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용동작유형별 피드백제공방식에 따른 동작수행 및 학습효과

        문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3 예술논총 Vol.6 No.-

        본 연구는 무용동작 학습시, 피드백 정보의 제공방식이 동작의 특성에 따라, 즉 무용동작의 주요한 두 특성인 기술적 동작과 표현적 동작에 따라 수행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무용학습의 주요변인인 정보제공 문제와 관련된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무용학 연구 영역에서 다소 미진한 과학적 접근, 구체적으로는 무용학습 이론의 잠정적 가설에 현장연구를 통한 해답을 제공하여 무용심리학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차적 목적을 지닌다. 그리하여 응용적으로는 무용학습 현장(학교 및 직업단체의 훈련과정)에서, 특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시스템이 요구되는 발레연습 과정 내에 포함된 일련의 동작 습득에 있어서 교사 또는 지도자로 하여금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따른 적정한 동작 제시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여 단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과 공연상황에서의 절정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 그 연구목적을 둔다. 실험집단은 동작유형과 피드백 정보 제공방식에 따라 언어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A), 언어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B), 시각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C),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D)의 네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수행점수는 기술동작의 평균이 M=6.6이었고, 표현동작의 평균이 M=6.1로 차이를 보였고, 검사에 따른 변화는 사전검사(M=5.5), 사후검사(M=6.8)로 나타나 수행 후기에 점수의 변화가 컸으며, 제공방식에 따른 수행점수의 변화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이(M=7.4)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다음은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M=6.5),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M=5.8),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 (M=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대한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기술 동작의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오차수정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이 유의미한 수행점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표현동작의 경우는 그 동작이 요구하는 질적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적 오차수정이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기준벙보 제시방법과 동작 유형과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를 지지하면서(김윤진, 1996), 기준정보와 피드백 정보와의 관련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문영 1998, 2000, 2001 : 박금자, 문 영, 1998).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따른 변화, 구체적으로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 제공에 따른 무용동작 유형별 수행점수 변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 동작수행점수에 대한 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에 따른 주효과가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검사에 따른 주효과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 유형의 학습효과를 의미하는 연구로, 상기의 결과가 무용학습 현장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quisition of dance movement skill through experiment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information mode and movement type. Forty ballet dancers were required to practice ballet enchainement movements(battement tendu-adagio-grand battement-petit jete-grand jete) task in four different practice condition (visu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erb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isu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verb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during ten day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feedback mode) × 2(movement type) × 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Pre-Post test performance scores was analyzed with thre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effects of feedback mod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ain effect of move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2) The main effect test was significant. 3)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mode, movement type and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o suggest that verbal feedback information for expressive movement and visual feedback information for technical movement have significant on dancers' acquisition of skill and thus, on dance performance; the using feedback information method is a factor to effective dance learning.

      • KCI등재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격차 및 결정요인

        문영 한국노동경제학회 2019 勞動經濟論集 Vol.42 No.1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wage gap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using Oaxaca's wage gap decomposition method, the total wage gap of supply side factors was 44.2%, and the service years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the biggest influences. and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wage gap by firm size based on demand side factors such as business performance, total wage gap was 44.9%, and the influence on wage gap was in the order of labor productivity, union and outsourcing rati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mand side factors such as business performance and capital structure of supply side companies such as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in order to solve wage gap by firm size. Oaxaca의 임금격차 요인분해법을 활용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를 분해한 결과, 공급측 요인의 총임금격차는 44.2%였으며, 근속연수와 학력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기업의 경영실적 등 수요측 요인에 의한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를 분해한 결과, 총임금격차는 44.9%였으며,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력은 노동생산성, 노조, 외주비율 순으로 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차이 등 공급측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영실적과 자본구조 등 수요측 요인도 함께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고용 결정요인

        문영,김종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2006년~2015년)를 병합하여 기업규모별 상용직 고용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상용직 고용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률, 매출액, 연구개발 집중도 변수는 고용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반면, 외주가공비, 자본집약도 변수는 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인건비 변수는 임금이 상승한 연도에는 고용을 감소시키지만, 그 다음해에는 상용직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규모(중소기업/대기업)와 산업(제조업/비제조업)을 구분하여 상용직 고용 결정요인 추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변수는 모든 모형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을수록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비제조업은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제조업에서는 대기업이 높았다. 외주가공비 변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주가공비가 증가할수록 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대기업이 더 높았다. 따라서 기업차원의 상용직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률, 매출액, 연구개발투자 등에 대한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규모와 산업유형에 따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만큼, 이를 고려하여 각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of regular workers by firm size by merging statistical office survey(2006~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labor income distribution, operating profit, sales, and R & D variables significantly increase employment, while the outsourcing cost, wage, capital intensity, and temporary employment decrease. However, wage variables of firms with minimum w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for regular workers by firm size, the variables of labor income distribution as a key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ly on SMEs, and the outsourcing cost ratio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both SMEs and large corporations.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employment decision factors of SMEs and large enterprises by industry classification, both labor share(+) and outsourcing expense(-) are significant only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higher the distribution ratio, the higher the employment rate, and the higher the cost of outsourcing, the lower the employment of regular workers. Employment impacts were greater for both S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ies on labor income distribution, operating profit, sales, R & D investment, etc., which are analyzed as having a positive influence in order to constantly employ regular job positions at the enterprise level. As the impact on employmen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industry and type of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dopt a job policy for each characteristic.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인노동자의 종사상 지위별 임금격차 및 임금결정 요인에 관한연구

