數性 및 收量 安全性 向上을 위해 必要한 登熟期間 중 葉身의 老化와 登熟과의 關係를 밝히고자, 早生統一, 水原 264號, T(N)1을 母木으로 하는 3組合의 F₂集團을 適期栽培와 晩期栽培였고, 各 栽培時期別 組合當 1000個體씩을 供試하여 出穗以後 登熟期間中의 葉綠素含量, 葉面積, 粒重發特性 關係形質을 調査하였다. 1. 出穗期 葉綠素含量은 全般的으로 適期栽培보다 晩期栽培에서 낮았으며, 適期에서는 組合間 平均差異가 없고 變異係數는 早生統一/T(N)1, 水原 264/T(N)1 및 早生統一/水原 264가 各各 15.4, 15.3, 17.4%이었고, 晩期栽培에서는 變異係數가 24.1, 16.4, 19.6%이었으며, 晩期栽培에서는 葉綠素含量이 높은 個體數가 적었다. 出穗後 30日의 葉綠素含量은 適期에서 早生統一/T(N)1, 水原 264/T(N)1, 早生統一/水原 264의 平均이 3.03, 2.71, 2.96㎎/g dry wt.이었고, 變異係數가 28.5 34.6 33.5%이였으며, 晩期栽培에서는 平均이 2.23, 2.30, 2.48㎎/g dry wt. 變異係數가 39.2, 32.7, 28.3%이었다. 2. 出穗期의 葉面積은 適期와 晩期의 分布 差異가 없었고, 組合間에 差異가 없었다. 出穗後 30日의 葉面積은 變異係數가 早生統一/T(N)1, 水原 264//T(N)1 및 早生統一/水原 264의 各組合에서 適期는 27.1, 18.4, 21.8%이었고 晩期에서는 21.0, 18.4, 22.4%이었고, 組合間에는 平均間差가 컸다. 3. 出穗後 30日동안 減少된 葉綠少量에 對한 變異係數는 適期栽培에서 早生統一/T(N)1, 水原 264/T(N)1 및 早生統一/水原 264의 各 組合은 28.3, 27.0, 31.7이였고, 晩期栽培에서는 各各 39.9, 35.0, 28.4이었다. 4. 適期栽培에서는 모든 組合이 出穗後 20日, 30日 및 最終粒重의 分布樣相이 비슷하였으나, 晩期栽培에서는 各各 다른 分布樣相을 보였다. 5. 出穗期間은 適期栽培에서 모든 組合들이 25日 程度였고, 早生統一/T(N)1 組合의 平均 出穗日은 다른 두 組合보다 平均 出穗日이 7日程度 빨랐으나, 晩期栽培에서는 그 差異가 적어졌다. 6. 出穗가 늦어진 個體는 葉綠素含量이 낮아지는 傾向이었으나, 出穗가 늦은 個體들 中에서 葉綠素含量이 높은 個體도 많았다. 出穗期의 葉面積은 出穗期와 正의 相關이었는데, 出穗後 30日의 葉面積과 出穗時期와는 適期에서 負의 相關이었고, 晩期에서는 正의 相關이었다. 晩期栽培에서는 出穗가 늦어짐에 따라 葉綠素含量의 減少는 적었고, 葉面積의 減少는 出穗期와 正의 相關關係였다. 7. 出穗期 葉面積과 出穗기 葉綠素含量과는 相關關係가 없었고, 出穗後 30日의 葉綠素含量과 出穗後 30日의 葉面積과는 正의 相關關係였다. 8. 出穗期 葉綠素含量과 出穗期 20日, 30日 및 最終粒重과는 正의 相關關係이었고, 出穗後 30日의 葉綠素含量과 適期栽培의 出穗後 20日, 30日의 粒重과도 正의 相關關係였다. 9. 出穗期의 葉面積과 粒重과는 相關關係가 없었다. 出穗後 30日의 葉面積은 出穗後 30日 및 最終粒重과 正의 相關關係였다. 10. 晩期栽培에서 葉綠素 減少量과 出穗後 30日 및 最終粒重과는 正의 相關關係이었다. 適期 및 晩期栽培에서 모두 葉面積 減少率 및 葉身 老化指數는 出穗後 30日 및 最終粒重과는 負의 相關이었다. 11. 出穗後 20日의 粒重과 乾物蓄積速度와는 가장 높은 相關關係였고, 出穗後 20日의 乾物蓄積程度와 出穗後 30日의 乾物蓄積程度도 正의 相關이 있었다. 그러나 最終粒重과 乾物蓄積程度와는 相關이 없었다. 12. 出穗後 20日에 最終粒重에 하는 個體數는 組合에 따라 다르고 出穗後 20日에 이미 最終粒重에 달하는 個體가 30% 程度되는 組合도 있었다. The segregation mode in the late season culture (June 15 transplanting) of chlorophyll content of leaves, and alive leaf area during grain filling period and filling of grains in F₂ progenies of the rice varieties was compared to that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June 5 transplanting) to improve selection method of the cold susceptible IndicaxJaponica rice progenies for better grain filling under cooler climate of ripening. IndicaxJaponica varieties, Josaengtongil and Suwon 264 were crossed each other and with Taichung Native 1; Josaengtongil/T(N) 1, Suwon 264/T(N), and Josaengtongil/Suwon 264. Twentyfour, 10, and 20 F₁ plants from each of the above crosses, Respectively, were grown and harvested in bulk. The 1,000 F₂ individuals per combination were cultured and observed in the field for each seasonal cultur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heading, the chlorophyll content was lower in the late season culture than in the ordinary. Differences among the means of chlorophyll content in F₂progeni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and there were fewer individuals with high chlorophyll content in the late season culture than in the ordinary. The coefficients of variance (C.V.) obtained from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content at heading in the F₂progenies of Josaengtongil/T(N) 1, Suwon 264/T(N) 1 and Josaengtongil/Suwon 264 were estimated to be 15.4, 15.3, and 17.4%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and 24.1, 26.4 and 19.6% in the late season culture, respectively. At 30 days after heading, each combination averaged 3.03, 2.71, 2.96mg/g. D.M. in the late season culture. The coefficients of variance obtained from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content at 30 days after heading in each cross were 28.5, 34.6, 33.5%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and 39.2, 32.7, 28.3% in the late season culture. 