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사회·감시·사회운동 : 데이빗 라이언의 ‘감시사회론’을 중심으로

        김원동 지역사회학회 2004 지역사회학 Vol.5 No.2

        이 글의 목적은 데이빗 라이언의 감시사회론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정보사회, 감시, 사회운동 등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무엇보다도 그의 주요 논문과 저작들, 특히 『정보사회 : 쟁점과 환상』, 『전자감시사회』, 『감시사회』로 이어지는 3개 주요 저작의 원문들에 준거해 그의 핵심적 논지를 충실하게 재구성하는데 역점을 둔다. 이 과정에서 라이언이 제기하고 있는 감시사회의 주요 쟁점과 그의 핵심 논지 및 대안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라이언에 의하면, 사회변화는 기술과 사회 간의 복잡하고도 미묘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사회적 결과를 이해하고자 할 때에도 낙관론이나 비관론 중 어느 한편에설 것이 아니라 균형 잡힌 시각을 견지하고 접근해야 한다. 현대사회는 정보기술의 발달에 기초한 ‘감시사회’라는 특징을 갖는다. 네트워크화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한 ‘탈육체화된 감시’가 사회의 모든 영역으로 확산되고 일상화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시추세에 대한 도전으로서의‘역감시’도 ‘프라이버시 법’이나 ‘사회운동’ 등의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라이언이 보기에 문제는 정보기술의 발달 속도나 감시의 확산 속도, 운동의 조직성이나 지속성 등에 비추어볼 때 이러한 것들이 근본적인 역감시의 수단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라이언은 정보기술에 기반을 둔 지금의 감시체계를 ‘참여’, ‘개성’, ‘목적’이라는 개념에 기초해 참여자의 관점에서‘다시 형태가 부여된 개인’이라는 관념이 반영될 수 있도록 재구성해 보자고 제안한다. 이와 같은 라이언의 분석과 주장들은 사회운동과 프라이버시 법 간의 개념적 위상의 재설정, 감시사회에 대한 사회운동 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응 방안의 모색 등에 의해 보완된다면, 현대사회의 정보사회적·감시사회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좀더 체계적이고 유연한 분석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aper aims to deepen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ociety, surveillance and social movement through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ew of David Lyon’s view of the surveillance society. I am currently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Lyon’s main arguments in his papers and books,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 Issues and Illusions, The Electronic Eye : the rise of surveillance society, and Surveillance Society : Monitoring everyday life. According to Lyon, social change is "the result not of mere ‘technological impacts’ but of a subtle and complex interplay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Therefore, when we want to understand the social results of technological change, we should have a balanced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A feature that is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is ‘surveillance society’ on the basis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Our everyday life is now subject to monitoring and checking by many agencies including various companies and the state, which have collected personal data in our daily life spheres. At the same time, many challenges have attempted as a kind of response to surveillance, which have taken on ‘privacy law’ and ‘social movement’. They are called as‘counter-surveillance’. But, the problem is that they are not able to operate as a fundamental means of counter-surveillance compared with the speed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of the diffusion of surveillance or the duration of movement. So, Lyon argue that we need to reconstruct our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light of participants in order to reflect the concept of‘re-embodying persons’. If these Lyon’s analyses and arguments are complemented by coordination of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social movement and privacy law, and new strategies of social movements, they will be able to become more systematic and flexibl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f surveillance society.

      • KCI등재후보

        Analysis on the Possibility of Electronic Surveillance Society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age

        정충식 아이씨티플랫폼학회 2018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Vol.6 No.4

        In the smart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cial dysfunction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sue and the risk to the electronic surveillance societymay be highlighted. In this paper, we refer to various categories and classify electronicsurveillance into audio surveillance, visual surveillance, location surveillance, biometricinformation surveillance, and data surveillance. In order to respond to new electronic surveillance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t requires a change of percep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atof the past. This starts with the importance of digital privacy and results i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of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emptively respond to thedysfunctions that may aris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t is necessary to further raise theawareness of the civil society to protect information human rights.

