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 우생학은 자유주의적인가?*59)

        김남준(Kim Nam-Joo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이론적 토대와 정당화 논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자유주의 우생학의 내재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즉, 본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이 과거 권위주의적 우생학과 달리 개인의 자율성 존중, 해악 금지의 원칙 준수, 국가 중립성 유지라는 세 가지 전제를 모두 동시에 충족함으로써 ‘자유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자유주의 우생학은 우생학적 조치의 결정자와 그 대상자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자녀의 자율성을 침해하거나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자녀의 추정 동의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온정적 간섭주의를 통해서도 정당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둘째, 향상 기술의 혜택이 모든 계층에게 고르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계층에게 집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유주의 우생학은 현존하는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 계층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정의 문제는 국가의 공적 보조를 통해서도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회적 약자에게 실질적으로 해를 끼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셋째, 자유주의 우생학이 향상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적 불평등의 규모를 완화하기 위해 국가 개입의 필요성을 인정한다면, 이는 좋은 삶의 문제와 가치의 우선성 논쟁과 관계된 국가 중립성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요컨대, 자유주의 우생학이 그 세 가지 전제를 모두 동시에 충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자유주의 우생학은 자유주의적인가?”라는 질문에 긍정의 답을 얻기도 어려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internal critique of liberal eugenics by analyz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justifying reasons. In other words, I try to examine whether liberal eugenics, unlike authoritative eugenics, can be liberal by meeting all three premises: individual autonomy, no-harm principle, and state neutrality. (1) Parents’ free choice of eugenic enhancement infringes their children’s autonomy because there is a asymmetry between the chooser of eugenic enhancement and its object. Liberal eugenics can’t be justified by paternalism because parents can’t obtain the hypothetical consent from their children. (2) Liberal eugenics worsens the social inequality and the polarization of social classes because enhancement technologies benefit a certain social class. Since these problems are difficult to solve by public assistance programs, liberal eugenics actually results in harm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3) If liberal eugenics advocates acknowledge state inter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t leads to a debate on state neutrality, which is also related to a debate on the priority among values and the conception of good life. In brief, we could not give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Is liberal eugenics liberal?”, because it is difficult to meet all three premises of liberal eugenics simultaneously.

      • KCI등재후보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김광연(Kim, Gwang Yeo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류는 우월한 인종으로 선택받고자 했던 프로메테우스의 욕망을 포기할 수없어 일부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우생학 프로그램을 수행했다. 과거의 우생학은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이 결과로 우생학의 명분은 점점 사 라져 갔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눈부신 활약으로 점점 새로운 우생학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는데, 21세기 생명공학 기술과 손잡고 태어난 것이 바로‘자유주의 우생학’이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간 유전자 개량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우생학은 인간의 신체를 개량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과거의 우생학이 가진 인간 존엄성 훼손과는 다른 윤리적 문제를 낳고 있다. 특히 인간 유 전자를 개량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는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을 길들일 수 있다는것 곧 생명정치와 깊이 관여된다. 게다가 유전자 개량은 인간 배아를 실험 도구로 보고 인간 신체개량이라는 점에서 이 실험을 통해 인간 신분이‘이미 정해진’상태 로 태어나는 생명정치 문제와도 연결된다. 우수한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난 인간은 그렇지 못한 인간을 지배하기 때문에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 계급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뿐만 아니라 인간 유전자의 개량은 배아를 대상으로 실험이 전제되 기 때문에 배아의 존엄성과 인간 복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윤리적 문제점을 시작으로 그것과 생명정치와의 관련성 및 배아복제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생명정치를 통한 계급 발 생에 대한 문제점과 유전자 결정론 및 배아와 인간 존엄성을 살펴보고 익명성으로서의 배아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학적 보편성을 제시할 것이다. Humankind begins to embody eugenics program benefited from some scientists seeking Prometheus’ desire that wanted to be selected as superior race. For a decade, eugenics gradually degraded into a denigrating tool to destroy human dignity and its justification grew vague accordingly. With the emerging of biotechnology, eugenics began to revive in the name of “liberal eugenics” to cope with the 21st bio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is deeply connected with improvement of human gene. Such a eugenics is now causing another ethical issue in terms of securing a superior gene by improved body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former eugenics described above. The newly raised issue is also closely referred to bio-politics that claims human race can take its genes by means of bio-technology even before coming into the world. Bio-politics is also related to a ethical issue, so as to speak “predetermined clique.” It causes a serious social hierarchy in that a human with superior gene can rule over the inferior human. Since it requires a intentional experiment of embryo, manipulating of human gene might influence on dignity of embryo and human cloning. Bringing up such a proble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ome issues like ethical perspective on eugenics and its relation with bio-politics or embryo cloning.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raised some questions asking how we can preserve human dignity against gene determinism and predetermined social status, on which we can suggest a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and advisable understanding of anonymous embryo.

