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재진,윤소향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광고연구 Vol.0 No.76
본 연구는 유권자의 이념 성향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이념 성향과 메시지 성향의 적합성이 높을 때, 메시지 설득력이 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보 성향의 사람들은 현실문제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 및 정책을 제시하는 메시지에 보다 피설득적인 반면, 보수 성향의 사람들은 현실문제에 대한 비판 없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 및 정책만을 제시하는 메시지에 보다 피설득적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결과 이념 성향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진보 성향의 사람들에게는 현실 비판이 있는 메시지가 보다 설득적인 반면, 보수 성향의 사람들에게는 메시지에 따른 설득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이념 성향에 관계없이 현실 비판이 있는 메시지가 보다 설득적인 경향이 있으나, 이는 진보적 성향의 사람들에게서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 없이 구성된 메시지는 보수 성향의 사람들에게 더욱 설득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seeks to expand the knowledge on the effect of political advertisements to the effectiveness of message frames in respect to the voter’s ideology. By means of an experimental design, the impact of political advertisements on voting intentions in a mock presidential election was investigated. While people who have liberal political orientation find the campaign ad more persuasive when it contains strong criticisms regarding educa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conservative voters show no difference to the political ads in which messages of explicit criticisms are present or not. Further examinations on the intera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reveal that attacks and criticisms in the ads account for greater persuasiveness across ideological groups, yet the impact is stronger when liberal voters are exposed to political ad messages constructed with criticisms and political attacks.
중국의 경상계정 불균형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거시경제적 함의
박재진 대한중국학회 2012 중국학 Vol.42 No.-
In recent years China has experienced two forms of extreme macroeconomic imbalance: an expenditure imbalance in the sense of very high investment and very low consumption, giving rise to rapid capital accumulation; and an imbalance between expenditure and production, producing external imbalance, i.e. a huge surplus on the current account of the balance of payments.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the external imbalance in China, and reviews the factors underlying the pre-2008 rising and the post-2008 drop in China’s current account surplus. The paper says that China’s current account surplus must be modest in recent year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China’s recent current account is likely to stay below its precrisis range, it is too early to conclude that “rebalancing” has been truly achieved in China. Certainly, the policy thrust of the 12th Five Year Plan is very much focused on raising household income, boosting consumption, and facilitating an expansion of the service sector. In the coming years, if these ongoing structural reforms are implemented, China does have the potential to hand-off from an investment-driven to a consumption-driven decline in its external imbalance.
박재진,오상우,박경애,이민선,장재철,이문진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3
As the international trade increases, vessel traffic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also increasing. Maritime accidents hence take place more frequentl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ere many big and small ports are located. Accidents involving ship collision and sinking result in a substantial human and material damage as well as the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cate the ships quickly when such accidents occur. In this study, we suggest a new ship detection index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vity of each channel of the Korea Multi- Purpose SATellite-2 (KOMPSAT-2) images of the area around the Gwangyang Bay. A threshold value of 0.1 is set based on a histogram analysis, and all vessels are detected when compared with RGB composite images. After selecting a relatively large ship as a representative sample, the distribution of spatial reflectivity around the ship is studied. Uniform shadows are detected on the northwest side of the vessel. This indicates that the sun is in the southeast, the azimuth of the actual satellite image is 144.80o, and the azimuth angle of the sun can be estimated using the shadow position. The reflectivity of the shadows is 0.005 lower than the surrounding sea and ship. The shadow height varies with the position of the bow and the stern, perhaps due to the relative heights of the ship deck and the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search technology for missing vessels using optical satellite images in the event of a marine accid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국제 해상교통량 및 물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반도 주변해역의 선박유동량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크고 작은 항구가 위치하고 있는 남해에서의 해양 사고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선박간의 충돌 및 침몰 사고는 인적 및 물적 피해뿐만 아니라 해양환경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광역의 범위를 고해상도로 볼 수 있는 인공위성을 통한 신속한 선박탐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학 인공위성 아리랑 2호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광양만 인근해역의 각 채널 별 반사도 값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선박탐지지수를 제시하였다. 