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파견학생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최선진(Choi, Seon-Jin)(崔善珍)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국제화 시대에 따라 해외 파견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 교류에 필요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해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중국지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나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지역 교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역량 변화와 교환 전과 과정 중의 요인에 대한 문화역량의 관계를 조사·분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A 대학 중국학부 학생 중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지역으로 파견 간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교환 전과 후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차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동일 집단 53명을 연구대상 범위로 정하였다. 통계 결과와 주관식 의견을 토대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여 3가지 교육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교환학생 선발방법 변경 또는 추가 조건제시, 2)기 경험자가 참여하는 정보망 구축, 3)교환 전 교내에서부터 현지인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 하자이다. 본 연구의 제시방안을 활용하여 중국지역 파견뿐만 아니라 해외 교류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길 바란다.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each universities actively run a student exchange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for international exchanges. These days, more and more Korean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tudy its language and cultur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make better programs or system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dentify changes of cultural capacity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in China. For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s Chinese studie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change student program in China from 2016 to 2018. A group of 53 students responded survey on two separate occas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opinions on the subject matter,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s of current exchange student program, the way for further improvements and three options for educational methods. 1) Changing the method of selecting exchange students or suggesting additional conditions, 2) Establishing an information network with prior experience in exchange student, 3) Supporting various interacting programs with natives inside a college before exchanging.

      • KCI등재

        성지(聖地)의 형성과 존상(尊像)의 출현―중국 보타산(普陀山)의 관음상(觀音像)을 중심으로―

        최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9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3 No.-

