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보장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의 분석과 평가

        이호용 한국법정책학회 2008 법과 정책연구 Vol.8 No.2

        This year is 20th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Court. This study designed to analyse and evaluate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on social security for bygone 20 years. The right to live on constitutional law is materialized by social security law. So social security law study in a view of Constitutional law is very important.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study on social security, makes to interpret & applicate social security law in Constitutional law, and so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study on social security, is the opening gate of study of social security law. Early many precedent case on social security is rejected because of suit period passing, but recently rejected case is rare and contents and quality of decision is more and more better and riper than former days. The number of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of social security is very few, that is caused by structured problems of the right to live and social security law. This structured problems are abstraction of "the right to live" in the step of constitutional basic human rights, legislation discretion in the step of formation of law, administration discretion in the step of execution of law, denial of public service action or performance of duty action in the step of judicial dispute. These are legal barriers of social security individually and systematically.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plot legal principal of administrative law in order to overcome these legal barriers. In this study, I intend to present several suggestions to solve this problems. First of all, to overcome "abstraction of the right to live", we should comprehend the right to live in the structural principle of social state constitutional law, the right to live and the right of freedom should not be evaluated together on the same plane. And the principle of that social security law create and realize right to live is very useful too. So to speak, the theory of "The formation of general principal of constitutional law by administrative law" is applied to this. Secondly, in social security law, legislation discretion is admitted but, this should be allowed "narrowly" as much as possible in constitutional court. Thirdly, about the control of administrative discretion, two methods of control are suggested. One is a method of discretion control through basic right. So called, if decision by discretion is connected with basic right it should be judged. The other is a method of discretion control through discretion character that is policy discretion and specialized technical discretion of social security administrative agency. In policy judgment, discretion decision is limited estimation of supply standard and amount in supply procedure. Finally, constitutional precedent case will be served momentum for legislation and policy making on social security. Hereafter, the study about how constitutional judgment affect legislation and policy making on social security, will be interesting theme of law and policy study. This year is 20th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Court. This study designed to analyse and evaluate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on social security for bygone 20 years. The right to live on constitutional law is materialized by social security law. So social security law study in a view of Constitutional law is very important.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study on social security, makes to interpret & applicate social security law in Constitutional law, and so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study on social security, is the opening gate of study of social security law. Early many precedent case on social security is rejected because of suit period passing, but recently rejected case is rare and contents and quality of decision is more and more better and riper than former days. The number of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case of social security is very few, that is caused by structured problems of the right to live and social security law. This structured problems are abstraction of "the right to live" in the step of constitutional basic human rights, legislation discretion in the step of formation of law, administration discretion in the step of execution of law, denial of public service action or performance of duty action in the step of judicial dispute. These are legal barriers of social security individually and systematically.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plot legal principal of administrative law in order to overcome these legal barriers. In this study, I intend to present several suggestions to solve this problems. First of all, to overcome "abstraction of the right to live", we should comprehend the right to live in the structural principle of social state constitutional law, the right to live and the right of freedom should not be evaluated together on the same plane. And the principle of that social security law create and realize right to live is very useful too. So to speak, the theory of "The formation of general principal of constitutional law by administrative law" is applied to this. Secondly, in social security law, legislation discretion is admitted but, this should be allowed "narrowly" as much as possible in constitutional court. Thirdly, about the control of administrative discretion, two methods of control are suggested. One is a method of discretion control through basic right. So called, if decision by discretion is connected with basic right it should be judged. The other is a method of discretion control through discretion character that is policy discretion and specialized technical discretion of social security administrative agency. In policy judgment, discretion decision is limited estimation of supply standard and amount in supply procedure. Finally, constitutional precedent case will be served momentum for legislation and policy making on social security. Hereafter, the study about how constitutional judgment affect legislation and policy making on social security, will be interesting theme of law and policy study.

