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과 바이오 융합기술에서 새로운 인권의 형성

        엄주희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4

        정보통신기술은 기계와 기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사람들 간의 정보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넘어서 기계와 사람 간 커뮤니케이션, 즉 인체 속에 삽입된 커뮤니케이션 기기를 통한 인간과 기계의 융합이 가능하게 한다. 본고는 정보통신기술이 인간의 신체와 기계와의 융합을 가능케 하면서 촉발되는 인간 향상이라는 개념과 거기에서 출발하는 인권적 함의를 탐색한다. 인간 향상의 개념은 성형수술, 성장호르몬, 유전자 편집 등의 생화학적 기술, 생물학적 기술로서 인간이 타고난 수행력과 능력을 증강하고 개선하는 것으로부터 윤리적인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뇌 임플란트, 뇌 심부자극술(DBS), 경두개 뇌 자극술(TMS, tDCS),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등의 신경과학기술의 발전은 신경 향상이라고 칭해지는 뇌의 개입․인지적 향상이 가능해짐에 따라서 윤리적, 사회적, 법적 차원의 광범위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국가 차원에서 인간 향상에 대해서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영국, 미국, 프랑스, 싱가포르에서 생명 과학 및 윤리・규범 부문에서 국가의 정책을 자문을 하는 국가 위원회가 바라보는 인간 향상에 관한 공식 의견들을 검토한다. 인간 향상이라는 개념이 법적 개념으로 정립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입법적으로 규율을 한다면, 우선적으로 기본적 인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와, 기본권과의 관련서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각국의 국가 위원회에서 다룬 인간 향상과, 그 중에 신경향상에 대한 개념과 윤리적 논쟁 범위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인간 향상에 대한 법적 규율의 방향과 시사점을 전망하고, 정보통신기술에 힘입어 향상된 인간의 인권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인간 향상 기술이 적용된 실례이자, 구체적으로 제기되는 이슈로서, 뇌 신경 신호 정보를 읽어 들임으로써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Conputer Interface)와 관련된 인권적 함의에 대해서 살펴본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인간 행위의 자율성과 책임의 문제, 불법적 침해로부터의 보호의 문제, 진술거부권과 자기부죄거부특권의 문제, 프라이버시권에서의 인권적 쟁점을 가지고 있다. 신경 향상, 인간 향상 기술은 인지적 자유에 대한 권리, 정신적 프라이버시의 권리, 정신적 완전성의 권리, 심리적 연속성의 권리라는 기존의 인권의 영역에서 보호하지 못했던 새로운 인권으로 보호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칠레에서는 뇌의 활동과 뇌 데이터를 보호하는 내용이 2021년 헌법상 기본권으로 명시됨으로써 신경 향상으로 새로워질 인류가 지배할 미래를 대비하여 마음의 영역을 보호하는 법제를 구축하는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oes beyond facilita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through machines communication,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s and humans, that is, convergence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rough communication device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human enhancement trigger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ing the convergence of the human body and machines, from which the implication of human rights derives. The ethical discussions over the concept of human enhancement derives from biochemical techn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such as plastic surgery, growth hormone, and gene editing. Ethical discussions have begun from augmenting and improving the innate performance and ability of humans, but Advances in neuroscience and neurotechnology, such as brain implants, deep brain stimulation (DBS), transcranial brain stimulation(TMS, tDCS) and brain-computer interface (BCI), have enabled brain intervention and cognitive enhancement, called neuro-enhancement, to lead to a wide range of ethical, social, and legal issues. To examine the views and approaches to human enhancement at the national level, the official opinion on human enhancement is reviewed where national committees have advised national policy in the life sciences, ethics and law in the UK, USA, France and Singapore. Since the concept of “human enhancement” is not established as a legal concept, if it is to be legally regulated, it is first necessary to explore how it affects human rights and whether it is related to constitutional right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human enhancement, which has been dealt with by national committees of each country, and the scope of ethical debate among them,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regulation for human enhancement are prospected, and human rights improved owing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eviewed. It is reviewed about the human rights implications of Brain-Computer Interface(BCI) which is an example of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and a technology that enables external devices to be controlled and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reading nerve signal data from brain. The brain-computer interface has issues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human actions, issues of protection from illegal infringement, issues of the right to refuse to make statements and privileges to deny self-incrimination, and human rights issues in the right to privacy. Neuro-enhancement or human enhancement technologies raise the need to be protected as new human rights that have not been protected in the existing human rights areas, such as the right to cognitive freedom, the right to mental privacy, the right to mental integrity, and the right to psychological continuity. In Chile, the content of protecting brain activity and brain data is specified as a fundamental right in the 2021 constitutional amendment, showing an example of building a legal system to protect the realm of the mind in preparation for a future dominated by mankind, which will be renewed by neuro enhancement.

