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조혜영,오세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충청도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281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검증으로 차이를 분석하였고,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학습역량의 현재 수준인의사소통과 중요도의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이다.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의사소통, 비판적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비판적사고로 나타나 교육 우선순위에서 공통된 하위요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판적사고는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2순위로 나타나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비판적사고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셋째, AI 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 창의성이며,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창의성, 비판적사고로 나타났으며,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공통적인 요인이 창의성으로 나타나 이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AI 교육 유무에 따른 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I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exposure to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AI education. Methods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281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do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Excel program.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through IP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Based on the main results, First,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I education, and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exceptcommunication, which isthe current level of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shows that critical thinking is a key area of foc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impor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orich needs analysis,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HH zone, manifested as critical thinking. While no common sub-factors appeared in education priorities, critical thinking emerged as the second-highest priority i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This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may need support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in AI education are as follow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focus a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s that the first quadrant, HH, repres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common factor with Borich's needs analysis is creativity. Therefore, ways to support them should be prioritiz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support f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whether AI education is present or abs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 KCI등재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조대연(Cho, Dae-Ye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요구분석은 HRD 프로세스의 첫 단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올바른 요구분석을 실천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며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노력은 더욱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고찰하고 이들의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과정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과정으로 t 검정,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t 검정을 통해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 항목과 개수를 확인하여 그 개수 만큼 최종적으로 Borich 요구도 순위와 중복된 항목을 최우선 순위군으로 결정한다. 또한 한쪽에만 나타난 항목들은 차순위군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결정을 위해 3가지 기법을 통해 5가지 과정을 활용한다면 요구분석 결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이해관계자와 의사결정자에게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Need analysis is the first step in the HRD process. Nevertheless, few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rue gaps between 'what is' and 'what should be.' Rather, there has been limited to use some appropriate methods of prioritizing needs. This study proposed a more systematic procedure to set priority of needs based upon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at are popularly used when data are collected with a survey. In particular, the proposed procedure is a way to minimize the weaknesses,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strengths of these methods. The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screening the tendency of needs(=gaps) through t-test, (2) prioritizing needs by using Borich's educational need equation, (3) identifying needs and its numbers fell into the HH sector of a scatter diagram, (4) double checking the rank orders of Borich's eq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eds fell into the HH sector, and (5) identify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if needs are appeared as highly ranked on both methods and the second priority with needs that are shown as highly ranked on only one method. Finally the simulations supported this systematic procedure. some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요구분석 기반 산업체 기초직무역량 비교 분석 : 대학의 계열별 진출 산업체를 중심으로

        김대중(Kim, Daejoo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비록 기초직무역량이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주어진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어 공통으로 요구되는 역량이지만, 모든 기초직무역량이 산업체별 또는 업종별로 동일 가중치로 적용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초직무역량이 대학의 계열별 연관 산업체에서 그 우선순위가 실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수행을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14개의 기초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의 계열별 연관 대표 산업체 총 174개를 대상으로 14개의 기초직무역량의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3가지 요구도 우선순위 기법인 중요도 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기법, 그리고 IPA 기반 요구도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계열별 연관 산업체에서 상대적 중요성이 있는 기초직무역량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계열을 떠나 모든 산업체에서 인성과 책임감이 기초직무역량으로서 우선하여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셋째 당장 집중투자가 돼야 할 기초직무역량은 계열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공학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의 경우 문제해결능력과 전공실무능력(전문성), 사회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책임감, 협동능력 그리고 창의력, 인문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책임감, 문제해결능력, 협동능력 그리고 창의력, 예체능 계열 연관 산업체에서는 도전정신과 문제해결능력이 집중투자 요구 기초직무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계열별 연관 산업체의 기초직무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요구분석 결과는 먼저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축, 점검 또는 개선을 모색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산업체 관점에서는 산업체 종사자의 기초직무역량 결핍 정도 진단, 인재채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등과 같은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meaning of basic job competencies refers to the competencies that are commonly required to successfully perform jobs in most occupations regardless of job type or position, it will not be applied with the same weight for each industry.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exploratory conducted on how the priority of basic job competencies actually appeared in related industries for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To conduct this study, 14 basic job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 The needs priority for 14 basic job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a total of 174 representative industries related to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priority, the three priority techniques--importance analysis,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IPA-based needs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 main analysis results, first, basic job competencies were different by industries related to each academic field of the university. Second, in all industries tenacity and responsibility ar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mportant as basic job competencie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basic job competencies that should be invested immediately are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field,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science and engineering related industries,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ve ability in social science related industries, responsi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humanities related industries, and the spirit of challen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arts and sports related industries. The result of needs priority analysis for basic job competencies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establishing, inspecting, or improving the university s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xt,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diagnosing the degree of lack of basic job competency of workers, hiring talent people, and developing and improv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요구분석을 이용한 골프장 이용객들의 골프장 선택 요인 우선순위 분석

