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동물윤리 ; 동물윤리와 환경윤리: 동물해방론과 생태중심주의 비교

        김명식 ( Myung Sik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3 환경철학 Vol.0 No.15

        이글은 동물윤리와 환경윤리를 비교분석한다. 동물윤리 이론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형태로 생각되는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과 그것에 기초한 동물운동, 그리고 환경윤리이론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형태로 생각되는 캘리코트의 생태중심주의,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환경운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채식, 동물실험, 동물이용 오락, 윤리적 옷 입기 등과 관련되어 양 진영의 특징을 살펴본다. 그 다음 동물윤리가 갖고 있는 실천적, 이론적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 본다. 구체적으로 동물윤리는 생태학적 사실을 외면한다는 점, 친소관계에 대한 우리의 직관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 정당화 문제에 취약하다는 점, 정치철학적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그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동물윤리와 환경윤리가 거부했던 전통적인 인간중심주의를 일정 부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으로써 동물윤리, 환경윤리, 인간윤리를 포괄하는 하나의 윤리체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This article examines Peter Singer`s animal liberation theory which is thought to be the most powerful among animal ethics theories,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nvironmental movement and animal liberation movement based on Peter Singer`s. These movements hav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vegetarianism, animal experiment, animals entertainment, ethical dressing. We look at pract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of animal ethics. Specifically, animal ethics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it turned a blind eye to the ecological fact. Secondly, it does not provide the justification of its thesis. Thirdly, it does not explain our intuitions about the special relationship. Fourthly, it does not provide the political-philosophical vision. We propose that we need restore traditional anthropocentrism which was rejected by the anim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By doing so, we need to find the comprehensive ethical theory system that encompasses human ethics, anim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 The Ethical Problems of Animal Rights in Animal Sports

        ( Jiho Kim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Purpose: Based on theories of animal-centrism by Peter Singer and Tom Regan,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lutions for ethical problems caused by speciesism inherent in animal sports. This in turn is degenerated into a subject of play and a tool for competition in anthropocentrism sports. Method: First, to analyze the opinion that animals can feel pain, the maximum level of pain felt by animals is consider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animal-neuroethics. Also, analyzing the relevant academic literature explains ethical problems in animal sports like animal protection law, environmental ethics, animal ethics of religion, and animal ethics, problems such as animal abuse and discrimination are analyzed. Lastly, this study reviews if it would be suitable to analyze the rights of animals who participate in sports though a viewpoint of sport ethics. Result: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animal rights in the aspect of animal ethics, sports philosophy, environmental ethics, and science of religion, this study provided a theoretical frame in the ethical approach to animal sports. Also, establishing academic opportunities to review ethical based sport problems in animal sports, it is useful for relevant researches in the futur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relevant ethical problems used to frame the protection of animal rights. Animals that participate in combat events like dogfighting, technical events like horseback riding and finally racing events like horse racing have found to be abused. This study sets a president for their ethical rights as animals. Also, issues caused in sports hunting such as trapping animals and the established theoretical system of analysis would be helpful in pointing out that such animal abuses and discrimination so far are not ethically right.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problems of animal sports such as animal rights, abused or discriminated animals, and animals suffering from hunting. Even though it has been proven animals feel pain they are still forced to endure brutality, sacrifice their bodies, and make the ultimate sacrifice of death for human pleasur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ot ethical to allow animals to be used for human``s pleasure. This is based on definitions shown in existing literature and theories by respected scholars of varying fields. Through discussions of such ethical problems the severity of ethical problems of animal sports can be understood. This research can also be continued in the future, as a means to seek resolution to such problems.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 속 동물매개활동의 윤리적 이슈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3 No.-

