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선된 교량 기초세굴 점검방법 및 3D 하상지도 구축 연구

        최현철,고준영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6 No.5

        The maintenance of bridges installed in rivers is carried out through facility safety inspection and repair & reinforcement proced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Many studies have been so far conducted on the safety check of the bridge upperstructure because of the ease of access. However as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investigate whether the pier foundation installed in the river has been scoured. Management of underwater foundations has remained based on theory. In this study, the scour of the bridge foundation installed in such a river was realized in 3D form by using an echo sounder and VRS. This mad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cour patter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ground height of the riverbed at the time of the bridge instal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f the pier foundation is used as an initial dat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local scour is present and to predict long-term scouring, bridge collapse due to foundation scour can be prevented. 하천에 설치된 교량의 유지관리는 시설물 안전점검과 그 결과에 따른 보수·보강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 그 동안 교량 상부구조의 안전점검은 접근성이 용이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하천에 설치된 교각 기초부의 세굴여부에 대하여는 직접조사가 곤란하여 이론에 근거한 관리에 머물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에 설치된 교량 기초의 세굴을 음향측심기 및 VRS 등을 활용하여 하상 지반고의 형상을 3D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로써 교량 설치 당시의 하상 지반고와 비교·분석 등을 통해 세굴양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해당 교각 기초의 국부세굴 여부 파악 및 장기하상저하 예측을 위한 초기치 자료로 활용한다면 기초세굴로 인한 교량붕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펄스폭 변조 직렬공진 컨버터의 제어연구

        최현철 전력전자학회 1999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4 No.5

        본 연구에서는 선형화 소신호 모델을 이용하여 불연속 모드 펄스폭 공진회로의 다양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각 제어방식에 따른 시스템의 안정도와 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규화 출력 전류와 전압을 사용한 근궤적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적의 궤적 특성을 가지는 제어기를 새로이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제어의 우수한 특성을 다른 형태의 제어방식과 비교함으로써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several control methods for the discontinuous mode PWlvl-SRC are investigated with the l linearized small signal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stability and dyncunic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led s system, the root locus as a function of the normaliz떠 output current(]\iOC) for a given normalized output v voltage(NOV) is employed. FurLhem10re, in this paper, the “Optimal trajectory control of PWM-SRC" is newly p propos(xl and its good dvnamic performances are evaluated with other four control laws.laws.

      • KCI등재후보

        흉의 인과 개념과 과학적 설명

        최현철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6 철학탐구 Vol.20 No.-

        글의 목적은 흄의 인과개념과 현대 과학적 설명이론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흄의 인과정의를 둘러싼 철학적 입장들을 규칙적 해석과 필연적 해석으로 구분하고 과학적 설명이 두 해석과 어떻게 연관하여 전개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흄에게 있어 인과의 경험적 분석인 인과개념 C1은 항상적 연접으로 인과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가 된다. 반면 흄의 또 다른 인과 정의는 반사실적 조건에 따른 양상적 입장에서 인과관계를 규정한다. 그리고 인과의 반사실적 조건 분석인 인과 개념 C2는 원인과 결과가 필연적으로 결속되어있다는 필연적 해석의 토대가 된다. 우선 인과의 강한 규칙적 해석에서 헴펠의 설명모델을 비판적으로 검토된다. 그리고 헴펠의 설명 모델을 둘러싼 비판과 반례들은 하나같이 인과의 규칙적 해석의 한계와 맞물려 있다. 반면 인과의 필연성을 확보하려는 또 하나의 시도는 루이스가 주장하는 인과의 반사실적 이론이다. 루이스는 어떤 한 사건을 설명한다는 것이 그것의 지닌 인과적 역사에 대한 어떤 정보를 제공한다는 인과적 설명을 주장한다. 그렇지만 루이스의 인과이론은 늦은 선점의 문제에 봉착함으로 좌초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인과 실재론적 설명이 설명의 유관성 과정을 유의미하게 만든다고 전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e's causation conception and modern scientific explanation theory. For this object there are two interpretations regarding how developed critically modern scientific explanation theory based on classifying regular and necessary interpretation of philosophical positions surrounded by Hume's definition of causation. According to Hume, Constant conjunction by the causal conception C1 is the essential element of causation. Also the other definition of causation in Hume is construed as modal relationship following counter-factual condition between causation and resulting events. it is possible to have the basis of necessary interpretation so that causal conception C2, the analysis of counter-factual condition in causation. I investigated critically Hempel‘s explanation model on the strongly regular interpretation of causation. And I would like to debate that the criticism and anti-instance surrounding Hempel’s explanation model are all the same encountered with the limit of regular interpretation in causation. But One attempt to insure causal necessity that Lewis argued is counter-factual theory of causation. Lewis argued that explaining a certain event could provide an information with causal history having its information in causal explanation. But Lewis's causal theory drove the ship on the rocks encountering the problem of late preemption. In conclusion, I look out this thesis that the realistic explanation of causation make a sense for the being relevance of explanation.