      • KCI등재

        마가렛 애트우드의 『심장은 마지막 순간에』에 나타난 탈진실 시대의 파놉티콘

        강수진 한국아메리카학회 2022 美國學論集 Vol.54 No.2

        This paper examines the surveillance system described in Margaret Atwood’s The Heart Goes Last. Atwood portrays a near-future society confronting an economic crisis and an experimental city, Consilience. This paper notes that the surveillance systems found in Consilience have post-panoptic characteristics beyond the classical panopticon. Attempting to analyze Atwood’s panoptical society, this paper focuses on Zygmunt Bauman’s theory. Bauman explains that as modern society has liquidity, the surveillance paradigm has also penetrated society with a different tendency from previous societie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intention of the surveillance system is regarded as a social contract. Also, this paper argues that the post-truth phenomenon is a catalyst for strengthening the panopticon in modern society. In the process of repeated deception, the protagonists, who are economically and socially marginalized, easily fall into cognitive bias. It denotes that their vulnerability rationalizes to be monitored. Atwood evokes the difficulty of not being misled by the tendency to post-truth during the dynam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which is the basis of a surveillance society.

      • KCI등재후보

        감시 : 기술과 예술 사이의 비디오

        김홍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4 탈경계인문학 Vol.7 No.2

        Today we live in society of surveillance. Many CCTVs in society are a very familiar scene of contemporary cities. The reason why the theme of surveillance is interesting for us is that it is the best example showing us the ambivalent position of the video between art and technic.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clear the relation of these two different practices of video: CCTV as a technical usage of the video and video art as an aesthetic appropriation of the video. First of all, we examine surveillance as a principal technology of modern power of politics. Studying the society of discipline of Foucault and the society of control of Deleuze, we pursue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technology of surveillant power from panopticon to CCTV. What is then the strategy of a video art opposed to the incorporeal power of CCTV? Even though it uses the same technical mechanism of CCTV, video art suspends the flux of this mechanism for creating a space of critical thinking. In this context, we analyze the video works of Joan Jonas, Peter Campus, Dan Graham, and Bruce Nauman. Finally, with regar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ir works, we point out the insufficiency of the model of active and participative spectator, and propose the model of suspension and thinking for arguing that the video art is a moment to make CCTV recover its consciousness of self.

      • KCI등재

        미디어아트와 감시사회 : CCTV 푸티지 기반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정윤(Kang Jeong Yoon),고경호(Go Kyoung H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본 연구에서는 CCTV로 기록된 영상을 파운드 푸티지로 미디어아트에 활용한 5명의 작품을 ‘감시사회’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CCTV의 안전 기능과 프라이버시권의 갈등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나우먼, 클라이어, 룩스의 작품을 통해서 감시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세상이 아무리 넓어도 좁은 통로에서 살고 있는 것과 다름없으며, 개인을 감시하는 권력은 거인과 같고 감시당하는 개인은 소인처럼 위축되고, 언제 어디서나 감시의 눈길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삶을 살고 있다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었다. 쉬빙과 한경우의 작품을 통해서는 CCTV의 렌즈가 개인을 지켜보는 ‘눈’이나 다름없는데 그 ‘눈’은 감시의 눈일 수도 있고,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게 지켜주는 눈일 수도 있는 다중성의 메시지, 그리고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영상도 얼마든지 왜곡되어 중립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메시지를 바탕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CCTV의 안전 기능과 프라이버시 침해라는 갈등을 검토하고, 이러한 갈등의 해법이 될 수 있는 담론 형성에 동참하는 파운드 푸티지 작품들이 발표되기를 희망해 보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of five people who used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recorded images in media art as found footage, focusing on the “surveillance society”. Further, it reviewed the conflict between the safety function of CCTV and the right to privac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Bruce Nauman, Michael Klier, Manu Luksch, ​​are as follows. People who live in a surveillance society, no matter how vast the world is, experience life as if they were living in a narrow corridor. Moreover, the power to monitor individuals resembles a giant, and the individuals being watched are made to feel vulnerable. Finally, people are living a life devoid of choices besides being constantly aware of the eye of surveilla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Xu Bing and Han Kyung-woo, the following message can be grasped: the CCTV lens is akin to an “eye” that observes the individual. Dragonfly eyes have multiple meanings, as they can be interpreted as the eyes that monitor or protect people. Additionally, live videos can also be distorted, which hinders the confidence in their neutrality. Based on the messages from the artists, the conflicts that were occurring in CCTV’s safety functions and privacy violations were reviewed. Further, it is hoped that found footage works will join the formation of discourse and serve as a solution to these conflicts.

