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응력 이론 다시 보기

        최훈(Hoon Choi)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7 No.-

        이 글은 맹주만 교수의 최근 논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그러나 거기서 그치지 않고 감응력 이론, 곧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는 기준은 감응력에 있다는 주장을 옹호하고 좀더 세련화하는 데 최종 목적이 있다. 우선은 감응력이 도적적 지위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 다음에 식물도 감응력이 있다는 맹 교수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식물뿐만 아니라 일부 동물에게도 감응력이 없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싱어의 감응력 이론과의 차이점이다. 싱어의 이론에 대해서는 채식을 위해 의식이 있는 다른 동물을 죽여야 하므로 채식주의는 실천불가능하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나의 감응력 이론은 그런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recent paper of Professor Maeng. In addition, it aims to defend and refine the sentience theory, which says that what entities have moral status depends on whether they can have sentience. I show sentience i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having moral status; I criticize Professor Maeng’s claim that plants can have sentience. But it is claimed that some animals as well as plants don’t have sentience: this is a point which differentiate my sentience theory from Singer’s. His theory is criticized that vegetarian form of life cannot be maintained because we cannot help killing many sentient animals while plowing a field. My sentient theory of sentience is immune from such a criticism of impracticability.

      • KCI등재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김효은(Kim Hyo-Eu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0 생명윤리 Vol.11 No.2

        이 논문은 식물인간 상태(지속적 식물인간상태persistent vegetative states; PVS)에 있는 사람들에게 윤리적 지위를 부여하는 의식의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식물인간의 의식 여부의 중요성은 그 대상을 어떻게 대우하여야 하는지의 윤리적이고 사회정책적인 문제와 관련된다. 의식의 기준으로 간주되어왔던 것은 행동주의적 기준이며, 현대의 뇌영상은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한편으로 식물인간에 관한 뇌영상 실험결과를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반드시 의식이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라 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다른 한편으로 필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영상의 식물인간에 대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기준에 의미있는 물음을 제기한다고 생각한다. 싱어는 의식의 여러 상태들 중 고통을 느낄 수 있다면 윤리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기준은 무엇보다도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행동주의적 기준으로 포착되지 않는 심적 상태도 윤리적 대우를 해야 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주장을 위해 필자는 1)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는 의식상태의 기준으로 간주되어 왔던 현상적 의식과 동일시되어온 지각력sentience이 충분하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므로 적절한 기준이 되지 못하며, 2) 지각력이 없는 현상적 의식 상태에도 윤리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설득력이 있다면, 일차적으로는 의식의 개념이 더 세분화될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윤리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 대상의 외연이 확대됨으로써 타자의 마음이라는 블랙박스를 통해 해결점을 찾아야 하는 배아, 태아, 동물의 마음과 이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재고할 수 있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criteria of the existence of consciousness for people who is in a persistent vegetative states(PVS). Whether people who is in PVS is concerned with ethical and social questions regarding how to treat them. Whereas the received criterion of consciousness is behavioristic, the brain imaging study today offers a new perspective. On one hand, I interpret the brain imaging study of PVS as not necessarily suggesting that VS patients are consciou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from brain imaging study pose a significant question to the traditional criterion of being conscious. Peter Singer considers behaviour showing pain as the bottom line for ethical status for a creature. But it is conceivable that we attribute the ethical status to mental states beyond behavioristic criterion. For this claim I argue that sentience is not necessary for being conscious, and that we should confer ethical status to creatures who have phenomenal states without sentience. If my claim is plausible, ethical issues surrounding embryos, fetus, non-human animals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philosophical problems of mind and cognitive science can be reexamined.

      • KCI등재

        모션의 양태성이 매체ㆍ장르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용수(Lee, Yong-S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8