      • KCI등재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이재숭(Lee, Jae Soong)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기술은 늘 인간 자신과 인간 삶의 형식에 거대한 전환을 야기했다. 기술에 대한 인간의 태도는 늘 양가적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에 경이로워하며 환영하는 반면, 또 어떤 사람들은 기술의 발달이 초래할 인간 자신과 삶의 형식의 변화를 경계해온 것이 사실이다. 인간 향상 기술을 바라보는 시선들도 이와 다르지 않다. 특히 현대의 첨단 과학기술과 생명공학, 인지과학, 정보통신기술의 결합에 의한 인간 향상 기술은 소위 ‘트랜스휴먼’과 ‘포스트휴먼’이라 불리는 새로운 인간형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인간 향상은 이제 인간의 근본적 본성과 지위에 관한 철학적 · 윤리적 담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간 향상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관해 살피고, 이를 통해 트랜스휴먼, 포스트휴먼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를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향상 기술에 의한 이러한 새로운 인간형의 등장은 현생인류의 존엄성과 도덕적 지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주장하는 생명보수주의자들의 논증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 인간 향상이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향상된 인간의 경계는 점차 약화될 것이며 오히려 이러한 변화는 우리가 직면해 있는 여러 위기적 상황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echnology has always led to a huge shift in human being and human"s forms of life. Human attitudes toward technology have always been ambivalent. While some people are wondering and welcoming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others have also warned of changes in the way in which humans themselves and the way of life are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eyes that look at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are no different. Especially,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by combination of modern high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cognitive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edicts the emergence of a new humanoid type called "transhuman" and "posthuman". Human enhancement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now raises the need for philosophical and ethical discourse on the fundamental nature and status of human being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what the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is, and try to clarify the concept of trans human and post human. And I review the validity of the arguments of the bio-conservatists who argue that the emergence of this new type of humanity through the enhancement technology can be a threat to the dignity and moral status of human beings. Then, I argue that human enhancement is not a threat to human dignity, but that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enhanced humans will gradually weaken, and that this change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many current crisis situations we face.

      • KCI등재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김동창 ( Kim Dong-ch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인간유전체연구를 통해 유전자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21세기 생명공학기술은 인간 유전자의 결함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태아의 유전자 검사는 물론 착상전 배아의 유전자 이상 유무를 진단하여 유전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전자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간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유전자 수준의 인위적인 개입을 통한 인간 향상은 20세기 후반 생명윤리의 쟁점이 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여러 국가들은 예상되는 유전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치료 차원의 유전적 개입만을 허용하는 수준에서 잠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신경과학의 발달은 신경계 수준의 개입을 통한 향상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다시 인간 향상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리탈린, 프로작, 모다피닐과 같은 신경약물이 정상인의 인지, 정서 기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신경 약물을 통한 인간 향상의 문제가 새로운 윤리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생명공학, 신경과학의 방법을 통한 인간의 향상의 의미와 윤리적 쟁점을 규명하고, 도덕교육의 차원에서 이러한 인간 향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다룰 것인지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As the genetic secre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studies on human genome, bio-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has reached a level to be able to diagnose and treat defects of human genes. It can in advance check genetic diseases by diagnosing fetal gene abnormality before implantation as well as its genetic testing. Furthermore, human enhancement through artificial intervention of the gene level also became an issue of bioethics in the late 21st century as studies on correlations between genes an huma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have continued to be accumulated. Severa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 have agreed on just allowing genetic intervention of the treatment level that keeping people`s health from expected genetic diseas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has again caused issues of human enhancement as it has recently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intervention of the nervous system level. A matter of human enhancement through neurological treatment drugs such as Ritalin, Prozac, Modafinil has emerged as a new ethical issue as they turned out to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of normal persons.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recent studies on moral neuroscience have determined that human moral judgement relates with nervous systems related to emotion. And these have developed into the argument that neurological treatment drugs can improve morality. The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and their ethical issues through bio-technology and neuroscience methods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revealed and discussions on understanding and treating human enhancement at the moral education level are needed.

