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근대소설에 보이는 인력거꾼 모티프의 표현 양상

        남정희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7

        The rickshaw ma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otif in poverty literature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odern novel. Because of modern times, the rickshaw was the loved transportation to the general public, since it was cheaper than the car and the tram that those had substituted the palanquin and the carriage, and since it could go over the small streets. However, the rickshaw man who pulled the rickshaw should to run around, that is to say a high labor intensity, so it was a hard job for healthy young people also, and besides some poor rickshaw man should pay money to the owner of the rickshaw, it was not a good income job. Therefore, the literature with the motif of them connote all contradiction of the early modern capitalistic society. In this thesis, it were analyzed three of the korean literature, two of the chinese with the topic of the rickshaw man motif. On analysis the five literature works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it show different aspects in accordance with the world view of each writer rather than each country, even though they are the works describing the rickshaw men’s miserable lives as major motif. For example, An Gukseon contained the pro-japanese that thank to Politics of Governor General and enlightenment that even a rickshaw man can be rich if he works hardly, and then Yudafu expressed sympathy and his shallow goodwill using a just reliable rickshaw man. On the other hand, Hyeon Jingeon, Ju Yoseop and Laoshe pressed readers for awakening describing the poverty that never be able to escape with any effort and the typical rickshaw men who committed misdeeds for the ignorance. Further more Laoshe alluded that it is the power of society reform getting govern individualism, talking about the power of a swarm of locusts through a old retired rickshaw man. 한국과 중국의 근대소설에서 인력거꾼은 ‘빈궁문학’의 대표적 모티프 중의 하나이다. 인력거는 근대에 접어들면서 가마나 마차를 대체해 가는 자동차와 전차의 틈새에서 값도 싸고 골목길도 다닐 수 있어서 일반인들에게 사랑받던 교통수단이었다. 하지만 인력거를 끌던 인력거꾼은 매일 뛰어다녀야 했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아주 세어 신체 건강한 젊은이들에게도 힘든 일이었고, 가난한 인력거꾼들은 자신이 소유한 인력거가 없어서 사납금을 많이 물고 빌려야 했기 때문에 벌이가 신통치 않았다. 따라서 이들을 주요 모티프로 하는 문학작품은 근대 초기 자본주의 사회의 온갖 모순을 내포하게 되었다. 인력거꾼 모티프를 제재로 한 한국의 작품 3편, 중국의 작품 2편을 뽑아 분석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를 확대하여 5편을 모두 검토해 본 결과 인력거꾼을 주요 모티프로 하여 그들의 비참한 삶을 표현한 작품들이지만, 중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은 우리나라와 달리 격심한 노동이라는 점이 부각되었다. 또한 작가의 세계관에 따라 아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음을 밝혔는데, 예컨대 안국선은 인력거꾼이라도 부지런하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계몽성과 총독정치에 감사하는 친일성을 담았고, 위다푸는 착실하기만 한 인력거꾼을 표현하여 동정과 얄팍한 선의를 담았다. 반면에 현진건, 주요섭, 라오서는 아무리 노력하여도 벗어날 길 없는 가난과 무지하고 卑行을 저지르는 전형적 인력거꾼을 그려 내어 사회 구조를 바꾸어야 한다는 독자들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나아가 라오서는 늙어 퇴직한 인력거꾼의 입을 빌려 메뚜기 떼의 힘을 이야기함으로써, 개인주의를 넘어서는 것이 사회변혁의 힘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보상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분석

        남정희,윤경림,이상권,한인식,Nam, Jeong Hui,Yun, Gyeong Rim,Lee, Sang Gwon,Han, In Sik 대한화학회 2002 대한화학회지 Vol.46 No.6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의 보상논리 문제해결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3개반 5개조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상논리를 주제로 한 활동의 수업내용을 참여 관찰하였고, 그 내용을 녹음하여 조사${\cdot}$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보상논리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개인마다 각기 다른 유형의 형성과정을 나타내었다. 수학적 연산력이 뛰어나난 학생들은 비례식에 의해 보상논리를 설명하고 반비례관계와 보상논리는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고, 보존논리가 잘 발달되지 않는 학생들은 보상논리 형성과정에서 평형을 유지하려는 힘은 보존된다는 생각과 두 변인의 관계를 연관지어 생각하지 못하였다. 보상논리 형성에 성공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에 비해서 보존개념 형성정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student's compensation con-cept.For this purpose, verbal interactions during activitie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 with students were carried out. Students who were superior in mathematical operations tended to explain compensation concept using proportionality.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had low level of conservation concept can not connect 'relation of two variables' with 'conservation of equilibrium' at the formation process of com-pensation concept. Students who succeed in the formation of compensation concept showed high level of conservation concept. To promote the formation of compensation concept, it is necessary that how to develop proportional concept and conservation concept as closely related with compensation concept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에 미치는 영향 및 다중 표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남정희,박지연,이동원,Nam, Jeonghee,Park, Jiyeon,Lee, Dongwon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SWH)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에 미치는 영향 및 다중 표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3개 학급 94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2개 학급 64명의 학생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8개 주제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을 수행하였고,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전통적인 실험수업을 수행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요약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다중 표상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모든 학생들이 개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하는데 있어서 다중 표상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다중 표상을 사용하는 수준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다중 표상 사용에 대한 이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on multiple representations in students' writing and to survey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cognition about the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8 students in 7th grade. 94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64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than comparative group at utilizing multiple representation in summary writing. Interview analysis indicated that al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rviews, regardless of solid multi-modal competency, recognized that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with appropriate explanations enable to communicate science information persuasively.

      • KCI등재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에서 읽기틀이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남정희,이동원,박성호,Nam, Jeonghee,Lee, Dongwon,Park, Seongho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ading framework on colleg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in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 total of 17 first grade college students taking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7 i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10 in the comparative group. For two semesters, a total of 10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programs were applied. The result was shown that the lessons using the reading framework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As the study progressed,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changes toward the high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에서 읽기틀이 대학생의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일반화학실험을 수강하는 대학교 1학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7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두 학기 동안 총 10개의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그 중 수업의 초기, 중기, 후기에 해당하는 3개의 주제를 비교하였다.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에서 읽기틀이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읽기틀을 사용한 수업이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의 내재성에 미치는 다중 표상 수업의 효과

        남정희,이동원,남영호,Nam, Jeong-Hee,Lee, Dong-Won,Nam, Young-Ho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표상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의 내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자연계열 2학년 2개 학급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2개 학급 중 1개 학급 41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 33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차시의 다중 표상 수업과 7가지 주제에 대한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다중 표상 수업을 제외하고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Summary Writing의 분석 결과, 다중 표상의 내재성에 대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ultimodal representation-based lesson on embeddedness of multimodal represent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o groups of second-year science-track students (74 students) at an academic high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One group (41 student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group (33 students) was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better at utilizing and embedding multimodal representations. Thus,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multimodal representation-based lesson had an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embeddedness of multimodal re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