선박 분류를 위해 그 선박탐지지수의 역치를 0.1로 설정하였고, RGB 합성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대다수의 선박을 탐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연구해역에 포함되어 있는 큰 규모의 선박을 선정 후, 선박 주변의 공간적 반사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박 북서방향에 위치한 균일한 형태 의 선박그림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태양의 위치가 남동방향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 위성영상 이 촬영된 시기의 방위각은 144.80o로 영상내의 그림자의 위치를 통해 태양의 방위각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림자의 반사 도는 주변 바다 및 선박에 비해 낮은 0.005 값을 나타냈고, 선수 및 선미에 따라 높이차가 달라짐을 보였다. 이는 선박 의 갑판 및 구조물의 높이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연안 해상사고 발생 시 실종선박 수색기술에 고 해상도 광학 인공위성 영상이 활용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초분광 원격탐사 기반 항공관측 및 현장자료를 활용한 선박탐지
박재진,오상우,Pierre-Yves Foucher,장재철,이문진,박경애,김태성,강원수 한국지구과학회 2017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8 No.7
Maritime acciden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increasing, and the ship detection research using remote sensing data is consequently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presented a new ship detection algorithm using hyperspectral images that provide the spectral information of several hundred channels in the ship detection field, which depends on high resolution optical imagery. We applied a spectral matching algorithm between the reflection spectrum of the ship deck obtained from two field observations and the ship and seawater spectrum of the hyperspectral sensor of an airborne visible/infrared imaging spectrometer. A total of five detection algorithms were used, namely spectral distance similarity (SDS), spectral correlation similarity (SCS), spectral similarity value (SSV), spectral angle mapper (SAM), and spectral information divergence (SID). SDS showed an error in the detection of seawater inside the ship, and SAM showed a clear classification result with a difference between ship and seawater of approximately 1.8 times. Additionally,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vessels included in hyperspectral images by presenting the adaptive thresholds of each technique. As a result, SAM and SID showed superior ship detection a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other detection algorithms. 한반도 주변 해상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선박탐지 연구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있다. 이 연구는 고해상도 광학영상에 의존하는 기존 선박탐지 분야에 수백 개 채널의 분광정보를 포함하는 초분광영상을 활용하여 새로운 선박탐지 알고리즘 제시하였다. 두 차례의 현장관측을 통해 측정한 선박 선체의 반사 스펙트럼과 AVIRIS (Airborne Visible/Infrared Imaging Spectrometer) 초분광센서 영상의 선박 및 해수 반사 스펙트럼 간의 분광정합 기법을 적용하였다. 총 다섯 개의 탐지 알고리즘 spectral distance similarity (SDS), spectral correlation similarity (SCS), spectral similarity value (SSV), spectral angle mapper (SAM), spectral information divergence (SID)를 사용하였다. SDS는 선박 일부가 해수로 탐지되는 오차를 나타내었고, SAM은 선박과 해수 사이에 약 1.8배의 차이를 나타내어 명확한 분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각 기법의 최적 임계값을 제시하여 초분광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선박을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 SAM, SID가 다른 탐지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선박탐지 능력을 보여주었다.
박재진,이용환,공성형,김서연,강석찬 한국식물병리학회 2014 Plant Pathology Journal Vol.30 No.2
Although multiple transcription factors (TFs) have been characterized via mutagenesis to understand their roles in controlling pathogenicity and infection-related development in Magnaporthe oryzae, the causal agent of rice blast, if and how forkhead-box (FOX) TFs contributeto these processes remain to be characterized. Four putative FOX TF genes were identified in the genome of M. oryzae, and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ed that two of them (MoFKH1 and MoHCM1) correspond to Ascomycota-specific members of the FOX TF family while the others (MoFOX1 and MoFOX2) are Pezizomycotina-specific members. Deletion of MoFKH1 (ΔMofkh1) resulted in reduced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abnormal septation and stress response, and reduced virulence. Similarly, ΔMohcm1 exhibited reduced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Conidia of ΔMofkh1 and ΔMohcm1 were more sensitive to one or both of the cell cycle inhibitors hydroxyurea and benomyl, suggesting their role in cell cycle control. On the other hand, loss of MoFOX1 (ΔMofox1)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hanges in development, pathogenicity,and stress response. Deletion of MoFOX2 was not successful even after repeated attemp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FKH1 and MoHCM1are important in fungal development and that MoFKH1 is further implicated in pathogenicity and stress response in M. oryzae.
