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전사고 대응 재생계획 수립방안 연구(1)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중장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조공장,이창훈,맹준호,이희선,김태윤,신경희,한성주,( Tahara Keiichiro ),( Ohtake Hiroyuki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는 원전사고 후 `재생계획 수립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후쿠시마 사고 이후 모니터링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얻은 교훈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재생계획 수립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는 1차 연도 보고서로 국내외 선행연구와 후쿠시마 사고 후 환경·사회 모니터링 메타데이터 및 정부의 대응방안을 분석한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자연환경의 영향 사고 직후 대기, 삼림, 토양, 하천·호수·지하수, 해양 등 모든 자연환경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받았으나 현재는 회복 중에 있다. 대기의 경우 방사성물질의 확산 경로가 사고 당시의 산맥, 풍향, 강우 등에 영향을 받아 다르게 침착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산림은 방사성물질이 낙엽과 표층토양에 강하게 흡착된바, 유출량이 적어 더 큰 피해는 막을 수 있었지만 숲의 오염 총량은 같아 공간선량의 감소는 기대하기 어렵다. 토양 역시 산림과 마찬가지로, 미개간지의 경우는 표면층 깊이 5cm에 90% 이상의 방사성물질이 머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따라 주변 공간선량을 감소하는 것이 어렵다. 하천·호수의 경우 방사성물질이 바닥으로 가라앉아 대부분의 모니터링 지점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강우로 인해 물이 혼탁해질 경우에는 방사성 세슘 검출량의 변화를 우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지하수는 모든 지점에서 측정한 결과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하수가 원자로 건물에 유입되어 오염수로 변해 배출되는 것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고안하여 취하고 있다. 해양은 원전으로부터 방사성물질이 대량으로 유출된 곳으로 고농도의 오염수 방출로 인해 해수는 물론 해양수산물에서도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어 문제가 되었다. 현재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해수 및 수산물의 방사성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강우로 인해 수위가 지표면까지 상승할 경우에는 발전소 방수구 부근의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실시하고 있다.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사회환경의 영향 사회환경은 자연환경과는 다르게 영향의 예측이 까다롭고,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이 또 다른 영향을 발생시키는 등 복합적 구조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피난은 사고 당시 가장 많은 사회적 영향을 가져온 항목이다. 잘못된 피난구역의 설정 및 단계적 피난구역의 변경과 자주적 피난의 권고는 정부에 대한 지역주민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많은 주민들이 방사성물질에 오랫동안 노출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사고의 발생과 피난 지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부족과 정보에 대한 불충분한 제공은 피난을 떠나는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에는 역부족했다. 또한 원전으로 인해 병원과 노인복지시설의 피난 과정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가 남에 따라 피난계획 시 복합재난에 대한 상황 가정과 병원 등 시설의 피난대책 구축의 필요성을 상기시켰다. 마지막으로 피난은 가족붕괴, 정신적 영향 등 2차적 영향을 야기하는 만큼 지속적 모니터링 및 대책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의 격차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소셜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피난의 시점에 영향을 미쳤던 점이 지적되었다. 지역 산업에는 농수산물의 출하제한 및 특정 식품의 섭취, 제품의 폐기처분과 같은 직접적 영향도 있지만 실제로는 사실이 아닌 `풍문피해`와 `낙인효과`로 인한 피해도 상당하다. 일본 정부는 풍문피해와 관련해서는 지침을 마련하여 보상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상을 근거로 헐값 판매를 지속하여 오히려 풍문피해가 계속 되고 있는 것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낙인효과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인식변화와 피해지역 낙인화로 주민이 겪고 있는 사회적 차별이 있다. 특히 피해지역의 낙인화 경향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This is a policy-focused research for structuring a `recovery plan` as a countermeasure for aftermath of a nuclear accident. It analyses the meta-data gathered from monitoring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and draws lessons from it. The report is the first-year research out of three and this year, it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meta-data from the monitoring data and corresponding actions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Fukushima Accident After the accident, all surroundings of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have been affected but are currently under recovery. First, as for the `atmosphere`, radioactive materials, such as Cs-137, have deposited un-proportionately by mountains, wind and precipitation. Second, in case of `forest`, the litter and the surface soil layer have absorbed high levels of Cs-137, resulting in slow discharge progress so far. On this account, it is hard to reduce the degree of the space dose in a way that the total radiation dose is equal to as hitherto. Third, when