      • KCI등재

        도시개발법상 주거권 확보 방안

        이재삼(Lee, Jae-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6 No.-

        헌법상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추구권 및 인간다운 생활의 권리 등은 적절한 주거의 확보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의미 한다. 즉, 적절한 주거는 인간의 존엄성 및 행복추구권에 있어 필요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택법 제5조의2 제1항에서도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하기 위한 필요한 ‘최저주거기준’을 국민의 권리로 규정하고, 제2항에서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사업주체가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최저주거기준에 미달되는 가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며, 동법 제5조의3 제1항에서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최저주거기준에 미달되는 가구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주택을 공급하거나 국민주택기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1조에서는 도시기능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으로 정비하고 노후ㆍ불량건축물을 효율적으로 개량하기 위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의 주거권 확보에 대한 문제점으로써 헌법상 주거와 관련된 각 개별법상의 체계정립 및 최저주거기준 확보, 특히 도시개발법상 저소득층의 주거권 정책 운영의 체계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 주거권에 대한 일관성이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주거권 운영의 비효율성 내지 주민들의 주거권의 침해가 되고 있다. 그리고 사업대상 지역주민 들의 주거대책이나 안정에 대한 내용은 현실과는 다소 괴리감이 있다. 즉, 대체로 소득수준이 낮고 고령가구들이 많은 재정비촉진지구에서는 완전하고 구체적인 주거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주거권 확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주거 관련 법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주거에 대한 헌법상 이념체계를 명확하게 정립하는 것이 요구되고, 주거관련 개별법률 체계의 정립도 필요하다. 그리고, 도시개발 사업에 있어서의 주민들의 주거대책의 안정적 제도 보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각종 도시개발사업으로 인해 퇴거를 당하는 주민들의 주거권 보장을 명문화하고, 주거권 상실시 주거대책의 필요성과 방법 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개발사업은 오랫동안 살아 온 거주민의 생활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재산권의 변동, 생활 근거지의 파괴 및 공동체의 붕괴 등으로 인해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 피해도 상당히 입게 된다. 따라서 개발사업상, 거주민의 토지 등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뿐만 아니라 이주대책을 광범위하게 실시해야 한다. 즉, 철거재개발 지역 주민들을 위 한, 공공임대주택 입주우선권 부여, 민간임대주택입주를 위한 임대료 보조, 밀집지역 다가구 주택을 매입 공급, 저소득층에 대한 임대주택의 공급, 국민주택 분양 자금지원, 무주택 서민․근로자의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지원, 저소득가구의 전세자금 지원, 소형주택 소득세 한시 배제, 소형주택의 공급 확대 등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재개발 지역 주민들 중 영세자영업자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그들을 위해 사업기간동안 대체시장을 제공하거나, 기존 임차상인에게는 사업완료 후 우선 임차권을 부여하는 등 재정착 또는 재입주를 유도하여야 한다. 결국, 주거권 관념에 대한 헌법상 정립과 더불어 주거와 관련된 각 개별법상의 체계정립 및 최저주거기준 확보, 도시개발법상 저소득층의 주거권 대책 및 정책 운영의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도시개발법상의 주거대책의 합리성 도모와 저소득층 주민들의 주거안정화 및 향상은 국민의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과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이바지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means that on the federal law, human’s dignity,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right to human life, etc., cannot be made without occupying residency. This also means that proper way of living is vital feature for human’s dignity and right to pursue happiness. In addition, National Housing Act chapter 5, part 2, number 1 sets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as a human right to make a life good and proper, and number 2 tries to lower the number of households under the standard of living when the country, loc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proceed businesses to build resident places, and chapter 5, part 3, number 1 says that the country and local organizations need to support households uner the standard of living through offering resident places or housing fund. Also, the Built Environment Renewal Development Act chapter 1 develops those cities which need renewal or those in poor living conditions with plan, and by regulating items to make old and poor buildings better, sets the purpose of contributing on developing the city environment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livin standard. However, for the right of living, because the right of living is not stable as a result of faulty systemization of structures related to federal law of residency,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and especially policy operation of residency for low-income citizens on the Built Environment Renewal Development Act, the rights are violated or inefficient, indee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reality and the contents about the policies and security, and usually there is lack of complete and detailed plans in the area with lots of low income and old households.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lated legal structure on residency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of residency.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build the concept structure on the federal law of residency, and the settlement of residency related individual legal structure is needed. In addition, for the business of city development, the stable structure of citizens’ resident methods should be guaranteed. Guaranteeing resident right of citizens who are kicked out for city development business needs to be stipulated, and it needs to guarantee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resident plan when lost it. Development business effects residents’ life styles, who liv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y get injuries economically, mentally, and psychologically as a result of the fluctuation in wealth, destruction of resident area, and collapse of unity. Thus, on the development business, moving plan as well as physical compensation should be widely given. This tells that active support is necessary such as giving priority for moving into public rent housing, supporting on rent fee for moving for civil rent housing, purchasing and supplying multi-family housing at concentrated area, supplying rent housing for low income households, supporting fee of parcel for citizen’s housing, supporting homeless citizens and labors to purchase housing and funding, funding for low income households, excluding income tax temporarily, expanding supplies of small housings. In addition, because self-employed small business owners among citizens of renewal area are spread a lot, it is important to let them re-settle or re-enter through ways like giving original merchants the right of lease prior to the other after completing business. In conclusion, federal establishment of resident concept, structure of individual laws related to residency, standard of low quality living, systemization of resident plan of low income households and policy operation on the law of city development. This consideration of rationality of resident plan on city development law, settlement and improvement of residency of citizens with low income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citizens’ resident environment and their lives.

      • KCI등재

        최저생활보장과 헌법재판

        전광석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s a basic condition for the human dignity, and based on that one can realize his freedom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s also a essential element for the fostering the social integration. There are a few decisions about the right to minimum standard of living i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no case has been declared as unconstitutional hitherto. The reasoning which led to this trend was twofold; First, the discretion on the legislative as well as administrative dimension was broadly acknowledged. This logic derived itself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 normative limit of social basic rights. Secondly, the right to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s realized by various benefits, supports and exemptions. These al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decide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state action. This article tries to refute these reasoning, which hopefully enhance the normative power of the constitution concerning the right to minimum standard of living. Firstly, the normative and factual limits generally work against the normative power of the social basic rights. But these obstacles can be to some degree overcome concerning the right to minimum standard of living. Interpreting Art.34 sec.5, Art.10 and Art.11 one can acquire some range and contents of the right. Financial limit should be exaggerated, but rather stimulated by the constitutional right. One can fully consent to the reasoning that the realization of the rights should be based on the various benefits, supports and exemptions. But the constitutional review should go to next step on which these all more or less correspond to the range and amount to protect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n case that this review is not striven, one cannot expect the right to minimum living standard of living be realized by the effor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is can reduce or even deprive of the trust of the constitution itself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최저생활보장은 인간의 존엄을 실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며, 개인은 최저생활에 기초하여 비로소 자유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 또 최저생활보장은 개인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이로써 객관적으로는 사회통합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최저생활보장의 권리에 관한 결정은 많지 않았으며, 또 위헌 혹은 인용된 사건은 없다. 헌법재판소가 최저생활보장의 권리에 관한 결정에서 소극적인 태도를 취한 논리는 두 가지였다. 첫째, 사회적 기본권의 일반적인 논리를 최저생활보장에 관한 권리에 적용하여 입법 재량을 넓게 인정하였다. 둘째, 최저생활보장의 권리는 여러 법률 및 제도에 의한 급여와 지원, 부담감면 등에 의하여 배려되고 있고, 따라서 이를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권리의 침해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저생활보장의 권리는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에 일반적으로 작용하는 규범적 및 현실적(재정적)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헌법 제34조 제5항, 제10조 및 제11조의 해석을 통하여 규범의 내용이 어느 정도 도출될 수 있으며, 재정 문제는 절대적인 장애요소가 아니라 공적 재정부담 및 분담에 관한 상대적 우선순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저생활보장에 관한 권리가 오히려 국가재정을 적극적으로 견인할 수 있어야 한다. 최저생활보장의 권리가 심사의 기준이 될 때 여러 법률과 제도에 의한 급여와 지원, 부담감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는 명제 자체는 옳다. 그러나 그 다음 단계에서 헌법재판소는 이를 직접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최저생활보장에 관한 권리를 명백히 침해하는가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판단을 하지 않는 경우 최저생활보장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이는 헌법과 헌법재판소 모두의 신뢰를 감소시키는 결과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탈시설권리 보장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운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23 법과 사회 Vol.- No.73

