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대간회계에 의한 국민연금의 세대간형평성과 지속가능성 측정

        최기홍 한국은행 2016 經濟分析 Vol.22 No.2

        This study derives the indicators of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sustainability for the social security pension from generational accounting. The characteristic of this generational accounting can be summarized by two aspects. First, it follows the “sustainability approach”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esidual approach.” Second, all the generational accounts cover their entire lifetime using both the actuarial projection model and the administrative data, which are available in the most social security pension schemes. According to a demonstration analysis, the cohort profitabilities, an indicator of intergenerational equity, are decreasing as birth year increases. The reason is that the special benefits in the early stage phased out and the effects of the two reforms in 1998, 2007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more desirable indicator of per capita net benefits show the highest value around the cohort born in 1975 due to their larger coverage rates and longer contribution years despite their lower profitabilities. Next, all the proposed indicators of sustainability display values less than half of those values of the OASDI. Finally, a simulation shows that the 15% contribution rate, considered as a long-run actuarially fair rate, is not sufficient for the sustainability. It means a combination of diverse reform measures are required to recover the sustainability of current scheme. 본고는 국민연금에 적합한 세대간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의 지표들을 세대간회계로부터 도출하고 측정치들을 제시한다. 본고의 세대간회계는 두 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째, Auerbach etal.(1991)의 ‘잔차 접근법’이라는 전통적 세대간회계에 비해 간명한 유럽연합 연구자들의 ‘지속가능성 접근법’이라고 하는 새로운 세대간회계이다. 둘째, 사회보장연금들에 일반적인 장기추계모형과 가입자들의 이력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세대계정이 전체 생애에 대해 추계되는 Leimer(1994), 최기홍(2013)의 ‘확장된 세대간회계’이다. 도출된 지표들은 2013년 재정계산의 추계모형과 이력자료로부터 시범적으로 측정되었다. 먼저 세대간형평성의 지표로서 세대별 수익성은 제도 초기 특혜의 소멸과 1998, 2007년 재정안정화 조치의 영향으로 후세대로 갈수록 낮아진다. 보다 바람직한 지표인 세대별 일인당 순혜택은 초기세대들이 높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가입률과 짧은 기여연수로 가장 작고 1975년 무렵 출생한 세대들이 높은 가입률과 긴 기여연수로 통념과 달리 가장 크다. 다음으로 국민연금의 모든 지속가능성 지표들은 재정적으로 취약한 미국 OASDI에 비해서도 두 배 이상 낮게 나타나서 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추계모형을 이용한 가상적인 보험료 인상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장기 수지상등 (actuarially fair) 보험료로 판단되는 15% 수준의 인상에도 지속가능하지 못하여 다양한 재정안정화 방안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경위 근위부 골절의 치험

        최기홍,강충남,왕진만,노권재,이상겸 대한골절학회 1990 대한골절학회지 Vol.3 No.2

        The management of extra-articular proximal tibial fracture remains controversy. Many reporters recognized that the proximal tibial facture are best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long leg cast, however delayed union with this method have frequently been documented in spite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roximal tibia. Thirty patierrts of the fracture of extra-articular proximal tibia were treated and manag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wh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3 to December 1989.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ccording to Gerard classification, anterior long oblique & posterior long oblique fracture were 18 cases(60%) and 8 cases(27%) respectively. Delayed union developed in 9 cases(50&) of 18 cases anterior long oblique fracture and 2 cases(25%) of 8 cases posterior long oblique fracture. 2. All cases of deleyed union of tibia developed through or below the tuberosity. 3. Among 30 cases, the fractures were managed with closed method at 23 cases, open method at 7 cases, internal fixation at 12 cases without delayed union and external fixator at 10 cases The all cases using external fixator resulted in delayed union. 4. Among 30 cases, 16 cases(53%) were open fracture, and the most common type was type lllb. Delayed union developed in 8 cases(50%) of 9 cases(56%) type lllb. 5. The 24 cases(80%) of fibular fracture were concurred with proximal tibial fracture, and delayed union developed in 10 cases(42%) of 24 cases fibular fracture and one case of 6 cases without fibular fracture. In conclusion, many delayed unions were frequent, In our experience, in case of Grade III open comminuted fractures, we used external fixation methods mostly, so delayed unions were developed. But after management of soft tissue injury, healing time were short with bone graft as soon as possible, We consider that in cases in which internal fixation was possible according to soft tissue injury, delayed unions are prevented by internal fixation using plate and screws or retrograde flexible nails.

