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실 다빈도 방문과 119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분석

        강경희(Kyunghee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Version 1.6) 2017년 데이터를 이용해 개인 및 가구 특성, 응급 상황 특성이 119 구급차/개인용 차량의 이용 여부 및 응급실 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개인용 차량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가 59.0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19 구급차가 18.89%로 나타났다. 또한 119 구급차 이용자가 개인용 차량의 이용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령이 높고, 연간 총 가구소득이 낮으며, 질병보다 사고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더욱이 응급실 방문 횟수를 1회 방문과 2회 이상 방문으로 구분하여 비교할 경우에 개인용 차량의 이용자의 연령, 연간 총 가구소득, 이용 계절, 이용 이유 등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119 구급차 이용자의 특성 차이는 없었다. 119 구급 이송 서비스가 공공 안전망으로서사회적인 필수 서비스라고 할 때, 비응급환자의 119 신고 남용 또는 119 구급차 상습 이용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한정된 구급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This study aimed to th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use of 119 ambulance/private carsand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based on the 2017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The analysis revealed thatduring emergencies, the use of private cars (59.02%) was more common than 119 ambulance services (18.89%). Moreover,119 ambulance users were significantly older, had a lower annual total household income, and had relatively more accidentsthan diseases when compared to private car users. On comparing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between single andmultiple visi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otal annual household income, season of use, andreasons for use for private car usage than 119 ambulances. The 119 ambulance service is an essential public safety net. Therefor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solve the frequent use of 119 ambulances by non-emergency patients, andefficiently utilize limited ambulance resources.

      • KCI등재

        Bacterial Contamination Conditions in Ambulances and their Equipment in South Korea

        유인술,유연호,권계철,정태오 대한응급의학회 201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3 No.1

        Purpose: Many patients in South Korea are brought to hospitals by ambulance. As such, bacterial contamination within the ambulance and their critical or semi-critical equipment may be dangerous, especially for immunocompromised patients. No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pathogenic bacteria in ambulances or the bacterial contamination rate associated with riding in an ambulance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pathogenic bacteria species in ambulances, and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contamination rate associated with ambulances and their equipment,in South Korea. Methods: Thirty ambulances (17 from private facilities and 13 from regional emergency centers) were enlisted for this study. We took 955 swabs and isolated the resulting bacteria. We surveyed the intervals between cleaning and disinfecting of the ambulances and their equipment. We compared the distributional of the bacterial species, following Spaulding’s classification, between critical equipment (CE),semi-critical equipment (SCE) and non-critical equipment (NCE) in the ambulances, using the chi-square test. Results: The ambulances were cleaned and disinfected every 5 and 8 days, respectively. The equipment was cleaned and disinfected once every 22 and 30 days,respectively. Of the 955 swabs, 159 (16.6%)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by bacteria. Fourteen pathogen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CE and SCE, but no methicillinresistant or vancomycin-resistant bacteria were found. Conclusion: Approximately 16.6% of the ambulances and their equipment were contaminated by bacteria, and pathogenic bacteria were found on both CE and SCE. Consequently, in South Korea, we find a risk associated with the hazard presented by bacterial contamination in ambulance CE and SCE.