        본 연구는 비인간 동물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의 역사적 배제와 포함, 그리고 동물매개활동에 대한 윤리적 이슈에 대해 탐구했다. 동물이 인간에게 광범위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음이 증명되는 가운데 동물은 다양한 사회복지 환경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적으로 인간의 관심과 이익에만 의해 주도되는 동물매개치료의 무분별한 확산에 주의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인간의 복지를 중심으로 발전해온 사회복지 실천에서 모든 종류의 동물매개활동은 사회복지 윤리강령에서 동물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보다 분명한 윤리적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간이 동물을 대하는 다양한 윤리적 관점을 살펴본 뒤, 동물매개활동의 역사와 유형에 대한 소개와 함께 사회복지실천 속에서 동물매개활동이 갖는 의미를 논하고, 사회복지실천 속 동물매개치료의 윤리강령 수립 근거 및 필요성과 윤리적 운영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동물신학 혹은 기독교 윤리적 관점을 포함한 동물매개활동에 대한 윤리적 이슈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동물과 사람 모두의 안전과 복지를 위해 지켜져야 할 동물매개활동의 윤리적 원칙과 고려사항들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exclusion and inclus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s for non-human animals,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animal-assisted activities. With animals proving that they can provide a wide range of benefits to humans, animal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various social welfare practices. However, caution should be exercised against the indiscriminate spread of animal-mediated therapy driven solely by human interests and demands. In social welfare practice,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developed based on human welfare, all kinds of animal-assisted activities must start with recognizing animals in the social welfare code of ethics and make more apparent ethical position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history and types of animal-assisted activities after examining various ethical perspectives on how humans treat animals. Then, the meaning of animal-assisted activities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is discussed. To present the rationale for establishing a code of ethics for animal-assisted activiti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 necessity for ethical operation, the theoretical basis for ethical operation,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animal-assisted activities, including animal theology or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are considered.

      • KCI등재

        동물 윤리의 도덕적 접근법

        정결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4 No.2

        Animal ethics is a concept that comprehensively encompasses consideration of ways to cherish animals. Major ethical issues related to animal, such as factory farming and animal experiment,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hunting ethics, are raising the need for animal ethics for us. There are three main moral approaches to animal ethics. First, anthropocentrism sees only humans as the sole object of moral concern and insists on indirect duty to animals. Second, animal rights theory claims that non-human animals also have the right to create obligations, focusing on animal rights and the inevitable duty not to harm or use animals. Third, animal welfare theory criticizes the denial of the importance of animal suffering or prosperity as speciesism, and argues that non-human animal interests should be considered. Anthropocentrism has limitations in setting the sole object of direct moral concern only as human beings, and animal rights theory exposes the difficulty of proving the inherent value of non-human animals. Thus, the position of animal welfare theory, which focuses on harm, interests and preferences for non-human animals under comparison with human interests, could be the moral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moral approach of animal ethics. 동물 윤리는 동물을 소중히 여기는 방법들에 대한 고려를 총체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장식 사육과 동물 실험, 멸종 위기종 보호와 사냥 윤리의 문제 등 동물과 관련한 주요한 윤리적 현안들은 우리에게 동물 윤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동물 윤리의 도덕적 접근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인간 중심주의는 인간만을 도덕적 관심의 유일한 대상으로 보고 동물에 대한 간접적 의무를 주장한다. 둘째, 동물 권리론은 인간이 아닌 동물도 의무를 창출할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하며, 동물의 권리와 동물을 해치거나 사용하지 않을 필연적 의무에 초점을 둔다. 셋째, 동물 복지론은 동물의 고통이나 번영의 중요성을 부인하는 것을 종차별주의로 비판하며, 인간이 아닌 동물의 이익 또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 중심주의는 직접적인 도덕적 관심의 유일한 대상을 인간으로만 설정하는 한계를 가지며, 동물 권리론은 인간이 아닌 동물이 가지는 본래적 가치에 대한 증명의 어려움을 노출한다. 따라서 인간의 이익과의 비교 하에 인간이 아닌 동물에 대한 해악, 이해관심, 선호 등에 초점을 두는 동물 복지론의 입장이 동물 윤리의 도덕적 접근법 가운데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유동미,모효정 한국의료윤리학회 2014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7 No.3