        The current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PWD) detain citizens' bodies for a long time (lifetime) in legal theory and practice, by reason of their disabilities.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PWD have made such ideologies injured and useless by forcing citizens to stigmatize themselves as “bodies incapable of (in)dependent living”, a comparatively solid exception that does not apply to legal ideologies expressed as full social participation, social integration and (in)dependent living. As a result, the bodies of citizens(PWD) who are vulnerable to social exclusion were fundamentally deprived of constitutional freedom and rights by being isolated and detained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the spatial foundation where they could be recognized as members of society was also lost. The essence of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PWD can be characterized by a very strong centripetal force that separates citizens with disabilities from society and detains them for a long time (lifetime) and organizes and limits the fundamental meaning and experience of citizens' residence and social integration around the institutions itself. As a result, citizens (PWD) who need to be guaranteed more care/assistance as rights in living in the community are constantly infringed on freedom and rights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Therefore, the right to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PWD is strongly required. “Deinstitutionalization”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citizens to be guaranteed the right to live together in the community without being detained in institution due to the disabilities, specifically requiring the guarantee of individual housing and independent living. The “right to deinstitutionalization” is a basic right of citizens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CRPD), and, in the same time, has the nature of yet-to-be discovered human rights with the domestic deinstitutionalization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deinstitutionalization norms, detainment of citizens due to disability is not justified by ‘protection’ or ‘choice’. Detainment in all types of institutions for PWD including small ones(such as group-homes) should be prohibited. Until now, interest of the domestic legal community about the freedom of residence which is realized 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care/assistance with fellow citizens has been low. In this situation, for example, the interpret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which declared the right of the PWD to live together in the community also revealed a vulnerability that was rapidly distorted in the conflict structure of Korean society. Despite this predicament, the foundation and justification for the right to deinstitutionalization have been formed in Korean society to restore the daily space of the PWD, not the institutions, and the space of the citizens, not that of the inmates.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movement. Now, it is functioning as an opportunity to fundamentally reflect on the problem of social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 ablism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unwarranted assumptions” that citizens with disabilities do not have the ability or value to live together. The lack of a community-based rights guarantee system, the fear and opposition of family members (parents), and the interests of workers in institutions have been continuous obstacles in guaranteeing the rights to de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legislative alternatives are required to clearly declare the right to deinstitutionalization that protects all citizens including PWD from the risk of detain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and to lay the legal basis for implementing deinstitutionalization policies. The process of political persuasion, which promotes such legislation and justi... 현행 장애인 거주시설은 시민이 지닌 장애를 이유로 시민의 몸을 법적 이론과 실천에 있어 장기간(평생)에 걸쳐 수용하는 장애인 수용시설이다. 장애인 거주시설은 완전한 사회참여와 사회통합 및 자립생활로 표현되는 법적 이념이 적용되지 않는 더욱 공고한 예외, 즉 “자립이 불가능한 몸”의 낙인을 시민에게 강제하는 방식으로 그러한 이념들을 형해화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사회적 배제에 대항할 능력이 취약한 시민(장애인)의 몸은 지역사회로부터 격리・수용됨으로써 헌법적 자유와 권리를 근본적으로 박탈당하고, 사회의 성원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공간적 토대 역시 상실하였다. 장애인 거주시설의 본질적 특성은 이처럼 장애를 지닌 시민을 사회로부터 분리하여 장기간(평생) 수용하고, 시민의 거주와 사회통합의 근본적 의미와 경험을 시설 그 자체를 중심으로 구성・제한하는 매우 강력한 구심력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시설보호 중심의 현행 사회복지 정책은 장애인의 헌법적 자유와 권리의 본질을 제한적・시혜적으로만 바라보는 미봉책에 불과하며, 이는 지역사회 거주라는 본질적 영역에 있어 돌봄/조력이 권리로서 보장되어야 하는 시민(장애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항상적 침해를 예정한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장애인의 탈시설권리에 대한 고찰이 요청된다. 시민이 장애를 지녔다는 이유로 시설에 수용되지 아니하고 지역사회에 돌봄/조력을 통한 함께 거주할 권리를 위한 필수조건으로서 탈시설권리는 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의 요건에 부합하며,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에서 도출되는 장애인의 기본적 권리인 동시에, 국내 탈시설 운동을 중심으로 생성 중인 권리의 성격을 갖고 있다. 탈시설권리 보장에 관한 시론적 논의를 통하여, 장애를 지닌 시민을 함께 살 능력 또는 가치가 없다는 ‘검증되지 않은 가정(unwarranted assumptions)으로부터 보호하고, ‘보호’와 ‘선택’이라는 미명 아래 시설수용이 정당화되지 아니한다는 국제적 흐름을 준수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비를 할 것이 요구된다. 한편 탈시설권리의 보장에 있어 지역사회 기반 권리보장 체계의 미비, 가족(부모)의 두려움과 반대, 시설종사자들의 이해관계 등은 지속적인 도전이 되어 왔다.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장애인을 시설화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탈시설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입법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입법을 추진하고 장애인의 지역사회에 함께 거주할 권리를 정당화하는 일련의 정치적 설득의 과정은, 그동안 가족과 민간에 전가되었던 돌봄/조력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를 지녔다는 이유로 그가 속한 사회의 동료 성원으로서 계속하여 거주하고 참여할 가능성을 박탈하는 일체의 시설화의 위험으로부터 모든 시민을 보호하고, 장애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시민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의 초석을 예비하기 위한 기본적 권리로서 탈시설권리의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헌법으로 본 장애인의 생존권에 관한 고찰

