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충 침자가 간 미토콘드리아 내 Complex IV에 미치는 영향

        최동희,이유미,김미래,박정혜,김혜란,나창수,윤대환,Choi, Donghee,Lee, Yumi,Kim, Mirae,Park, Jeonghye,Kim, Hyeran,Na, Changsu,Youn, Daehwan 경락경혈학회 2019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6 No.4

        Objectives : The liver is rich in mitochondria and it plays a key role in whole-body energy homeostasis. Mitochondria is double membrane-bound organelle that supplies energy for intracellular metabolism including Krebs cycle and beta-oxidation. Acupuncture is known to stimulate and regulate the flow of energy. To explore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the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activity in the rats' livers, the activity of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es I to IV was observed. Methods : Th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rmal 1 (no acupuncture treatment and anesthesia for 5 min), Normal 2 (no acupuncture treatment and anesthesia for 10 min), MA1 (acupuncture treatment at bilateral LR3 under anesthesia for 5 min), and MA2 (acupuncture treatment at bilateral LR3 under anesthesia for 10 min). All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livers were examined for respiratory chain change.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ubiquinon oxidoreductase, succinate dehydrogenase, and ubiquinol cytochrome C oxidoreductase after acupuncture at LR3. Acupuncture at LR3 for 10 min increased the activity of cytochrome C oxidase compared with no acupuncture groups. Conclusions : Acupuncture at LR3 mediated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activity via the cytochrome C oxidase signaling pathway in the livers of rats.

      • KCI등재

        자궁경부 단단암

        최동희,이보연,박찬규,김재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7

        1. 1968년에서 1987년까지 연세의료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경부 단단암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모두 10예로 전체 자궁경부암의 0.32%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지금까지 발표된 보고중 가장 낮은 것이다. 2. 자궁경부 단단암 환자들의 나이는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50.4세로 자궁경부아 환자의 평균연령인 49.8세에 비해 약간 많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3. 부분적 자궁적출후 자궁경부 단단암으로 진단되기까지의 기간분포는 수술후 5년에서 10년사이에 진단된 경우가 4예로 가장 많았으며, 2년에서 5년, 15년에서 20년사이가 2예, 25년에서 30년사이에 발견된 예가 각각 1예였고, 수술후 2년 이내에 진단된 경우(coincidental case)는 2예로 20%를 차지하였다. 4. 암의 임상적 병기에 따른 분포는 0기 암이 1예, 제 I의 경우가 2예, 제 II기는 3예, 제 III기는 4예였으며 제 Ⅳ기의 예는 없었다. 이들은 모두 상피 세포암 (epidermoid carcinoma)이었다. 5. 병기에 따른 치료를 보면 자궁경부 단단암으로 진단받은 10예의 환자중 9예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3예는 수술적 치료를 6예는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6. 치료에 따른 5년생존율은 83.3%였다. Cervical stump cancer is rare condition because of subtotal hysterectomy became unpopular today. It was known that successful rate of treatment outcome of cervical stump cancer i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cervical cancer with intact uteri, this is probably due to associated high complication and poor survival rate. From 1968 to 1987, ten cases of cervical stump cancer was admitted to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the incidence of cervical stump cancer was 0.32% of cervical cancers - the lowest prevalance ever reported before. The mean age of cervical stump cancer was 50.4 year. Cervical stump cancer was diagnosed most frequently from 5 to 10 years after subtotal hysterectomy an 20% of cervical stump cancers was diagnosed before the end of 2 years after subtotal hysterectomy. Nine cases of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or radiation therapy and its 5-year survival rate was 83.3%.