        What is the role of imag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cred plac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sue by focusing on Mount Putuo, one of the “Four Famous Mountains of Chinese Buddhism.” A small island located in Zhoushan archipelago of Zhejiang province in China, Mount Putuo began to be regarded as the residing place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Ch. Guanyin) no later than the Northern Song dynasty (960-1127). The first part of the paper reconstructs the early history of Mount Putuo through a comparative reading of related literary sources, such as Xuanhe fengshi Gaoli tujing (1124) and Mozhuang manlu (first-half of the 12th century), Baoqing Siming zhi (1227), Dade Changguozhou tuzhi (1298), and Putuo luojia shanzhuan (1361). By examining the legend of so-called “Bukenqu Guanyin (Guanyin who does not want to leave),” a miraculous statue which was alleged to express its will to stay at Mount Putuo in the midninth century, this paper suggests that a particular imag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Mount Putuo as a sacred site. I also point out that Mount Putuo is distinguished in this respect from its two precedents, i.e., Mount Wutai and Emei, where visitors’ visionary experiences made the mountains famous rather than the presence of certain icons: it was in the later stage when particular icons emerged as the focus of worship in these two sites. However, close reading of literary sources of Mount Putuo also indicates that visionary experiences were regarded as much important as the possession of the image. By tracing how the stories of vision at Caoyin Cave evolved in the literature from the twelfth to fourteenth centuries, I stres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vision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unt Putuo as the sacred site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revisit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and image by examining a painting, which depicts Mount Putuo of the fourteenth century. Entitled Putuo luoshan shengjing tu and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Jōshōji temple in Japan, the painting not just vividly illustrates the architectural and geographical aspects of the mountain, but also intriguingly presents how the deity’s manifestations were experienced. By interpreting two different manners in which visions are represented, I suggest that the painting is an interesting example which shows the complicated yet blurry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vision. 이 글은 중국 절강성(浙江省) 주산반도(舟山半島)의 보타산(普陀山)을 중심으로, 그곳이 관음보살의 성지로 인식되고 인정받는 과정 속에 등장한 존상(尊像)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본 것이다. 늦어도 북송(北宋) 이래 관음의 주처(住處)로자리 잡은 보타산은 각각 문수(文殊)와 보현(普賢)의 주처로 여겨진 오대산(五臺山), 아미산(峨眉山)과 함께 중국 불교의 삼대도량(三大道場)이라 불렸다. 중국의 특정 산이 보살의 주처로 인식되고 인정되는 데에는 『화엄경(華嚴經)』을 기반으로 한 교학적인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각종 신비로운 이적(異迹)을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 보살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전언(傳言)한 방문자 내지는 순례객의 역할도 매우 중요했다. 본 논문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 麗圖經)』, 『묵장만록(墨莊漫錄)』, 『보경사명지(寶慶四明志)』, 『보타락가산전(普陀 洛伽山傳)』 등에 수록된 보타산에 대한 다양한 영이담(靈異談)을 살폈다. 아울러 본 논문은 이를 토대로 12-14세기 사이 보타산의 초기 역사를 재구성했으며 그 과정 중에 중시된 소위 “불긍거관음상(不肯去觀音像)”의 의미와 역할을 살폈다. 불긍거관음상은 보타산의 개창 설화에 등장하는 상이다. 전승에 의하면 이상은 9세기 중엽 오대산에서 온 것이며, 보타산 인근을 지날 때 스스로 섬에 남기를 원했다고 한다. 이후 불전에 안치되어 섬을 찾는 이들의 기도와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이처럼 보타산은 특정한 상(像)의 존재로 인해 관음의 성지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런 면에서 보타산은 그보다 앞서 보살의 성지로 자리 잡았던 오대산, 아미산과 구별되는 지점이다. 두 곳은 주로 보살의 시현(示顯)이나 보살이보인다고 여겨지는 초자연적인 현상들이 알려지면서 성지화되었고, 특정한 존상이 신앙의 중심이 된 것은 비교적 후대에 해당된다. 하지만 문헌 자료들을 검토한결과, 보타산 역시 조음동(潮音洞)을 중심으로 관음의 시현을 중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음동(潮音洞)에서의 관음 시현 이야기와 불긍거관음상 이야기가 12-14세기에 어떻게 정형화되었는지를 추적해 존상과 현현 사이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고 그 두 가지 요소가 변증법적으로 보타산을 관음 성지로 자리잡게 만든 과정을 조명했다. 본 논문은 또한 14세기 중국에서 제작되어 현재 일본 나가노현(長野縣) 조쇼지(淨勝寺)에 소장되어 있는 〈보타락산성경도(補陀洛山聖境圖)〉를 통해 존상과 현현의 상보적인 관계를 확인했다. 14세기 보타산의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는 이 그림은 관음의 시현을 조음동 외에 또 다른 곳에도 표현해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필자는 조음동에서의 관음 시현은 당시 잘 알려진 백의관음(白衣觀音)의 도상이 차용된 것이며, 상공에 표현된 관음 현현은 보타산에 봉안되었던 불긍거관음상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를 통해 이 그림은 존상과 현현 사이의 복합적이면서도 모호한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흥미로운 사례임을 지적했다.