      • KCI등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6

        오늘날 인간 향상 문제와 관련하여 생명보수주의(bioconservativism)는 가상적인 포스트휴먼 비전을 추구함에 있어서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존엄성을 경시하거나 침해하는 것을 심각하게 우려한다. 생명보수주의는 초인본주의(transhumanism)가 내세우는 인간의 기술적 변환은 결국 비인간화를 초래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할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인간 향상에 관한 생명보수주의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해 보수주의의 역사적 전개 및 생명보수주의로의 정착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가 취하고 있는 주된 근거인 인간 본성에의 호소 논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가 취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생명보수주의자들이 도덕적 직관에 안주한 채 향상 논쟁 자체를 거부하거나 혹은 자신들의 도덕적 직관을 대중들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데 태만하다면, 정책의 변화가 크게 없는 한 융합기술 옹호자들이나 초인본주의자들이 향상 논쟁에서 기권승을 거둘게 될 것이 분명하다. 생명보수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직관이 가진 권위의 손상이 부수적으로 발생한다고 할지라도, 자신들의 직관을 자유롭고 공개적인 아이디어의 시장에 내놓고 공적 담론과 토론을 통해 그 정당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Boiconservatism as a position in the ethical debate on human enhancement takes two main claims. One is a moral claim that human enhancement may disregard or violate something intrinsically valuable about human nature. The other is a political claim that human enhancement should be banned or severely restricted.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a critical appraisal of bioconservatism. For this aim, I introduced a brief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ervative tradition and showed major characteristics of boiconservatism with regard to human enhancement. Then I critically analyzed the logic of an appeal to human nature proposed by boiconservatives. Finally I argued that an appeal to human dignity exclusively based on moral intuitions is not powerful assets in coping with the challenges of bioliberalists, transhumanists, and even proponents of converging technologies. Bioconservatives need to engage in human enhancement debate in order to make significant influences on shaping public policy. At the same time, to win the policy debate, bioconservatives should develop explicit and rational arguments enough to persuade the mass and their opponents. If not, their moral intuition about the wrongness of human enhancement may lose its power as a sound moral guidance within liberal societies.

      • KCI등재

        인간 향상을 위한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개입과 그 윤리적 함의

        최진일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시민인문학 Vol.46 No.-

        이 연구는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기술의 개발 이후, 점차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인간 향상의 문제를 다룬다. 대부분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향상은 트랜스휴머니즘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트랜스휴머니즘을 검토하고, 그 특징과 인간관을 파악한 다음,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향상을 왜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향상이 ‘더 나은 존재’을 향한 도구적 의미로서, 어떻게 정당화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로버트 스파로우(Robert Sparrow)의 구식화(obsolescence) 개념을 통해 조명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향상된 인간 배아가 태어난 이후에는 공시적 관점(synchronic perspective)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닉 보스트롬(Nick Bostrom)이 전망한 대로 향상되었을지라도 계속해서 향상을 추구해야 하는 인간은, 통시적 관점(diachronic perspective)에서도 항상 자기 자신이 비교 대상이 됨을 드러낸다.

      • KCI등재

        인간 향상과 인간의 본성 - 후쿠야마의 향상 반대 전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채리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3 No.2

        이 글의 목적은 인간 본성에 호소하여 향상을 반대하는 후쿠야마의 전략을 비판함에 있다. 후쿠야마가 향상을 반대하는 이유는 첫째, 인간의 본성이 도덕성의 원천이므로((H1)) 본성을 변경하는 향상은 도덕성을 변화시키는 위협적인 것이며((O1)) 둘째, 인간의 본성은 평등의 근원이므로((H2)), 본성 변경은 비향상인에게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것이며(O2)) 셋째, 인간의 본성은 상호의존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H3)), 본성 변경은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O3))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첫째, (H1)은 설득력이 미흡하며, (H1)에 따르는 (O1)은 새로운 도덕이 생성됨을 함축할 뿐, 도덕성 붕괴의 위협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므로 (H1)에 의한 (O1)은 향상을 반대하는 충분한 이유가 되지 못한다. 둘째, (H2)는 도덕적으로 정당한 평등의 원리가 아니며, (H2)는 (O2)를 함축하지 않고, (H2)에 의한 (O2)는 정당한 주장이 될 수 없으므로 (H2)는 후쿠야마의 논증에 필요한 전제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셋째, (H3)는 경험적 증거가 부족하며, (H3)는 (O3)를 함축하지 못하므로 (H3)를 통해서 향상을 반대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필자는 인간 본성 개념에 호소하여 향상을 반대하려는 후쿠야마의 전략은 성공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strategy of Fukuyama who opposes enhancement by appealing to human nature. There are three reasons why Fukuyama opposes enhancement. First, human nature is the source of morality ((H1)), therefore, enhancement that changes human nature is threatening to change morality ((O1)). Second, human nature is the source of equality ((H2)), therefore, change of human nature justifies inequality for those who are not enhanced ((O2)). Third, human nature has interdependent structure ((H3)), therefore, change of human nature brings about bad results ((3)). But in this writer’s opinion, first, (H1) has no persuasion force, and (O1) by (H1) is not a sufficient reason for opposing enhancement. It is because (O1) that follows (H1) connotes only that new morality is formed, and does not connote the threat of the collapse of morality. Second, (H2) is not a morally justified principle of equality, and (H2) does not imply (O2), and (O2) by (H2) cannot become a justifiable assertion. Third, (H3) lacks empirical evidence, and (H3) does not connote (O3). Therefore, the strategy of Fukuyama who attempts to oppose enhancement by appealing to the concept of human nature is considered not successful.