2. At heading, there observed the similar distribution of leaf area in the F₂progenies in both of the ordinary and the late season cultur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eans of the leaf area in the F₂progenies. At 30 days after heading, the C.V.s in the three F₂progeny groups were 27.3, 18.4, 21.8%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and 21.0, 18.4, 22.4% in the late season culture, showing great differences among means of leaf area in the progenies. 3. For the C.V.s obtained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decreased amount of chlorophyll during 30 days after heading, the three F₂progeny groups, Josaengtongil/T(N) 1, Suwon 264/T(N) 1 and Josaengtongil/Suwon 264, showed 28.3, 27.0, 31.7%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and 39.9, 35.0, 28.4% in the late season culture, respectively. 4. In all F₂progenies grain weight at 20 and 30 days after heading and at maturity were similar in mode of segregation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but different in the late season culture. 5. Duration from initial to final heading was about 25 days in all crosses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and average growth duration to head was shorter in the Josaengtongil/T(N) 1 than the other crosses by 7 days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F₂progenies in the late season culture. 6. The chlorophyll content of the individuals tended to decrease with heading date delay, but even among the individuals of late heading, many of them also showed high chlorophyll content. In both cultivated seasons, the leaf area at heading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growth duration to head while the leaf area at 30 days after head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growth duration to head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but positively. in the late seasonculture The de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got smaller with the heading date in the late season culture, and the decrease in leaf a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ading date. 7. The leaf area at heading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lorophyll content at heading, while the leaf area at 30 days after heading was positivelycor related to the chlorophyll content at 30 days after heading. 8. In both cultivated seasons, the chlorophyll content at head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rain weight at 20 and 30 days after heading, and that at 30 days after heading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rain weight at 20 and 30 days after heading only in the ordinary season culture. 9.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af area at heading and grain weight, but the leaf area at 30 days after head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rain weight at 30 days after heading and at harvest. 10. In the late season culture, the decreased amount of chlorophyll during 30 days after head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rain weight at 30 days after heading and at harvest. The decrease in leaf area during 30 days after heading and the leaf senescence index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grain weight at 30 days after heading and at harvest in both cultivated seasons, each other. 11. There w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ain weight and the grain filling rate at 20 days after heading and there was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ain weight at 20 days and that at 30 days after head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rain weight at 20 days and 30 days after heading and grain weight at harvest. 12. The number of F₂progenies, which reached the physiological maturity at 20 days after heading, varied with crosses, and in the cross of Josaengtongil/Suwon 264, the fully ripened F₂progenies at 20 days after heading amounted to about 30%.

