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의 지역사회 기여형 문화복지 프로그램운영사례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마레 아티스트’의 경우 -

        조수정,임선애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2

        The ‘Amare Artists’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is a community welfare program which suggests some creative ways for the practice of Art after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is article intends to share the operation case of the ‘Amare Artists’(2014), extracurricular university program, which was supported by ACE(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ject of Government. The students, members of ‘Amare Artistes’, a kind of cultural planning teams, participated in various artistic activities: production work, performance, directing, planning, promotion, relations, etc. The members of ‘Amare Artists’ were all different majors. 7 teams of ‘Amare Artists’ consists of art majors; 9 teams, non art majors; 4 teams, art and non art majors mixt. They could learn very important valued of life such as leadership, communication, partnership, solidarity, challenge spirit, learning new things, self-efficiency, and problem solving skill, which could not have easily experienced in the 대학의 지역사회 기여형 문화복지 프로그램 운영사례 연구 69 classroom. The ‘Amare Artists’ is a good program improving the convergence cap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we expect its continuous operation and development. 본 논문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예술의 실천적 방안을 지역사회의문화복지 프로그램을 통해 모색하려는 의도로 시작한,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마레아티스트’ 프로그램(2014)의 운영사례를 공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ACE사업의지원으로 운영된 ‘아마레 아티스트’ 프로그램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비교과 프로그램 중의 하나였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지역사회에서 문화복지를실천하기 위한 일종의 ‘문화기획단’ 체험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작품제작, 공연출연, 연출, 기획, 홍보, 섭외, 진행 등 다양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실행하는 활동을 했다. 예술전공자로 구성된 7개 팀과 비전공자로 구성된 9 개 팀, 그리고 예술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연합으로 구성된 4개 팀 등 총 20개 팀, 100명이 참여한 프로그램이었다. 다양한 전공의 학부생으로 구성된 문화기획단이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기획과 진행에 있어서 서투른 면이 지적되기도 했지만, 강의실에서는 결코 체험할 수 없는 것들 – 리더십과 소통, 협동과 연대, 새로운것에 대한 탐구와 도전정신, 문제해결능력 등 전반적으로 자기효능감의 상승을가져온 프로그램이었다. 융복합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인 만큼,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한다.

      • KCI등재

        비잔티움의 ‘멜리스모스’ 도상연구

        조수정 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0

        Melismos is an image depicting the amnos(baby Jesus) on an altar with bishops celebrating the Eucharist. Sometimes deacons or angels are drawn together. It first appeared in Byzantine art in the second half of the 12th century, and most of it was produced in large-scale works such as interior decoration of churches. The earliest example is St. Georgius(1191) in Kurbinovo. Melismos is a symbolic image that testifies to the Incarnation of Christ. Like the Paschal Lamb, it contains the idea that Christ is the scapegoat that saves man from sin and death to eternal life. It is also a visual confirmation of the Christian faith that the Eucharistic offerings, bread and wine, are consecrated and transformed into the body and blood of Jesus Christ. It means that Christ, the Son of God, was born as a true human being and lived in this world, and is now living bread through the Eucharist, becoming food for eternal life to each of the believers. Melismos is a complex of symbols expressing the true God and true man, Christ. The chalice and the sacraments, the liturgical instruments, the bishop's scroll, the candle, the dove of the Holy Spirit, the bishops and angel-deacons, and even Amnos all visual elements reveal the theme of the Incarnation and Sacrifice of Christ for the salvation of man. If the mission of religious art is to convey the transcendent and invisible world in realistic and visible language, Melismos is probably one of the most perfectly fulfilled examples, even though it may seem unfamiliar to the eyes of modern people. 「멜리스모스」는 제대 위에, 혹은 성반(聖盤)이나 성작(聖爵)에 누인 아기 예수와 성찬례를 거행하는 주교들의 모습을 그린 도상이다. 때로 부제(副祭)나 천사가 함께 그려지기도 한다. 12세기 후반기 비잔티움 미술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교회 내부 장식처럼 규모가큰 작품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제작연대가 명확하게 알려진 최초의 예는 쿠르비노보(Kurbinovo)의 성 게오르기우스 성당(St. Georgius, 1191) 에 그려진 「멜리스모스」다. 「멜리스모스」는 상징적 도상으로서 그리스도의 육화를 증언한다. 파스카의 어린양처럼 그리스도는 인간을 죄와 죽음에서 영원한 생명으로 구원하는 희생양이라는 사상을 담고 있다. 또한성찬례의 봉헌물인 빵과 포도주는 축성되어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한다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시각적 확인이다.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는 역사의 한순간에 참 인간으로 태어나 이 세상에 사셨고, 현재 성찬례를 통해서 살아있는 빵으로 신자들 각자에게 영원한 생명을 위한 양식이 된다는 의미다. 결국 「멜리스모스」는 참 하느님이자 참 인간인 그리스도를 표현하는 상징의 복합체이다. 성작과 성합, 전례 용구, 주교의 두루마리, 촛불, 성령의 비둘기, 주교들과 천사-부제들, 그리고 암노스까지모든 시각적 요소들이 인간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육화와 희생이라는주제를 드러낸다. 초월적이고 비가시적인 세계를 현실적이고 가시적인언어로 전달하는 것이 종교미술의 사명이라면, 「멜리스모스」는 비록 현대인의 눈에는 생경하게 보일지라도 가장 완벽하게 임무를 수행한 예 중의 하나일 것이다.

