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1세기 과학기술 진흥정책

        서정욱,Seo, Jeong-Uk 한국동위원소협회 1999 동위원소회보 Vol.14 No.2

        본 기사는 지난 5월 24일 과학기술포럼 주관 토론회에서 서정욱 과학기술부 장관이 '21세기 과학기술 진흥정책'을 주제로 강연한 내용입니다.

      • KCI등재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APL)의 진단을 위한 면역표현형 검사 Panel에 대한 연구

        서정욱,김신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4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4 No.6

        배경 :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L)은 전형적인 FAB-M3형과 비전형적인 소과립형 FAB-M3v로 나누어 진다. APL에 대한면역표현형 검사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이다. 저자들은 1987년부터 APL의 진단을 위해 panel 검사를 도입하여424 서정욱김신규2003년까지 각 시기에 따라 panel을 발전시켜 왔다. 이에 각 panel의 결과를 기존의 FAB 분류법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APL의 면역학적 진단을 위해 각 연대별로 발전한 I, II, III 단계의 다음과 같은 panel들을 사용하였다. 즉, Panel I [HLADR(-), CD15(-)](1987-1991), Panel II [HLA-DR(-), CD13(+), CD33(+), CD14(-)](1992-1994), Panel III [HLA- DR(-), CD34(-), CD13(+), CD33(+), CD14(-)](1994-2003)이면서 림프구성 표지자는 음성인 것으로 하였다. 총 570명의 급성백혈병 환자에게 표준 FAB 분류법과 직접면역형광법으로 면역표현형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저자들이 확립한 APL의 진단을 위한 면역표현형 panel검사는 AML-M3와 M3V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진단기준을 HLADR(-), CD34(-), CD13 and/or CD33(+), CD14(-)이면서 림프구성 표지자(CD19, CD10, CD20, CD22, CD3, CD5 및 CD7)가 음성인 것으로 하였다. 이는 기존의 형태학적, 세포화학적 분류인 APL을 진단하는데 높은 민감도(100%)와 특이도 (99%)를 보여주었다. 결론 : 본 논문은 APL의 진단을 위한 면역표현형 검사 panel의 발전상을 보여주었으며 이로써 확립된 panel은 APL을 진단함에 있어 신속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 has two subtypes, a typical French-American- British (FAB)-M3 type and an atypical FAB-M3v type described as microgranular variant, and mmunophenotyping is a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APL. We tried to define immunological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APL in each different period from 1987 to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scrimination capacity of several panels with FAB classification. Methods : We applied immunophenotyping panel I, II, and III for the diagnosis of APL in each of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periods: Panel I [HLA-DR(-), CD15(-)] (1987-1991); Panel II [HLA-DR(-), CD13(+), CD33(+), CD14(-)] (1992-1994); and Panel III [HLA- DR(-), CD34(-), CD13(+), CD33(+), CD14(-)] (1994-2003) with negative lymphoid markers in all panels. Standard FAB classification and direct immunofluorescence method were applied to diagnosis in 570 cases of acute leukemia. Results : The immunophenotyping to identify FAB subtype AML-M3 and M3v was established as the panel of [HLA-DR (-), CD34 (-), CD13 and/or CD33 (+), CD14 (-)] with negative lymphoid markers (CD19, CD10, CD20, CD22, CD3, CD5, and CD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is panel for the diagnosis of APL was 100% and 99%, respectively. Conclusions : Our study demonstrates the evolution of immunophenotyping panel from a primitive to advanced design. This immunophenotyping panel can be a ‘‘quick reference’’ for the diagnosis of APL without extra effort. (Korean J Lab Med 2004; 24: 421-5)