      • KCI등재

        불량식미쌀에 대한 우량식미쌀 및 찹쌀의 혼합과 쌀의 품종간 혼합이 밥맛에 미치는 영향

        權容雄,全遇滂,崔海椿 韓國作物學會 199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6 No.4

        우리나라에서의 미곡의 유통은 통일계와 일반계는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미가 다른 품종간에는 대부분 구분되지 않고 혼합되어 관리·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쌀의 식미는 품종간에 차이가 크고 국민들은 양식미쌀을 선호하므로 저식미쌀에 찹쌀, 또는 고식미쌀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식미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와 밥맛이 다른 품종들의 쌀을 일정비율로 혼합했을 때 밥맛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료는 1987년 및 1989년산 통일계벼, 1990년 고성 및 부여산 일반계, 1989년산 통일계 삼강벼. 일반계낙동벼. 1990년산 추청벼, 동진벼 및 진부10호를 식미관능검사 1주일 전에 12분게로 도정하여 사용하였고 시판되는 최고가의 이천쌀과 일반계 찹쌀 상품을 공시하였으며, 식미관능검사는 국립농산물검사소 검사반과 작물시험장 미질 검정실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저식미찰(일반계)에 시판 고식미쌀을 중량비 80%까지 혼합하여도 식미향상은 없었으나 동진벼쌀(고식미)을 80% 혼합했을 때에는 동진벼쌀과 동등한 평점을 얻는 식미향상효과가 있었다. 중식미쌀에 시판 시판 고식미쌀을 80% 혼합한 경우는 식미가 크게 향상되었다. 2 식미가 불량한 통일계 고미('87, '89년산)에 시판되는 일반계 찹쌀상품을 20% 혼합하였을 때 식미가 향상되었으나, 중하위 식미의 통일계 중상위 식미의 일반계쌀에는 찹쌀 20% 혼합시에도 유의적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중위 및 상위 식미품종인 낙동벼, 동진벼, 추청벼 간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한 경우 단일품종과 비교하여 일정한 경향의 유의적 식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1989년산간에 평균평점차이가 뚜렷해졌으나 통일계벼는 1987, 1988, 1989년산간에, 일반계벼는 1989년산과 1990년산간에 밥맛평가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3. 정부양곡보관창고들 중 특급창고와 1급창고에 보관했던 일반계 벼간에는 3개조사지역 모두 현미지방산도와 밥맛평가면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2급창고는 3개지역 모두에서 지방산도가 약간 높고 밥맛평점이 약간씩 낮았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 Demand for the rice of better eating quality is ever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the rice is presently handled by the government and merchants as mixture of the rice of different varieties from the purchase of the rough rice to storing and milling. It is well known that the eating quality of rice varies significantly by variety. The present study aimed at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lending different rices on the change in palatability of low and high eating quality rices. The eating quality of a low quality japonica ri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on sensory panel test by blending it with the Dongjin rice. one of the highest eating quality. only when the Dongjin was blended to 80 percent by weight. and also it was same for blending an ordinary quality rice of mixed varieties which has been stored by a governmental storehouse with a top class rice on free market. The eating quality of aged Tongil type rice. produce of 1987 and 1989 and a mixture of varieties,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blending it with a high quality glutinous rice on market to 20 per cent by weight. But Samgang rice. a high eating quality Tongil type variety. and an ordinary quality rice of Japonica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by blending them with the glutinous rice by 20 per cent. Blending rices of the variety Nagdong. ordinary quality among varieties and low quality among Japonicas, Chucheong, a high quality rice among Japonicas. and Dongjin. one of the best eating quality rice among Japonicas, each other in different ratios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sensory scores.

      • KCI등재

        수도의 유묘기 냉해에 관한 연구 II. 주요 신품종들의 제 3 엽기 내냉한계

        권용웅,김주헌,오윤진,이문희,Kwon, Y.W.,Kim, J.H.,Oh, Y.J.,Lee, M.H. 한국작물학회 1979 한국작물학회지 Vol.24 No.2