it comes to `soil`, especially in the case of uncultivated land, radioactive materials remain 5cm under the surface. As in the following, rivers and the lakes show no signs of radioactive detection at any monitoring posts, because the substances have subsided. Constant monitoring is carried out to detect changes in Cs-137 level caused by opaque water in the events of heavy rainfall. Next, `groundwater` is intact for now, however, the real problem occurs when it passes the reactor building, which may lead to contamination. Various measures have been devised to prevent that from happening. Finally, in case of `ocean`, the accident affected not only the seawater but also aquatic products. The government consistently monitors seawater and aquatic products and regulates the product. Social Impacts of the Fukushima Accident Distinct from environmental impacts, social impacts are hard to predict and are consisted of a complex system, which means a countermeasure employed to address one impact may give rise to another impact. The report categorizes four different areas of social impact. First, a lot of social impacts have occurred during the `evacuation` process. Incorrect assignment of evacuation areas, changes in designated evacuation areas in each stage and voluntary evacuation recommendation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factors that tarnished the trust of the local people towards the government and led multitude of people to be exposed to high dose of radiation for a long time. Also, the highest number of casualties was during the evacuation of patients and senior citizens exacerbated as a result of lack of communication and insufficient preparedness for multi-risk disasters. The secondary effects of evacuation such as family separation, mental disorder and others must be monitored consistently due to their long-lasting nature. Second, `digital divide`, particularly the accessibility of social media was pointed out as a critical factor which affected the timing of evacuation. Third, regional industries have sustained both direct and indirect damages. In particular, `rumors` and `stigma` effects which are in fact not true also affect the region of Fukushima and its people. Although the Japanese government has legislated a compensation scheme for damages inflicted by rumors, it has created another side effect of leading people to sell products continuously for scrape value, generating a vicious cycle. As to the stigma effects, people from Fukushima have suffered social discrimination based on the stigma that radiation is contagious. Such an effect needs long-term management plan since it cannot be addressed in short-term.

      • 원전사고 대응 재생계획 수립방안 연구(3) : 중장기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조공장 ( Kongjang Cho ),이창훈,맹준호,이희선,신경희,서아람,( Tahara Keiichiro ),류재홍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사업보고서 Vol.2018 No.-

        본 연구는 총 3년간의 연구 중 3차 연도 연구로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사례의 교훈을 통해 원전사고에 대응하는 중장기 방안으로서의 지역재생계획을 분석하고, 행정기관의 입장에서 사후대책으로 무엇을 준비하고 수행해야 할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부흥계획 분석결과본 연구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 정부 및 지자체의 부흥정책을 조사·분석하고 국내 원자력 사고의 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 지자체는 2017년 3월 31일에 일부 대피령이 해제되어 주민 귀환이 시작되고 있는 나미에정으로 선정하였다. 부흥계획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고 이후 1년 6개월 후 수립된 제1차 부흥계획과 6년 후인 2017년도에 수립된 제2차 부흥계획의 방향성과 내용을 비교하였다.분석 결과, 사고 후 약 1년 6개월이 지난 시점에 책정된 제1차 부흥계획은 피난기를 극복하기 위한 요소가 강하고 지역 부흥에 대한 방향성만을 보인 반면, 사고 6년 후인 2017년 책정된 제2차 부흥계획에서는 대응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이나 새롭게 요구되는 활동과 본격적인 부흥기의 구체적인 활동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제1차 부흥계획에서는 피난지 시설과 환경 등의 ‘인프라’의 정비를 강조하고 있는 반면, 제2차 부흥계획에서는 귀환 주민, 이주민의 생활 지원과 건강관리 등 ‘사람’에 대한 대책으로 대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원칙 제안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교훈 및 해외 사례를 토대로 원전사고 발생 후의 재생계획 수립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재생계획 수립의 가장 큰 기본원칙 4가지를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첫째, 원전사고는 발생 가능하다.둘째, 원전사고에 대한 대비는 평상시에 하여야 한다.셋째, 대책은 단계별·상황별로 달라져야 한다.