        본고는 무빙이미지에서 모션의 양태성 전략이 매체나 장르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모션의 양태성은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영화에서도 적극적으로 조작되는 요소이다. 여기서 모션의 양태성 전략은 일반적으로 장르나 매체에 따라 좌우된다고 말해지는데, 과연 그 명제는 옳은 것인가? 옳다면, 본 명제를 학제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장르·매체’라는 용어를 재고함으로써 좀 더 이론적으로 정리 할 수는 없는가? 본고는 그러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고는 모션의 양태성 조작을 이론적 지평 위에서 바라본다. 맥루한의 핫/쿨미디어 이론과 볼터의 진동이론에서 보면, 궁극적으로 모션 양태성 조작의 효과는 수용자의 감각비율 조작과 같은 것으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이론적 추론은 사례를 통해 검증될 것이다. 사례 분석에서 본 연구자는 이미지의 모션 양태성 조작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 효과들을 발현하는지를 분석하고, 이 효과들이 매체ㆍ장르 포지셔닝과 어떤 상관성을 갖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본고가 문제시 하는 모션 양태성의 장르ㆍ매체 결정론을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모션의 양태성은 매체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장르의 문제에서 결정되는 전략인데, 그 장르는 감각자극의 배합으로 포지셔닝되는 범주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션의 양태성 전략은 단위 시퀀스가 필요로 하는 감각성에 좌우된다. 모션의 양태성은 단순히 모션캡처 같이 매체적 측면에서 갖는 기술지향적, 경제적 가치보다 장르적 측면에서 기능성으로 접근해야 하는 전략이다. This study is regarding what motion modality has influences on aspects of genre and media. Nowadays, motion modality becomes an element which is actively manipulated in live actions as well as animations. And,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a strategy on manipulation of motion depends on matters of genre or medium. As respected, can we say the premise is correct? if it is, can we refine the premise more theoretically, without using the words, "genre" or "media" which have not been are not been defined on an academic aspect. I intend to discuss on this issue. I will speculate the issue of manipulation of motion modality on theoretical bases. According to McLuhan"s hot/cool media theory and Bolter"s oscillation theory, the effect of it turns out to be same as manipulation of sentience ratio of media readers, and the ideal result will be examined by an example analysis. In the analysis, I will explore what effects manipulation of motion has on several examples. Then, by examining what kind of correlation these effects has with media/genre positioning, I ultimately will evaluate the genre/medium-based determinism of motion modality, which is represented by a typical premise like "Animation is most realistic when it has the most animation-like movement." Conclusively I suggest a refined premise like the following. Modality of motion is a strategy depending on issues of genre, with no regard to issues of medium, and the issue of genre is a category which is positioned considering mixture ratio of sentience. With this reason, A strategy of modality of motion depends to sentience a certain sequence needs. So, motion modality becomes a strategy which has to be approached in functionality of genre rather than economic values which spring from technical devices like a motion capture.

      • KCI등재

        동물의 고통과 좋은 삶

        맹주만(Joo-man Mae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8 No.-

        이 글은 한편으로는 필자가 최근에 발표한 바 있는 두 편의 논문 각각에 대해서 비판적 의견을 개진한 최훈 교수에 대한 답변이면서, 또 한편으로는 기존의 필자의 견해를 좀 더 분명히 하기 위한 보충적인 논의들로 전개된다. 필자는 이전의 논문들에서 고통과 쾌락/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어떤 존재의 감응력의 유무가 그 존재를 도덕적으로 대우해야 할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없으며, 따라서 이에 근거해서 채식주의의 실천불가능성을 포함하여 채식과 육식의 윤리적 정당성을 평가하려는 입장 역시 옹호될 수 없음을 보이려 했다. 이에 대해서 최훈은 필자의 싱어 비판이 어떤 오해에 기반하고 있으며, 또한 그의 주장을 무력화하거나 반박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비판한다. 더 나아가 무척추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좀 더 개선된 자신의 감응력 이론을 통해 싱어에게 가해질 수 있는 비판 또한 피해갈 수 있다는 한층 더 적극적인 입장을 개진하고 나섰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와 같은 최훈의 반박에 비판적으로 대응한다. 필자는 여전히 쾌고 감수 능력 즉 감응력의 유무로 어떤 존재의 도덕적 고려 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려는 일체의 시도를 거부한다. 즉, 감응력은 한 존재의 도덕적 지위를 결정하는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없으며, 특히 비록 윤리적 고려에 있어서 중요한 지위를 갖는다고 하더라도 쾌락을 포함한 고통 지각은 한 존재의 총체적인 생명 활동을 구성하는 일부일 뿐이다. 오히려 다양하게 작용하는 감응력의 지각 능력을 한 생명체의 생명활동과 그 본성적 구조 전체와의 연관 아래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고통 지각을 그 존재로부터 분리 및 독립시켜 이에 의거해서 한 존재의 도덕적 지위를 결정하려는 시도를 ‘감응력에 의거한 고립적 독립 논변’이라 규정한 다음, 이를 물리치는 주장을 한 존재의 생명활동과 그 본성적 구조에 대한 총체적 고려에 근거를 둔 ‘좋은 삶에 의거한 통합적 종속 논변’ 아래 전개한다. This paper takes aim at a reply to Professor Choi Hoon’s critics of my two papers, “Peter Singer and the Ethical Vegetarianism”(2007), and “Animal Pain and Sensation of Plants”(2009). I argued three points by these two paper. First, Singer’s sentience-based theory of moral status does not consider the meanings of pain in organism, especially human beings in its fullness. Second, the whole considerations for human pain including animals must deal with ontology and semantics of pains, including value theory of plant life, and third, I have argued that Singer’s argument cannot be justified because his reasoning which is excluded his other sensations except pain-sensation is a kind of arbitrarily preferential considerations, although a plant cannot feel something like animal’s pain, it seems to me that such a state of plant do not mean she is not conscious, moreover if the plant has some sensations, it can be said that she is also a conscious being. Professor Choi went into detailed criticism that my arguments in my two paper cannot succeed through his two paper, “Was Professor Maeng Successful in Refuting the Ethical Vegetarianism of Peter Singer”(2009), and “Sentience Theory Reconsidered”(2010). This time I will still argue that sentience cannot be the only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which decide on moral status of a being, and especially the pain is only one of elements which forms total activity of a life for his own good life. So I will develop this view under the title ‘argument from the Integral Dependence based on A Good Life’ in contrast with ‘argument from the Isolated Independence based on the Sentience’ which is name after views of Singer and Professor Choi that I want to refuse.

