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듀이 철학에서 ‘경험’의 도덕교육적 함의

        장혜진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8 No.-

        본 논문의 목적은 듀이 철학에서 ‘경험’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논자는 듀이의 ‘불안정성’으로 대표할 수 있는 세계의 특징과 상호작용으로서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한다. 그리고 그가 교육의 목적으로 상정한 ‘성장’이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대하여 반박한다. 왜냐하면 듀이는 인간성, 행위, 도덕성의 중요성을 자신의 철학 전반에서 끊임없이 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요소가 있다면 바로 ‘경험’일 것이다. 이 경험 가운데 인간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도덕성’이라는 방향성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다. 여기서 경험과 도덕성을 이어주는 매개체는 ‘반성적 사고’이다. 이는 세심한 숙고, 자발적인 노력으로 특징지어진다. 우리는 경험을 다루는 교육에서 두 가지 조건을 기억해야 한다. 첫째는, 잘못을 지적하는데 중점을 두기 보다는 현재를 긍정적으로 의미화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도덕적인 성찰을 통해서 각자가 ‘규율이 확립된 마음(disciplined mind)’을 경영해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우리는 상호작용으로서의 경험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삶을 통해 고정성, 독단으로부터 벗어나 성장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xperience' in Dewey’s philosophy. First, the autho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as an interac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Dewey's instability. And he criticizes the criticism that 'growth' which he put forwar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does not give concrete direction. This is because Dewey constantly expresses the importance of humanity, conduct, and morality in his philosophy. If there is an inevitable element in human life, it will be 'experience'. In this experience, it is the essence of this paper that human beings must have the direction of 'morality' in order to grow. Here, the mediator between experience and morality is 'reflective thinking'. This is characterized by meticulous consideration and voluntary efforts. We have to remember two conditions in the training of experience. First, rather than focusing on pointing out the wrong, it is to make the present a positive meaning. And secondly, it is through moral reflection that each person is able to manage the 'disciplined mind' We can grow out of solidarity and autonomy through life that understands and practices our interaction experience.

      • KCI우수등재

        정서의 차원 분화를 통해서 본 정서 발달

        장혜진,김영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classifying the representative emotion words based on similarity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tiation patterns of emotional dimensions inherited in the words so as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24 middle school students and 24 high school students, 2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classifying the representative emotion words based on similarity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tiation patterns of emotional dimensions inherited in the words so as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As a result,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1 dimension, which was called ‘pleasure-displeasure.’ The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s had 2 dimensions: first was named ‘pleasure-displeasure,’ the second as ‘activation-inactivation third as ‘self-orientation and other- orientation.’ Lastly, the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comprised 3 dimensions: the first was called ‘pleasure-displeasure,’ the second ‘activation-inactivation’ and the third ‘self-orientation and other-orientation,’ which match with the adults’ 3-dimention emotional structure. To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the interaction among various factors was revealed by investigating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differentiation of the dimensions inherent in emotion words. 본 연구는 대표성을 가진 정서 단어의 분류를 통해 정서 차원의 분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정서 발달이 어떠한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대표 정서 단어 도구를 사용하여 초등학생 24명, 중학생 24명, 고등학생 24명, 대학생 24명에게 유사한 의미끼리 분류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단어에 내재된 차원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정서 차원은 1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쾌-불쾌’로 명명하였다. 중학생의 정서는 2차원으로 첫 번째 차원을 ‘쾌-불쾌’, 두 번째 차원을 ‘활성화-비활성화’로 명명하였다. 고등학생의 정서는 3차원으로 발견되었으며, 첫 번째 차원을 ‘쾌-불쾌’, 두 번째 차원을 ‘활성화-비활성화’, 세 번째 차원을 ‘자기 지향-타인 지향’으로 해석되며, 이는 3차원으로 구성된 성인의 정서 차원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는 대표 정서 단어에 내재된 차원의 분화를 통해 연령에 따른 정서 차원의 분화와 발달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명확하게 발견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상관분석과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을 활용한 중소기업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탐색에 관한 연구