        정경회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골프장 이용객들이 느끼는 골프장 선택 시 선택 요인에 대한 우선 순위의 중요도(필요수준)와 만족도(현재수준) 간 차이를 파악하고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중요도의 우선 순위를 분석함으로써 골프장 경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골프장 이용 경험이 있는 골프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골프장 이용객들을 표본으로 하였다.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179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Ver. 24.0과 Microsoft Office Excel 201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골프장 이용자의 중요도(필요수준)와 만족도(현재수준)에 관한 Borich 요구도 값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 결과 그린피, 식음료가격, 카트 이용료, 경기진행 등이 골프장 선택의 매력요인 우선 순위로 나타났 다. 둘째, 골프장 이용객들이 중요 시 여기는 차선 요인 중에는 그린관리, 경기진행, 티업시간 준수 등으로 나타났다. 최종 적으로 이 두 가지 분석에서 중복된 요인인 그린피와 카트 이용료가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차 순위로는 Borich 요구도 값의 우선순위인 그린관리, 식음료가격,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제 1사분면 값인 락카 및 사우나, 코스 우수성이 해당 되었다. The goal is to provide basic data on golf course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riority (need level) and satisfaction (current level) of choice factors and analyzing the top priority and difference rankings of importance.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golf course users with experience in using the golf course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The survey was based on a sample of golf course users living in Jeollabuk-do.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200 people and the final 179 were analyzed. Statistical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SPSS Win Ver.24.0 and Microsoft Office Excel 2016.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Borich’s demand value on the importance (need level) and satisfaction (current level) of golf course user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showed that green blood, food and beverage prices, cart fees, and game progress were the top priorities. Second, among the lane factors that golf course users consider important were green management, game progress, and compliance with tee-up time. Finally, in these two analyses, overlapping factors such as green blood and cart usage fees were analyzed as the top priority. The rankings included green management, food and beverage prices, the first quadrant value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course excellence.

      • KCI등재

        경찰의 치안드론 역량함양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김덕영,노성훈,최문영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4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과 국민의 요구에 따라 현 정부가 선정한 69번의 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물인터넷 등 스마트 기술과 로봇 드론을 활용한 국민의 재산과 안전관리로, 이에 발맞추어 경찰청은 과학 치안 구현을 통한 선도적인 미래치안을 대비하기 위한 첨단장비(드론 등)와 전문인력 양성을 주요 전략과제로 선정하였다. 법적 규제 완화와 더불어 실종자 수색, 교통 및 인파 관리, 마약 단속 등 영상분석을 통한 과학수사, 경비, 대테러 작전 수행 등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치안서비스 현장의 영역이 크게 확대되어 치안분야의 적극적 드론 활용을 위한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안 분야 드론 활용에 최적화된 현장 중심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으로 치안드론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심층적 요구분석이 선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활용 직무 역량을 강화하여 다양한 치안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치안 드론전문가를 목표로 하는 경찰관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도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교수 요목을 설계하거나 교수 방법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IPA분석과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병행하여 도출된 결과, 최우선 개발 역량은 ‘맵핑활용 능력’(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영역, ‘드론 비행술’(회전 후 전진 비행, Atti 수동비행), ‘현장 대응능력’(문제해결 능력), ‘경찰 드론 인터페이스 활용 능력’(GCS 세팅 값 설정, 미션플래너), ‘비상시 대처 요령’(비상시 드론 조종술 포함)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찰관의 현업적용도 향상을 중심으로 한 드론전문가 교육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드론에 대한 기초지식과 조종 경험이 있는 드론 인력풀을 대상으로 치안 현장에서 요구되는 드론 활용 방법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의미와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교육시스템 구축 및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학습자 눈높이 맞춤형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드론 교육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69th task selec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according to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 and the demands of the people is the management of public property and safety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and robotic dron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line with,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selected advanced equipment (drones, etc.) and the cultivation of specialized personnel as major strategic tasks to prepare for leading future secur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cientific policing. With the relaxation of legal regulations, the scope of areas in the security services where drones can be utilized has significantly expanded, such as searching for missing persons, managing traffic and crowds, scientific investigations through video analysis, security operations, drug interdiction, and conducting counter-terrorism operation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training of experts who can actively and effectively use drones in the field of security. In this study, an in-depth needs analysis of learners was conducted a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a field-centered, customized training program optimized for the use of drones in the field of security. Through this, the goal is to establish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structur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police learners who want enhance practical job competency in drone utilization. The analysis combine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Borich's educational need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priority competencies include “Mapping Utilization skills (various program operations),” “Drone Piloting Skills (rotational and forward flight, Atti manual flight),” “Improvement of On-site Response Skills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 case assignments),” “Police Drone Interface Usage Skills (GCS setting values, mission planning),” and “Emergency Handling Procedures (including drone piloting skills during emergencies).” for the training of experts in active drone usage in the field of security.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meaning and value in terms of propos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drone experts centered around improv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olice officers. It focuses on a pool of drone personnel with basic knowledge of drones and piloting experience, aiming to target the utilization methods of drones demanded in the security field and provide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urse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and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er needs and to become the cornerstone of drone education research that can implement customized education at the learner's perspectives.