      • KCI등재

        1920년대 중국의 우생논쟁 ―‘우생적 연애’개념을 중심으로 한 서구 우생담론의 중국적 수용

        김미란 중국학연구회 2014 중국학연구 Vol.- No.69

        From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dichotomous approach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article addresses that Chinese intellectuals received Western knowledge of eugenics in a variety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society and a sense of class distinction, from the eugenics dispute between Zhou Jianren and Pan Guangdan in the May Fourth Movement period. While Zhou Jianren faithfully followed Havelock Ellis in putting emphasis o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choice and criticizing the extended family system, he remained insisting on biological dominance as the basis of sex selection, falling behind Ellis who had advanced to variabl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Pan Guangdan, on the other hand, accounted much of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society distinct from the West, put emphasis on eugenic characteristics of arranged marriage, and had a sense of proportion that inferior genes of Chinese people could improve not just through demographic control policies but also through planting and environment improvement. But, insensitive to class distinctions, Pan indiscriminately introduced Ellis’ advocacy of early marriage advanced in the context of Europe into Chinese society, disclosing his anti-democratic disposition apathetic to the tragedy of the week. The issue of eugenic disputes, “Is love in the unity of flesh and spirit eugenic?” was in fact something beyond ‘scientific’ explanation and nonexistent in reality. Nevertheless, the eugenic argument that the public good can be achieved through private affairs – ‘love’ was authentically accepted by intellectual circles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which this article finds the reason from the antinomic nature of demography that eugenic ‘knowledges’ swayed the power to disguise a political matter of population as unpolitical, rendering it possible to control individuals.

      • KCI등재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미드와 롤즈의 비교

        홍성우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0 No.3

        This article's aim is a comparison about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in Meade and Rawls. Meade criticizes that the welfare-state capitalism results in the non-efficiency and the unequal distribution in the power and position. Rawls criticizes that the welfare-state capitalism violates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Meade sets up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s a strategic stage in order to arrive at socialism to complement the weak points of welfare-state capitalism. But, in a different way, Rawls takes in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welfare-state capitalism. In the interpretations about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Meade regards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s the liberal socialism from a position of revisionist socialism. On the contrary, Rawls distinguishes between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and the liberal socialism from a viewpoint of revisionist liberalism. This difference in both of them brings about the differences of productive structures, in other words, the ones of enterprise forms, to be able to accept in the property-owning democracy. In the tax policy, Meade and Rawl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way that an inheritance tax and a gift one have to levy by the progressive tax rate. But they object as a rule to problem which applies the progressive tax rate to the income tax. Nevertheless, when it is deep injustice on the social institutions, Rawls insists that it can allow the progressive income tax. In the basic income policy, Meade suggests that everyone have to receive the basic income unconditionally, independent of the economic activities. But Rawls stresses that only peoples who have jobs acquire qualifications to receive the basic income conditionally. In the eugenic policy, Meade expects that the property-ownership will be dispersed through the eugenic policy of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size of family. On the other hand, Rawls approaches a distributive problem of the property-ownership on the basis of the equalization of level in our talents through the eugenic measures. 이 논문의 목적은 미드와 롤즈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을 비교 고찰하는데 있다. 미드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가 비효율성 및 힘과 지위의 불평등한 분배를 결과한다고 비판하며, 롤즈는 그것이 정의의 원칙을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미드는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사회주의에 도달하게 하는 전략적 단계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설정한다. 롤즈는 이와는 달리 복지 국가적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수용한다.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 이념에 관한 해석에 있어서, 미드는 수정 사회주의적 입장에 서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를 자유주의적 사회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롤즈는 수정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적 사회주의를 준별한다. 양자 간의 이러한 차이는 각자의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생산구조들의 차이, 다시 말해서, 기업 형태들의 차이를 가져온다. 세금 정책에 있어서, 미드와 롤즈는 상속세와 증여세에 누진세율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소득세에 누진과세를 하는 문제에 대해서 양자는 원칙적으로 반대하나, 롤즈는 제도적으로 심각한 부정의가 있을 경우에는 누진적 소득세를 허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를 표명한다. 기본소득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경제 활동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기본소득이 제공되는 무조건적인 기본소득 정책을 주장한다. 그러나 롤즈는 일하는 사람에게만 기본소득이 보장되는 조건적인 기본소득 정책을 강조한다. 우생학적 정책에 있어서, 미드는 재산 소유권이 가족규모의 우생학적 증감 정책으로 분산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하는 반면에, 롤즈는 우생학적 조처를 통한 재능 수준의 평준화에 기초하여 재산 소유권의 분배 문제에 접근한다.