        권인희 헌법재판연구원 2015 헌법재판연구 Vol.2 No.2

        우리나라 헌법은 제10조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대해서 선언하고 있으며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기본 가치를 담고 있다. 이에 기초하여 오늘날 대한민국은 인간의 존엄성 증진에 이어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지만 한편으로는 장애인에 대해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올바른 대우를 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들은 언제나 비장애인 사회의 주변인으로 남아 있었으며, 동정과 자선의 대상으로 취급받아왔다. 장애인의 권리는 생존의 유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차원에서 보장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애인의 권리는 연금이나 보조금을 베푸는 차원에서 보장하는 것이 아닌, 장애인이 사회의 중심으로 들어갈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보장되어져야 한다. 헌법 제34조 제5항은 장애인의 권리에 관하여 “신체장애자 및 질병・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바, 이 연구는 장애인은 특별한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갖고 있으며, 이 권리는 국회에 대한 기속력을 갖기에 국회는 장애인을 보호하기 위한 입법의무를 갖고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헌법 제34조 제4항에 관하여 기존 학설은 이 점을 명확히 규명하지 않고 있는 바, 기존 학설은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독립적인 조항을 갖고 있는 우리 헌법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고 외국 헌법의 해석론을 빌려와 결과적으로 장애인의 생존권을 형해화시키고 있다. 현행 헌법 제34조는 다음과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제1항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1단계 생존권으로서 넓은 의미의 생존권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제34조 제3항 및 제4항에서 언급되는 현행 여성과 노인 및 아동은 헌법 제34조 2항에 따라 사회 보장과 복지를 누릴 수 있는 주체들로서 이 주체들이 누리는 권리는 2단계의 상대적 생존권으로 해석되며, 이는 1단계 생존권보다 더 좁은 의미로 해석된다. 정부는 사회 보장과 복지를 증진시킬 의무를 갖는데, 여기에서 정부는 예산과 수입 및 삶의 수준을 고려하여 더 넓은 입법 재량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2단계 생존권에 대해서는 비교적 넓은 입법 재량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제34조 제5항에 따른 주체인 장애인이 갖는 권리는 3단계 생존권으로서 절박한 상황으로 인하여 생활능력이 없기 떄문에 입법을 기속하는 생존권으로 이해되며, 이 권리의 보장에 관하여 정부는 매우 좁은 입법 재량을 갖는다. 장애인의 권리는 장애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의 존엄을 누리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최소한의 조건만 충족되면 장애인은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기본권의 보장을 통해 장애인은 사회의 혜택을 누리는 수혜자에서 사회의 주된 구성원으로 올바로 설 수 있게 될 것이다. Korean Constitution declares a human dignity and worth in Constitution Article 10 and has various fundamental right below to achieve human dignity. Today, Korea has developed in an advance of the human dignity. However, the handicapped have been not treated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ey always have gathered together as a group of outsider and non-handicapped have been alienated from Korean society but the people who need to be treated with sympathy and dispensation. The handicapped's right should be guaranteed not only in the extent of maintenance of a scanty existence, but the extent of forming an environment for the handicapped to be members of society. This is essential to guarantee the right to exist of the handicapped. To be specific, the range of the right to exist of the handicapped include not only the passive policies which are giving pensions and benefits but also the active policies that mean forming a fundamental condition for the handicapped to come into the center of a society. Therefore, the discovery of the right to exist of the handicapped in Constitution Article 34 (5) can be a groundwork for transaction of recognizing that the handicapped are active subjects of right. According to Constitution Article 34 (5),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andicapped, as an independent subject, have the right to take especial guarantee and that the righ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restrains the legislation of National Assembly, so National Assembly is under legislative duty to guarantee the right to exist of the handicapped. However, Korean academia of law has disregarded thi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n spite of the theoretical, practical necessity. Though Korean Constitution, amended in 1987, unlike foreign constitution, provides the right to exist of the handicapped explicitly distinguishing them as an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other subjects in Article 34 (5), the major theories did not discover independent fundamental right of the handicapped and take foreign Constitutional theory to interpret the right to exist in Korean Constitutional. Consequently, the right to exist of the handicapped lost its constitutional meaning and effect. The interpretation about Constitution Article 34 should b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soci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Article 34 (1) is the right to live on first stage and characterized by “broad” right to live. Second, women, senior citizens and the young in Constitution Article 34 (3) and (4), who are second-class citizens, are the subjects who are eligible to enjoy social security and welfare served by government according to Article 34 (2), and their right to live is on the second stage,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right to exist. The right on second stage is narrower right than the right on first stage. Since government shall have the duty to endeavor to promote social security and welfare, it has broader legislative discretion to carry out its duty, considering a government budget, levels of incomings and life, etc. Therefore, the right to live on second stage is defined as legislative discretionary right, including the right of claim for social welfare and public assistance. Finally, the right to exist of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in Article 34 (5) is the right on the third stage that is the means for those who are incapable of earning a livelihood to make a living in a desperate situation. This is characterized by an absolute right. Government has so little legislative discretion in course of the legislation and policies for the right on third stage that the right is defined as the legislatively restrictive right to live. The guarantee of right to live of the handicapped is the minimal condition for the handicapped to be members of social community who have human dignity. Once the minimal condition is met, the handicapped can be independent enough to tak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nally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the society...

