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周易)』 상(象)과 『장자(莊子)』 치언(卮言)의 은유투사 메커니즘— 인지언어학 방법에 의한 사유구조 규명과 해석틀 탐색

        박영우 한국중국학회 2024 중국학보 Vol.107 No.-

        In this article, I examined some traits of our cognitive process that the creative mechanism of meaning revealed in the ‘Zhan-Xiang’ process of Zhouyi, The Book of Changes, and of meaning captured in the pragmatic reading process of ‘Zhiyan’, goblet words or pouring words in Zhuangzi, are respectively ‘metaphorical projection’ that its inferential form is A=B or A→B. My purpose is to argue that it is based on common principles of reasoning in this paper. For demonstrating of the argument, I firstly tried to examine the term ‘metaphorical projec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erms of particularist view which holds that each individual have respectively an intrinsic system and mechanism of mind which according to her/his own self as ego, thereby confirm a common-methodological tool or theoretical frame when we read the literature texts of pre-Qin era, expecially such as Zhouyi and Zhuangzi. In ending of this paper, I draw my conclusion that the ‘metaphorical projection’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of text-reading, which applying from particularist position, correspond closely with a method of contemporary text reading. 이 글은 주역 의 ‘占-象’ 과정에서 드러나는 의미생성 기제와 장자 의 ‘巵言’의 화용론적 독해과정에서 포착되는 의미생성의 기제가 각각 ‘은유투사’라는 마음의 인식과정에서 인간의 공통적이고 근본적인 사유원리에 근거한다는 점을 논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은유투사’는 추론형식이 A=B 혹은 A→B와 같이 정의되며, 독자 개개인 저마다의 특수한 심리기제와 마음 체계의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동한다. 이 글에서는 인지언어학에서 ‘은유투사’의 개념이 ‘개별주의’적 입장에서 주역 과 장자 의 텍스트를 읽는 독해 방식을 하나의 공통된 ‘텍스트 읽기’의 개념틀 혹은 개념적 도구로써 활용하는 방법론적 틀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것이며, 나아가 ‘은유투사’라는 개념 틀을 개별주의적 입장에 입각하여 적용하려는 이론적 시도가 곧 현대적 텍스트 해독에서 하나의 중요한 해석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 Reye 症候群의 腦波所見

        朴寧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2 慶北醫大誌 Vol.23 No.2

        Reye 症候群의 腦波所見을 硏究하기 위해 1979년 12월부터 1982년 12월까지 慶北醫大附屬病院 腦波檢査室에서 腦波檢査를 實施한 이 症候群 患兒 8名의 腦波記錄과 그들의 臨床資料를 調査分析했던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腦波檢査를 實施한 8名中 5名에서 異常腦波를 나타냈는데, mild abnormality가 2名, moderate abnormality가 2名, marked abnormality가 1名이 었다. 그리고 異常腦波의 異常程度가 marked abnormality 또는 이보다 좋게 분류됐던 모든 患兒들은 완쾌되거나 호전되어 생명을 건졌다. clinical seizure는 이 急性疾患의 경과중 아주 빈번했다. 그러나 독특하게도 clinical seizure는 있었지만 epileptiform discharge의 發顯은 없었다. 그외 암모니아혈중농도, 肝기능, 뇌척수액압등은 EEG 변화와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아울러 장차 EEG on-line monitoring과 콤퓨터分析을 施行한다면 강력한 치료를 이 症候群의 어느 시기에 시작하는 가를 결정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study EEG findings in Reye's syndrome, the EEG records in relation with clincal data in 8 children who had been diagnosed as Reye's syndrome were analized. The selected examinee were those who had been taken EEG examin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s from Dec. 1979 to Dec. 1982. Out of total eight cases, five showed abnormal EEG; mild abnormality in two, and marked in one. All patient whose EEG was classified as marked abnormality or above survived. In seven cases, seizures were common during the courses of their illnesses. But, curiously, the athor could find little temporal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and electrographic seizures in seven cases. Blood ammonia, liver function, and CSF pressure were no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EEG changes. In the future, EEG on-line monitoring and computerized evaluation will likely be useful for aggressive therapeutic intervention.