      • KCI등재

        설문조사를 이용한 국내 소방 구급자동차의 안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신동민,김승용,한용택 한국화재소방학회 2015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9 No.2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to improve the fire-fighting ambulance interior design safer and more efficient to identifythe type of structure and functional problems 119 ambulance. When the paramedics and four degrees to over 755 peoplemodify the target report and related literature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an ambulance for patient safety at the 2007British National Patients Safety Agency (NPSA) and was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was composed of items for your design improvements for ambulance promote safety and efficiency. The data werecolle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e-mail or in pers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s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mbulance interior design improvementrelateditems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verified. As a result, this research elicited that vans converted fire ambulancecars have a problem with the narrow interior space and truck converted fire ambulance cars should be comfortableto drive in ride quality.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aramedics treatment position and the paramedic’spersonnel safety belt are required.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a number of improvements are neededin the fire-fighting ambulance car. 본 연구는 119구급차 유형별 구조와 기능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구급차 내부 디자인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4개 시 · 도의 구급대원 755명을 대상으로 2007년 영국 National Patients Safety Agency(NPSA)에서 개발한 환자 안전을 위한 미래 구급차에 관한 보고서와 이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소방 구급차 내 안전성과 효율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선을 위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설문지를 전자우편 또는 직접 배포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통계처리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백분율로, 구급차 내부 디자인 개선관련 항목은 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승합차 개조 소방구급차에서는 내부공간이 좁은 문제와 화물차 개조 구급차에서는 승차감의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급요원의 안전벨트와 구급요원의 처치 위치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와같은 결과를 토대로 소방 구급자동차의 많은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원주시내 구급차 대기소의 적정위치 선정과 후송로 구축

        임경수,안무업,황성오,강성준 대한응급의학회 1993 대한응급의학회지 Vol.4 No.1

        Determinations of optimal location and travelling pathway ambulance will be important for establish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sites are most optimal for ambulance stationing centers. Location theory advanced in the last decade can provide us with analytic techniques which help to formulate and to solve loca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odel of determining optimal location of ambulance depots and travelling pathway for ambulance. To determine optimal location and travelling pathway of emergency ambulance in Wonju city, we uses a mathmatical model modified from analytic techniques of location theory. In conclusion, 5 points of ambulance depots were needed for optimal BLS(basic life support) response time(<5min.) and another 3 points were needed for optimal ALS(advanced life support)response time (<8min.)in our model.

      • KCI등재

        한국의료패널을 이용한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특성 분석: 임신, 출산, 산후기 여성을 중심으로

        강경희 한국화재소방학회 201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3 No.6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mbulance services among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based on data from the 2008-2016 Korea Health Panel. The analysis revealedthat among the 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the proportion using all ambulance services was 18.9%whereas 12.0% used private and 119 ambulances. Moreover, among those using ambulance services, delivery was the mostcommon reason (38.7%) followed by complications of labor and delivery (20.0%) and pregnancy with abortive outcome(17.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sers and non-users of ambulance services in terms ofthe average annual household income, emergency arrival time, and delayed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As childbirthbecomes more complicated due to low fertility and elderly mothers,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ambulance servicesas a social safety net for pregnant, childbearing, and postpartum women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 2008-2016년 연간 데이터(Version 1.5)를이용해 임신, 출산, 산후기 여성의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임신, 출산 및 산후기 여성의 119 구급차, 민간 구급차 등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률은 12.0%로 전체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률18.9%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임신, 출산 및 산후기 여성의 응급에서 분만이 38.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진통 및 분만의 합병증이 20.0%, 유산된 임신이 1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여성의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특성 중 연 평균 가구소득, 응급실 도착 소요시간, 응급실 도착 지연 인식 등에서 구급이송 서비스의 이용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저출산과 고령 산모로 인하여 분만 취약지가 늘어날수록 임신, 출산, 산후기 여성을 위한 사회안전망으로서 구급 이송 서비스의 양적확대와 질적 제고는 더욱 시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구급차 접촉감염 예방을 위한 동 및 동합금 항균시트 적용성 평가