      •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피터싱어의 생명 윤리를 중심으로 -

        이기훈 윤리문화학회 2016 윤리문화연구 Vol.11 No.-

        Peter Singer is one of the influential person that represents the most famous contemporary moral philosopher. He was been suggesting the philosophy regarding equality of life. He said, but, equality of life must be distinguished equality of human life. He claims this as specism because dividing humans and animals based on human character can't be accepted in his argument. For him, only reason to discriminatory considerations is that whether have sentience. This argument was controversial. Someone has called animalist that equates human right to animal right. He, Of course, will agree that animal right is better than now. However, we think about his position. He is not claiming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human beings, and, In fact, he is not treat as animal as human. In relation to issue to consideration of interesting, he was to establish certain standards. We should not forget that he is utilitarian.

      • KCI등재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의 윤리적·법적 쟁점

        최경석(Kyungsuk Choi)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4 No.2

        최근 인간 뇌 오가노이드로부터 뇌파가 측정되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이 연구 모델이 야기하는 윤리적, 법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필자는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규율하는 국제 지침이 있는지 검토하고 국내 법제에서는 어떤 규정이 존재하는지 살펴본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간 뇌 오가노이드는 생명윤리법의 규율 범위에 포함된다. 하지만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는 첨단재생바이오법의 규제 범위 밖에 있으며, 인체유래물연구에 대한 유권해석을 토대로 생명윤리법의 인체유래물연구에 해당한다. 그러나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심의하는 경우 어떤 기준으로 어느 시점까지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은 없다. 심의를 통한 연구의 승인 여부는 전적으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재량에 해당한다. 윤리적 쟁점과 관련해서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는 인간 뇌 오가노이드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문제를 초래한다. 필자는 잔여배아 연구의 허용 시점에 대한 논의에서 축적된 개념들을 바탕으로 인간 뇌 오가노이드의 연구 시점에 제한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인간 뇌 오가노이드가 쾌고 감수능력을 지니거나 쾌고 감수능력이 아예 없는 뇌 오가노이드 개발시에는 학습능력을 지닌 시점 이전까지만 연구를 허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쾌고 감수능력을 지녔거나 학습능력을 지닌 인간 뇌 오가노이드는 인간 개체로서의 주체성이 확립된 인간 존재자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능력을 지닌 뇌 오가노이드의 생산은 새로운 방식의 실험실 생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체유래물연구와는 별도로 잔여배아연구를 규율하고 있는 것처럼, 인간 뇌 오가노이드 연구는 인체유래물연구와는 별도로 이 연구의 특수성을 고려한 규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As the research outcome that the electrical wave of human brain organoid was detected has been published, the ethical and legal issues on this research model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This paper reviews whether or not there is an international guideline to regulate the research of human brain organoid and reviews which Korean acts regulate such a research. The research of human brain organoid using an embryonic stem cell is regulated by Bioethics and Safety Act. the research of human brain organoid us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s considered to be a human material research in Bioethics and Safety Act with the government’s authorative interpretation. This research is outside the regulative scope of Advanced Regenerative Bio-Act.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regulation to tell by what criteria the protocol of such a research should be reviewed and by when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brain organoid. IRB has discretionary power over whether to confirm the protocol or not. For the ethical issue, the research of human brain organoid raises the issue of its moral status. On the basis of concepts discussed on the limitation of embryonic research, I argue that the scope of the research of human brain organoid should be limited. I argue that the research may be allowed before a human brain organoid has sentience or learning ability when it is developed without sentience. The reason is that the moral status of such a human brain organoid is the same as that of human being who establishes the identity as an individual. The production of human brain organoid may be a new way of human reproduction, that is, a laboratory reproduction, Therefore, as Bioethics and Safety Act regulates embryonic research apart from human material research, the Act should provide separate regulation on human brain organoid research reflecting its special feature.