      • 광고에 사용된 색상과 제품유형간 적합성에 관한 연구

        최동희 동의공업대학 2001 論文集 Vol.27 No.1

        This study tries to analyze practically the relative effect that the various consumers reactions of the advertisements on the internet affect the product's colors. Even though it is the advertisement on the same product, the advertisement can produce the different atmosphere from each other, by which color is used for the advertisement. For example, black produces depressing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green and blue make fresh atmosphere. Generally, hi-tech products like computer is known to use the color of cybernetic silver, metallic, or green. Through twice experiments on the product advertisements revealed by internet ads, I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ducts' color which the consumers' reactions about the ads affect right after and after five weeks revealing the ads. The results of consumers' reactions on ads is characterized three major parts: credibility/utility, originality, the degree of difficulty on understanding. The effect is variable according to measuring point but credibility/utility part plays the most outstanding role over whole elements of products' brand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of measuring point. This result should be considered immediate and delayed effect of ads reaction in order to exact measurement of ads effect and reveal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ccess to message effect and media effect.

      • KCI등재

        음향자극검사를 이용한 진통중 태아 안녕 평가의 효용성

        최동희,김동규,박찬규,박용원,서경,김도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4

        저자들은 1988년 3월부터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125예 중 고위험 임신군 48예와 정상 임신군 77예를 대상으로 진통중 전자태아감시장치를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평가함과 아울러 음향자극검사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적응증으로서 조기양수파막이 21예, 임신중독증이 9예, 과숙아임신이 4예, 조기진통이 3예 등이었으며 대조군으로 정상임신이 77예이었다. 2. 각검사의 반응성을 보면, 음향자극검사의 반응성은 86.4%, admission test의 반응성은 52.8%으로 음향자극검사의 반응성이 admission test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3. 주산기이환율 평가를 위한 1분 Apgar score의 비교에서 음향자극검사가 반응성인 경우 25.9%, admission test가 반응성인 경우 24.2%로 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무반응성인 경우는 41.2%와 32.2%로 음향자극검사 때 admission test에 비교하여 상승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5분저 Apgar score의 비교에서도 음향자극검사와 admission test 반응성인 경우가 각각 1.9%, 1.5%로 차이는 없었으나 음향자극검사 무반응성인 경우는 23.5%로 admission test 무반응성 8.5%에 비교하여 3배의 높은 신생아 주산기 이환율을 나타내었다. 4. 분만중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음향자극검사에서 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25.9%, 음향자극검사 무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76.5%로 나타났고, admission test에서 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21.2%, 무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45.8%에서 나타났으며 이들의 차이는 각각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p$lt;0.01). 음향자극검사 무반응성인 군에서 admission test 무반응성인 군과 비교해 분만중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5. 두 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보면, 음향자극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및 음성예측율은 각각 31.7%, 95.2%, 76.5% 그리고 74.1%이었으며, admission tes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및 음성예측율도 각각 65.8%, 61.9%, 45.8% 그리고 78.8%이어서 음향자극검사가 admission test와 비교해볼 때 높은 특이도 및 양성예측율을 보여주었다. 6. Admission test와 음향자극검사상에서 모두 반응성을 보인 군과 admission test에서 무반응성이나 음향자극검사에서 반응성을 보인 군 그리고 admission test와 음향자극검사에서 모두 무반응성을 보인 군에서의 응급 제왕절개술의 빈도, 태아곤란증의 빈도 및 주산기 이환율의 평가를 비교하여보면, 음급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두 검사 모두 무반응성인 군에서 11.8%로 admissiontest에서 무반응이나 음향자극검사에서 반응성인 2.4%와 두 검사 모두 반응성인 3.0%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여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각각 52.9%로 31.0%와 15.1%에 비해 의의잇는 증가를 보였다(p$lt;0.05). 7이하의 5분 Apgar score도 23.5%로 2.4%와 1.5%에 비해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p$lt;0.05). 양수의 태변 착색빈도도 52.9%로 33.3%와 31.0%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로서 admission test 무반응성인 경우라도 음향자극검사가 반응성일 때, 두 검사 모두 반응성인 경우와 비교분석한 결과 임신의 예후에 차이가 없었으나, admission test 무반응성이고 음향자극검사가 무반응인 경우와는 임신 예후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한 바 진통중 태아안녕의 평가방법으로서 음향자극검사의 우수성을 제시하여 이검사를 이용하므로 admission tesst의 위양성율을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March through August at 1988. In order to evaluate the fetal well-being during intrapartum, 125 patients with 48 cases of high risk pregnancy, 77 cases with normal pregnancy were assessed with Acoustic stimulation test(AST) immediately followed by Admission test(AT) of intrapartal fetal monitoring and the following data were observed. 1. According to the indications, PROM was most frequent with 21 cases, post-term pregnancy 4 cases, preterm labor 3 cases as decreasing in order and the 77 cases for the control group. 2. The incidence of reactivity on each tests were 86.4% for the acoustic stimulation test, 52.8% for the admission test. 3. Perinatal morbidity was assessed with use of low Apgar score. The 1 minute low Apgar score was 25.9% for the AST reactive and the 24.2% for the AT reactive group. For the nonreactive groups its were 41.2% and 32.2% respectively. The 5 minute low Apgar score, the both reactive groups revealed 1.9% and 1.5% respectively, but in the AST nonreactive group showed three times high perinatal morbidity than AT nonreactive group as 23.5% to 8.5%(p$lt;0.01). 4. The incidence of fetal distress during labor, in AST reactive group is 25.9% and nonreactive group is 76.5%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lt;0.01). For the AT reactive group 21.2% and for the nonreactive group 45.8% were observed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lt;0.01). 5. Diagnostic accuracy of AST and AT in the prediction of intrapartal fetal distress were, sensitivity for the AST and AT were 31.7% and 65.8%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for the AST and AT were 95.2% and 61.9%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AST and AT were 76.5 and 45.8% respectively.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AST and AT were 74.1% and 78.8% respectively. 6. Cesarean section rate, fetal distress and the perinatal morbidity were compared to the different result of AT in relation to reacive and nonreactive AST. Both reactive in AT and AST group and the AT nonreactive and AST reactive group showed low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rate compared to the both AT and AST nonreactive group as 3.0%, 2.4% and 11.8%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incidence of the fetal distress was high in the both AT and AST nonreactive group comared to the AT reactive group as 52.9%, 31.0% and 15.1% respectively(p$lt;0.05). 5 minute low Apgar score was highly noted in both AT and AST nonreactive group compared to the AT nonreactive and AST reactive group and the both AT and AST reactive group as 23.5%, 2.4% and 1.5% respectively(p$lt;0.01).