      • KCI우수등재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광수(Kwangsu Mok)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6

        본 논문의 목적은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비판, 즉 내재적 그리고 외재적 비판이 통합된 비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기존의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비판은 외재적 비판, 즉 자유주의 우생학과 다른 형이상학적 토대에서 제기되는 비판이 주를 이뤘기 때문에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더라도 자유주의 우생학 옹호자들을 설득하기 어려웠고, 자유주의 우생학 자체에 대한 비판에도 취약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내재적 비판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논의를 전개하는 동시에 이러한 비판의 대안을 제시하여 외재적 비판의 효과를 강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자유 개념이 전제 삼는 행위자의 절대적 독립성 조건과 충분한 세계 이해 능력 조건이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자유주의 우생학은 장애에 대해 왜곡된 사회적 인식과 제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유전공학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충분한 정보 아래서 내려지는 판단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자유주의 우생학이 토대를 삼는 자유주의 전통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해악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자유를 허용하는데, 본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이 현존하는 타자, 특히 자유주의 우생학과 관련된 장애인들을 폄하하는 방식으로 해악을 끼친다는 점에서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비판한다. 본 논문은 자유주의 논의에서 제기된 내재적 비판들에 대응하기 위해 자유주의 우생학은 역량 중심 접근법의 관계적 자율성 논의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계적 자율성 논의는 행위자의 독립성 조건과 충분한 세계이해 능력 조건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면서도, 자유주의 우생학으로 인해 야기 될 수 있는 해악, 예를 들어 현존하는 장애인에 대한 평가 절하나 죄책감 등의 표현주의적 반론을 대응하기 위해 현존하는 인식적 부정의와 제도적 부정의를 먼저 제거하는 전략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관계적 자율성을 수용한 자유주의 우생학, 즉 수정된 자유주의 우생학은 외재적 비판처럼 폐기의 대상은 아닐지라도, 그 허용의 정도와 범위는 현존하는 장애인들에게 끼칠 수 있는 해악을 피할 수 있는 범위와 정도로 제한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ystematic, integrated critique of liberal eugenics, focused on internal criticism. According to my analysis, Michael Sandel and Jürgen Habermas have delivered ineffective critiques when it comes to persuading advocates of liberal eugenics who accept John Stuart Mill’s concept of liberty. Sandel and Habermas rely on standards of critique liberal eugenics advocates do not accept. Sandel bases his criticism on a non-liberal metaphysics (i.e. communitarianism), and Habermas’s criticism relies on Kantian moral autonomy and metaphysics. In order to suggest an internal critique appealing to the commitments of the addressee rather than those of the critic, I interpret Mill’s concept of liberty, upon which liberal eugenics advocates rely. I explicate Mill’s concept of liberty into three conditions: agent independence, agent knowledge, and the no-harm principle. I then show that liberal eugenics does not satisfy each condition of this concept of liberty. This is because in the context of liberal eugenics, an agent has no choice but to be influenced by a distorted and unjust perception of disability, an agent’s knowledge is poor given the uncertainty and under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terminating a fertilized egg or performing a selective abortion of a fetus presenting an expected disability based upon genetic markers sends a troubled message to existing persons who have disabilities (i.e. that they do not have value as persons). In response to these internal criticisms of liberal eugenics, I argue that a more sophisticated theory is needed than Mill’s concept of liberty and that instead we should look to Amartya Sen’s concept of relational autonomy. This revision of liberal eugenics tries to fix a distorted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establish a favorable institu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llowing revision, liberal eugenics provides a justifiable option for when to choose a genetic intervention. In this revised version of liberal eugenic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experience the shame or stigma traditionally attached to disability and will be able to enjoy authentic, full autonomy.