        장혜진,윤병운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최근 중소기업의 외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혁신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중소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되고 있지만 이는 혁신 프로세스를 거시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여 오픈이노베이션 유형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협업이 대부분 연구개발단계에서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개발에 초점을 둠으로써 보다 세부적인 접근을 통한 중소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시행한 혁신 활동조사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품질기능전개(QFD)를 통해 혁신애로사항과 혁신목적, 혁신목적과 혁신활동 그리고 혁신활동과 혁신효과로 중소기업의 혁신을 전개함으로써 구체적인 중소기업의 혁신 상황을 분석하여 새로운 오픈이노베이션의 기회를 탐색하고자한다.

      • KCI등재

        20대 여성의 메디컬 뷰티케어 이용만족도가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장혜진 한국미용학회 2018 한국미용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cal beauty care satisfaction of young women in their 20s to on the intention to reuse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regard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20-22’ and ‘junior college students / graduates’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age and education respectively. In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students’ and ‘less than KRW 1-2 million’ were most responded.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medical skincare (3.21 in average), ‘improvement of appearance and self-confidence (M=3.2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M=3.24)’ and ‘price satisfaction (M=2.96)’. The intention to reuse the medical Beauty care service was 3.28 in average.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edical Beauty are vari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appearance & self-confidence’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while ‘price satisfaction’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t a 5% significance level. Fourth,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reuse medical skincare by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household monthly income. Fifth, intention to reuse the service reveal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of counseling service(r=.847, p<.001)’, ‘satisfaction with skin problems(r=.680, p<.001)’ and ‘price satisfaction (r=.306, p<.001)’. The ‘satisfaction of counseling service(=.797, p<.001)’ onl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use intention. Therefore, it appears that as the satisfaction with medical Beauty care increases, the intention to reuse the service is high among young women in their 20s.

      • KCI등재

        교사들의 학생 소통 도구로써 마음일기 쓰기 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장혜진,오현숙,최인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1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experiences of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through diary writing, in which the principle of caring the mind was applied. The study researched the phenomenon by applying Giorgi’s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n appropriate qualitative approach method to understand its essence and meaning.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motive of the teachers who chose mind diary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various experiences obtained from keeping a mind diary together,' an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which occurre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applying mind diary with students in class for two years or more over the past six years and had the intention to continue such activity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ttempting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rough mind diar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improved in a way that enabled them to continue communication. Second, teachers came to understand more deeply students who were isolated or showed problematic behaviors and could have opportunities to individually commune with students.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ir inner and outer sides, teachers could experience the growth of themselves. Fourth, teachers could find students with psychological problems acquiring on their own the method to examine their inner side and safely express it through the constant use of mind diary. 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existing limitations in school conditions, communication using mind diary enables meetings and communication with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can help students to learn on their own the method to safely resolve problems by increasing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ommunication using mind diary will play a role as a self-reflection tool that examines the mind regardless of religion as well a role as a counseling support tool for teachers who were exhausted with demanding tasks and restricted conditions of counseling. 본 연구는 일기라는 가장 개인적 영역의 기록 과정을 매개로 하여 마음 살핌 원리를 적용한 글쓰기를 통 해 학생들과 소통을 시도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에 대한 복잡성을 있는 그 대로 파악하고 그 현상에 따른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질적 접근 방법으로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과정은 지난 6년 동안 적어도 2년 이상 학생들과 학급이나 동 아리 또는 수업에서 마음일기를 적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이 활동을 지속할 의사가 있는 교사 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하여 ‘마음 일기를 학생과 의 소통 도구로 선택한 교사들의 동기’와 ‘일기 쓰기를 함께 하며 접했던 다양한 경험’ ‘학생들과 교사 간에 일어났던 내외적인 변화’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마음일기로 학생들과의 소통을 시도한 후 학생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관계가 개선되었으며, 둘째, 소외되거나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쓰기를 매개로하여 학 생과 개별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나눌 수 있었다. 셋째, 교사 자신의 외면과 내면을 성찰하는 과 정을 통해 교사 자신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넷째, 학생들 중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던 학생 들이 자신의 내면을 살피고 안전하게 표출하는 방식을 스스로 습득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 한 결과는 마음일기를 사용한 소통이 교사와 학생 간의 전 인격적인 만남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 의 학교생활에 적응력을 높여 문제 상황에 부딪혔을 때도 안전하게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해 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상담의 보조 도구로써의 역할과 더불어 마음을 살피는 자기 성찰 도구로써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었다.