        박제섭,박민영,최아영,한동훈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 및 이송환자의 표면 접촉에 의한 교차감염 예방과 표면 오염균 관리를 위해 동 및 동합금 소재를 구급차에 적용한 최초의 연구 사례이다. 최근 구급차 내부의 고위험성 병원체의 오염 수준이 잠재적인 위협을 줄 수 있는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구리(copper)는 접촉 살균 효과를 가진 항균성 금속 소재로, 다양한 병원체들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다. 119구급대원은 구급 출동 종료 후 구급차 내부 소독을 매번 실시하고 있으나, 업무 과중으로 인한 피로도 증가와 소독 후에도 고병원체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워 교차감염 위험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항균성 소재인 동과 동합금 소재를 시트 형태로 제작하여 구급차 내부 및 장비 표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적용 부위에서 오염균이 불검출되었다. 따라서 기존 소독 방법의 개선 방안으로 항균동 시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소독 방법의 효과성 및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case in which copper and copper alloy sheets were applied to an ambulance to prevent cross-infection caused by surface contact of 119 paramedics and transferred patients and to control surface contaminants. Recently, the contamination of high-risk pathogens inside the ambulance is increasing that can pose a potential threat. Copper and copper alloys are an antimicrobial metal with a contact killing effect and ha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fungi, and viruses. The 119 paramedics disinfect the inside of the ambulance every time after transferring, which is a high level of fatigue due to overwork. Even after disinfection, the risk of cross-infection still remai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manufactured the antimicrobial copper sheets, and was appli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ambulance. The Killing effect and possibility of non-contact disinfection method to reduce the burden of disinfection was confirmed.

      • KCI등재

        119 구급자동차의 구조해석을 통한 내부 설계 안전성 검증에 관한 연구

        신동민,김형욱,한용택 한국화재소방학회 2016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0 No.2

        This study is the result of performing structural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new ambulance design of inside spaceusing the new vehicle’s bodywork. 3D design works were performe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esigned ambulance. And then it was tested by a shock of 10G to the ambulance car insid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fter that welooked into the consequences. At this time, it wa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its own weight and the weight of componentsaccording to the EN regulation. From the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the internal frame and configured handrail in avariety of pipe did not have a relatively large stress load, but internal panel and cabinets has been interpreted to receive alarge stress load at least over 50 MPa. When carried out reinforcement design in accordance with this analysis, the modificationof thickness and shape could be necessary.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re could be auseful information to produce a more secure vehicle for paramedics and patients using a ambulance inside the vehicle. 본 연구는 새로운 차체를 이용 구급자동차 내부 공간의 디자인 작업에 따른 차량 내부의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로서,해외 기준 및 디자인된 구급자동차를 바탕으로 3D 설계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차체 및 구급자동차 내부에 대하여10G의 충격을 가한 후 이에 따른 구조해석 결과를 살펴보았다. 이때 부품의 자중과 구성품의 무게를 고려하여 유럽의EN 규정에 따라 해석을 수행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차량 내부의 프레임과 각종 파이프로 구성되어진 핸드레일은 비교적 큰 응력의 하중은 받지 않았으나 내장 판넬과 캐비넷류는 50MPa 이상의 큰 응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따른 보강 설계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두께 및 형상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구급자동차를 이용하는 구급대원 및 차량내부의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차량을 제작하는 기초자료가 될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 119 구급대원, 기계식 흉부압박기의 각 그룹이 평지 및 이송중인 구급차에서 실시한 흉부압박의 질 비교

        최용준,박대성,최용준,이원석,하원선,정준영 대한응급의학회 200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0 No.4

        Purpose: In an emergency, the quality of CPR prior to hospital arrival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for the survival of victims. We want to know differences in chest compression quality performed by groups that have variant experiences of CPR, and automatic CPR machine on the floor, or in an ambulance moving at 40 km/hr, or at 80 km/hr. Methods: We analysed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of each group, and that performed on the floor, in an ambulance moving as 40 km/hr, and at 80 km/hr. We measured the following factors: mean compression depth; mean compression rate; exact performance percentile; and the compression error through too deep, too weak, wrong compression location, and no full recoil. Results: In the student-nurse group,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performed on the floor was better than that performed in a moving ambulance. In 119 member group, chest compression performed in an ambulance moving as 40 km/hr was better than that performed in an ambulance moving at 80 km/hr. The use of an automatic CPR machin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hest compression quality in all circumstances. In comparing each group, compression quality of the 119 member group and the automatic CPR machine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the student nurses. Conclusion: In the group with real CPR experie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hest compression performed on the floor and that performed moving at 40 km/hr. Chest compression performed moving as 40 km/hr is better than that performed moving at 80km/hr. In the group without CPR experience, chest compression performed on the floor is better than that performed in a moving ambulance.

