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과실책임과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 및 증명책임 경감 논의에 대한 검토

        백경희,이인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3

        In the case that medical negligence intervened in physical injury accident or defect of product induced personal damage, these correspond to illegal acts. Thus, perpetrator is burdened with a liability for victims of personal injury. The diversity of human in physical injury accident makes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damage in the same physical accident. The medical characteristics in medical malpractice and the closur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product liability classed physical injury accidents as the special illegality in civil law and as the modern suit in the civil procedure code. Thus, victim of an physical accident suffers to prove a causal relationship and the reduced theories in the burden of proof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medy this problems. However, our precedents judge medical malpractice liability and product liability through the different reduced theories for the burden of proof. Especially, civil court has lately introduced a epidemiological causal relationship in the reduced burden of proof of environmental lawsuit into product liability for the harmful substance. Because epidemiological causal relationship dose not have ‘statistical relationship’ and cannot be used as objective data, however,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judicial application of precedent is valid, and the burden of proof in the liability for physical injury accident is reduced. 인신사고 중 의료과실이 개재되었거나 제조물에 결함이 있어 손해가 발생한 경우, 이는 일종의 불법행위에 해당하므로 가해자는 인신사고를 당한 피해자 등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인신사고에서는 인체의 다양성이 존재하므로 동일한 사고에서도 개체마다 손해의 정도가 달라진다. 그 중 의료사고의 경우 의료행위의 특수성이, 제조물책임의 경우 제조과정이 개방되어 있지 않다는 특이점이 있기에 민법의 영역에서는 특수불법행위로, 민사소송법의 영역에서는 현대형 소송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렇기에 피해자가 원인과 결과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점을 구제하기 위하여 입증책임 경감 이론이 발달해 왔다. 그런데 인신사고의 범주 내에 속하면서 입증책임 경감 이론이 적용되는 의료과오책임과 제조물책임에 있어서 우리나라 판례는 각기 다른 입증책임 경감 이론을 통하여 판단하고 있다. 특히 최근 법원은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 대하여는 환경소송의 입증책임 완화법리인 역학적 인과관계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역학적 인과관계가 ‘통계적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아 객관적인 자료로 통용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이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입증책임 완화 법리의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KCI등재

        러시아어 ‘분노’의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구의 의미구조

        백경희 한국러시아문학회 2022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77 No.-

        The idiom expressing the emotional state of Russian ‘anger’ reflects the linguistic universality and unique cultural idiom based on universal human activities such as physical activity,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activity. In Russian idioms related to ‘anger’, physiological metonymy and conceptual metaphor interact to form a semantic structure. This is not a linear projection of one-to-one correspondence, but a directional metaphor that organizes the entire system based on the internal system of the spatialization metaphor. Directional metaphor is to give spatial orientation to certain concepts such as up-down, inside-outside, front-back, center-periphery, etc. The oriented metaphor of 'I'm feeling up now/I'm feeling down' is based on our daily experiential and cultural experiences. The external systematicity of the spatialization metaphor determines the coherence between the spatialization metaphors. For example, the spatialization metaphor of positive emotions gives [UP] orientation to general happiness, such as [Good is above], [Health is above], [Control is above], etc.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orientation of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anger' is more dynamic than that of static emotional states such as ‘happiness’ or ‘sadness’. As an example of the incoherent external systemicity of the spatial metaphor of 'anger rises/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container increases', the negative emotion of 'anger' is directed toward [UP]. The negative emotion of 'anger' is based on the ‘container metaphor’ and the ‘metaphor of heat’, and it dynamically shows the way in which the emotion of 'anger' is vividly expressed the moving path of the emotional state through the ‘image schema’ of the spatial-oriented metaphor. Regarding the emotion of 'anger', the universality of the cognitive system is the basis, but in fact, when it is connected with a specific cultural model, it is not easy to find a clear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cepts. Further, the more culturally constructed and historically based emotions are more variegated within individual cultures or more elaborated as conceptual metaphors. Therefore, these cultural idioms reflect the uniqu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worldview such as the unique cognitive mechanism and way of thinking of language subjects in the long history, they can be meaningful data for the study of the conceptual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emotions.