      • KCI등재

        공생을 위한 학교종교교육의 패러다임 연구 : 공생의 눈으로 종교적 이야기 다시 읽기

        이은경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인권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인권의 시각에서 종교를 탐문하고, 종교교육을 검토한 선행연구 역시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인권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최근에 더 활발해진 탓도 있지만, 인권의 잣대로 신에 관한 영역인 종교와 신의 통치를 받는다고 하는 종교공동체를 살피는 일이 다소 불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보편적 ‘인권’ 개념이 ‘천부인권’이라는 기독교 사상에서부터 유래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두말할 필요 없이 그동안 기독교는 ‘인권’의 대표 주자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인권적 가치와 지향성을 가장 거스르는 집단 중 하나가 종교공동체, 그중에서도 개신교이다. ‘적자생존’과 ‘무한경쟁’ 그리고 ‘승자독식’의 사회구조를 정당화하는 사회 안에서 더불어 살아간다는 생각보다는 ‘나 먼저 혹은 나만이라도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각이 강박적으로 작동할 때, ‘종교’는 이러한 강박관념을 강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반대로 대안적 공생의 삶, 다시 말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 역시 ‘종교’일 것이다. 또한 포스트휴먼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생물의 공생뿐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공생, 그리고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제까지 이러한 문제를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다룬 선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종교교육이 성과 속을 분리하면서 인권에 대한 논의를 꺼렸던 것처럼, 오늘날 시대에는 글로벌 이슈에 대한 대처에도 주저하고 있다. 그래서 ‘인권’은 모든 종교가 지향하는 의미 지평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인권의 가치를 담보한 종교교육은 한 번도 제대로 시행된 적이 없다. 그러므로 인권의 관점에서 종교교육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시급하다. 이런 인식하에 본 논문은 먼저 학교종교교육의 영역에서 인권과 생태 문제가 어떻게 얼마나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와 함께 사회 구성원으로서 져야 할 ‘사회적 책임’과 타자와의 ‘더불어 삶’(共生)을 가능케 하는 세밀한 ‘인권감수성’을 함양하고,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공생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종교교육의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그동안 적자생존, 승자독식, 각자도생 등의 신학적 근거로 사용되었던 기독교의 대표적 이야기인 ‘창조’, ‘부’와 ‘노동’을 공생의 눈으로 다시 읽으면서 ‘하나님의 형상’에서 비롯된 하나님과 나의 관계가 나와 이웃의 관계로 연장되고, 이것을 통해 ‘공생공동체’를 만들어갈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Due to the fact that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viewpoint of human rights has been introduced into socio-political issu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to religious studies or religious education has not been much fruitful or successful. One of the reasons is that our concern on human rights has arose recently, and the other reason is due to the modern separation of the sacred and the secular, in which it is not comfortable for religious people that the secular notion of human rights becomes a criterion to evaluate religious, especially Christian, communities governed by God only. Also, there is another side of this situation. Christianity has its own pride in God-given rights, which has been developed into the modern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Indeed, Christianity has played the key role of a pioneer in improving human rights in human civilizations. Ironically, Christian communities, especially Protestant churches, today are regarded as the most aggressive groups against human rights and humanistic values. On the one hand, religion can justify our obsessive drive of survival when selfish instinct of survival and reproduction takes priority over the idea of living together in a society, in which the ideas of the survival for the fittest, infinite competition, and winner-take-all effect prevail. On the other hand, religion can be an only hope for alternative living of symbiosis, a way of living well with others, to a form of life driven by selfish genes. Our world today has wrestled with a problem of living together with humans, the nonhuman, and also machines as well as those of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crisis. At the center of these problems lies the ignorance of human rights in religious education or Christian education. Just as religious education has been reluctant to deal with human rights in its own area due to the modern division of the sacred and the secular, it also hesitates to deal with the global issues in the coming age. One needs to be remind that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is the one that gave birth to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thus that the latter is not anti-religious or anti-Christian. In this context,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nsider religious education in the eyes of human rights and vice versa.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ssues of human rights and ecological crisis have been dealt with in the school 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Based upon the diagnosis of the problematics in religious education with regards to the issues, this paper will propose a need for a new paradigm of religious education, in which one can nurture our empathetic capacity for human rights, which enables us to take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live well with others including the nonhumans and extending over machines. Human life, as a matter of fact, is always already a form of living and entangled with others, and human rights does not only mean individual rights to live but also social responsibility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co-life. Rereading in the eyes of living-together the Christian stories of creation, wealth and labour that have been quoted as the theo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survival for the fittest, the winner-take-all effect and the social feeling that no one backs you up, this paper will try to reinterpret the image of God, the trinitarian God, in which our relationship with God is extended over ou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further over the nonhumans and machines. In this way, as this paper argues, one can nurture a symbiotic community in terms of religious education.

      • KCI등재

        난민신청자의 최저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질 권리’와 법무부의 생계비 동결 - 영국과 독일의 사법심사를 중심으로 -