        문영만 ( Young-man Mo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외국인고용조사』 2012년~2015년도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외국인노동자 임금격차 및 임금결정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노동자들의 임금수준은 동일한 조건의 내국인노동자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상용직에서 내ㆍ외국인노동자 간의 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을 통해 외국인노동자들의 임금결정 요인을 추정해 본 결과, 종사상지위(상용직=1), 성별(남=1), 연령, 혼인상태(배우자 유=1), 학력, 근속연수, 산업(제조업=1), 직업(기능직=1)변수 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근무지역(수도권 =1), 국적(아시아=1), 체류자격(고용허가제=1) 변수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종사상 지위별로 임금결정요인을 추정해 본 결과, 상용직과 달리 임시ㆍ일용직은 학력, 산업변수에서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근무지역 변수는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셋째, 내ㆍ외국노동자들의 임금결정요인을 비교ㆍ분석해 본 결과, 외국노동자들은 내국인노동자들에 비해 종사상지위, 성별, 학력 등의 변수는 임금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노동시간과 관리ㆍ전문직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인력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내ㆍ외국인노동자 간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받고 있는 외국인노동자들의 임금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정책을 펴는 데 있어서 외국인노동자들의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wage differentials and wage determinants of foreign workers using the 2012~2015 raw data of “Foreigner Employment Investigation”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ge level of foreign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omestic workers in the same conditions, and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domestic regular workers and foreign regular workers were particularly large. Second,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for the wage determinants of foreign workers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the status of work (regular employee=1), gender (male=1), age, marital status (married, spouse present=1), education, years of service, industry (manufacturing=1) and occupation (technical employee=1) variables had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while the working area (metropolitan area=1), nationality (Asia=1) and residence status (employment permit system=1) variables had negative (-) impacts.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for the wage determinants by the status of work, industry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emporary and daily workers unlike regular employees, and the working area variable showed a contradictory resul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who receive relatively lower wages in order to realize the principle of equal pay for equal work,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oreign manpower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eterminant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in implementing these policies.

      • KCI등재

        원·하청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문영만(Moon, Young-Man),김종호(Kim, Jong-Ho)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3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원·하청 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거래집중도, 외주가공비, 자본집약도, 시장점유율 변수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노조조직률 과 연구개발비 변수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연구 개발비는 투자가 이뤄진 해당연도(t기)에는 노동소득분배율에 유의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시간이 흐름(t-1기, t-2기)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난 11년간(2006~2016)의 원·하청기업의 노동소득분배 율은 모든 연도에서 하청기업이 더 높았다. 원청기업보다 임금수준이 낮은 하청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더 높다는 것은 하청기업의 지불능력이 개선되지 않고는 원·하청기업 간 임금불평등을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labor income share of primary and subcontr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ne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transaction concentration, outsourcing cost, capital intensity, and market shar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while union organization rate and R & D investment had positive effects. In particular, the R & D variabl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hare of labor income in the year of investment (t), bu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ong-term (t-1, t-2). Second, the share of labor income during the last 11 years (2006~2016) was higher in subcontractors with lower wage levels. This analysis implies that the wage inequality between the primary and subcontracting enterprises can not be eliminated without improving the solvency of subcontractors.

      •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선양낭성암종에서 CK7, CK19, CK20, SMA 및 Ki-67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문영은(Young Eun Moon),정우진(Woo Jin Jeong),이동욱(Dong Wook Lee),송형근(Hyung Geun So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K7, CK19, CK20, SMA and Ki-67 in Adenoid cystic carcinoma(ACC) of the Head and Neck. Material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2 to 2004,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en ACCs, 3 MECs, 1 Salivary duct carcinoma, 1 Adenocarcinoma(NOS), and 1 ca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were analyzed immunohistochemically for CK7, CK19, CK20, SMA, and Ki-67. Results :CK7 was expressed in 100% of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75% of the other tumors. CK19 was expressed in 75% of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100% of the other tumors. CK20 was not expressed in all tumors. SMA was expressed in 88.9% of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not expressed in the other tumors. Ki-67 was expressed in low level in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Conclusion :The Ki-67 index could explain the natural course of tumor. Immunohistochemistry of CK7, CK19, CK20, SMA and Ki-67 expression in Adenoid cystic carcinoma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iagnosis.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영어 대화 함의 해석 능력

        문영인(Moon, Young-i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9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6 No.3