      • KCI등재

        청소년 음주운전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행법상 규정과 향후 대응방안

        백경희,심영주 한국법제연구원 2019 법제연구 Vol.- No.57

        Alcohol consumption in adolescence, a period of social and emotional vulnerabilities, affects the neurological,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adolescents. Moreover, as aggression is expressed externally, a high possibility of harming others exists, eventually leading to social and economic risks. Another problem is unlicensed drunk driving or juveniles driving after drinking alcoholic beverages that are classified as harmful drugs for youth. These drunk-driving incidents occur frequently, causing much damage. Current South Korean legislation, specifically the Juvenile Protection Act, defines a juvenile as a person under the age of 19. The Juvenile Protection Act also prohibits selling alcoholic beverages that are classified as harmful drugs to juveniles. The Road Traffic Act prohibits driving while intoxicated, and a person younger than 18 years of age cannot legally obtain a driver’s license. If a juvenile causes harm to the body or property of another person while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such an act will not only require compensation for damages arising from the unlawful act under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but it will also increase the liability for the juvenile’s supervisor’s breach of the duty of care. In the United States, the age at which a driver can obtain a license is lower than Korea, but many states prohibit drinking alcohol until 21 years of age and are strengthening the punishment for those who are prohibited from drinking alcohol and cause accidents because they drove drunk. The juvenile drunk driving system in the U.S. should be reviewe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setting a minimum age requirement for drinking alcohol, the sanctions that can be imposed on juvenile offenders who drink alcohol, and how to impose liability on juvenile drunk driving offenders. 사회적, 정서적으로 취약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유해물질인 주류를 섭취하게 되는 경우청소년의 신경학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공격성이 외부에 발현됨으로써 타인에게 해를 입히거나 위험을 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위험은 결국 사회적, 경제적 위험으로 귀착된다. 그리고 청소년이 청소년유해약물에 해당하는 주류를 마신뒤 무면허음주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행하는 사건도 적지 않게 발생하여 그 피해 또한 문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법제는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를 청소년보호법상의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고, 이들을 대상으로 청소년유해약물에 해당하는 주류를 판매하는 등의 행위를 금하고 있다. 도로교통법은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을 금지하고 있고, 만 18세 미만의 자는자동차 운전면허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미성년자가 음주운전 중 타인의신체나 재물에 손해를 가하였다면 이러한 행위는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하는 외에 그 감독자의 주의의무 위반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문제가 거론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운전면허 취득이 가능한 연령이 우리나라보다 낮지만 음주의 경우에는 만21세에 이르기까지 금주하는 주가 상당하며, 음주가 금지된 연령에 해당하는 자가 음주운전을 하여 사고를 야기한 경우에 그에 대한 처벌을 매우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청소년 음주운전에 대한 제도를 검토하여 음주를 금지하는 연령을 어떻게설정할 것인지, 음주가 금지된 청소년에 대하여 어떠한 제재를 가할 수 있는지, 음주가 금지된 청소년의 음주운전에 대하여 어떻게 책임을 부과할 것인지에 관하여 그 시사점을 확인할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혜콘텐츠 서비스모델 제안: 서비스본질 중심

        백경희,김현수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8 서비스연구 Vol.8 No.3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model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users with knowledge and wisdom contents from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crisis to sustain human growth. In order to serve as a wisdom content, the necessity of the service nature is suggested and the present knowledge contents services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service nature. As a result, it is analyzed that current knowledge contents service is unidirectional, inconsistent and can not provide various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In this study, we propose a wisdom contents service model that is consistent with the current service era. We propose a new wisdom contents service model that reflects the essence of service as a way to become more useful wisdom contents service. The proposed wisdom contents service model is able to provide a story and various related information out of the existing fragmentary knowledge services. This makes it easy for users to acquire and use wisdom.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wisdom contents servic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detailed discussion of wisdom contents service, analysis of service system, and suggestion of customized service through user demand survey. 본 연구는 인류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 과거 위기를 극복했던 경험에서 나온 지식과 지혜콘텐츠를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모델을 제안하였다. 지혜콘텐츠로서 서비스되기 위해서는 서비스 본질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고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식콘텐츠 서비스들을 서비스 본질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지식콘텐츠 서비스는 일방향적이고 제공 정보에 일관성이 없으며, 다양한 연관정보들을 함께 제공하지 못하는 등 활용성이 낮은 구조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단순 지식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에 그칠 뿐, 여러 지식들을 연결하여 상위 수준의 지혜를 제공하는 지혜콘텐츠서비스가 되지는 않고 있는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 서비스 시대에 부합하는 지혜콘텐츠 서비스모델을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활용도 높은 지혜콘텐츠서비스가 되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본질을 반영한 새로운 지혜콘텐츠서비스 제공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혜콘텐츠 서비스모델은 기존의 단편적이고 일방향적인 지식제공 서비스에서 벗어나 하나의 스토리를 구성하고 다양한 연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위수준의 지혜를 쉽게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지혜콘텐츠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향후 지혜콘텐츠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논의와 서비스시스템 분석,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방안 제안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백경희,장연화 한국의료법학회 2015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3 No.2