      • KCI등재

        DRM 기술로 보호된 컨텐츠의 융통성 있는 공유를 위한 멤버/그룹 라이선스 메커니즘

        장혜진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7

        License mechanisms are the key elements in almost all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The license mechanisms are designed for the clear identification and enforcement of contents, principals, and usage rules in DRM systems. But current license mechanisms are lacking in the flexibility for the secure and efficient sharing of the contents among the members of a group such as a family or a part of an enterprise. This paper suggests a new license mechanism for efficient and secure sharing of contents in DRM systems among the members of a group. We named it member/group license mechanism. The mechanism extends the current license mechanisms by introducing new concepts such as group licenses, member licenses, and derivation relationships between licenses. 라이선스 메커니즘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의 하나이다. 라이선스 메커니즘은 DRM 시스템의 자원(resources), 자원의 사용 주체(principals), 자원에 대한 사용 규칙(usage rules) 등을 명확하게 식별하고 강제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기존의 라이선스 메커니즘들은 가정이나 회사의 어떤 부서와 같은 그룹 내의 멤버들이 어떤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할 때 공유에 관련된 융통성이 부족하다. 본 논문은 그룹에 등록된 여러 명의 멤버들이 DRM 기술로 보호된 디지털 컨텐츠를 안전하고 융통성 있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라이선스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멤버/그룹 라이선스 메커니즘은 그룹 라이선스, 멤버 라이선스, 허가들(grants)간의 파생 관계 등의 개념들을 도입하여 기존의 라이선스 메커니즘을 확장한다.

      • 저소득층의 탈수급 맥락 연구

        장혜진,조윤정,윤진,권지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의 탈수급 요인과 그 맥락을 탐색하는데 있다. 2012년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 연구패널 중 8개의 사례를 추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개인과 관련된 요인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가정하여, 현상과 경험 두 차원과 탈수급 요인, 직접요인, 간접요인 등으로 나누어 요인들의 맥락을 그림으로 도식화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탈수급 주요 요인은 현상에서 `근로소득`, 경험에서 `(탈수급)의지`로 나타났다. 탈수급 여부는 탈수급 의지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고, 탈수급 관련 요인들이 정적·부적으로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탈수급 맥락에서 `행복`과 `자녀` 요인이 직·간접적으로 다른 요인에 주요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Shiga toxin-associated hemolytic uremic syndrome complicated by intestinal perforation in a child with 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장혜진,김화영,최재홍,최현진,고재성,하일수,정해일,최영,강희경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7 No.2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acute renal failure in childhoodand is primarily diagnosed in up to 4.5% of children who undergo chronic renal replacement therapy. Escherichia coli serotype O157:H7 is the predominant bacterial strain identified in patients with HUS;more than 100 types of Shiga toxin-producing 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subtypes have also beenisolated. The typical HUS manifestations are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thrombocytopenia, andrenal insufficiency. In typical HUS cases, more serious EHEC manifestations include severe hemorrhagiccolitis, bowel necrosis and perforation, rectal prolapse, peritonitis, and intussusceptions. Colonicperforation, which has an incidence of 1%–2%, can be a fatal complication. In this study, we reporta typical Shiga toxin-associated HUS case complicated by small intestinal perforation with refractoryperitonitis that was possibly because of ischemic enteritis. Although the degree of renal damage is themain concern in HUS, extrarenal complica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severe cases, as presentedin our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