      • KCI등재
      • KCI등재

        반 프라센의 설명 화용론에 대한 고찰

        최현철(Choi Hyun-Cheol)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경험주의의 전통에서 설명론의 새롭게 시도를 제공한 이는 반 프라센이다. 구성적 경험론을 주장하는 반 프라센은 과학적 설명을 왜-질문에 대한 문맥적으로 유관한 대답을 제시하는 설명의 화용론을 주장한다. 설명으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그 설명이 요구되는 문맥에 의존적이다. 그래서 반 프라센은 우리가 Q(왜 P가 발생했는가?)에 대한 설명으로 P를 평가하는데 알아야 할 것으로 P에 대한 대조집합(X)과 유관 관계(R)라고 제안한다. 또한 다른 문맥에서 동일한 질문은 다른 함축적인 대조집합을 가진다. 그의 설명의 화용론적 관점은 언어철학의 형식적 화용론의 외연을 모델화 한 것이다. 그렇지만 반 프라센의 화용론은 인과 관계를 넘어선 관계들, 즉 기능적 관계나 통계적 관계, 심지어는 개인적 의도에 의한 관계들 까지도 과학적 설명과 유관 관계를 가진다. 그래서 그의 화용론은 너무나 많은 대답과 설명을 과학적 설명으로 간주하는 한계를 지닌다. 새먼과 키처에 동의하는 나는 반 프라센의 설명의 화용론이 기존의 과학적 설명이론의 과제 중에 하나였던 설명과 예측의 비대칭성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한다. It is Bas van Fraassen who provides a new paradigm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the empirical tradition. He defends the pragmatics of explanation which claims giving contextually relevant answer to the why-question in science. Whatever counts as an explanation depend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explanation is requested and offered. So, Bas van Fraassen suggests that one thing we need to know in order to evaluate P as an explanation of Q(why P occurred?) is what the contra class (X) for P and relevance relation(R) is. Also in different contexts, the same question might have different implicit contrast classes. His pragmatic view of explanation is modeled to some extent on formal pragmatics in philosophy of language. However, the pragmatics of explanation of van Frassen also has relativity with the relations such as functional or statistical, or even intentional that are not of the causal. Thus, his pragmatics of explanation regards too many explanatory answers as scientific explanation, and this has been indicated as its defect. In line with Salmon & Kitcher's idea, I argue that van Frassen's pragmatics of explanation does not resolve even the problems of asymmetry in explanation, which is one of the bid and old problems in scientific explanation.

      • SCOPUSKCI등재

        노인 인구군에서의 피부질환 분포 , 특성 및 피부관리에 대한 역학적 연구

        최현철(Hyun Chul Choi),오칠환(Chil Hwan Oh) 대한피부과학회 199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1 No.4

        Background :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the proprotion of the aged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cl.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the fuadamental epidemiologic survey of dermatologic diseases and akin care in the elderly. Object : Our purpose was to provide clinically relevant data regaring both dermatologic diseases and skin care in the aged population. Methods : Total 172 volunteers aged 51 to 90 were enrolled in a study of 32-item questionnaire and total cutaneous examination. Results : The sex ratio of male to female of 172 elderly volunteers as 1:1.4 and population of 7th and 8th decades occupied 76.5% with their mean age 74.4. The dermatologic findings which showed higher incidence in this study were seborrheic keratosis, senile lentigines, xerosis, cherry angioma, and generalized pruritus. Through the interviews of 172 elderly, the mot fequent dermatologic complaint was generalized pruritus. As the mean age of the population increasec,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showing xerosis and complaing of pruritus was elevated(r=0.976. 0.917 respective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finding of xerosis and the the presence of pruritus(P<0.005).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dermatologic problems in the elilerly are very common ancl further dermatologic studies including substantial medical care will be needed. (Kor J Dermatol 1993;31(4):459-46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