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직원의 아동학대 인식과 아동학대 방지노력에 관한 연구

        한유미,조명자 한국아동권리학회 2018 아동과 권리 Vol.2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tatus of child abuse awareness and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of child care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at childcare center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raise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o prevent child abus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50 preschool teachers and nursery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analysis includ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echniques to analyz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buse awareness on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abuse awareness was significant among 4 of the 11 variables.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ages of the school staff. Third, IPA analysis showed that they had high level of child abuse perception and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 Four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the higher the efforts to prevent child abuse. Conclus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child abuse education for first-time staff and prospective school staff. Second, by ensuring the appropriate working hours of child care staff members at the government level, they should be able to prevent child abuse that may occur due to excessive working hours. Third, it is necessary to run a minimal progra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enhance close interaction with the child. Fourt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erious adverse effects of verbal abuse in the long-term improvement areas where both recognition and execution are low, and to raise awareness of child abuse by establishing clear criteria for verbal abuse.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하여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아동학대 방지노력의 일반적 현황을 살펴보고, 아동권리인식을 높이고 아동학대를 방지 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내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위해 일원변량분석, 인식도와 실행도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IPA분석기법, 그리고 아동학대 인식이 아동학대 방지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학대 인식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11개 변인 중 4개 변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 방지노력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교직원연령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실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IPA분석을 한 결과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아동학대 방지노력도 잘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학대 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방지노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첫째, 초임교직원이나 예비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아동학대 교육이 요구되며 둘째, 보육교직원의 적정한 근로시간을 정부차원에서 보장해 줌으로써 과도한 근무시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셋째, 최소한의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아동과 긴밀한 상호작용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넷째, 인식과 실행이 모두 낮은 장기개선영역의 언어적 학대의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인지하고 언어적 학대의 명확한 기준을 만들어 아동학대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일본의 아동복지법 개정과 그 의미

        김경석 사회복지법제학회 2019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0 No.3

        As in Korea, there have been many incidents of child deaths in Japan due to parental abuse. And various efforts to prevent such problems appear to be being made in various ways. This time, the revised law further improved the system of child re-protection and child counseling centers. It also includes a ban on corporal punishment or strengthened links between related agencies to strengthen measures against serious child abuse cases. Typically, corporal punishment, which was a major background of child abuse in Japan, has been recognized within the necessary scope of education under the name of the "right to punish" in Article 822 of the Civil Act, but the revision is expected to break the loop of child abuse through corporal punishment by explicitly banning corporal punishment. It also states that we should not be negligent in responding to these challenges even after the revision, by clarifying the tasks that require constant discussion and response. And by defining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ies in various areas, the government is showing its willingness to actively work to prevent child abus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but also the entire society, have made it clear that related consciousness should be raised and cared for to prevent child abuse. Korea also recognizes the right to "punishment" in Article 915 of the Civil Code and still routinely takes place, such as corporal punishment by parents or guardians, under the guise of nurturing. And there are continuous incidents of child death caused by parental abuse.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take active measures to prevent child abuse, such as a fundamental review of disciplinary rights based on discussions in Japan. 아동은 교육 혹은 훈육의 대상이기에 앞서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약한 존재이며 우리 모두의 보호와 관심이 필요한 존재이다. 따라서 아동을 대함에 있어 끊임없는 관심과 애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끔찍한 사건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그 중 대표적인 한 가지 유형은 아동학대일 것이다. 아동학대 문제는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존중하는 사회적 인식 부족이나 아동을 학대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공적 인프라 부족 혹은 아동을 부모의 소유물로 생각하는 의식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아동학대의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매우 슬픈 문제이다.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아동학대로 인해 아동이 사망하는 등의 사건들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9년 개정법률은 2016년 개정부터 이어져 온 흐름에 따라 아동의 권리보호와 아동상담소의 체제강화를 더욱 발전시키고 심각한 학대사건에 대한 대책을 강화하기 위해서 체벌금지나 관계기관 간의 연계강화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본에서 아동학대가 끊이지 않았던 주요 배경이었던 체벌이 민법 제822조에서 ‘징계권’이라는 이름으로 교육 등의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 왔었으나, 금번 개정을 통해 체벌을 명시적 금지함으로써 체벌을 통한 아동학대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또한 검토규정에서 지속적으로 논의와 대응을 필요로 하는 과제를 명확히 보여줌으로써 금번 개정 이후에도 이러한 과제에 대해 대응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것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부분에서 정부의 책임을 규정함으로써 아동학대방지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뿐만 아니라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뿐 아니라 사회전체가 아동학대를 막기 위해 관련 의식을 높이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밝히는 개정으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도 민법 제915조에서 ‘징계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여전히 양육이라는 미명 하에 부모 혹은 보호자에 의한 체벌 등의 가혹한 행위가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부모의 학대에 의해 아동이 사망하는 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징계권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 등,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아동학대 대응체제와 현황