      • KCI등재

        Light and Shadow of Technological Fix in the COVID-19 Pandemic: Centered on “Itaewon Corona Crisis”

        강윤재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21 에피스테메 Vol.- No.26

        May 2020 marked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Itaewon Corona Crisis”.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municipalities pursued a quick and drastic response, and “the COVID-19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became the center of COVID-19 crisis governance in Korea. This has led to a debate over whether to prioritize community safety or privacy and human rights protection. This essay focuses on not only the social expansion of the surveillance system, but also the need to explore how dependent Korean society is on a ‘technological fix’ and what we gain and lose from it. Through the case of the “Itaewon Corona Crisis”, we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citizens easily accept surveillance technology in crisis and why surveillance systems are rapidly spreading in society. As for the former, concepts such as technological fix and risk perception are analyzed, and as for the latter, the role and performance of “the COVID-19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s a surveillance system are highlighted.

      • KCI등재

        중국 형사화해의 발전

        박상식 ( Park Sang-si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4

        형사화해는 고대사회부터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고대사회의 관습규범 중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형사법과 민사법의 일체화라는 현상이 있었고, 그 내용 중의 하나가 속죄금제도 같은 것으로 표현되었다. 형사화해의 재출현은 역사의 윤회인 것 같지만 해당 이념은 이미 완전히 달라졌다. 현대 형사화해제도는 현대화 과정의 추진에서 실현하게 되었다. 범죄학의 진보, 감옥의 개혁, 그리고 자유주의의 발전은 어느 정도 형사화해제도의 재출현을 초래하였다. 형사화해제도는 세계 각국에서 빠르게 발전하였고, 이것은 사회와 국민의 안전수요와 분리할 수 없었다. 감시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형사화해제도가 필요하였고 동시에 ‘사적화해’라는 규범을 통해 국가는 사회를 더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형사화해의 부활은 역사의 윤회가 아니라 형벌의 발전을 통한 새로운 시대로 볼 수 있다. 형사화해의 철학적 기초는 인도주의, 실체법적 기초는 형사정책의 역사적 발전, 절차법적 기초는 당사자 간의 합의, 범죄학적 기초는 피해자 운동의 확산, 사회적 기초는 참여와 민주 정신에서 보통 찾는다. 중국은 2000년 초반부터 회복적 사법(이 논의 되었고, 당시 중국 형사법학계에서 가장 주목받은 이슈가 바로 형사화해였다. 또한 중국은 2012년 중국형사소송법(제277조-제279조)을 개정하여 “범죄피의자, 피고인이 진심으로 죄를 뉘우치고 피해자와 화해를 하면, 수사기관은 불기소 또는 법원에 관대한 처벌을 요구할 수 있고, 법원은 이러한 요구를 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사소송법의 개정 이후 중국에서는 형사화해를 통한 검사의 불기소 또는 형사처벌을 면제하는 법원의 판결이 증가하고 있다. The criminal reconciliation has already existed from ancient society. There was a unification phenomenon of criminal law and civil law which commonly existed in conventional norm of ancient society and one of such contents was expressed as the weregild. Reappearance of criminal reconciliation seems to be metempsychosis of history, but relevant ideology became completely different already. Modern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was realized in promotion of modernization process. The progress of criminology, the reform of prison, and the development of liberalism brought about the reappearance of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has developed rapidly in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and this could not separate safety demands of society from the safety demands of people.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was necessary to maintain and develop the surveillance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the nation was able to control society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personal reconciliation' norm. Actually, revival of criminal reconciliation can be seen as a new era through development of punishment, not as the metempsychosis of history. The philosophical basis of criminal reconciliation is commonly found in humanitarian; the substantive legal basis i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riminal policy; the procedural basis is in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the criminal basis is in the proliferation of the victim movement; and, the social basis is usually found in the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spirit. Restorative justice has been discussed in China since early 2000 and at that time, the most highlighted issue in the Chinese criminal law area was the very criminal reconciliation. And, the Chinese Criminal Procedure Act (Articles 277 - 279) was revised in 2012 and if the criminal suspects or the accused sincerely repent their crime and reconcile with the victim, the investigating authority may demand non-prosecution or may ask the court for leniency, and the court can follow this request. Since the revision of the Chinese Criminal Procedure Act, non-prosecution of prosecutor or court's decision to exempt criminal punishment through criminal reconciliation is increasing in China.