      • KCI등재

        『오희상금보』의 <진악해(進樂解)> 연구

        최선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5 No.-

        본 연구는『오희상금보(吳熹常琴譜)』의 <진악해(進樂解)>가 당나라 대문장가 한유(韓愈, 768~824)가 쓴 가상 인물 간의 문답내용으로 구성된 <진학해(進學解)>와 유사한 제목과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만약에 <진악해>도 <진학해>처럼 실제로는 가상의 인물을 내세운 거문고보 편찬자의 자문자답이라면, <진악해>에 등장하는 인물을 실재의 인물로 간주하여 편찬자와 간행인을 추정한 선행연구는 재고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먼저 선행연구에서『오희상금보』의 편찬자와 간행인 그리고 편찬지역 등을 추정하는 근거로 사용된 <진악해>의 전반부와 아직까지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후반부 기록을 모두 검토해 보았다. <진악해>의 전반부는 ‘진악(進樂)’ 즉 ‘악(樂)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진악해>의 저자 오희상이 거문고보를 편찬하게 된 동기와 편찬한 거문고보의 체제 및 구성에 대한 내용이다. <진악해>의 후반부는 손님과 오희상의 대화중에 오희상의 음악관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 스토리텔링으로 자신의 음악에 대한 지식과 생각을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오희상은 자신의 음악관이 옛 성현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옛 문헌에서 증거를 찾아 고증하거나 문답에 의해 변증하는 등 음악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명확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거문고보 편찬의 근거 역시『시경(詩經)』에 있음을 강조한다. 오히려 옛날과 달라진 지금의 음악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고루하고 치우친 시각으로 현실의 음악을 바라보는 손님을 위시한 일부 문인지식인들의 태도가 잘못된 것임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진악해>의 형식․등장인물․제목과 내용의 조화 여부 등에 관해서 한유의 <진학해> 및 <진학해>가 패러디한 작품으로 알려진 동방삭(東方朔)의 <답객난(答客難)>, 양웅(揚雄)의 <해조(解嘲)>와 비교․대조하여 <진악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진악해>는 제목과 문답형식을 통해서 <진학해>를 패러디한 작품임을 의도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진악해>도 <진학해>와 유사하게 가상의 인물을 내세운 거문고보 편찬자의 자문자답이라 할 수 있는데, 다만 거문고보 편찬자의 형상이 <진악해>의 등장인물에 투영되어 있으며, 특히 허구의 인물인 손님을 통해서 스스로를 비판하는 동시에 세상을 질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진악해>는 제목에서 악(樂)의 원론적인 문제를 거론하지만 내용에서 음악현실을 대비시켜 놓음으로써, 이미 퇴색되어 버린 화두에 집중하기보다는 당시의 음악 현실을 제대로 진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글쓴이의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하겠다. 결국 <진악해>는 패러디기법을 이용하여 문학적 유희를 추구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이야기의 화자인 이경순과 손님 그리고 오희상의 음악관과 민간 풍류방에서의 음악적 경험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itle and contents of <Jinakhae> of Ohheuisang Geumbo(吳熹常琴譜) are similar to those of <Jinhakhae(進學解)>, written by Han, Yu(韓愈, 768~824), master writer of Tang Dynasty, which is composed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among imaginary characters. If <Jinakhae> is a monologue of geomungobo compiler behind imaginary person as <Jinhakhae> is, there can be a room for reconsideration of existing studies assuming compiler and publisher of <Jinakhae> based on its characters taken as real people. First, both the first half of <Jinakhae>, used as an evidence assuming a compiler, a publisher and a publishing region of Ohheuisang Geumbo in existing studies and the second half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are examined. The first half of <Jinakhae> is not an explanation for ‘Jinak(進樂)’, that is ‘what music is’, but it is about the motive of Oh, Heuisang for compiling of geomungobo and its system and structure. The second half of <Jinakhae> reveals a specific view of Oh, Heuisang on music through conversations with a guest and him. By storytelling, he conveys 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usic. With historical evidences, questioning and answering, Oh, Heuisang explains that his view on music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one of old saints. He also emphasizes that grounds for compilation of geomungobo are based on ones of Sigyeong(詩經), compiled by old saints. Rather, he criticizes attitudes of writers of the times, including a guest, who did not face reality of music different from the past and treated music of the time with old and biased views. Second, on harmony of form, characters, title and contents of <Jinakhae>, features of <Jinakhae> are examined in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Jinhakhae>, <Dabgaeknan(答客難)> and <Haejo(解嘲)>, which <Jinhakhae> parodied. It was verified that <Jinakhae> used its title and the questioning and answering form to reveal its intention to parody <Jinhakhae> on purpose. Similar to <Jinhakhae>, <Jinakhae> can be considered a compiler monologue of geomungobo behind imaginary person. However, a shape of the author Oh, Heuisang is reflected in characters of <Jinakhae>. Through a guest, who is a fictional person, in particular, he criticizes himself and the world at the same time. Last, <Jinakhae> addresses reality of music while it mentions a theoretical problem of music in its title. Therefore, it is identified that the writer intended to tell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diagnose right reality of music of the time than to focus on already faded topic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Jinakhae> sought for literary amusement using a parody and effectively delivered views on music of Lee, Gyeongsun, who is a narrator of the story, a guest and Oh, Heuisang and musical experiences in private pungryu room(風流房), using storytelling.