넷째, 재생계획의 수립주체에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지역주민, 기업, NGO가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이 4가지 원칙을 토대로 작성한 단계별 재생계획의 수립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단계는 평상시, 사고발생기, 임시피난기, 재생기로 나누었다. 평상시는 사고 발생과 무관하게 원자력발전소가 정상 운영되고 있는 시기이며, 사고발생기는 사고발생 직후부터 임시 피난처로 피난을 가기까지의 시기, 임시피난기는 구호소나 체육관 등에서 임시로 피난생활을 하는 시기, 재생기는 주민이 사고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기 위한 시기를 의미한다.한편 재생계획의 대상은 시간프레임, 대상프레임, 공간프레임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재생계획 수립으로 인한 최종목표는 ① 방사능사고로부터 최대한 피난하는 것, ② 사고 후 주민에게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 ③ 귀환 후 주민 및 지역을 위한 재생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지침 제안본 연구 결과로서 원전사고 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본 지침은 원자력발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의 환경적·사회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자체 등이 마련하여야 할 내용을 제시함으로서 사고 시에 혼란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책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지침의 항목들은 앞서 분석한 프랑스 및 일본 후쿠시마 지침 분석을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총론, 평상시 대책, 사고 직후 대책, 임시피난기 대책, 재생기 대책으로 구분하여 시간프레임에 따라 핵심적인 원칙을 담았다. The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social impacts of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order to prepare policy measures to minimize the damage. It is the last-year research out of three, and this year it focuses on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nuclear accident.It analyzes the revitalization plan of Japan, and finally it suggests the guideline for revitalization plan of Korea.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amie Revitalization Plan in Japan, the first plan, which was established about one year and six months after the accident, showed a strong element to overcome the evacuation period and showed only direction for regional revival. In particular, the guidelines stressed infrastructure maintenance such as evacuation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lan, which was established in 2017, six years after the accident, outlined specific details of the response or new activities required during the long-term perio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 was changed with measures for 'people' such as support for the living and health care of residents.As a result of this study, a guide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revitalization plan for the nuclear accident was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guideline is to minimize confusion in case of accidents and to provide prompt and efficient measures by presenting the contents to be prepared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The guideline is divided into the general principles, the usual measures, the measures after the accident, the temporary evacuation measures, and the revitalization measures.

      • 미래환경 전망 및 지속가능사회 비전설정 기반 구축

        조공장 ( Kongjang Cho ),채여라 ( Yeora Chae ),서아람,박한나,이주형,( Tahara Keiichir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6 No.-

        기후변화 등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중장기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가까운 미래, 혹은 먼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이 필요하며, 이로부터 발생 가능한 환경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책 방안의 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이를 예방하는 차원의 미래사회 어젠다설정 방법론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를 전망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의 비전설정을 위한 기반구축을 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를 비롯한 미래사회의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발”이며, 구체적으로 <제1부>와 <제2부> 연구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제1부> 연구는 “다가올 미래에 대한 준비”를 테마로 하여 가까운 미래에 대한 예측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제2부> 연구는 “원하는 미래에 대한 준비”를 테마로 하여 먼 미래에 대한 미래상 설정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미래 연구 방법은 포캐스팅과 백캐스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제1부> 연구는 포캐스팅을, <제2부> 연구는 백캐스팅 방법을 사용하였다. 포캐스팅 접근법은 현재 추세 분석에 기반한 미래 예측 과정으로 단·중기 전략계획에 효과적이고, 백캐스팅 접근법은 특정 시점의 미래에 원하는 목표를 규정하고, 다시 현재로 되돌아와 실행가능성 여부를 평가하여 미래와 현재를 연결하는 정책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법으로 장기적인 미래설정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 <제1부> 다가올 미래에 대한 준비 본 연구 <제1부>에서는 가까운 미래(약 15~20년 후)의 미래사회를 전망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에 대한 비전 구축을 위하여, 환경분야의 미래환경 전망치를 설정하는 전망방법론 기반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기존 국내외 미래환경 지표 연구 현황 및 방법론 분석, 미래환경 주요 지표 선정 및 결과 분석, 정책적 시사점 제안 순으로 진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미래연구에 대한 정의와 목적을 검토하였다. 