      • KCI등재

        한국 국가의 사회탐지 제도화, 1945~2016

        황한찬,정용덕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4 行政論叢 Vol.62 No.2

        국가의 사회탐지는 사회 부문과 구성원들의 실태에 대한 정책정보를 창출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국가가 합리적으로 정책을 기획하고 집행하는데 필수적인 정책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대국가의 ‘하부구조권력’을 구성한다. 이 논문에서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진 해방 이후 지난 71년 동안에 전개된 국가의 사회탐지 제도화와 변화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 정리된 3,496개의 국가 활동 중 1,033개의 사회탐지 활동을 추출하여 이를 시계열 자료로 변환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국가의 사회탐지 활동의 변화와 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적 분기점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국가의 사회탐지 활동은 전체 수에서 그리고 4대 국가기능(즉, 체제유지, 경제발전, 사회통합, 그리고 집정) 별로 모두 계속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더 나아가 입법화에 의한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경향이 있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특히 1960년대에 그리고 1990년대 초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에 국가의 전체 및 기능별 사회탐지 활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단절적 균형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해방 이후 이 나라가 성취한 국가형성, 산업화, 민주화, 전지구화 등과는 상관없이 국가의 하부구조권력이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state’s detection of society can be defined as activities aimed at securing policy information for rationa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ereby constituting the ‘infrastructural power’ of the modern state. This article presen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evolution of state detection in Korea over the 71 years following its liberation in 1945. From the 3,496 state activities listed on the National Archives website, 1,033 state detection activities were extracted and converted into time-series data. This data was then analyzed for structural breaks to identify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state’s detection of society. The analysis revealed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detection activities, categorized into four major state functions: system maintenance, economic development, social integration, and executive function. The study also found a tendency for these activities to persist long-term, supported by legal frameworks. In particular, significant increases in overall and functional state’s detection activities were observed during the 1960s and from the early to mid-1990s to the mid-2000s, indicating periods of punctuated equilibrium. As a whole, the findings demonstrate a continuous enhancement of the infrastructural power of the Korean state regardless of the state-building, industri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country has achieved since its libe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드론의 프라이버시권 침해에 대한 헌법적 검토