      • KCI등재

        자유주의 우생학의 기획과 정치 신학적 응답

        황은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4 기독교사회윤리 Vol.58 No.-

        본 논문은 부모가 자녀에 대해 행사하는 유전적 향상이 어떻게 부모의 선 개념에 따른 생식권리, 자녀자율성, 그리고 일반적 선 개념에 따른 자유주의 정부 개입의 권한을 수반하는지를 살펴보면서, 이에 대한 가능한 정치 신학적인 응답 을 제시한다. 아가르(Agar)의 자유주의적 우생학이 부모의 선 개념과 생식 권리에 따라서 자녀에 대한 일방적 향상과 이를 보완할 정의의 원칙을 제시한다면, 폭스(Fox)와 데커(Dekker)의 이론적 수정은 자녀 자율성의 증진을 위해 일반적 으로 동의할 만한 자연적-일차적 선들을 증진하는 정부의 개입이 필요성을 강조 한다. 자유주의 우생학과 그 수정 이론들에 대해서, 정치 신학적 응답은 치유-향상의 애매함에도 불구하고 치유의 우선권을 긍정하며 선한 삶의 일반적 개념에 따라 자녀의 자율성의 동등성을 강조하며, 동시에 시민 사회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통해서 자유주의 정부의 개입과 시민의식을 인도해야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a political theological response can address the project of genetic enhancement, which involves the parents’ rights for pro-creation according to their concept of good life, the child’s autonomy of life, and the government’s authority fo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oncepts of good. Whereas Agar’s project of liberal eugenics suggests the priority of the pa- rents’ procreative rights for enhancement according to their concept of good life, Fox and Dekker’s revision calls for the liberal government’s intervention for guaranteeing hypothetically agreeable general goods to enhance the child’s autonomy. In response to liberal eugenics and its revisions, a political theological response affirms the priority of therapy and promotes the equality of the child’s autonomy according to the general concepts of good life, while leading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and the general public through its cultural influence on civil society.

      • KCI등재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 분석 : ‘유전자 결정론’ 비판을 넘어서

        김남준(Kim Nam-Joo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자유주의 우생학자들의 비판과는 달리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이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그릇된 가정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것을 논증하는 것이다.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 중 자율성과 평등성을 출생의 자연적 우연성과 결부시키는 ‘출생의 자연적 우연성 논증’은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그릇된 전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판이 자유주의 우생학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그런데 미래 자녀에 대한 우생학적 개입이 직접적으로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간접적으로는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하버마스의 주장, 우생학적 개입을 결정한 부모와 그 개입을 받은 자녀 모두 자녀의 삶의 역사의 단독 저자가 아닌 공동 저자가 된다는 하버마스의 주장 등을 고려한다면, 출생의 자연적 우연성 논증은 유전자 결정론에 근거한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유주의 우생학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을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공격하기 쉬운 상대로 환원해버렸다는 점에서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를 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율성 논변은 독립적이고 자기충족적인 논변이라기보다는 종의 윤리 논변에 의존적인 논변이라고 평가될 수 있고, 미래 자녀의 합의 가능성 논증에서 추정 동의가 치료를 넘어 적어도 향상의 일부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완전하다고 평가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은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비판을 넘어설 수 있지만, 어떠한 이론적 문제도 남겨 놓지 않은 ‘강력한 논증’으로 평가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contrary to criticism from liberal eugenics advocates, Habermas’s argument from autonomy is not based on genetic determinism. There is constant criticism from liberal eugenics advocates that Habermas’s argument from the contingency of one’s procreation is based on genetic determinism. But, considering Habermas’s claim that the parents’ decisions on their child’s genetic makeup might indirectly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sense of their child’s autonomy, and that the parents and their genetically programmed child become co-authors of his or her life history, Habermas’s argument from the contigency of one’s procreation is not based on genetic determinism. Furthermore, liberal eugenics advocates commit the fallacy of straw man, because they regard Habermas’s criticism of their position merely as genetic determinism. Yet, Habermas’s argument from autonomy cannot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argument, because it is dependent on his argument from ethics of the species. In addition, Habermas’s argument from autonomy cannot be regarded as a complete argument, because the genetically programmed child will partly agree to enhancement beyond therapy. Thus, Habermas’s argument from autonomy cannot be regarded as a knock-down argument, though it is not based on genetic determinism.