        민지원 한국입법학회 2024 입법학연구 Vol.21 No.1

        Refugee applicants are in an unstable position regarding legislative protection because they are in a state of pre-recognition of refugee status from state parties to the Refugee Convention. The "right to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is the right of "everyone” to enjoy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including basic necessities (Article 11 of the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However, when the political community of a nation-state does not function, the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becomes merely “a right to have a right” to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This is even more so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disasters. This paper examines the situation where the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has been froze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South Korea. It compares and evaluates delegated legislation related to subsistence support and the limits of social benefit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by comparing the status of subsistence support, legal systems, and case law in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The amount of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is determined by the legislative branch in Germany and the executive branch in the United Kingdom.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in South Korea are at the discretion of the Minister of Justice and are based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delegat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who are not covered by the universal public assistance syste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emergency livelihood support that excludes housing expenses, fuel expenses, etc., and recently, since 2019, it has been below that level except for one year.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for the protection of refugee applicants through the cases of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regarding frozen decisions on subsistence support. The judgments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and the High Court of the United Kingdom have been the last resort for the protection of livelihood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In 2012, Germany made a constitutional ruling that related regulations were unconstitutional because they did not guarantee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for refugee applicants. It stated that the right to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encompasses not only physical livelihood but also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based on residency status cannot be justified. Additionally, in 2014, the High Court of the United Kingdom ordered a reassessment of livelihood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and stated that the Home Office had failed to conduct a reasonable assessment of the amount necessary for basic livelihood. Above all, in 2022, the High Court of the United Kingdom issued emergency order for an increase in subsistence support due to the failure to properly reflect consumer price index inflation in subsistence expense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next day the Home Office implemented an increase in livelihood support.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 professional and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to ensure that the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in South Korea meets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basic living. To this end, it is requested that the Minister of Justice be given the obligation to investigate the decision on subsistence support and legislative alternatives be sought to regularly adjust the subsistence support for refugee applicants. Lastly, it is hoped that the function of judicial review will be strengthened for social minorities such as refugee applicants. 난민신청자는 난민협약 당사자국으로부터 난민지위를 인정받기 이전 상태에 있기때문에 이들에 대한 입법적 보호는 불안정하다. ‘최저생활을 할 권리’는 의식주를포함한 적정한 생활 수준을 향유할 ‘모든 사람’의 권리이지만(사회권 규약 제11조) 국민국가의 정치 공동체가 기능하지 않을 때 난민신청자의 생계비는 최저생활을 할‘권리를 가질 권리’에 불과하다. 재난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는 더욱더 그러하다. 이 논문은 난민신청자의 생계비가 코로나 발생 전후에 동결된 상황에 주목하고생계비 관련 위임입법과 법무부 급부 행정의 한계를 독일과 영국의 생계비 현황, 법제도, 판례를 통해 비교 검토한다. 난민신청자의 생계비 지급액은 독일은 입법부에서 영국은 행정부에서 결정한다. 한국의 난민신청자를 위한 생계비 내용과 운영은 법무부 장관의 재량이고 대통령령에 위임된 행정입법의 형식에 기반 한다. 보편적인 공적부조제도의 대상이 아닌 난민신청자의 생계비는 주거비, 연료비 등을 포함하지 않는 긴급생계지원금을 기준으로 삼아 결정되는 데 2019년부터는 한해를제외하고 그 수준에 미달되고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생계비 동결 결정에 대한 독일과 영국의 판례를 통해 난민신청자 보호를 위한 사법심사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독일의 연방헌법재판소와 영국의 고등법원 판결은 난민신청자의 생계비 보호를 위한 마지막 보루가 되어 왔다. 독일은 2012년 난민신청자의 생계비가 최저생활을 보장하지 못한다며 관련 법규정에 대해 헌법(기본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최저생활을 위한 권리는 물리적인 생계 뿐 아니라 사회, 문화, 정치적 생활 참여 등도 포괄하는 것으로 체류자격에 의한 차별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설시한 내용이다. 또한, 2014년 영국의 고등법원은내무부가 기초생계에 필요한 금액에 대한 합리적 심사를 하지 못했다며 난민신청자의 생계비에 대한 재평가를 명령하였다. 무엇보다도 2022년 영국의 고등법원은코로나 상황에서 소비자물가지수 인플레이션이 생계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에 대한 긴급 인상명령을 내렸고 바로 다음날 내무부는 생계비 인상을 단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한국의 난민신청자 생계비가 최소한의 기초 생계를 충족하기위해 전문적이고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정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를위하여 법무부 장관에게 생계비 결정에 수반되는 조사 의무를 부여하고 정기적으로난민신청자 생계비를 조정할 수 있는 입법적 대안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난민신청자와 같은 사회적 소수자를 위하여 사법심사의 기능이 강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동주택내 발생하는 분쟁해결 및 입주민의 주거생활권향상을 위한 법적방안

        이재만,김용길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9 집합건물법학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fortable residential living of residents in apartments. Recently, many media sources have reported that there are a variety of troubles, accidents, criminal cases and corruptions as an evidence of social problems concerning apartments. This study focused on suggesting the long-term, fundamental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 study was performed by suggesting the concept of "Residential Living Rights" as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 that mean all he rights of residents living within apartments, and by considering their legal characters to be the comprehensive basic rights, in order to find out their constitutional basis or root needed to suggest individual legal solutions. Aga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details by suggesting methods for activating residents community in advance to improve residential living rights of residents and by finding methods for eliminating a variety of corruptions occurring within apartments, so as to improve residential living rights of resident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at there are no such functions as maintaining mutual check and balance between apartment managements and residents representatives and performing internal auditing, it seems to be impossible for residents to solve these problems autonomically. To solve the problems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upervising power (control power) of related authorities to prevent a variety of corruptions occurring within apartments in advance or control them after occurrence, and to set up a system designed for mutual control and check between organizations within apartments, from the long-term viewpoint. Finally, it has been known that although there are a lot of problems within apartments all over the country, fundamental long-term methods have not been suggested so far. Accordingly, it is definitely required to carry out further studies on the concept of constitutional residential living rights, their legal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 with other basic rights (particularly, superiority rel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comfortable residential living of residents. Practically,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such as a system to employ apartment experts) that can prevent problems with apartments in advance and solve them after occurrence. 오늘날 공동주택내에서 거주하는 입주민들의 쾌적한 주거생활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 때이다. 최근에 공동주택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분쟁, 사건사고, 비리사고 등을 언론을 통하여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이미 사회문제화되었다는 방증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방안이 필요한데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내 입주민의 제반 권리를 통칭할 수 있는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주거생활권”이라는 개념을 도출하고, 그 법적 성격을 종합적 기본권으로 판단하였다. 그러한 논의는 사회적 기본권성보다는 자유권적 기본권성이 권리구제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실익이 있다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입주민의 주거생활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커뮤니티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든가, 공동주택 내 발생하고 있는 부정적인 요소 특히 각종 비리 등을 척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공동주택 내 기관인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주체의 상호 견제 및 균형이 상실되고 내부적인 감사기능을 상실한 현 시점에서 이런 제반 문제를 주민 자치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우선 주무관청의 체계를 향상시켜 각종 비리를 사전·사후적으로 예방하고, 장기적으로는 공동주택 내 기관들이 상호 통제, 감시, 견제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국가적으로도 공동주택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있으나 이에 대한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앞으로 입주민의 쾌적한 주거생활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하여 헌법상 주거생활권의 개념 정의, 법적성격, 타 기본권과의 관계 특히 우월관계 등에 대한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며, 실무적으로도 공동주택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후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전문인력 관리제도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초연결사회의 시간주권 보장