      • KCI등재

        저출산 대응정책의 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MZ세대 인식을 중심으로

        박미경(Mi Kyung Park) 경인행정학회 2022 한국정책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MZ세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요구도를 규명하고, 정책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MZ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정책요구도 분석을 통해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요구도 및 정책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특히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정책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IPA, Borich의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방법론적 다각화를 시도하였다. MZ세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정책요구도 분석결과, IPA는 자녀 양육 지원, 무주택 신혼부부 대상 전세 또는 주택 구입 자금 대출지원, 신혼부부 맞춤형 임대주택 및 행복주택 공급 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정책으로 나타났으며, 출산 지원과 일・가정 양립 지원은 우선적으로 추진이 요구되는 정책으로 도출되었다. 반면 Borich의 요구도 분석에서는 MZ세대의 경우 저출산 대응정책 중 자녀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출산 지원(2순위), 일・가정 양립 지원(3순위)로 나타났다. Borich의 요구도 분석결과를 토대로 최우선 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결과 저출산 대응정책 중 최우선 순위는 자녀양육 지원(1순위), 출산 지원(2순위), 일・가정 양립 지원(3순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MZ세대의 저출산 대응정책 방향에 관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of needs for policies to cope with low fertility of MZ generation and to analyze priority.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to MZ generation who were living in Gyeonggi-do. This study attempted an integrated approach using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for needs assessment of policies to cope with low fertility.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childcare, housing lease loan for newlyweds, and supply of public housing need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In addition, birth and work-life balance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first. The results of Borich’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showed that childcare policy is a top priority for them. The birth and work-life balance support polices were analyzed in the second and third rank.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design the policies to cope with low fertility of MZ generation.

      • 결혼의향이 높은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요구도 우선순위 분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활용

        이가은(Gaeun Lee),김서영(Suh You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의향이 높은 서울시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방식 선호도를 분석하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는 5단계 요구우선순위 결정방안을 토대로 예비부부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 및 우선순위를 밝히는 것이다. 현재의 교제 상대와 결혼의향이 높은 서울시 미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운영방식 선호도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제에 대한 요구 및 우선순위는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후, Borich 요구도 분석방법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상위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교육주제를 도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방식은 단회기, 회기 당 1시간, 주말 오후 및 오전 시간,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예비부부교육 주제는 ‘부모됨’과 ‘재무관리’가 중복적으로 상위 우선순위로 도출되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주제였다. 본 연구는 결혼의향이 높은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요구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예비부부교육의 개발 및 보완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implementation method preferences for premarital education programs and to identify the needs and priorities among education content utilizing the 5-step procedure of systematic needs analysis. The data came from 500 unmarried individuals living in Seoul, who have high intentions to marry their current partner. To analyze the needs and priorities of seven premarital themes, we used paired sample t-tests,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participants preferred when premarital education is a single session, lasts for an hour, holds on weekend afternoons or mornings, and uses virtual synchronous platforms. Among seven themes, paren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were the top prioriti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premarital education programming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needs and priorities of individuals with high marital intentions.

      • KCI등재

        IPA기법을 활용한 요양보호사 교육요구도 분석

        이금숙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 교육을 통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교육내용에 대하여 중 요도-수행도(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요양보호사 19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T검정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통한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좌표평면 결과를 제시한 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에 속한 항목 개수 확인 및 그 개수 만큼 Borich 요구도 상위 순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Borich의 요구도 공식의 상위순위항목들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 면 항목들 간 중복성 확인을 통해 최우선 순위군과 차순위군을 결정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우선 순위군에 포함된 직무교육은 ‘욕창관리와 낙상관리’이고 차순위 역량군으로 ‘노인의 인권’, ‘노인학 대’, ‘경청과 의사소통’, ‘식사준비와 영양관리’, ‘식품 및 식기 등의 위생관리’, ‘쾌적한 거주 환경유지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요구를 반영한 요양보호사 교육이 필요하며 이는 긍극적으로 요양서비스의 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training of caregivers throug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to gain caregivers' expertise. To do research,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bout job training for 190 caregivers, First, T-test was shown to compare the difference the desired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lso,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gives the priority of them. Third. results were presented through the coordinate plane. In addition, it needs to check the number of items belonging to the HH division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Borich top ranks. Finally, the redundancy check was performed between the top priority items of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items in the HH division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n,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next lowest priority group were deter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st priority belonging to job training is 'Bedsore management' and 'Fall Management', And then, the next lowest priority is 'human rights of the elderly', 'Abuse for the elderly', 'Listening and communicat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Nutrition management', 'Hygiene management of food and tableware', and ' Pleasant living environment management'. For caregivers. job training including these contents should be improved. Afterwards, these things can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ervice.