      • KCI등재

        화력발전소 효율개선 측정에 대한 디비지아분해기법의 적용

        최기홍,Choi, Ki-Hong 한국환경경제학회 200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9 No.5

        Since improved thermal efficiency reduces capacity requirements and energy costs, electricity producers often treat thermal efficiency as a measure of management or economic performance. The conventional measure of the thermal efficiency of a fossil-fuel generation system is the ratio of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to the simple sum of energy inputs. As a refined approach, we present a novel thermal efficiency measure using the concept of the Divisia index number. Application of this approach to the Korean power sector shows improvement of thermal efficiency of 1.1% per year during 1970-1998. This is higher than the 0.9% improvement per year given by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fference is attributable to the effect of fuel substitution. In the Divisia decomposition context, we also show the limitations of the popular $T{\ddot{o}}rnqvist$ index formula and the superiority of the Sato-Vartia formula.

      • KCI등재

        Hicks 후생지표의 이차근사식에 관한 소고

        최기홍 한국계량경제학회 2010 계량경제학보 Vol.21 No.1

        In 1930-1940, Hicks defined the welfare change indicators such as the equivalent variation and the compensating variation using the expenditure function and provided their approximation formular using the Taylor expansion. The famous Harberger's welfare indicator is a second order approximation of the Hicksian welfare change indicators. Weitzman(1988) showed that a refinement is needed for the Harberger's welfare indicator based on the modern microeconomic theory. Also Diewert(1992) extended Weitzman's result by providing two refined formular. This note claims that conventional second order Taylor approximation is not a good method in case of the expenditure function as seen from the standard numerical analysis theory. This note derives four kinds of welfare change indicators in succinct way using a variant of Taylor second order approximation. The two among the four are the same with Diewert's formulas. 1930-40년대 Hicks는 동등변화(equivalent variation)와 보상변화(compensating variation)라는 지출함수에 기초한 후생지표를 정의하고 Taylor 전개에 의한 근사식들을 제시하였다. 유명한 Harberger 후생지표는 Hicks 후생지표의 Taylor 이차근사식이다. Weitzman(1988)은 현대 미시경제 이론에 기초하여 Harberger 후생지표에는 보정이 필요함을 보였다. 이어서 Diewert(1992)는 Weitzman의 결과를 확장하여 두 가지 보정된 이차근사식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수치해석의 표준적 방법론에 따르면 통상적인 Taylor 이차근사식이 지출함수의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그 변형을 사용한 간명한 방법으로 모두 네 가지 형태의 후생지표를 유도한다. 그 중 두 가지는 Diewert의 결과와 동일하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보험수리적 구조

        최기홍 보험연구원 2004 보험금융연구 Vol.15 No.3

        본고는 오창수(1994, 1997)에 이어 국민연금을 보험수리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민연금은 사회보험으로서 원래 민간의 개인연금 상품들과 같이 사전에 보험수리적 계산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 아니며 사실 기초율의 부재와 제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그렇게 설계될 수도 없는 속성을 갖는다. 따라서 민영보험의 정교한 보험수리분석을 국민연금에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은 유족연금, 장애연금과 같은 보장성 급여를 포함하고 있어 국민연금의 보험자산의 규모 등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보험수리적 분석이 불가피하다. 유족연금, 장애연금의 연금액 결정을 위해서는 가입이후 매년의 기대가입년도가 필요하다. 본고는 단축기대여명(curtate life expectancy)의 개념을 원용한 기대가입기간 추정 방법에 기초하여 보험수리모형을 구축하였다. 본고의 측정결과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연금급여는 저축성에 해당하는 노령연금이 86.5~88.7%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장성에 해당하는 유족연금과 장애연금은 합해서 나머지 11.3~13.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험수리모형을 사용하지 않은 국민연금관련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보장성 급여의 가치만큼 국민연금의 혜택을 저평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nalyses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through the actuarial model that is the standard practice of private insurance, though recognizing its fundamental limitation caused by complicate benefit systems and deficient related basic rates. The specific actuarial model constructed is a joint life annuity model with invalid benefits. The core of model is the estimation of expected contributing years using the concept of curtate life expectancy. Based on this model with a representative male entering the system at the age of 28 with three year younger wife, this paper estimates the actuarial structure of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The size of survivors benefit is estimated to be in the range of 9.2% - 10.5% depending on the discount rate of total benefit and the size of invalid benefit is estimated to be in the range of 2.1% - 2.9% much smaller size than that of survivors benefit. The remaining 86.5% - 88.7% pertains to the old age benefits. Thus all existing studies can be said to underestimate the benefits by 11.3% - 13.4% virtually omitting the survivors and disabled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