        염성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4 노동법포럼 Vol.- No.42

        초연결사회의 노동은 상시적이고 고도화된 종속성을 요구한다. 근로시간과 생활시간, 근무장소와 생활장소의 구분이 명확했던 전통적인 노동환경과 달리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노동법은 종속노동을 규율하는 법이기 때문에 종속이 미치는 시간에 대해 규범적으로 규율하고 생활시간과의 경계와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근로자가 시간주권을 가진다는 것은 근로시간을 포함한 삶의 전체 시간의 주인이라는 의미이다. 시간주권은 헌법상 자기결정권과 근로권 및 근로조건 법정주의로부터 도출되는 헌법적 권리이다. 근로시간 법제는 인간의 존엄성이 보장되는 노동, 인간다운 노동을 뒷받침해야 한다. 초연결사회 종속노동의 문제는 ‘신분에서 계약으로’ 발전한 노동법의 역사를 역행하여, 계약의 범위를 초과하여 확장되어 가는 종속으로부터 발생한다. 노동법은 사용자의 단독 결정을 규제하고 근로조건 대등 결정의 원칙을 보장하기 위해 등장했고 발전했다. 근로시간은 인간의 삶의 시간 그 자체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근로조건이다.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해 근로시간 법제 내에서 사용자와 근로자가 대등한 지위에서 근로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근로기준법 등 노동보호법에서 생활시간을 강행적으로 보장하여 큰 틀을 정하고 그 틀 안에서 개별적·집단적 결정을 통해 자율적으로 근로시간을 결정해야 한다. 근로관계에서 시간주권은 근로조건 대등 결정의 원칙을 통해 실현되는 생활시간 보장을 의미한다. 초연결사회의 종속노동에서 근로자의 시간주권과 생활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첫째, 근로자의 보편적 권리로서 근로일 간 연속휴식시간 11시간을 보장하는 일간휴식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권 및 휴식권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이기 때문이다. 둘째, 일간호출대기시간제도 도입을 제안한다. 근로자와 사용자가 약속한 근로시간 외의 시간에 근로자는 자유를 보장받는 것이 당연한 원칙이라는 전제 하에, 종속노동과 생활시간의 경계가 모호한 시간에 대해 적극적으로 규율하여 그 경계를 명확히 하고 생활시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셋째, 초연결사회의 상시적인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근로자에게 연결차단권을 구체적 권리로서 부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근로시간 및 휴식 법제가 준수되는 것을 담보하고 근로자의 생활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의 근로시간 기록 및 보존 의무 신설이 필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 삶의 시간의 주인이다. 근로자로서 시간주권을 가진다는 것은 종속성을 본질적 속성으로 하는 근로관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와 대등한 인격체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노동법은 근로자가 종속으로부터 자신의 자유를 보호받고 나아가 주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초연결사회의 도래로 인해 변화된 노동의 특성 속에서 본질적인 종속을 포착하고 인간의 존엄성이 보장되는 노동을 만들어야 한다. Labor in a hyperconnected society requires constant and advanced dependency. Unlike the traditional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living hours, and between working and living places is clear, the boundaries are becoming ambiguous. Since the labor law is a law that regulates subordinate labor,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time that subordination affects and clarify the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with living hours. When a employee has time sovereignty, it means that he or she is the master of all the hours of life, including working hours. Time sovereignty is a constitutional right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al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 right to work and the legalism of working conditions. The working hours legislation should support labor that guarantees human dignity and human labor. The problem of hyperconnected society dependent labor arises from subordination that extends beyond the scope of the contract, retrogressing the history of labor law that developed 'from status to contract'. Labor laws emerged and developed to regulate the sole decision of employers and to guarantee the principle of equalizing working conditions. Working hours are a key working condition because it is the time of human life itself. In order to ensure human dignity, it is inevitable that employers and employees determine working hours in an equal position within the working hours legislation. In labor protection laws such as the Labor Standards Act, a large framework must be determined by compulsorily guaranteeing living hours, and working hours must be determined autonomously through individual and collective decisions within that framework. In working relations, time sovereignty refers to the guarantee of living hours realized through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equal working conditions. In order to guarantee employees' time sovereignty and living hours in dependent labor in a hyperconnected society, fir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daily rest system that guarantees 11 hours of continuous rest time for working days as a universal right of employees. This is because it is the minimum device to protect employees' right to health and rest. Second, it is proposed to introduce a daily call waiting time system.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natural for employees to be guaranteed freedom outside of working hours promised by employees and employers, the boundary between dependent labor and living hours is clarified and living hours are guaranteed by actively regulating the time when the boundary between dependent labor and living hours is ambiguous. Third, in order to block the constant connection of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right to block connection should be granted to employees as a specific right.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obligation to record and preserve working hour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working hours and rest laws are observed and to guarantee employees' living hours. Humans are the masters of the time of their lives. Having time sovereignty as a employee means that despite working relationships with dependency as an essential attribute, it can exist as a person equal to the employer. Labor law should allow employees to be protected from subordination and further claim their freedom. It is necessary to capture essential dependency in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changed by the adv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and create labor that guarantees human dignity.