      • KCI등재

        요인분석을 이용한 상업 스포츠클럽 이용자들의 선택속성 분석

        정경회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상업 스포츠클럽 이용자들이 스포츠클럽 선택 시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선택 후 이용에 따른 만족도는 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상업 스포츠클럽 경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위해 200 명의 모집단을 선정하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최종 189 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Ver 24.0과 Microsoft Office Excel 201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업스포츠클럽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 결과 제 1사분면에 조명 환기시설, 회원 불편 해결, 시설 및 인테리어, 신속, 편리한 서비스, 서비스, 지도자-학부모 소통, 이용료의 적정성, 전문적인 시설 및 환경 등이 중요하나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 2사분면에는 다양한 이벤트 행사, 프로그램별 강습료가 나타났 다. 상업스포츠클럽 이용자들이 시설, 서비스, 소통, 이용료 등 많은 부문에서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상업스포 츠클럽 운영자들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mercial sports club management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what factors commercial sports club users consider first and important when choosing sports club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use after selection. For the research question, a population of 200 was selected and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The final 189 copi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Ver 24.0 and Microsoft Office Excel 201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Borich's deman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 sports club users, the first quadrant was lighting and ventilation facilities, solving member inconvenience, facilities and interior, prompt and convenient service,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leaders and parents, appropriateness of fees, profess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important, but unsatisfactory. Second, in the second quadrant, various events and training fees for each program appeared. Commercial sports club users are dissatisfied in many areas such as facilities, services, communication, and usage fees, so it is judged that commercial sports club operato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 KCI등재

        요구분석을 통한 소상공인 인사•노무 교육 및 컨설팅 지원방안 연구

        김성환,김민창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4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needs for labor edu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based on 166 survey response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small business owners who are direct consumers of policie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d Needs and priorities for each labor management items. For each of the 10 labor management items analyzed by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importance perceived by small business owners and the achievement they are actually acquir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o deriving the priorities of education and consulting needs using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for 'employment contract' and 'wage and severance pay' items were the most urgent.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bor edu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future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priority of ‘employment contract’ and "wage and severance pay" items, which are high need and have a larg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current achievement level. Second, education and consulting should focus on detailed and specific ca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various types of online and mobile channels such as YouTube and SNS.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preparing successful labor edu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plans for small business. 본 연구는 정책의 직접 수요자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사‧노무 교육 및 컨설팅 지원에 대한 요구(Needs)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사‧노무 항목별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t-검정 결과, 본 연구가 분석한 10개의 각 인사‧노무 항목별로 소상공인이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와 그들이 실제 습득하고 있는 성취도 간에는 현격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Borich 요구도 도출 결과, ‘근로계약 체결’, ‘채용’, ‘임금과 퇴직금’, ‘직원 직무향상’ 항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 매트리스를 도출한 결과에서는 ‘근로계약 체결’과 ‘임금 및 퇴직금’ 항목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지원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사‧노무 교육 및 컨설팅 지원은 요구도 수준이 높고 중요도와 현재 수준 간의 차이가 큰 ‘근로계약 체결’ 및 ‘임금과 퇴직금’ 항목을 최우선으로 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및 컨설팅의 내용은 노동관계법 조문 및 처벌 규정 등에 대한 안내보다 소상공인이 경영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근로계약서 작성 방법, 휴일 수당 등의 추가 사항 기재 방법, 4대 보험 신고 처리 방법, 근로자 채용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처방안 등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임금 및 퇴직금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와 같은 비상 상황 시 경영상 불가피한 근로시간 감축 및 임금 삭감의 적법성 여부, 급여 계산 및 급여명세서 작성 방법, 근로계약 종료 시 정산, 임금 혹은 퇴직금 지급과 관련한 위반 사례 등 경험적이고 실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외 소상공인의 사업장 특성을 감안하여 집합 교육보다는 유튜브, SNS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및 모바일 채널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시사점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공적인 인사‧노무 교육 및 컨설팅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