미래연구에는 예측, 전망, 시나리오와 같은 다양한 개념이 사용되고 있었다. 최근 미래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증가와 함께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도전 과제들을 포괄하는 쪽으로 경향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책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학제 간 연계를 강화하여 불확실한 미래에 존재하는 기회를 탐색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장에서는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 - OECD, 밀레니엄프로젝트, UNEP, 독일 환경청 등 - 이 수행한 미래환경 지표 선정 관련 선행연구 사례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각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주요지표를 분석하여, 기존 미래전망 연구의 각 분야에서 사용된 지표와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집 가능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현황에 맞는 미래환경 전망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미래환경 전망을 위하여 사용된 방법론을 검토하고, 주요 미래전망 방법론으로서 통합모형, 지수법, 시나리오 플래닝, 시스템 다이나믹스에 관한 이론과 사례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검토한 지표들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확보 가능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경제 분야와 환경분야에서 미래환경 전망 주요지표를 선정하고,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하여, 부문별 주요지표의 과거추세와 미래추세를 제시하였다. 우선, 사회경제 분야에서는 인구, 경제, 토지이용, 에너지 부문에서 주요지표를 선정하였고, 환경분야에서는 대기, 수질, 생태계, 기후변화 부문에서 주요지표를 선택하였다. 특히 환경분야에서는 선택된 주요 지표의 2030년까지의 추세를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련된 정책을 함께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연구를 정리하고 추후 지속가능한 사회 건설을 위한 미래전망 연구 방법론 개발에서 보완되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제2부> 원하는 미래에 대한 준비 본 연구에서는 먼 미래(약 40년 후)의 사회가 지속가능한 사회가 되기 위한 바람직한 미래상과 가야만 하는 미래상을 도출하는 한국형 미래비전 설정 방법론의 기반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기존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국외사례조사, 국내 도입 방안 검토에 의한 한국형 미래비전 설정 방법론 시범운영 계획안 설계 순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국내 미래연구 추진현황을 조사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국내 환경분야의 미래·비전 수립 연구 현황 분석 결과, 그동안의 연구는 대부분 미래 트렌드 분석과 전망을 통한 대응책 및 보완책 제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미래사회 전망은 단편적인 예측 결과 제시에 그치고 있는 수준으로, 현재 문제의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에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기술예측 현황 분석 결과, 그동안의 과학기술예측은 우리나라 과학기술기획의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왔으나, 현재의 과학기술예측은 델파이조사를 통한 과학기술 연구자나 기술 분야별 정책 수요자인 전문가의 수요를 중점적으로 반영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정책과 시민참여 현황 분석 결과, 국내에서도 시민참여가 점차 확대되어가는 추세이나, 보다 적극적인 시민참여 제도가 아직 정착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제3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된 시사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독일의 < Futur >와 일본의 <미래 수요 다이얼로그> 두 건의 선행사례를 살펴보았다. 독일 < Futur >는 다양한 유형의 워크숍, 컨퍼런스, 시나리오 작성, 포커스그룹, 온라인투표, 온라인 토픽 제안 등의 복합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요지향적이고 미래 사회의 수요를 전제로 하며, 다양한 참여자를 요구하고, 학제적 주제를 검토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프로세스에서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사회 혁신까지도 시야에 넣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며, 우리가 앞으로 미래의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나가는 데 있어 지금까지의 방법에 시사하는 점이 많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일본의 <미래 수요 다이얼로그>는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에서 독일의 < Futur >를 참고하여 개발한 방법론이다. 이 사례를 통해 수요 측면 미래비전 설정 방법론과 관련하여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는 무엇보다 토론 운영 규칙을 정확히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각 참여자가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 정보의 조기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 세 번째로는 온라인 활용성을 더욱 높이는 방안이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다. 