      • KCI등재후보

        景觀利益의 公法的 檢討

        김춘환(Kim, Choon-Hw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1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경관이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경관이익의 침해로 인한 다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는 환경권과 관련하여 주로 일조권, 조망권 침해에 관한 구제법리를 중심으로 私法的 論議가 있고 경관이익은 조망이익의 하나로 논의되어 왔다. 일반적인 학설과 판례는 경관이익을 조망이익의 하나로 보면서 법적이익을 부정하거나 조망이익과 경관이익을 구분하여 조망이익은 법적이익으로 보지만 경관이익은 법적 이익으로 보지 아니한다. 일본의 학설ㆍ판례에서는 경관이익을 토지소유권을 근거로 법적이익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학설ㆍ판례는 헌법상 환경권을 구체적 권리로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관권 내지 경관이익도 법적 이익으로 보기 보다는 반사적 이익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사법에서는 경관이익은 사법상 구제할 수 없는 반사적 이익이므로 도시계획이나 행정소송으로 구제가 가능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경관이익을 도시계획이나 행정소송에서 어떻게 구제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현행 경관관련 공법들은 경관보호를 위한 여러 규정을 두고 있고, 국민의 경관이익에 관한 관심을 반영하여 최근 제정된 경관법은 경관보호를 위한 여러 규정을 두고 있지만 이들 법률들은 경관보호와 관련하여 공익만을 규정하고 있을 뿐 개인적 이익(사익)을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들 법률에 근거하여 경관이익의 침해를 구제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연 경관이익이 개인적 공권으로서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가가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이익이 공법적 이익으로 인정되어 구제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법리 구성이 필요하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환경권을 인권으로 보고 양호한 환경을 향수할 권리임을 인정하고 이를 법적으로 재구성하려는 환경공유의 법리를 채택하고 이를 환경권이론발전의 원형으로 삼고 있지만 그 구조는 자연의 유한성, 생태학적인 자연관이라고 하는 새로운 시점에 입각하고 있고 동시에 환경권을 유한한 환경이라고 하는 가치물에 대한 권리인 私權으로 구성하고 있어 사법적ㆍ사권적 색채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미국은 공공신탁이론을 바탕으로 환경규제를 국가ㆍ공공단체의 역할로 하고 주민이 司法的으로 감시하는 공권적 환경권이론을 채택하고 있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환경권 또는 경관권을 법적이익으로 보는 실정법상 근거가 없으며 환경권이론도 사권적 구성에 의한 사법(재산법)적 수단, 즉 환경공유의 법리를 통하여 사기업을 직접 대상으로 실현되고 있으므로 환경권의 재판규범성 확보가 어렵게 되어 환경권 내지 경관권을 보호하는데 문제가 있다. 그러나 미국은 직접적으로 실정법상 환경보호를 위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환경규제를 대상으로 환경소송으로 환경권의 불비를 감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재판에 있어서 경관이익의 권리보호에 관한 구체적 권리성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경관이익을 공법상 보호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경관이익을 공법적 이익으로 주장할 수 있는 법리를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경관이익의 개념과 특성, 미국ㆍ일본 및 우리나라의 경관보호에 관한 입법례와 판례의 동향, 그리고 경관이익에 관한 공법적 보호를 위한 법리를 구성해 보았다. The paradigm of local and urban area has been changing in the 21st century. People began to recognize that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s are the common property of residents and turn to their eyes from expanding the new urban areas to revitalizing the constructed cities. The more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welfare state are interested in the quality of life, the more the enactment on the landscape preservation is necessary. Profits in landscape are rising along with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have improved in the welfare state and they want to enjoy their healthy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But their ideas are out of touch with reality because the right and profit of landscape give an effect on the real price of a dwelling house. Recently, the disputes related to the right and profit is expected to grow faster. With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landscape being improved, it is remarkable that the cases of landscape conflict be increasing. So we should try to come up with some ideas to solve the problem. There are some theories in civil law to solve the problem like the real property, personal right, environmental right etc. Up till now, these theories have not been the commonly accepted view in the court. In Korea, several provisions related to landscape are induced in every kind of planning acts. At least the landscape act has enacted in 2007, which is a model to protect their beautiful outdoors. However the landscape provisions including landscape planning in every regulations do not carry legal binding force, they are nothing but a declarative statements. Considering that beautiful landscapes can be designed only when it reflects the original peculiarities of each area, effort shall be made to develop diverse landscapes so that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te enhanced. Landscape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nvironments where local residents are living their lives. Therefore the opinions of the local residents should be heard in the process of policy development and decision. Japanese lower courts have differentiated the view right and landscape right, considered the former as the legal protection of the right and profit. Korean courts have not taken the same opinion like Japanese courts; however they will expect to accept in near future. In America, a profit of the landscape is the generally accepted idea regarding zoning system. Aesthetic concerns can be a valid basis for zoning decisions, and cities may enact zoning ordinances to preserve aesthetics. The modern view is that aesthetics alone will justify a regulation, provided that there are adequate standards and they are appropriately applied. While aesthetics concerns can be a relevant consideration in making a zoning decision, such concerns cannot be addressed in an arbitrary, imprecise, or ad hoc manner, and aesthetics must be regulated by proper standards with reasonable precision and without blanket delegation. The fact that a zoning ordinance is designed only to improve aesthetics does not render it an unreasonable exercise of the police power. In this study, I am interested in finding the legal theories of the public law. So I suggest new some theories like real rights in right and profit of landscape, environmental law is superior to business right, public trust doctrine etc. and Korean laws have to permit the legal protection in public law, and introduce the citizen suit etc. Finally, the courts have to try to accept the legal protection of the right and profit of landscape positively and interpret the standing to sue and the public rights broa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