      • KCI등재

        인간 배아의 유전적 향상 - 치료와 향상, 그리고 의학의 새로운 도전들 -

        최진일(Choi, Jinil)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4 인간연구 Vol.- No.52

        이 글은 인간 향상을 위해 인간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적 개입의 문제를 고찰한다.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개입은 궁극적으로 출산을 목적으로 하므로, 이 문제는 인간 배아 연구 그 이상의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적 개입은 그 당사자인 배아의 현 단계뿐 아니라 이후 그 배아의 모든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논제이다. 따라서 인간 배아의 생명과 존엄의 보호가 전제되지 않은 유전적 개입은 미래 세대의 생명과 존엄성을 위협할 것이므로, 인간 배아를 환자의 지위로서 대우해야 할 근거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치료와 향상, 건강과 질병, 웰빙, 그리고 의학의 목적과 목표와 연관된 의학의 새로운 도전들과 함께 고찰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genetic intervention targeting human embryos for human enhancement. Since this genetic intervention ultimately aims at reproduction, this issue should be examined in a dimension beyond human embryo research. Genetic intervention in human embryos is a highly significant topic as it not only affects the current stage of the embryo but also influences all aspects of the child’s future lif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stablish the rationale for treating human embryos as patients, since genetic interventions that fail to protect the life and dignity of human embryos may endanger the dignity of future generations. This study explores these issues in relation to the new challenges in medicine related to therapy and enhancement, health and disease, well-being, and the ends and goals of medicine.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관과 儒佛道 사상의 인간관

        이현중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4

        A study on the views of Human beings in Transhumanism an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paper deals with Transhumanism which pursues to improve human beings through scientific technologies an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seek an ideal life of a human by self-awareness of authenticity. Transhumanism, based on Humanism and simultaneously in pursuit of Posthumanism, regards Body as central and Mind as collateral because it is dependent on Cartesian dualism. Transhumanists think that not only can human nature, a quality of Body, evolve but humans also can choose to develop themselves with the use of technologies. Therefore, they strive to use technologies to change and improve human natures.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uthenticity is the humanity of a man. But this authenticity is not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Body, but to the presentation of human nature in the world where it has not yet been revealed as Body or Mind. Authenticity does not change itself but it can be shown as a kind of ‘change’ phenomenon. It can show itself as a life and a death, though it has no such temporal limitation as life or death. It can come out as a combination of oneself and another, though it does not have a spatial limit preventing the combination. Some work motivated by Mind and words and actions driven by Body are the emergence of authenticity. Ascetic practices and life are therefore to be conscious of authenticity and be prudent in speech and action for it to appear in time and space. Practice asceticism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ients towards a world of indifference revealed after the disappearance of discernment which divides me from others or humans from things. However, that is also the very exposure of a indiscriminate world. Thus, there is no intrinsic human nature different from other beings’ and the same goes for the change of human nature. 본고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하여 인간의 향상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과 본래성의 自覺을 통하여 이상적인 삶을 추구하는 儒佛道 사상의 인간관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휴머니즘에 바탕을 두고 포스트휴먼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먼-이즘은 데카르트의 이원론적 인간관에 바탕을 두고 육신을 중심으로 그 부수적 현상으로서의 정신을 인간의 본성으로 여긴다. 그들은 육신의 속성인 인간의 본성이 진화를 할 뿐만 아니라 발달한 과학기술을 통하여 인간이 스스로 진화를 선택할 수 있다고 여긴다. 그렇기 때문에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본성을 변화시켜서 향상시키는 인간 향상을 추구한다. 유불도 사상에서는 육신과 마음을 넘어선 본래성을 인간의 인간다움으로 제시한다. 그것은 육신의 속성을 인간다움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의식과 육신으로 드러나기 이전의 세계를 통하여 인간의 본성을 제시함을 뜻한다. 본래성은 변하지 않지만 변화의 현상으로 드러난다. 본래성은 生死라는 시간적 한계와 나와 남이 하나가 될 수 없는 공간적 한계가 없지만 생사의 현상과 나와 남으로 드러난다. 마음에 의하여 일어나는 여러 작용과 육신에 의하여 일어나는 언행은 본래성의 드러남이다. 본래성을 자각하고 그것을 시공에서 이른바 마음, 육신을 통하여 드러나는 다양한 기능과 언행을 하는 것이 修道이자 삶이다. 유불도 사상의 수도는 나와 남, 인간과 사물을 나누는 分別心을 버린 후에 드러나는 무분별의 세계를 향한다. 그러나 그것도 본래성이라는 경계가 없는 세계의 드러남이다. 그러므로 다른 존재와 구분되는 인간의 본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向上이라는 본성의 변화도 없다.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야기 목회상담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