        The biggest debate in the field of animal ethics revolves around animal experimentation. Various discussions surround experiments on animal subjects, and considerations of the animal’s scope or the animal subject’s treatment method, experimental method etc. differ for each individual situation. The majority of those against the use of animal subjects in laboratories are cleared of anthropocentrism in order to fundamentally evaluate the justification of animal experimentation and demand efforts in improving experimental methods and processes while minimizing the animal subject’s sacrifice and suffering. In laboratory, animal experiments are different from regular experiments because they involve the treatment of animal life. Because this context may create ethical conflicts, the researchers who implement experiments on animals must receive the appropriate training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is distinctiveness. However, if we examine the current training under animal experimentation, even university curriculums have barely developed this type of training and, what is worse, the part of the government that regulates animal experimentation provides little training in animal ethics. To counter balance negative awareness about animal experimentation, we must increase the utility of such experiments and diffuse awareness of animal welfare. We must strengthen training in animal ethics to create a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kind. 동물윤리에서 가장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영역은 동물실험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동물실험이 실시되고 있지만 동물실험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동물실험에 관한 찬반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대다수의 사람들도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동물실험의 정당성을 근본적으로 평가하고, 실험동물의 희생과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 절차와 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인 실험실에서의 연구와 달리 동물실험에서는 동물의 생명이 취급된다는 점에서 윤리적 갈등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동물실험을 실시하는 연구자들은 동물실험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동물실험에 관한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대학의 교과과정에서도 동물윤리에 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동물실험에 관한 규제를 담당하고 있는 정부당국의 교육과정에서도 동물윤리는 교육 시수가 적게 배정되어 있었다. 동물실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상쇄하고, 동물실험의 효용성을 높이면서 더 나아가 동물보호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자연과 상생하는 인간사회가 되기 위하여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의 윤리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피터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선호공리주의의 비판적 고찰

        양해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Peter Singer has been developing the subject of animal eth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ethics in several books, including Animal Liberation(1975), Practical Ethics(1979), and Sociobiology and Ethics(1999). He tried to treat social ethics as an integrated element rather than an individual one, and accepted Bentham's utilitarianism or preference utilitarianism as an important ideology of ethics. He intends to lay the ethical foundation for how to establish a morally acceptable universalization possibility for animal killing. What, then, does Singer mean about the morally acceptable universalization of animal killing? What does it mean for us to think morally about killing animals? Is it very wrong to kill an animal? On what grounds do humans have the right to rule the animal world? Singer has answered his ethical views on animal killing through these various questions. Singer intends to establish a universal ethical principle for killing animals by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onsideration of equality of interest and the criterion of preference utilitarianism. Therefore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influence of Bentham's hedonistic utilitarianism on Singer's killing of animals, the subjective preference utilitarian perspective on animals' pleasure and suffering, the ethical judgment of equality of animal interests and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of preference utilitarianism, and ultimately Singer's preference utilitarianism to critically examine. 피터 싱어는 『동물해방』(1975), 『실천윤리학』(1979), 『사회생물학과 윤리』(1999) 등 여러 저서에서 동물윤리의 주제에 대해 사회윤리의 관점에서 전개해 오고 있다. 그는 사회윤리를 개별적인 것이 아닌 통합적인 요소로서 다루고자 했고 벤담의 공리주의나 선호공리주의적 사유를 윤리의 중요한 이념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동물살생에 대해 도덕적으로 납득할 만한 보편화 가능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윤리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면 싱어가 말하는 동물살생에 대해 도덕적으로 납득할 만한 보편화 가능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가 동물살생에 대해 도덕적으로 사유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동물을 죽이는 행위는 아주 잘못된 일인가? 어떤 근거로 인간은 동물 세계를 지배할 권리가 있는가? 싱어는 이러한 다양한 물음들을 통해 동물살생에 대한 자신의 윤리적 견해들을 답변해 왔다. 싱어는 이익 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의 척도를 내세워 동물살생에 대한 보편적인 윤리원칙을 확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관점에서 필자는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벤담의 쾌락적 공리주의 영향, 동물의 쾌고감수에 대한 주관적 선호공리주의의 관점, 동물이익평등의 윤리적 판단과 선호공리주의의 보편화 가능성, 궁극적으로 싱어의 선호공리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축산농장 동물복지의 윤리적 갈등과 딜레마 극복: 국내 산란계 농장에서의 윤리의식 수준에 따른 동물복지 관련법규 준수여부 상관관계 조사