      • KCI등재

        이중외피 중공층의 열성능을 고려한 블라인드 위치 계획

        최동희,조재훈,석호태,여명석,김광우 대한설비공학회 2005 설비공학 논문집 Vol.17 No.7

        The blinds in the intermediate space are installed to block the direct solar radiation. As the blind divide the airflow of intermediate space into two, thermal performance of Double-Skin Facade (DSF) are affected by the blind position. Therefore blind position should be plan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thermal performance of DSF.In this study, CFD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blind position in multistory-type DSF in variation of other DSF elemen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ase with narrow depth of intermediate space and outlet on upper side of outer-facade, it is profitable to place blin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facade. In the other cases, the blind should maintain 0.15 m distance from outer-facade.

      • 神은 韓國에서 어떻게 있는가

        최동희 일념 1993 교수아카데미총서 Vol.1 No.-

        절대적인 存在가 있다는 것을 合理的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것도 그러한 설명을 기대하는 것도 다 같이 종교적이라고 할 수 없다. 合理的인 설명을 넘어선 단계가 바로 宗敎이기 때문이다. 모든 合理的인 설명이 넘을 수 없는 벽에 부딪치는 순간이 宗敎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오늘의 宗敎는 오늘의 모든 合理的인 설명이 벽에 부딪치는 지점에서 있다. 이렇게 오늘의 宗敎와 科學은 그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共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절대적인 存在는 자기와 世界의 새로운 意味를 확신케 하는 것이어야 한다. 곧 우리를 새 世界에 새로 태어나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절대적인 存在를 體驗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이러한 宗敎的인 요소가 오늘날 더욱 더 요청된다고 말 할 수 있다. 오늘날 너무나 世俗化된 生活은 어디까지나 平面的인 生活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立體的인 生活을 되찾으려면 한 차원을 높여야 하는데 이것이 宗敎的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