      • KCI등재

        119 구급대의 교통사고 예방 및 피해 경감 방안

        임재만(Jae-Man Lim),노상균(Sang-Gyun Roh)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In 2021, the National Fire Agency recorded 141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ambulances. A common scenario involves collisions at intersections, where ambulances often running into a red light intersect with vehicles proceeding with a green light. These accidents entail special attention because of the potential threats they pose not only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ersonnel but also to the safety of patients and other vehicles on the road.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riority rights of ambulance and the duty of other vehicles to yield. However, research addressing challenges faced by ambulance drivers has remained insuffici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MS personnel about their psychological status while driving an ambulance and the use of warning lights and sirens.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119 ambulances entails data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reinforcement of professionals, expansion of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ing systems, and development of simulator-based training programs. Policies that do not reflect ambulance drivers’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patterns might turn out to be ineffective. 소방청 통계에 의하면 119 구급차(이하 “구급차”라 한다)와 관련된 교통사고는 2021년에 141건이 발생하였다. 대표적인 유형은 교차로에서 적색등화에 진입한 구급차와 녹색등화에 진행한 상대방 차량이 충돌하는 것이다. 구급차의 교통사고는 구급대원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상대방 차량에 승차한 인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다. 「도로교통법」상 긴급자동차인 구급차의 우선 통행 및 특례를 강화하여야 한다는 선행연구는 다수 있었다. 하지만 구급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구급차 운전 중의 심리상태, 경광 등 및 사이렌 사용실태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급차와 관련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통계분석, 전문인력의 보강, 긴급자동차 우선 신호 시스템의 확대, 시뮬레이터에 기반한 교육훈련 개발, 구급차의 안전에 관계되는 옵션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이에 대한 정책개발 과정에 구급차 운전자의 심리상태와 운전패턴을 반영하여야 한다.

      • KCI등재

        경기도 119구급대 다중출동체계의 융복합적 분석 - 병원전 심정지 환자를 중심으로 -

        황성훈,김종호,김지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119 구급대를 통한 경기도 내 병원 전 심정지 환자에 대한 다중출동체계의 융복합적 분석을 하고자 함이다.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발생한 경기도 내 병원 전 심정지 환자 5,621명 중 명백한 사망 징후가 관찰되어 소생술 유보, 외상성 심정지, 소아 심정지, 헬기 이송 및 구급차 내에서 발생한 심정지, 기록지 누락을 제외한 총 2,650명을 대상으로 구급활동일지 및 심폐정지환자 세부상황표를 분석하였다. 출동대 구성에 따 라 각각 구급차 1대, 구급차 2대 이상, 구급차 1대 & 펌프차 1대, 구급차 2대 & 펌프차 1대 이상으로 구분하였으 며, 구급대 구성에 따라 유자격자 1명, 유자격자 2~3명, 유자격자 4명 이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동대 및 구급대 구성에 따른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자발순환회복률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전문심장소생술 의 수액투여와 에피네프린 투여가 자발순환회복률을 높이기 위한 예측변인이었으며, 이런 전문 응급처치 술기들은 출동대 및 구급대 구성에서 유자격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시행률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arry out the convergence analysi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transferred by 119 multi-tiered ambulance service in Gyeonggido. From July to December, 2017, among 5,621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2,650 patients data were analyzed except DNR(don not resuscitate), traumatic cardiac arrest, pediatric cardiac arrest, helicpoter transport case, and cardiac arrest in ambulance. Dispatch consisted of one ambulance, two ambulances, one ambulance plus one pump vehicle, and two ambulances plus one pump vehicle. by each dispatch team, the paramedic certificate holders were classified from one person to four pers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between the dispatch types and certificate. Fluid therapy and epinephrine administration enhanced ROSC. The dispatch type and paramedic certificate were the important factor in advanced life support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