      • KCI등재

        로렌스의 유령 이야기: 「국경선」과 「유쾌한 유령들」을 중심으로

        최선 한국로렌스학회 2012 D.H. 로렌스 연구 Vol.20 No.2

        Focusing on “The Border-Line” and “Glad Ghosts”, this paper aims to examine and reevaluate D. H. Lawrence’s ghost stories that have attracted relatively little critical attention. Lawrence’s ghost stories were written in the late phase of his literary career when the images of death were frequent in his short stories. Two overlapping backgrounds are behind this: the First World War was synonymous with death, and the devastated post world-war European countries were all engulfed by the tide of death; and around the same time, suffering from tuberculosis, Lawrence had to face the shadow of death hung upon his own life. Lawrence’s ghost stories were also inspired by the English ghost story tradition which achieved great popularity between 1850 and 1930. However, Lawrence radically deconstructed the fundamental hypothesis of this genre where the ambiguity of the ghost, that is, whether it really exists or it’s just a symptomatic phenomena of an unsettled and disturbed psyche, plays an pivotal role in arousing tension and suspense. Most of Lawrentian ghosts return without giving fear or suspense and with the purpose of fulfille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living people who expect and even wait for their return. Both “The Border-Line” and “Glad Ghosts” partly fall a little short of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short story such as condensed atmosphere, economy in narrative, dramatic climax, and final reversal. However, “The Border-Line” presents a new concept of ghost, and “Glad Ghosts” goes beyond the spirit-body dichotomy and continues to search for more complex layers in the meaning of the ghost. Creating a subtle “varied tone” in the narrative, and interweaving the ghost theme with other realistic or exotic motifs like class and swapping, “Glad Ghosts” is highly probably an attractive Lawrentian ghost story.

      • KCI등재

        「표 주세요」의 "거친 로맨스"에 담긴 의미

        최선령 ( Sun Ryoung Choi ) 한국로렌스학회 2009 D.H. 로렌스 연구 Vol.17 No.2

        As often in Lawrence`s fiction, the man and woman relationship explored in "Tickets, Please," one of the war-time short stories can be more richly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view on the crisis of human relationship in capitalist modern age. Even if the settings obviously reflect the first world war`s impacts and the characters` love relationship really takes a form of battle in "Tickets, Please," the frame of battle between man and woman may unduly restri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ory. Rather "Tickets, Please" can be read as an exploration of a modern man and woman relationship with both dangerous recklessness and liberative vitality that the Midlands tram car also stands for. The revenge of the girl conductors against their elusive lover, John Thomas, is put into a dilemma because their "wild romance" aboard the tram car relies on their "dash and recklessness" and his very elusiveness itself as well. In some sense, the romance between Annie, one of the girl conductors and the heroin of this story and John Thomas has a liberative power that they are supposed to explore and substantiate. But John Thomas and Annie just typically perform the conventional romantic love which the narrator parodies in the fairground scene by the insertion of many "of course`s" and "after all`s." Likewise, Annie`s will to revenge for his betrayal as well as her assurance of his love is an old and ineffectual response to his liberative and reckless love. As the girls` Bacchante-like attack subtlely intrigued with physical desire for John Thomas approaches the highest peak, and when John Thomas finally chooses Annie with full malice and violently confirms his male power, Annie finds herself in a kind of cul-de-sac. "Something" that "was broken in her" is the contradictory logic of the "certain wild romance" she and the conductor girls have involved in. Presenting an analogy between the violent liberating rush of the tram car and the adventurous romance of the conductor girls, "Tickets, Please" explores a new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ho live and love as "shipmates aboard this careering vessel of a tram-car" in modern age. Now that the liberative and reckless power of their romance also corresponds to the ambivalence of modernity, the significance of this peculiar romance represented in "Tickets, Please" cannot be over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