      •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을 위한 사용자 적응형 필터링 방법에 관한 연구

        박영우,이은석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8 論文集 Vol.49 No.2

        It is very difficult for search engines to find the adequate information, which reflects user's interests that are changing with time on Internet. We need various learning techniques to know the user's interests with only given simple query, and to make adaptive Information Retrieval Ag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learning mechanism that can be used in making it easier the user profile from accepted relevant documents' terms. These documents are proposed by the user's relevance feedback and we select key-terms in the documents for making profile. With using this profile, we can filter the retrieved information and represent more relevant information to user. This approach has applied to an autonomous information gathering and filtering system, named IGIMA (Intelligent Information Gathering and Filtering System based on Multi-Agent).

      • KCI우수등재

        바람의 영향에 의한 관측 강우 손실에 대한 베이지안 모형 분석

        박영우,김영민,김용구,Park, Yeongwoo,Kim, Young Min,Kim, Yongk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3

        일반적으로 우량계로 측정된 강수량은 지상에 도달한 실제 강수량보다 적게 관측된다. 측정된 강수량이 실제 강수량 보다 적게 측정되는 것은 강수의 형태 (snow, fixed, rain)나 우량계의 종류 그리고 공간적인 특성에 의해 강수량의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Nitu, 2013). 이는 강수량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계통오차 (systematic errors)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고체 강수량의 계통오차는 보통 액체 강수량보다 크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에 의한 고체 강수량의 언더캐치(under-catch)를 알아보고, 겨울에 내리는 모든 강수의 형태 (snow, mixed, rain)에 대하여 연속조정함수를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고창 표준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객관적으로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을 선택하고 평가하기 위해 베이지안 분석을 이용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강수량 측정에서 Catch Radio의 계통적 구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보여주었다. Precipitation is one of key components in hydrological modeling and water balance studies. A comprehensive, optimized and sustainable water balance monitoring requires the availability of accurate precipitation data. The amount of precipitation measured in a gauge is less than the actual precipitation reaching the 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wind-induced under-catch of solid precipitation and develop a continuous adjustment function for measurements of all types of winter precipitation (from rain to dry snow), which can be used for operational measurements based on data available at standard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is study provides Bayesian analysis for the systematic structure of catch ratio in precipitation measurement.

      • KCI등재
      • Li^+이온이 주입된 D_2O 얼음의 열자극 발광 현상에 관한 연구

        박영우,황정남,이철주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7 學術論文集 Vol.19 No.-

        저온에서 편극시킨 탈이온수 얼음의 열자극 편극 소거 전류(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 ; TSDC)를 77K∼250K 범위에서 측정하여 Li^+ 이온이 주입된 D_2O 얼음의 이온공간전하 열자극 전류(Ionic Space Charge Thermocurrent ; ITC)와 열자극 발광(Thermoluminescence ; TL)을 측정하였다. D_2O 얼음의 TSDC인 경우는 173K에서 heterocharge가 나오고 200K에서 homocharge가 나온다. 이 때 heterocharge는 1차 kinetic임을 알았고, initial rise법으로 구한 활성화에너지는 0.16eV이다. D_2O 얼음의 heterocharge는 bulk에 의한 효과이고, homocharge는 공간전하에 의한 TSDC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속기를 이용해 Li^+이온을 주입시킨 D_2O 얼음의 TL을 조사해본 결과 114K(A-peak), 180K(C-peak)에서 3개의 TL peak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활성화에너지는 0.03eV, 0.15eV 및 0.29eV이다. 이중에 B-peak의 활성화에너지 값과 거의 일치하여 그 결과로 부터 B-peak의 근원이 이온공간전하에 의한 쌍극자 재정렬임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Thermally stimulated depolarization current(TSDC) has been measured in distilled and deionized water ic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7∼250K at a constant heating rate, and the ionic space charge thermocurrent(ITC) and thermoluminescence(TL) has been measured from Li^+ion implanted D_2O ice. In the case of TSDC of D_2O ice, the heterocharge give rise to 173K, while the homocharge give rise to 200K TSDC peak. The heterocharge peak TSDC is found to be 1st kinetic and that the activation energy is o.16eV using the initial rise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at the heterocharge is due to the polarization in the D_2O ice and the homocharge due to the ionic space charge, TL curve from Li^+ion implanted D_2O ice and the homocharge due to the ionic space charge, TL curve from Li^+ion implanted D_2O ice shows three peaks at 114K, 148K and 183K.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se TL peaks are 0.03eV, 0.15eV and 0.29eV,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for B-peak(0.16eV) is coincide with that of ITC peak which means that both TL peak and ITC peak are caused by the dipole reorientation due to ionic space charge. This approach to clarifies for the first time to my knowled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