        Conversational implicature is a means of indirect communication. Many times the literal meaning of what someone says does not match with the intended meaning of the speaker. In this case, the listener has to search for another possible meaning that is derived from the given context. Messages that are understood through this inferential process are called implicatures(Grice, 1975). Conversational implicature is, in fact, a common and frequently used strategy in communication. However, coming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EFL learners often experience difficulty understanding implicature due to lack of exposure to and explicit instruction of it.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Korean university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English conversational implicatures. Given the situational descriptions and dialogu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level of confidence on the 5-point Likert scale. They wetr then asked to write down their own interpretation of implicatures ask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misunderstood the implicatures 30% of the time, and they especially showed a great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understated criticism,' one of the categories of implicatures. The analysis also illustrated that the confidence level and the accuracy in interpreting English implicatures did not alway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pedagogical suggestions to English teachers and text developers.

      • KCI등재

        원·하청기업 간의 임금격차 및 임금결정요인

        문영,홍장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3

        본 연구는 원·하청 거래네트워크 위치에 따른 임금격차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기준 하청기업은 원청기업에 비해 연평균 16백만원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임금격차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욱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원·하청기업 간의 임금격차를 추정해 본 결과, 원청기업에 비해 1차 하청기업은 20.9%, 2차 이하 하청기업은 27.9% 정도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원·하청기업의 임금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영업이익률, 자본집약도, 노조조직률, 종사자수 변수는 임금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반면, 임시·일용직비율, 여성노동자비율, 외주가공비율 등의 변수는 임금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중소·하청기업의 임금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업이익률, 자본집약도, 노조조직률을 높이는 정책을 강화하고, 외주가공비율, 임시·일용직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성노동자비율과 종사자수 변수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성별 임금격차와 기업체규모별 임금격차를 완화하는 정책도 동시에 추진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wage gap and its determinants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network location of mai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mployees of subcontractors received an annual average wage lower by 16 million won than those of main contractors, and the wage gap was found to be expanding over time.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gap between main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by controll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wage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it was estimated that the primary subcontractors were lower by 20.9% and the subcontractors below the secondary level by 27.9% as compared to the main contractors, respectively.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wages, it was estimated that operating margins, capital intensity, union organization rate,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ncrease the wage level significantly, while variables such as the ratio of non-regular workers, female workers and outsourcing lower the wage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ies to increase the operating margin, capital intensity, and union organization rate and to lower the ratio of outsourcing and non-regular workers in order to raise the wage level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relatively low wage levels.

      • KCI등재

        기업 차원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문영만(Moon Young man),홍장표(Hong Jong pyo) 한국경제발전학회 2017 經濟發展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2008년~2014년)와 부경대 SSK산업생태계 연구단에서 구축한‘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를 병합하여 기업차원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차원 노동소득분배율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에 약간 하락하였으나 2011년도 이후 점차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6.8%)이 비제조업(64.3%)에 비해 낮았으며, 원청ㆍ대기업(47.9%)이 중소ㆍ하청기업(58.4%)에 비해 낮았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기업차원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조의 협상력을 의미하는 노조조직률 변수는 전반적으로 노동소득분 배율 높이지만, 사용자의 협상력을 나타내는 외주가공비율 및 비정규직 변수는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해외자회사투자율 변수는 해외투자가 이뤄진 당해 연도에는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추지만, 그 다음해에는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은 업종(제조업/비제조업)과 원ㆍ하청 거래네트워크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영향을 미쳤으며, 원청ㆍ대기업은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는 반면, 중소ㆍ하청기업은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동소득분 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임금인상과 더불어 외주가공 및 비정규직의 축소도 함께 협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노조조직률과 협상력이 취약한 중소ㆍ하청기업의 노조조직률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이 업종과 원ㆍ하청 단계별로 다르게 작용하는 만큼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JEL 분류: D3, J3, J5)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at the enterprise level by combining the Enterprise Activity Survey (2008 ~ 2014) of the Statistics Korea and the Intercompany Transaction Network DB of the SSK Ecosystem Research Center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at the enterprise level declined slightly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but it has gradually recovered since 2011. By industry, manufacturing (56.8 percent) was lower than non-manufacturing (64.3 percent), while contractors and large companies (47.9 percent) were lower than subcontractors a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58.4 perc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of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at the enterprise level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nion organization rate variable, which means the bargaining power of the union, generally raises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but the outsourcing ratio and non-regular worker variable, which mean the bargaining power of the employer, lower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Howev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vestment ratio of foreign subsidiaries lowered labor income share ratio in the year of foreign investment but it raised the labor income share in the following year. Third,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had different influ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y and the location of contracting-subcontracting network,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contractors and large companies raise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while subcontractors a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lower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Therefore, in order to raise labor income share ratio, it is necessary to discuss not only the appropriate wage increase but also the reduction of outsourcing and non-regular work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union organization rate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subcontractors with relatively low union organization rate and weak bargaining power.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income share ratio considering that they a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ustry and the contracting-subcontracting phases.(JEL Classification: D3, J3, J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