      • From institutional Paternalism to Parental Despotism : The Continuing Appeal of Eugenics

        Stefano Fait EWHA INSTITUTE FOR BIOMEDICAL LAW & ETHICS 2008 BIOMEDICAL LAW & ETHICS Vol.2 No.1

        Recent developments in biotechnology have raised questions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addressed, questions about the morality of altering the human genome, the alleged difference between old eugenics and the new, ostensibly laissez faire "techno-eugenics", and the possible social effects of these developments. These are tough questions, not small questions of procedure. They are difficult to answer satisfactorily, unless "secular moral experts" acknowledge that in assessing the ethical implications of genomics and biotechnology,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science, technology, and bioethics do not exist in a vacuum and are not socially, politically and ethically neutral. Socio-cultural ideologies and societal arrangements shape the meaning of notions like 'therapy and 'enhancement' and certain technologies have a greater social impact, may require the State to intervene in the phvate sphere, and may be differentially accessible to users. Also, science and technology can change our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nd with our environment. Hence the importance of ethnographic, historical, legal, and cross-cultural studies for the analysis of today's thorniest bioethical controvers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some of the substantive problems in the domain of eugenics and human germline engineering.

      • KCI등재

        생명공학적 인간향상의 시대에 인간은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가 :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의 분석

        김건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3

        Habermas, a postmetaphysical liberal, objects to the technologies of eugenics or genetic engineering that intervene human body. His main argument is what I call ‘Argument from Autonomy’, i.e., one that such intervention cannot be morally allowed because it can invade the autonomy the posteriors would legitimately be able to have. The two main grounds for this argument are the necessity of the contingency of one’s procreation and her content, if counterfactual, to the interven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that these grounds are not well-established and that as a result, Habermas’s argument would lose it force. Furthermore, the article attempts to suggest that his procedural conception of law might face a crisis of shifting into a new legal paradigm. 이른바 포스트형이상학적 자유주의자로서, 하버마스는 인체에 대해 우생학적 혹은 유전공학적으로 개입하는 여러 기술들에 대해 반대한다. 그의 주요 논변은 자율성 논변, 즉 그런 개입이 후대의 개인이 누려야 할 자율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는 논변이다. 여기에는 출생의 우연성과 후대의 개인에 의한 합의가능성이 논거로 작동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다음을 논구하고자 한다: 이 논거 각각은 충분히 입증되지 않으며, 그 결과 하버마스의 반대 논변이 그 힘을 잃을 것이라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비판적 분석은 현대법에 대한 하버마스의 관점, 절차주의적 법 패러다임의 전망을 재고할 여지를 열어 준다는 것이다.

      • KCI등재

        포섭되지 않는 정동들: 일본 우먼리브운동 재고

        이지현(Lee, Ji hy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9

        This study examines the ideas and historical logic of the Japanes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early 1970s, and considers the affects that played a role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s uprising and failure. The image of the movement, which argued that true womens liberation requires the dismantling of patriarchy and the liberation of sexuality, has been largely perceived as an overly radical or negative womens movement so far. However,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movement was largely built on the empathy and support of ordinary women, and that Womans Libs work, which centered on opposing the Eugenics Act to secure womens sexual rights, was intertwined with womens resistance to state-enforced sexual repression from the war years. This study examines the discriminatory discourses and attacks on women who resisted the androcentric paradigm. History has repeatedly shown us that when marginalized groups, such as women, come together in solidarity and make their voices heard, they are viewed as mobs that disrupt society. This can be said to be closely related to modern historical experiences such as hate politics. The forces of the affects that was unleashed then coexisted, resonated, intervened, and continued to grow in influ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assesses the limits and implications of womens resistance practices as minorities by focusing on the affects that erupted through the solidarity of ordinary women at the time and the forces that sought to control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