      • KCI등재

        비잔티움 회화의 하데스(Hades): 그리스도의 발아래 짓밟히는 하데스 도상과 그 의미

        조수정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2 西洋中世史硏究 Vol.- No.50

        This study, centered on Byzantine <Anastasis>, examined how Hades of Greek mythology was established as a component of the Christian art, and tried to reveal its meaning. <Anastasis> with Hades, is a symbolic and abstract image reflecting Christian theology. This is because it is not one of a series of event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of Christ like <The Birth of Jesus> or <The Baptism of Jesus>, but outlines the entire work of Salvation for mankind and explains its significance. All the visual elements that compose <Anastasis> are symbols gathered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Salvation of mankind’ and ‘Atonement’ that was possible through Christ’s Death on the Cross. Hades also showed a change in iconography according to the emphasis of Byzantine theology. In the early days, it was painted at Adam's feet as a symbol of the world of the dead, in which the ancestors were imprisoned. However, during the Macedonian dynasty, it was portrayed as being trampled under the feet of Christ to emphasize the death of Christ and the Salvation of mankind. Hades, retaining the tradition of Hellenism, was drawn in Byzantine <Anastas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Apocrypha, liturgical books, and sermons on the Resurrection, and came to symbolize death as a result of sin and the power of the underworld. 'Hades trampled' is an additional element of <Anastasis>, bu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ealing the final purpose and meaning of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that is, the Salvation of mankind, symbolized by Adam and Eve, and the victory of Christ as the Savior. 본 연구는 비잔티움의 <아나스타시스>를 중심으로 그리스 신화의 하데스가 그리스도교 도상의 구성요소로 자리를 잡게 되는 과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하데스가 그려진 <아나스타시스>는 그리스도교 신학이 반영된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도상이다. <예수의 탄생>이나 <예수의 세례>처럼 그리스도의 생애에 해당하는 일련의 사건 중 하나가 아니라 인류 구원사업 전체의 윤곽을 드러내고 그 의의를 설명하기 때문이다. <아나스타시스>를 구성하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상 죽음으로 가능했던 ‘인류구원’과 ‘대속(代贖)’이라는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모여진 상징들이다. 하데스는 비잔티움 신학의 강조점에 따라 도상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다. 초기에는 선조들이 갇혀있는 죽음의 세계의 상징으로서 아담의 발밑에 그려졌으나, 마케도니아 왕조 시기에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인류의 구원을 강조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발아래 짓밟히는 표현방식을 따랐다. 헬레니즘의 전통을 간직한 하데스는, 외경, 전례서, 부활 강론 등의 영향으로 비잔티움의 <아나스타시스> 도상에 접목되어, 죄의 결과인 죽음과 저승의 세력을 상징하게 되었다. ‘짓밟힌 하데스’는 <아나스타시스> 도상의 부가적 요소이면서도,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최종목적과 의미, 즉 아담과 하와로 상징되는 인류의 구원, 그리고 구원자인 그리스도의 승리라는 주제를 드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