      • KCI등재

        복벽 자궁내막증의 영상소견

        서정욱,Seo, Jung-Wook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6

        목적:복벽 자궁내막증은 드문 골반외 자궁내막증의 일종이다.이 질환의 방사선 검사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1996년 1월부터 2001년 9월까지 복벽 자궁내막증으로 병리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17예 중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한 7명을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복부 US는 3예,복부 CT는 4예,복부MRI는 1예에서 시행 되었고,전예에서 종괴 절제술을 받았다.임상소견과 더불어 복벽 종괴의 크기,위치,경계,내부 성상을 분석하여 각각의 방사선학적 검사 방법에 따른 소견을 분석,비교하였다. 결과:과거 수술여부는 제왕 절개술 6예,충수 돌기 절제술 1예였고,환자의 주 증상은 복벽에촉지되는 종괴가 6예,복벽에 통증호소 1예였다.종괴의 위치는 피하 지방층에 5예,복벽근육층에 1예이었고,이중 충수돌기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수술흔과 떨어진 부위에서 위치하였다.종괴의 평균크기는 최대 직경 2.6 cm,최소직경 1.5 cm으로 측정되었다.종괴의 경계부는 명확한 경계를 보인 경우가 5예,불명확한 경계를 보인 경우가 2예였고,종괴 내부성상은 고형 종괴가 5예,일부 낭성 부분을 갖는 고형 종괴가 2예로 관찰되었다. 결론:복벽 자궁내막증은 대부분이 조영증강되는 고형 종괴로 내부에는 국소적 낭성 부분과 출혈 소견의 방사선 소견을 보였다.영상소견이 진단에 특이하지 않을 수 있더라도 과거력상 수술력을 가진 가임시 여성에서 복벽에 이러한 고형 종괴는 복벽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imaging findings of abdominal wall endometriosis. Materials and Methods: In seven of 17 patients with surgically proven endometriosis of the abdominal wall,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findings of radiologic studies such as abdominal US (n=3), CT (n=4), and MRI (n=1). One patient under went more than one type of imaging, apparently. The surgical history of the seven, and their symptoms and preoperative diagnosis were reviewed, and the size, location, margin and nature of the mass, and the contrast enhancement patterns observed at radiologic studies, were assessed. Results: The chief symptoms were palpable abdominal wall mass (n=5) and lower abdominal pain (n=2) around a surgical scar. Previous surgery included cesarean section (n=5), cesarean section with oophrectomy (n=1) and appendectomy (n=1). Masses were located in the subcutaneous fat layer (n=5) or rectus abdominis muscle (n=2), and their maximum diameter was 2.6 cm . Imaging findings, which correlated closely with the pathologic findings, included a well (n=5) or poorly marginated (n=2) solid mass, with a focal cystic area apparent in two cases. Conclusion: Although imaging findings of abdominal wall endometriosis may not be specific for diagnosis, the presence of a solid abdominal mass in female patients of reproductive age with a history of surgery is a diagnostic pointer

      • 공정성 인식과 삶의 만족도가 지방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서정욱,김동욱,김주경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한국국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공정성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지방 정부신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실증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공정성을 개인 차원의 공정성 인식과 기관 차원(중앙정부, 지방정부, 일선 행정기관) 공정성 인식으로 구분하여 공정성에 관한 시민의 인식과 삶의 만족도가 지방 정부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두어 연구하였다. 아울러, 지방 정부신뢰 인식에 관한 영향 요인분석에 있어 지역 간(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를 고려한 전체 모형에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된 개인 차원의 분배 공정성, 기관에 관한 공정성 인식이 지방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델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비수도권 모델과는 다르게 수도권에서는 중앙정부에 관한 공정성 인식이 지방 정부신뢰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사회적 양극화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공정한 분배정책과 행정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화된 디지털 시스템 구축으로 불공정성 인식을 완화하여야 한다. 셋째, 시민의 선호와 요구를 바탕으로 시민의 삶에 관한 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uch the perception of fairness and life satisfaction affects local government trust in Korea. This research divides fairness into perception of fairnes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erception of fairness at the institutional level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ront-line administrative agency) for our study. In addition, We divide the region in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try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re are regional in the perception of trust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 reveals that the fairness perception influence on individuals’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trust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can areas. Unlike the non-metropolitan model,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fairness percep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ru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ed for fair distribution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to prevent social polarization depeding upon the re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