        Indica \times Japonica 교잡에 의해 육성된 수도신품종들의 유묘기 내냉한계와 내냉발현특성을 Janica품종들과 비교 고찰하고자 10개 품종을 유묘기 내냉성이 제일 약한 제 3 엽기에 주간 11\circ C야간 5\circ C의 저온조건에 0, 3, 4, 5, 8, 10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전후에 주야 26\circ C / 18\circ C에서 생장한 파종 후 35일묘의 건물중이 무처리묘의 90% 이상이 되는 최장저온처리기간은 신품종들의 경우 0.8~2.8일 간으로써 특히 조생통일이 짧고 밀야 2003가 길었으며, Japonica 품종들의 경우 4.0~5.2일간으로써 신품종들보다 가역적 내냉한계기간이 배정도 길었다. 2. 저온처리에 따른 냉해발현 종료후 묘생존율이 90%이상되는 최장저온처리기간은 신품종들의 경우 3.0~5.6 일간으로써 수원 258호가 제일 짧고 수원 25001가 제일 길었으며, Japonica 품종들은 공시품종 모두 10일간 이상으로 신품종들보다 비가역적 내냉한계기간이 2~3배 이상 길었다. 3. 저온처리중 엽신변색고사율(y_1) 및 묘고사율(y_2), 저온처리 후 발현된 모신변색고사율(y_3), 묘고사율(y_4), 냉해를 받은 35일묘의 초장(y$_{5}$)과 건물중(y$_{6}$)은 모두 저온처리기간(x)과 고도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는데 특히 y_1, y_3, y$_{6}$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y_1~y$_{6}$들 상호간에도 모두 고도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특히 y_1과 y_3, y_3와 y$_{6}$의 상관성이 컸다. 4. 냉해징상들의 발현순서와 상태들간의 상관성 분석결과로부터 가역적 및 비가역적, 직접적 및 간접적 냉해의 발생과 그들의 복합현상으로써 결과되는 관찰되는 냉해징상의 발현과정 모식도를 작성하여 그림 5에 제시하였다. 5. 수도유묘의 내냉성 평가에 있어서 가역적 피해와 비가역적 피해를 종합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냉해를 나타내는 조사형질들 중 냉해에 가장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건물중율을 1차요인으로 취급할 것으로 제의한다. Comparative tolerance of the new rice varieties from Indicax Japonica cross to elastic and plastic chilling injuries was examined at the 3rd leaf-stage, the most sensitive stage to chilling during nursery, using a chilling chamber set 11\circ C, 13hrs. 20K lux day/5$^{\circ}C$ night. Seedlings were reared until 35 days after seeding in a 26\circ C, 13hrs. day / 18\circ C night chamber except the period of chilling treatment for 0, 3, 4, 6, 8 or 10 days. The new varieties were approximately twice susceptible to elastic injuries, and thrice susceptible to plastic injuries than the Japonica varieties in the term of chilling duration. Among the variables indicating apparant chilling injuries the reduction in dry matter responded most sensitively and differentiated well the varietal difference in chilling resistance even with shorter chilling period. Sequential aspects of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pparant chilling injuries are discussed and a schematic diagram is presented as Fig. 5 in the text.

      • KCI등재
      • KCI등재

        수도의 유초기 냉해에 관한 연구 1 : 유묘기 엽령별 냉해발현 및 회복양태

        權容雄,金柱憲,安壽奉 韓國作物學會 197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4 No.1