        이본,김태식,최수원 한국가금학회 2023 韓國家禽學會誌 Vol.50 No.2

        Animal welfare was introduced relatively late to Korea in comparison with Western countries. Nonethel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improved animal welfare-friendly regulations as policy instruments.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t is predicted that spontaneous settlement of the animal welfare policies will be difficult and may cause conflict in the farm animal industry. To identify and categorize conflicts caused by animal-welfare-related policies in the last five years, we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animal welfare among Korean hen farms and the level of compliance with the animal welfare regulations. We collected a sample of 53 egg-laying chicken farm operators (e.g., owners or head managers) was collected through the on-site survey (90% confidence level (Z-score: 1.65) and 10.18% tolerance, based on a number of 797 egg-laying farms in 2020). Ethical conflicts on the far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hen farm's ethical awareness level: passive, moderate, and active.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eth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compliance with animal welfare-related regulation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ethical consideration of farm operators. Interestingly, we also observed that farm operators did not comply with the regulation despite their high level of awareness of animal welfare. This conflict implies contradiction and unresolved ethical dilemma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the policies cause conflict in the field despite the certain level of effectiveness on animal welfare regulations. 국내의 동물복지 개념의 도입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늦었으나 정부 주도에 의해 비교적 적극적인 동물복지정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업 현장에서 동물복지 인식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자발적인 개선이 아닌 정부의 정책수단에 의하여 동물복지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 에서는 국내 산란계 농가를 중심으로 최근 5년간 도입된 동물복지 관련 정책이 현장에서 유발하는 갈등을 유형화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산란 농장 운영자들의 동물복지 관련 의식 수준 및 동물복지 관련 규정 준수여부를 조사하였다. 산란 농가 현장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산란양계농장 운영자(소유자 혹은 관리 책임자)를 대상으로 53가구의 산란양계 농가를 조사하였다(2020년 산란양계농가 수 797가구 수 기준 90% 신뢰수준(Z-score: 1.65) 10.18% 허용 오차). 현장에서의 갈등을 윤리적 고려 수준에 따라 소극적, 중도적, 적극적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윤리적 고려 수준에 따라 동물복지 관련 규정 준수 여부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축산 현장에서의 동물복지 관련 규정 준수 여부는 축산 농장 운영자의 윤리적 고려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농장 운 영자의 동물복지 의식수준이 높음에도 동물복지 관련 규정은 준수하지 못하는 갈등상황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현장에서 인지하고 있는 규정과 정책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갈등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정책 수단에 의해 추진되는 동물복지가 효과적일 수는 있지만, 아직은 현장에서 갈등을 유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실험동물에게 윤리가 있는지의 여부 - 구명선의 논리와 심의민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