제3장에서 살펴본 독일과 일본에서 실시한 수요 지향적 미래비전 설정 방법론을 토대로 제4장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수요 지향적 미래비전 설정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론은 (1) 현재수요가 아닌 “미래수요” 지향적이고, (2) 바람직한 미래상을 설정하며(백캐스팅 방법 지향), (3) Academic Dialogue가 아닌 Social Dialogue를 지향하고, (4) 성과물은 융복합(학제적) 주제가 포함되고, (5) 다양한 참여자를 요구하고, (6) 숙의적 참여를 통해 상호학습 효과를 촉진한다는 총 6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래비전 설정 방법론의 구체적 설계는 정책 과정의 어디에 위치하는 장치인지, 실시 주체는 누구인지, 예산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 어떤 수준에서 행해지는지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uture forecasting methodology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of future society including climate change. Specifically, this study is divided into Part 1 and Part 2. The purpose of Part 1 is to develop a forecasting methodology for the near future with the theme of “preparing for the future to come”, and Part 2 seeks to develop a future vision setting methodology for the distant future with the theme of “preparing for a desirable future”. In general, future research methods can be divided into forecasting and backcasting. In this study, Part 1 used forecasting and Part 2 applied the backcasting method. The forecasting approach is a process based on the current trend analysis. It is effective in short- and mid-term strategic planning. On the other hand, the backcasting approach is useful in setting the long-term future by defining desired goals at a specific point in future, then returning to the present and assessing feasibility, establishing policies and programs that connect the future to the present. ○ < Part 1 > Preparing for the future to come This part aims to make projections for the future society (about 15 to 20 years later) in order to set up vision for a sustainable society. In Chapter 1, it reviews the concepts and purposes of general future research. Future studies adopt various concepts, such as forecasting, outlook, and scenario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purpose of recent future studies is changing towards forecasting broader socio-economic challenges, providing information to set up policy goals, and exploring opportunities in an uncertain future. In Chapter 2, it reviews papers on future research produced by other research institutes so as to select key indicators for future environmental outlook in Korea. Here we examine the concepts and methodologies used in each study for forecasting the future environmental outlook. In Chapter 3, it selects key indicators for future environmental outlook in social and environmental fields based on the indicators identifi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data available in Korea. This part illustrates the past and future trends of indicators by sector based on literature review. Firstly, indicators are selected from population, economy, land use, and energy sectors in the socio-economic field. In the area of environment, major indicators are selected in the air, water quality, ecosystem and climate change sectors. In particular, for the environmental field, not only the trends of key indicators until 2030, but also related policies are presented. Finally, Chapter 4 summarizes the research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outlook research methodology for building a sustainable society. ○ < Part 2 > Preparing for a desirable future In this part, a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Future Vision Setting Methodology which derives the image of a desirable future and the vision for a sustainable society in the distant future (about 40 years lat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verseas case study, and designing pilot project of Korean future vision setting methodology. As a result, based on the demand-oriented future vision setting methodologies of Germany and Japan, we propose a demand-oriented future vision setting methodology suitable for Korea`s situation.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the following six features: (1) it is oriented towards “Future Demand” rather than focusing on current demand; (2) it sets a desirable future (backcasting oriented); (3) it is oriented towards social dialogue rather than Academic Dialogue; (4) it includes (interdisciplinary) themes, (5) it requires a variety of participants, and (6) it facilitates mutual learning through deliberative participation. The specifics of this future vision setting methodology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conditions such as which step of policy-making it is deployed, who implements the methodology, how much is the budget,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