        장보철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트랜스휴머니즘은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인 한계를 가진 유한한 인간이 인공지능 을 비롯한 기계의 힘을 빌려서 인간의 유전적인 약점을 극복하는, 이른바 인간 향상 (human enhancement)을 강하게 주장한다. 본 소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이해를 이야기 목회상담의 기독교적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교회의 역할 을 모색하고자 한다. 크게 세 가지로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이해를 다루고 있다. 첫째, 현재의 인간 조 건은 종착점이 아니며, 진화를 향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대상이다. 둘째, 인간 조 건 향상은 인간의 제한적인 힘으로는 불가능하며 기계와의 공생과 상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셋째, 유한한 존재로서 인간의 본래적 특성인 고통, 결핍, 질병, 죽음 등은 인간에게 위협이 되기에 제거해야만 한다. 이러한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이해를 이야기 목회상담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먼저, 고통, 결핍, 부족, 문제, 죽음 등은 우리에게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기에 향상시켜야 할’ 대상이 아니다. 그러한 것들은 우리 인간의 삶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계는 인간이 과거와 현재에 경험하는 것들을 인간처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 지는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담자와 내담자 서로의 이야기와 해석적 렌즈가 연결되 어 의미를 찾아가야 하는데, 기계는 내담자인 인간과 교류할 수 있는 선험적인 경험 과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의 지나온 과거와 현재를 지배하 고 있었던 고통스러운 이야기를 대신하는 희망의 대안적 이야기를 재저작화하는 것은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본래적 특성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적인 인간 이해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 창조되었다“는 기독교적 인간 이해에 정면으로 배치되며 제어할 수 없는 인공지 능 시대의 도래와 트랜스휴머니즘의 도전 속에서 한국교회는 신학적으로 적합하고 성경에 기초를 둔 기독교적인 인간이해를 재정립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ranshumanism claims and supports human enhancement. Human enhancement means that human beings who have lots of deficient physical, psychologic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can overcome the genetic drawbacks through the power of machines. This article critically analyzes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nshumanism and tries to search for the human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through the lens of narrative pastoral counseling. This article summarizes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nshumanism with three points. First, transhumanism argues that the present human condition is not ended but needs drastic betterment for evolution. Second, human enhancement will be impossible with the limited capacity of humans, and only be posssible through symbiosis and cohabitation with machines. Third, suffering, deficiency, disease, and death as natural characters of finite human beings are threats for humans, so have to be eliminated.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nshumanism is critically analyzed through narrative pastoral counseling. First, Sufferings, deficiencies, limitations, problems, death are not objects to enhance because they are not desirable to us. They are significant components of human life. Second, machines cannot interpret past and present experiences, and give them meaning as humans do. The reason is that machines have no prior experiences and stories to communicate to humans. Third, to re-authorize alternative hope stories is humans’ specific natural traits that machines cannot be alternated.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Korean church need to rebuild a theologically proper and biblically- based human understanding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allenge of transhumanism..