        비의료인이 자금을 조달하여 실질적인 의료기관의 소유자이면서 의료인을 고용하여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형태인 소위 ‘사무장 병원’은 의료법상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무장 병원’은 의료기관 개설 초기에 막대한 자본의 투여되어 의료인이 섣불리 개업을 하기 어렵다는 상황을 악용하고, 의료기관이 정부로부터 요양급여나 보조금 등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는 점 때문에 계속하여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무장 병원에 고용된 의료인이 환자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의료행위를 한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요양급여를 지급받은 것과 관련하여 허위나 과다청구가 아님에도 이를 사기죄로 처벌할 수 있는지와 이를 부당이득으로 징수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 2015. 7. 9. 선고 2014도11843 판결은 사기죄를 인정하고 있으나, 환자는 의료행위에 있어서는 의료인과 정상적인 의료계약을 체결한 것이고 의료인의 의료행위에 대한 대가로서 환자를 대신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요양급여가 지급된 것이라 기망행위라고 보기 어렵다고 할 것이다. 또한 헌법재판소 2015. 7. 30. 선고 2014헌바 298, 357, 2015헌바120결정에서는 위와 같은 요양급여 지급청구에 대하여 ‘속임수 또는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부당이득 징수를 할 수 있도록 한 국민건강보험법 제57조에 대하여 합헌으로 결정하였는바, 위 조항이 명확성의 원칙이나 과잉금지원칙에 반하지 않는다는 의견에 찬성한다. 그리고 위 법에서 의료법에 의하여 적법하게 설립된 의료기관에 한하여 요양급여를 청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의료인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의료행위가 행하여졌다고 하더라도 위 ‘속임수 또는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하여 부당이득 징수를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사무장병원에 대하여는 요양급여를 신청하지 못하도록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한 요양급여 지급청구에 대한 독자적인 형사벌 규정 및 이러한 병원의 적발을 위한 신고를 유도하기 위하여 고용된 의료인에 대한 면책조항 등의 입법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문직 종사자의 가동연한과일실수익 산정에 대한 제언

        백경희,김자영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叢 Vol.55 No.-

        In Republic of Korea, maximum working age of general common labours has been gradually raised from 55 to 60 years old, and then to 65 years old, through the Supreme Court decision. At the same time, the Supreme Court, when recognizing the maximum working age,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lost profit damages, include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such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the people, economic level, and employment conditions, as well as the number of workers by age, employment rate or labor participation rate, working conditions by job type, and restrictions on maximum working age, etc. It has been decided by the empirical rule and it can be recognized individually by examining the concrete circumstances. Under this circumstance, after the Supreme Court ruling in 2019, which extended maximum working age of general common labours to 65 years of age, the cases of those who belong to the category of common labours but do not follow urban daily wage or rural daily wage and those who engaged in a specific job controversy arose over how to recognize the operating period and income amount. In this paper, we review the general theory on the estimation of lost profit damages and the maximum working age, and then review in detail the trends of recent precedents on the estimation of lost profit damages and the maximum working age by job type since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20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 series of judgments on maximum working age have validity in specific cases. 우리나라에서 일반 육체노동자의 가동연한은 대법원 판결을 통하여 만 55세에서 만 60세로, 그리고 만 65세로 점차 상향조정되어 왔다. 대법원은 손해배상액 산정의 기준이 되는 가동연한을 인정함에 있어 평균수명, 경제수준, 고용조건 등 사회적ㆍ경제적 여건 외에 해당 직종의 취업률, 근로참가율, 근로조건과 정년 제한 등을 조사하거나 피해 당사자의 연령, 경력, 근무조건, 건강상태 등 개인적 사정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반 육체노동자의 가동연한을 만 65세로 연장한 2019년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 육체노동자의 범주에 속하지만 도시일용노임 혹은 농촌일용노임을 따르지 않는 다른 직종의 기능공이나 특정한 전문직에 종사하는 자의 경우 가동연한과 소득액을 어떻게 인정할 것인지 논란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일실수입의 산정과 가동연한에 관한 일반론을 살펴본 다음, 2019년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 이후 직종별 가동연한과 일실수입 산정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을 사건별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특히 전문직 종사자의 가동연한에 관한 일련의 판결이 구체적 사건에서도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의료사고 민사책임과 소멸시효