      • KCI등재

        피터 싱어와 윤리적 채식주의

        맹주만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7 철학탐구 Vol.22 No.-

        육식을 거부하며 윤리적 채식주의에 대한 체계적인 철학적 옹호론을 펼치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공리주의 이론이나 의무론적인 도덕적 권리론을 근거로 삼는다. 특히 싱어는 공리주의를 무기로 삼고서 현대적 의미에서의 동물윤리를 개척한 선구적 인물이며, 또한 육식의 비윤리성을 고발하면서 이전의 식습관을 포기하고 몸소 채식을 실행하고 있는 실천적 이론가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채식주의를 옹호하는 싱어의 논변은 기본적으로 선호공리주의와 동물의 감응력에 근거해서 옹호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동물권리론, 환경주의, 여성주의 등의 진영에서 적지 않은 도전과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런데 이들의 대응은 주로 싱어의 주장이 함축하거나 초래하게 되는 결과에 초점을 두고서 이루어졌다. 이 글은 이와 달리 선호공리주의와 감응력에 기초한 싱어의 육식의 비윤리성 및 윤리적 채식주의 옹호 논증의 이론적 토대 자체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려고 시도한다. Most contemporary Western writers who offer a systematic philosophical defense of ethical vegetarianism have used either utilitarian theory or a deontological moral rights theory. Peter Singer is typical of the former, and Tom Regan the latter. Singer is a moral theoriest whose has done much to reinvigorate the animal liberation movement. Preference Utilitarianist Singer's ethical vegetarianism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and sentience as the capacity to feel pleasure or pain. He says the preference for a non-vegetarian diet is largely a matter of taste. Liking the taste of meat does not constitute an interest strong enough to override the interests of animals in avoiding pain and suffering. But Singer's utilitarianism is not only future-oriented, and only the consequences of actions count rather than intentions, so it cannot exclude a meat-eating. Also Singer's sentience-based theory of moral status does not consider the meanings of pain in organism, especially human beings in its fullness. The whole considerations for human pain, including to animals, must deal with ontology and semantics of panis, including value theory of plant life.