      • KCI등재

        기술시대 포스트휴먼화가 종교와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교육에의 시사점

        이은경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인간과 기계가 융합되고, 기계와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포스트휴먼화(化)가 종교와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오늘날 기술은 우리의 생체리듬뿐 아니라, 삶의 물리적 조 건, 사유와 판단의 방식, 나아가 인간의 본성 혹은 존재 자체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으 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자연과 인공의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 황에서 기술을 단지 인간 활동을 위한 도구로만 바라보는 기존의 윤리적 규범은 더이 상 유효하지 않으며, 이와 더불어 인간과 기술의 관계도 다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서 기술 발전과 포스트휴먼화가 종교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 포스트 휴머니즘과의 관계 안에서 살펴보았다. 미국 종교학회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개신교 신학자와 기독교교육학자, 기술철학자들이 모여 기술과 과학으로 인한 사회변화와 새로운 문명의 전환을 예측하기 위하여 ‘인간기술공생네트워크(Human-Technology-Symbiosis Network)’가 출범하였다. 또한 교육학은 기술을 통해 인간의 신체적, 지적, 정의적 능 력을 증강하려는 인간향상론자들의 논의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 나 휴머니즘의 한계를 비판하는데 초점을 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급진적으로 변해가는 기술문화에 대한 개방성 을 강조하고, 휴머니즘에 대해 비판하면서도 부분적으로는 휴머니즘 전통에 따른 사 고방식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포스트휴먼화가 기독교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으로서, 모든 몸을 환대 하는 ‘몸 중립’ 개념, 기술을 통한 ‘인간 향상’ 반대 그리고 교육의 가치와 선물로서 주어지는 삶의 의미에 대해 숙고해 보았다.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되는 인간의 조건은 포스트휴먼화와 더불어 서로의 불완전함과 연약함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이며, 이것 이 바로 종교, 특히 기독교가 말하는 하나님 나라의 참모습일 것이다. 김초엽과 김원 영은 이것을 ‘자기 몸 중립(body neutrality)’ 혹은 ‘사이보그 중립(cyborg neutrality)’ 이라 부르고 있다. 또한 우리 삶과 능력을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로 받아들이는 것은 인간향상기술에 대한 맹목적 신뢰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공정성과 평등성 그리고 인 간의 자율성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나아가 내가 계획하고 만들어가는 미 래로서의 ‘푸투룸(futurum)’이 아니라, 하나님의 종말론적 개입에 의해 도래하는 미래, 즉 ‘아드벤투스(adventus)’로서의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갖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mpact of posthumanization on relig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where humans and machines are merging and living alongside each other. To do so, we first examine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that are changing with the posthumanization of technology. Today, technology affects not only our biorhythms, but also the physical conditions of our lives, the ways we think and judge, and even our very nature or existence. Furthermo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In this situation, the existing ethical norms that view technology as a tool for human activities are no longer vali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needs to be redefine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osthumanization on religion and education is then examined in relation to critical posthumanism. In the posthuman era, technology has begun to influence the realm of religion and faith, and the Human-Technology-Symbiosis Network, a group of Protestant theologians, Christian educators, and philosophers of technology, was launched not only at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but also in Korea to predict social change and the transition to a new civilization due to technology and science. In addition, the modern education, which has been maintained as an absolute authority and hierarchical system, has been shaken. Of course, it is difficult for pedagogy to fully embrace the arguments of human enhancementists who seek to augment human physical, intellectual, and justice capabilities through technology. But it can embrace the critical posthumanism, which focuses on criticizing the limitations of humanism. This is because the critical posthumanism emphasizes openness to a radically changing technological culture, while it is critical of humanism, it also emphasizes the continuity of ways of thinking in the humanist tradition. Finally, in terms of the implications of posthumanization for Christian education, I reflected on the concept of body neutrality that welcomes all bodies, the opposition to human enhancement through technology, and the value of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life as a gift. Rather, the human condition required of us today is not only the posthumanization but also the willingness to accept each other's imperfections and frailties, which is what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speaks of as the Kingdom of God. Cho-Yeop Kim and Won-Young Kim call this body neutrality or cyborg neutrality. Accepting our limited lives and abilities as a gift from God will also challenge blind trust in human enhancement technologies, provoking discussions about fairness, equality, and human autonomy. It will also give us hope for a future not as a futurum, a future that we plan and create, but as an adventus, a future brought about by God's eschatological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