        백경희 한국의료법학회 2012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0 No.1

        의료사고 민사책임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채무불이행책임과 불법행위책임의 양자로 규율되고 있기 때문에 소멸시효의 논의 역시 민법 제162조와 제766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무에서는 의료과오소송에서 대개 불법행위책임의 법리를 통하여 해결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민법 제766조에서 정하고 있는, 3년의 단기 소멸시효와, 10년의 장기 소멸시효가 주로 문제된다. 의료사고 민사책임은 의료행위가 지니고 있는 전문성과 밀실성이라는 특성과 질병이 잠복기를 지니고 있다는 예외성 때문에, 민법 제766조의 위 두 가지 시효에 대한 해석상의 경계가 모호해질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입법례와 같이 소멸시효 제도 자체의 법개정을 통한 정비가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그러나 제도의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행법 체제 내에서는 의료사고 민사책임에서 의사 측이 소멸시효의 완성을 주장하더라도 그것이 신의성실원칙 위반이나 권리남용 금지에 해당할 경우 이를 배척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석론이 요청된다.

      • KCI등재

        사무장병원의 임금 지급의무의 주체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8다263519 판결을 중심으로 -

        백경희,김자영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itimacy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263519 (Pronounced April 29, 2020). The hospitals that are owned by non-medical personnel is in violation of the Medical Care Act, Article 33 (2); thus, the contract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and non-medical personnel to establish a medical institutions which presents a medical doctor as the registered owner but in reality is owned or co-owned by a non-medical personnel violates a mandatory provision and therefore is judicially invalid. Furthermore, as the contract considering revenue division from operating such medical institutions is void, the non-medical personnel does not have the right to demand division of revenue to the medical doctor. In addition, Former Supreme Court decisions found that all rights and duti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hospital were wholly vested to the medical doctor. In the case in question, wages of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fell into arrears, and the point of question was who was in charge of clearing the overdue wages: the medical doctor or the non-medical personnel. The case in study concluded that the matters that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were 1) who the practical operator of the hospital is, 2) how the labor contract was signed, 3) how the work was administrated and supervised, and 4) who paid the wages. This conclusion recognized the individual duty-right relationships of actual parties, and therefore seems plausible. Some Supreme Court Decisions which rul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establishment of Non-medical personnel hospital are all attributed to the individual physician. However, I think that Supreme Court Decision of this case is a valid conclusion. Because it judged who was obliged to pay wages of the labor contract according to who the actual party is in individual legal relations. 본고는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8다263519 판결을 대상판결로 한 평석이다, 사무장병원은 의료법 제33조 제2항을 위반하여 설립된 것인바, 비의료인이 사무장병원을 설립하기 위하여 의사와 체결한 동업계약은 강행법규 위반으로 사법상 무효가 된다. 그리고 비의료인과 의사가 사무장병원을 운영하여 얻은 수입을 배분하는 내용의 약정 또한 무효가 되므로, 비의료인은 의사에게 사무장병원 운영 수입금을 배분해 줄 것을 청구할 수 없게 된다. 더구나 판례는 사무장병원에 관한 채권·채무관계는 의료기관의명의자인 의사에게 귀속된다고 파악하고 있다. 대상판결에서는 사무장병원에서 근무하는 고용의사를 비롯한 직원들에대한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그와 같은 체불된 임금의 지급채무를 부담하는 자가 사무장병원의 실질적 운영자인 비의료인인 사무장인지 아니면, 사무장병원의 명의자인 의사인지가 문제되었다. 그리하여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사무장병원에서 실질적인 운영자가 누구인지, 근로계약의 체결과정과 업무의 지휘·감독 체계, 급여의 지급 주체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 근로관계가 사용자를 의사로 하여 이루어진 것인지 혹은 비의료인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은, 의료인과 비의료인이 체결한 사무장병원 개설 약정이 무효이므로 병원 운영과 관련하여 얻은 이익 등이 모두 일률적으로 의사 개인에게 귀속된다고 본 일부 대법원 판결들과 달리, 대외적으로 비의료인이의료인 명의로 체결한 고용계약의 귀속 주체를 개별적 법률관계에서 실제 당사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판단하였다는 점에서, 타당한 결론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