        류성진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7 法學論集 Vol.21 No.4

        Drones are currently us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drone parcel services, drone journalism, and drone surveillance in public areas, such as traffic monitoring and crime prevention. However, drone use increases the chances of infringement on privacy rights. This article reviews conflicts between drone journalism and privacy rights, restriction of privacy rights by drone use in public, and the constitutionality of such privacy infringement. First, freedom of the press generally gets more protection than privacy rights, even though news reporting shares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a free press contributes to people’s right to know and to maintaining a democratic society. However, because of drone journalism, this should be changed slightly because drones allow journalists to get materials, including photos and information, without the subjects’ consent. Furthermore, drones make news reporting easier than it used to be, so journalists should have more duty of care about privacy rights. Second, using drones in public could restrict privacy rights. Privacy rights can legally be restric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laws when their restriction has justification of purpose, appropriateness of measure, minimal restriction, balance of legal interest, and the so-called principle of no excess prohibition. However, if drones are used for researching the traffic environment, for preventing crime, or for some other purpose in the public sphere, they could violate the above principles because drones collect unspecific people’s information and may accidentally record secrets or private events, and the government could then control this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like the surveillance society. Moreover, public interest should not always prevail over personal interests, including privacy rights, because people could suffer greatly when their private information is spilled or controlled by government and not by themselves. Thus, this practice seems lik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no-excess prohibition if strict legislative support is not provided after a careful constitutional review on these issues. 오늘날 드론은 우리 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물품운송을 비롯한 상업분야와 재난현장 등에서 취재 및 보도에서 드론을 이용하는 이른바 드론 저널리즘 분야 뿐 아니라 교통환경조사, 범죄의 예방 및 조사와 같은 공적인 분야에서도 드론의 활용도는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니 발생하게 되는 프라이버시권과의 침해문제에 대한 법적인 대비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상용화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권의 침해 유형을 나누어 보고, 헌법의 해석과 이론적 측면에서 드론저널리즘의 경우에는 프라이버시권과의 충돌문제로서, 공적영역에서의 드론 사용과정에서의 프라이버시권 침해문제는 기본권 제한의 문제로서 각각 검토한다. 먼저 드론저널리즘과 관련하여 취재・보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권이 충돌했을 때, 국민의 알권리에 복무하는 언론의 자유와 기능을 고려해서 프라이버시권보다 대체적으로 우위에 두고 있는 현재의 경향이 드론저널리즘의 경우에는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드론저널리즘의 도입과 확대로 인해 취재의 과정이 보다 용이해지고 고성능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이 수집하는 개인정보들은 기존보다 훨씬 더 민감하고 광범위하며 더군다나 대상이 되는 개인의 인지여부나 동의여부도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언론 기관이 의도하였든 그렇지 않든, 불필요하거나 불확실하거나 또 불특정 다수의 정보를 수집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 환경이 조성되었다면, 그에 걸맞게 주의의무도 그만큼 높게 부여되어져야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취재 역량의 강화는 취재 대상의 프라이버시권의 위축 내지 침해로 연결될 수 있고, 취재의 자유가 더 주어진 만큼 취재과정에서의 의무도 더 주어져야 한다. 드론이 공적인 영역에서 활용되는 경우에도 범죄의 예방이나 공공의 질서유지와 같이 추구하는 목적이 정당하고, 수단 역시 적절하다고 판단될 수는 있으나, 그 목적 의 정당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게 되면, 프라이버시권 제한에 대한 국민의 수인을 강요하는 것이 될 수 있고 나아가 국가감시사회로의 전환이라는 위험성에 대한 국민의 인지정도가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드론이 공적인 영역에서 활용되는 과정에서 프라이버시권이 제한될 수는 있겠지만, 우리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과잉금지의 원칙과 본질적 침해 금지의 원칙을 항상 넘어설 수 있는가에 대해서 는 보다 강화된 엄격심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행 법제가 드론과 같은 이동형 영상정보 저장장치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당장에 법률로써만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반될 뿐 아니라, 설령 입법이 갖추어 진다고 해도, 드론에 의해 수집되고 관리되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영역에 대한 정보들은 그 특성상 프라이버시권의 내밀한 본질에 해당되는 부분이기도 하거니와 드론 운용의 목적에서 벗어나는 대상들의 정보들까지 수집・관리하게 됨으로써 제한의 최소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고, 수집된 정보의 파생적 이용이나 유출로 인한 피해의 위험성을 생각해 보면, 공적인 이익의 양이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의 제한의 양보다 항상 크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 든다. 따라서 이러한 헌법적 문제점들에 대한 세심한 검토의 바탕이 있어야지만, 향후 관련 입법과정에서 위헌적 요소가 제거될 수 있고, 드론이 우리에게 가져다 줄 이익을 두려움 없이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