        수도 유초의 초분별 냉해발견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품종 진흥, 철원 001, 통일, 유신을 재료로 주간 26℃ 13시간 (광도 20,000 lux) / 야간 18℃ 11시간의 인공기상실에서 생장한 유초를 초령 1, 2, 3, 4, 5 엽기에 각각 처리기간을 2, 4, 6, 8 일간으로 달리하여 주간 11℃ 13시간 (광도 20,000lux) / 야간 6℃ 11시간의 저온처리를 한 후 주간 26℃ / 야간 18℃ 조명실로 옮겨 파종일로부터 30일간 생장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후 냉해에 의한 유초의 고사 현상은 처리후 3일간에 종료되었으며 초령별 유초생존율은 Japonica 품종 진흥은 모두 100%, 철원 001는 2엽기와 3엽기에 각각 8일간 저온 처리구에서만 95% 정도이었고 그 밖에는 100%이었으며, IndicaxJaponica 교배품종들은 품종, 초령, 기간별로 내냉성이 달랐는데 제 1, 2, 3, 4, 5 엽기 별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저온처리 최장기간은 통일의 경우 4, 6, 1, 4, 8 일이었고 유신은 6, 6, 1, 4, 2일이었다. 2. 저온처리 종료후 과온에 3일간 냉해를 발견시켰을 때 진흥과 철원 001는 1~5 엽기 모두에서 8일간 처리를 하여도 냉해로 인해 엽신이 고사하지 않고 6~8일간 처리할 경우 극미한 백반이 다소 형성될 뿐이었으나 통일과 유신은 엽신의 황적변고사현상이 심하였는데 처리기간이 길수록, 노엽일수록 심하였고 완전전개한 신엽이 처리후 엽면적의 10% 이하 고사하는 범위의 내냉한계는 4일 미만의 저온이었다. 3. 저온처리기간중에는 모든 품종이 각엽기 모두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체 되었으며 처리종료 후에는 신장을 재개하였으나 각엽기 모두 저온기간이 길수록 신장속도가 감소되었으며, 진흥은 1, 4, 5 엽기, 철원 1 호는 1, 4 엽기, 유신은 1 엽기에 2일간 처리할 경우에만 무처리구와 같은 정도로 회복되었고, 그밖에는 저온기간중 생장이 정체된 차이를 보상하지 못하였다. 4. 파종후 30일간 생장한 묘의 건물중은 저온처리후 엽신이 정상이었고 표생존율도 95% 이상이었던 처리구의 묘에서도 감소가 있었으며 건물중이 무처리구묘의 90% 이하가 되지 않는 저온처리한계기간 (최대가역장해기간)은 제 1, 2, 3, 4, 5 엽기별로 진흥 2, 3, 4, 4, 4 일간, 철원 001 4, 1, 1, 2, 1 일간, 통일 2, 0.5, 0.5, 1, 2 일간, 유신 4, 1, 0.5, 1, 1 일간이었다. 5. 냉해에 의한 엽신변색고사와 초장신장억제는 실용상 중요한 묘고사율 및 묘건물중과의 관계가 뚜렷하지 않았고 품종 및 묘령별 내냉성의 차이를 분화시키지 못하였으나 묘고사율은 뭄종간 내냉성의 차이를 충분히 분화시켰으며 묘건물중은 외견상 냉해치상이 없을 경우에도 감소되고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므로 유묘내냉성검정은 고사율과 건물중증가억제율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6. 저온처리 및 내냉발견 후에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최장처리기간과 생존묘의 묘대말기 건물중이 무처리구의 90% 이하가 되지 안흔ㄴ 최장처리기간은 품종별 묘령별로 각각 달랐음로 이둘 두 요인의 값을 곱하여 내냉성종합평점으로 표시하면 진흥은 1, 2 엽기, 철원 001는 2, 3 엽기 통일과 유신은 3엽기에 약하였고 최저기온 0℃ , 최고기온 15℃ , 평균기온 8℃ 의 온도조건하에서 육묘할 경우 비가역적 생장조해를 받을 위험이 없는 최장저온기간으 대체로 보아 진흥 3일, 철원01 2일, 통일과 유신 각각 1일이었다. 7. 주간 11℃ /야간 6℃ 의 저온조건하에서 유묘기내냉서의 품종간 차이를 가장 잘 분화시키는 방법은 묘령 2~3 엽기에 6일간 저온처리한 후 10일간 상온에서 발견시키고 고사율과 건물생장억제율을 조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characterize elastic and plastic chilling injury, rice seedlings grown at 28/16~circC day/night temp. under 20K lux (13hrs.) in a phytotron were subjected to a 11/6~circC , 20K lux condition for 2, 4, 6 or 8 days at 1, 2, 3, 4 or 5th leaf-stage, respectively, followed by further growth under 28/16~circC condition till 30th day after seeding. Japonica variety Jinheung and Chulwon No.1 survived almost 100% without any significant , discoloration and death of leaves due to chilling even under the chilling of 8 days at all seedling ages tested. Tongil and Yushin, varieties from Indica x Japonica cross, showed increasing discoloration of leaves and death of plants with increase in chilling intensity. The longest chilling duration shown seedling death less than 5% was 4, 6, 1, 4, 8 days for Tongil, and 6, 6, 1, 2, 2, days for Yushin at 1, 2, 3, 5th leaf-stage, respectively.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nd death of leaves or suppression of height growth was not explicitly related to seedling death or the dry weight reduction. The degree of seedling death or dry weight reduction could differentiate chilling tolerance of varieties and seedling ages, but somewhat differently. Reduction in dry weight due to chilling occurred even without any visible injury or seedling death. These suggest that both the degree of seedling death and reduction in dry weigh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st of varieties for chilling tolerance. Combined evaluation of seedling death and dry weight reduction indicated the most susceptible seedling age to chilling injury to be 1 to 2nd leaf-stage for Jinheung, 2 to 3rd leaf-stage for Chulwon No.1, 3rd leaf- stage for Tongil and Yushin,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