        박창길 한국환경철학회 2008 환경철학 Vol.0 No.7

        이 논문은 외국의 동물권이론 및 국내 철학자들의 동물실험에 대한 글을 중심으로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살펴본다. 추정완등은 구명선의 이론으로 동물실험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있으며, 김명식은 심의민주주의제도로서의 동물실험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는데, 이들의 논의가 인간중심주의 윤리의 성격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구명선’의 논리에 의해서 동물실험의 윤리성을 바라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 계약주의 도덕이론에 의해서 실험동물에게 도덕적 지위가 주어지지 않는 것은 그 이론의 한계로 보아지나, 심의민주주의적인 원리는 동물실험에 대한 사회윤리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writings on laboratory animal ethics. A paper justifies animal experiments by comparing the animal experiment to life boat situation. Also another paper explores the laboratory animal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deliberate democracy. Specifically, animal experiment as ‘life boat’ is limited metaphor of real animal experiment situation. Contractarian moral theory has limitations as it denies the moral status of the laboratory animals. However, the principles of deliberate democracy would contribute to develop social ethics on animal experiments. These major ethical views are reflected on the new Korean lab animal experiment law as it does not consider ethical consideration of laboratory animal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백경희,강병우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과학기술과 법 Vol.9 No.2

        Animal testing has been used as a tool to promote human health and improve life, but recently, the inhumane aspects have raised questions about its necessity and ethics. Currently, there are no common standards in the world and differences in the regulations on animal testing in each country can have a sen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technology and interests in each country. In the U.S., the animal welfare law has been established to supplement regulations on new experimental animals at the center of academic societies and hospitals since it established directions related to the use of experimental animals in animal testing procedures. Although Korea also has regulations for protecting laboratory animals in animal testing procedures under the Act on Animal Protection and the Act on Experimental Animals, the rate of ineffectiveness is being generated by the dualization of laws and regulator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et up laws and standards to apply the nation's legislation to regulations such as the scope and conditions of the nation's animal experiment compared to those of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일반논문 : 산업형 농업 시대의 동물윤리

        김명식 ( Myung Sik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4 환경철학 Vol.0 No.18

        1975년 싱어의 『동물해방』은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응용윤리학이 발전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4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동물윤리학을 다시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동물윤리학은 윤리적 접근에 치우쳐 역사적, 철학적, 생태학적 접근을 못하고 있다. 첫째, 동물윤리는 공장식 축산에 대한 비판은 있었지만 그것의 배경인 산업형 농업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비판은 부족하였다. 둘째. 싱어가 쾌락과 고통의 감수능력을 도덕적 고려대상의 유일한 기준으로 본 것은 ‘단순화의 오류’이다. 실제 도덕은 단순하지 않은데, 단순하게 바라보는 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 공장식 동물사육은 동물에게 고통도 주지만, 동물로 하여금 자연이 준 본성대로 살지 못하게 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관점에서 동물에게 좋은 삶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 넷째, 캘리코트의 지적대로, 육식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원리이다. 문제는 육식 자체가 아니라 생태계의 안정을 깨는 현재의 공장식축산이다. 이런 점에서 생태친화형 축산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식과 관련해 다양한 가치가 존재한다. 인간의 생존, 건강, 복지가 가장 중요한 가치이다. 그 다음으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사회적 형평성과 동물복지 등도 중요하다. 이런 것들을 모두 고려하는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In 1975 Peter Singer`` work, Animal Liberation sparked an interest in animal welfare,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pplied ethics. It is time to review again the animal ethics, now when 40 years have passed since Peter Singer`` Animal Liberation was published. I think that animal ethics concentrated on the ethical approach and did not do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ecological approach. Firstly, animal ethics criticized factory farming but did not systematically analyse the industrial agriculture which is the background of factory farming. Secondly, Singer``s presupposition that sentience is the only moralcriterion of moral considerability commits the fallacy of simplification. In fact morality is not so simple. Thirdly, the factory farming not only gives the pain to animals, but also makes animals not live according to natural way of living. In this regard, we should review the issue of what is a good life for animals in the viewpoint of Aristotle``s teleology. Fourthly, as Callicott indicated, predation is an important principle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ecosystem. The problem is not predation in itself but the current factory farming breaking the stability of the ecosystem. In this regard, we should pursue eco-friendly farming. Finally, there is a wide range of values in connection with foodissue. Human survival, health, and well-being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The sustainability of ecosystems, social equity, and animal welfare are also important. We need the decision making procedure to take these things into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