정치광고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1987년-2021년까지의 153편 정치광고 연구를 대상으로
박재진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so far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rough classification units such as research trends, research purposes, research methods, research subjects, major theories and variables. From 1987 to the present,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53 studies related to political advertising publish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communication. Most of the studies were on the characteristics of voters, followed by studies on message characteristics. Quantitative research was dominated, and exploratory research was more common than theoretical research. Only about 15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ory, and less than 11 theories were applied.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surveys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mainly students who were convenient sampl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political advertising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정치광고와 관련한 개별 연구들을 년 도별 연구 추이,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주요 이론 및 변인 등의 분류 체계를 통해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고 향후 진행되어야할 연구방향을 제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198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53편의 정치광고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권자의 특성을 다룬 효과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메시지 특성에 관한 연구였다.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론에 입각한 연구보다는 탐색적 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약 15편의 연구만이 이론에 기초한 연구를 하였으며, 적용된 이론도 11개 정도였다. 설문, 실험 연구 등에 참여한 대상자는 주로 편의적 표본인 학생들이었다. 외국의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는 등의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해서도 논의되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자료를 활용한 SMAP 인공위성 염분 검증
박재진,박경애,김희영,이은일,변도성,정광영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5
Salinity is not only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density of the ocean but also one of the main parameters representing the global water cycle. Ocean salinity observations have been mainly conducted using ships, Argo floats, and buoys. Since the first satellite salinity was launched in 2009,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sea surface salinity in the global ocean using satellite salinity data. However, the satellite salinity data contain various errors, it is necessary to validate its accuracy before applying it as research data. In this study, the salinity accuracy between the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 satellite salinity data and the in-situ salinity data provided by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as evaluated, and the erro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rom April 2015 to August 2020. As a result, a total of 314 match-up points were produced,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mean bias of salinity were 1.79 and 0.91psu, respectively. Overall, the satellite salinity was overestimated compare to the in-situ salinity. Satellite salinity is dependent on various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aso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wind speed. In summ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ellite salinity and the in-situ salinity was less than 0.18 psu. This means that the accuracy of satellite salinity increases at high SST rather than at low SST. This accuracy was affected by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Likewise, the error was reduced at wind speeds greater than 5 m s−1. This study suggests that satellite derived salinity data should be used in coastal areas for limited use by checking if they are suitable for specific research purposes. 염분은 해양의 밀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자 전지구 물의 순환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이다. 해상염분 관측은 선박을 이용한 현장조사, Argo 플로트, 부이를 통한 조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 2009년 염분관측 인공위성이 발사한 이래로, 위성 염분자료를 이용하여 전 지구 해역에서 표층 염분 관측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위성 염분자료는 다양한 오차를 포함하기 때문에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에 앞서 정확도 검증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4월부터 2020년 8월까지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 위성 염분자료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제공하는 실측 염분자료 간의 정확도 및 오차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314개의 일치점을 생산하였으며, 염분의 평균제곱근오차 및 평균편차는 각각 1.79, 0.91 psu로 제시되었다. 전반적으로 위성 염분이 실측 염분보다 과대추정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 염분의 오차는 계절, 표층 수온, 풍속과 같은 다양한 해양 환경적 요인에 의존성을 보였다. 여름철 위성 염분과 실측 염분의 차이는 0.18 psu 이하로 저수온보다는 고수온에서 위성 염분의 정확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센서의 민감도에 따른 결과였다. 마찬가지로 5ms−1 이상 풍속 조건에서 오차가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는 연안에서 위성 염분자료를 활용할 경우에는 특정한 연구 목적에 적합한지 확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하여야 함을 제시한다.
박재진,박경애,Pierre-Yves Foucher,김태성,이문진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6
The increased transport of marine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has resulted in frequent HNS spill accident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re are about 6,000 species of HNS internationally, and most of them have toxic properties. When an accidental HNS spill occurs, it can destroys the marine ecosystem and can damage life and property due to explosion and fire. Constructing a spectral library of HNS according to wavelength and developing a detection algorithm would help prepare for accidents. In this study, a ground HNS spil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France. The toluene spectrum was determined through hyperspectral sensor measurements. HNS present in the hyperspectral images were detected by applying the spectral mixture algorithm. Preproces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moved noise and performed dimensional compression. The endmember spectra of toluene and seawater were extracted through the N-FINDR technique. By calculating the abundance fraction of toluene and seawater based on the spectrum, the detection accuracy of HNS in all pixels was presented as a probability. The probability was compared with radiance images at a wavelength of 418.15 nm to select abundance fractions with maximum detection accuracy. The accuracy exceeded 99% at a ratio of approximately 42%. Response to marine spills of HNS are presently impeded by the restricted access to the site because of high risk of exposure to toxic compounds. The present experimental and detection results could help estimate the area of contamination with HNS based on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국내외 해상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물동량 증가와 함께 HNS 유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HNS는 전 세계적으로 약 6,000여 종으로 대부분 유독한 성질을 가지므로 이러한 유출 사고 발생은 해양 생태계 파괴를 비롯하여 폭발 및 화재 등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한다. 따라서 해상 HNS 유출 사고를 대비하여 파장에 따른 HNS 분광 라이브러리 구축 및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 현지에서 지상 HNS 유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분광센서 관측을 통해 파장에 따른 톨루엔 라이브러리 스펙트럼을 구축하였으며, 분광혼합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초분광 HNS를 탐지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노이즈 제거 및차원 압축을 수행하였으며, N-FINDR 기법을 통해 영상을 대표하는 톨루엔과 해수의 엔드멤버 스펙트럼을 추출하였다. 스펙트럼 기반의 톨루엔 및 해수의 점유비율을 계산함으로써 모든 픽셀의 HNS 탐지 정확도를 확률로 제시하였다. 최대탐지 정확도를 가지는 점유비율 선정을 위해 418.15 nm 파장의 복사도 영상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약 42%의 비율에서 99% 이상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해상 HNS 유출은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본 HNS 실험과정 및 탐지 결과는 초분광 원격탐사에 기반한 HNS 오염 해역 추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박재진,주현도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2 전남대 지역개발연구소 기획도서 Vol.10 No.-
본 장은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광주지역의 경제발전 과정을 생산, 고용, 물가, 대외거래, 금융 등 분야별 수치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광주지역이 어떻게 성장해 왔으며 경제구조는 과거와 어떻게 달라졋는지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