      • KCI등재

        음악의 생명성: 발제주의에 의한 해명

        정혜윤 한국서양음악학회 2019 서양음악학 Vol.22 No.1

        이 글에서 필자는 무생물인 음악이 마치 살아있는 존재자처럼 경험되는 현상에 주목하여음악의 생명성의 존재론적 근거와 본성을 신체화된 인지주의, 특히 발제주의의 입장에서 분석한다.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에 대한 20세기 후반 이래 분석철학자들의 논의들이 음악의생명성을 설득력 있게 해명하는 데 궁극적으로 실패했다고 보고 그 이유를 이들의 공통적 토대인 고전적 인지주의에서 찾는다.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을 청자의 생명성과 무관하게 음악안에 확정되어 있는 객관적인 속성으로 간주하는 분석철학자들의 견해에 반대하고 음악의생명성을 자율적 존재자로서의 청자와 소리환경 사이의 구조적 결속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미생성의 절차 가운데 발제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이 청자의 생명성과 음악의 소리 자원들이 제공하는 어포던스들 간의 순환적이고 구성적인상호작용으로부터 창발한다고 주장한다.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콜린 트레바르텐의 ‘정동조율,’ 대니얼 스턴의 ‘생명력의 형식,’ 그리고 음악적 동시화 현상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개진된다. It is prevalent that listeners experience music as if it were alive even though music is non-sentient. In this essay, I attempt to make sense of this apparently non-sensical phenomenon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the sentience of music. In this essay, the recent arguments of analytic philosophers who discuss this phenomenon seriously are critically reviewed. I find the ultimate failure of those argument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founded on the classical cognitivism which endorses Cartesian dichotomy and the duality of mind and body. As an alternative, I adopt the embodied cognitivism and analyze the sentience of music from an enactive perspective. I argue that the sentience of music is enacted in the process of sense-making through the structural coupling of a listener as an autonomous being and the sonic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I argue that the sentience of music emerges from the circular and constitutive interaction of the sentience of listeners and the affordances which the sonic materials of music provide. My argument is posited through discussion on Colwyn Trevarthen’s ‘affective attunement,’ Daniel Stern’s ‘vitality form,’ and the phenomena of musical synchronization.

      • KCI등재

        한국어 근문과 내포문 불화의 한 종류

        김용하(Yong-Ha Kim) 현대문법학회 2021 현대문법연구 Vol.112 No.-

        In this paper, we try to deal with the mismatch between root and non-root clauses due the evidentiality marker –te- in Korean. As Kim (1981) claims, -te- plays the role of allowing the sentient to avoid his or her responsibility for the reported proposition. Whereas, as has been claimed by previous researchers, -te- is not the sentience head of the SenP. Rather, we assume that –te- is a modal affix selected by the sentience head with the retrospective feature. Thus, -te- does not directly interfere with the problematic mismatch between root and non-root clauses with respect to the person restrictions witnessed in –te- sentences. After all, our conclus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mismatch between root and non-root clauses with respect to –t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entient as an anaphor has different antecedent or controller in various syntactic contexts.

      • KCI등재

        싱어의 동물 해방론의 윤리적 쟁점

        류지한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6 No.1

        By consistently applying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o animals, Singer denounces meat-eating, factory farming, and animal experiments as speciesism and calls for the liberation of animals from such practices. And he advocates ethical veganism as one of the practical measures for animal liberation. Singer's animal ethics have been criticized for sentience criterion, welfare-centered animal ethics, and veganism. As a criterion of moral status, sentience has been criticized as broad from anthropocentrism and as narrow from biocentrism. However, on the one hand, the sentience criterion has the advantage of both including non-human animals in moral considerations and on the other hand, avoiding the complexities and conflicts involved with considering all forms of life. Singer's animal welfare theory also has been criticized for failing to respect and protect animal rights from animal rights theory, and veganism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less effective at reforming speciesist practices than demi-vegetarianism. Despite theoretical controversies, Singer's animal ethics has profoundly impacted ethical movements that reform unethical practices regarding animals. 싱어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리를 동물에게까지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육식, 공장식 축산, 동물 실험 등을 종차별주의로 고발하고, 그런 관행으로부터 동물 해방을 촉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동물 해방의 실천 방안의 하나로서 윤리적 채식주의를 옹호한다. 싱어의 동물 윤리는 유정성 기준, 복지 중심 동물 윤리, 완전 채식주의에 대해서 비판받아왔다. 도덕적 지위의 기준으로서 유정성은 인간중심주의로부터는 넓다고 비판받고, 생명중심주의로부터는 좁다고 비판받는다. 그러나 유정성 기준은 인간 아닌 동물들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에 포함하는 장점이 있고, 모든 생명을 도덕적으로 고려하는 데 따르는 복잡함과 갈등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싱어의 동물 복지론은 동물 권리론으로부터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고 보호하지 못한다고 비판받고, 완전 채식주의는 부분 채식주의보다 종차별주의적 관행을 개혁하는 데 덜 효과적이라고 비판받는다. 이론적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싱어의 동물 윤리는 동물에 관한 비윤리적 관행을 개혁하는 윤리적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