        최순자 한국일본교육학회 2018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2 No.3

        아동학대는 평생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고, 특히 아동기 학대 경험은 인격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일본 아동학대의 대응체제와 현황을 살펴보므로 한국의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및 법률, 정부 통계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부터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았다. 2000년에 ‘아동학대방지법’의 제정으로 그에 대한 예방과 대응에 본격적으로 임했다. 2017년 6월에는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가정재판소가 지방자치단체에 보호자 지도를 권고할 수 있게 하는 등 법적 관여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아동학대에 대응하는 주된 기관으로는 아동상담소가 지방자치단체인 시정촌의 ‘요보호아동대책지역협의회’와 연계하여 학대 아동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부과학성에서도 학교 교직원, 교육위원회, 학생,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아동학대의 조기예방과 발견,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아동학대 현황을 살펴보면 계속 증가추세에 있으며, 유형별로는 심리적 학대, 학대자는 친엄마, 학대 받는 연령은 취학 전 영유아가 가장 많았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아동학대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친부모에 의한 아동학대가 가장 많다. 부모가 자녀를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하는 자녀관을 갖도록 하는 인식전환 교육과 더불어 지역과 기관이 연계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다. Child abuse is a serious problem in terms of child abuse in terms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and this study aims to help children misunderstand their children's abuse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through the use of Japanese child abuse. Child abuse prevention law was enforced in earnest in 2000 by child abuse prevention law, and in June 2017, the Family Court revised the law to strengthen child abus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to strengthen child abus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hild abuse. Child abuse centers have been able to systematically deal with child abuse in collaboration with municipal councils on child welfare countermeasures.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learned that students are working toward early prevention and discovery of child abuse, education boards, students and local communities.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 abuse has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buse, abuse of children, and abuse of abused children. Like Japan, child abuse continues to increase, and children's abuse of child abuse is the most common way of child abuse. Along with the education of children who view children as one of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as a personality trait,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child abuse from being abused and to deal with child abuse.

      • KCI등재

        아동학대 정책 평가: 생태적학대방지모델의 적용

        이동석,김용득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1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ild abuse preventive policy in Korea by analysing Infant Care Act, Child Welfare Act,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This study evaluates the policy by applying ecological abuse preventive model, a combination of the European Council abuse preventive model and the ecological model. The evaluation indicates that child abuse preventive policy in Korea has been focusing on the support for victims and monitor of service providers by regarding child abuses as the problem between victims and offenders. However, it seems to be out of balance and there was no abuse-responsive policy at macro level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poli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comprehensive and well-balanced policies for child abuse issue. 본 연구는 유럽의회의 학대방지모델과 생태체계모델을 결합하여 생태적학대방지모델을 도출하고, 이 모델을 통하여 9개의 정책 영역을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아동학대와 관련된 법률인 영유아보육법, 아동복지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아동학대 정책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정책은 학대를 피해자와 가해자 간의 문제로 보고 서비스 제공기관이나 제공자에 대한 규제정책과 학대피해 발생 후 피해아동을 지원하는 정책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 외에 학대예방을 위해 서비스 제공기관 및 제공자에게 규제를 가하는 정책, 사회차원에서 인식개선을 통한 학대예방정책, 학대사건 종료 후 개인 및 서비스 제공기관에 개입하는 정책. 개인차원에서의 학대예방을 위한 정책이 일부 존재했다. 하지만 거시체계에서의 학대발생 후의 정책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동학대에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대발생 이후 개인 및 기관에 대한 개입 정책 이외의 나머지 7개 영역에 대한 정책이 더 개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의 필요성

        김용화(Kim, Yong-Hua)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2

        아동학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아동에 대한 훈육이라는 명분으로 가정, 사회 모든 영역에서 부모 등 보호자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스스로의 방어권이 미흡한 아동은 부모 또는 성인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고 그러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학대는 “사랑의 매”로 때론 “엄한 교육”으로 용인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피학대자나 학대자는 학대와 훈육에 대한 판단이 쉽지 않고, 소위 중한 학대가 발생하더라도 피해아동은 자신의 방어나 외부적 도움 요청을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아동학대는 극단적으로 죽음 또는 신체적․정신적으로 영구적인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엄한 처벌을 통한 재발방지 및 예방이 절실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학대 피해아동 보호 체계는 사례발굴을 통한 적극적인 사전예방 중심이 아니라 학대발생 후 신고를 통한 사후대처 위주여서 아동학대 예방 및 재발방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치 중 하나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되고 이후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는 사생활영역인 가족/가정에 대한 개입의 최소화, 특히 친권자를 자녀의 양육, 보호, 부양의 1순위로 두고 친권행사에 대한 개입에 상당히 소극적이다. 동법 역시 입법목적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및 그 절차에 관한 특례와 피해아동에 대한 보호절차 및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보호처분을 규정함으로써 아동을 보호하는 것에 두고 있다. 그러다보니 실질적인 피해아동보호와 아동학대 재범방지 및 예방에 한계점을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회에서 동법에 대한 개정 발의안을 제안하고 있으나, 대부분 중한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법정형을 높이자는 내용이며 그나마 발의안 대부분은 계류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법규정의 한계성과 국회 개정발의안의 내용을 검토하여 아동학대예방과 피해아동보호를 위한 실효성이 있는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hild abuse is a cause of discipline for children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in the east or west, and is caused by parents or guardians in all areas of society. Children who have insufficient self-defense have no choice but to depend on their parents or adults, and the abuse that occurs in such situations has been accepted as ‘the rod of love’ and sometimes ‘strict education’.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the abusers or the abused to judge if it is ‘abuse’ or ‘discipline’, and even if there is so-called serious abuse,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to defend themselves or to request outside help. Such child abuse can cause death of the ill-treated in the extreme or permanent physical, mental impairment, so it is urgent to make arrangement for recurrence prevention through severe punishment. However,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 abused children in Korea is not focused on active precautionary program, through case findings, but rather devoted to posterior measures after abuse report, more active and practical policies are needed to prevent child abuse in order to prevent child ill-treatment and relapse prevention. As one of these measures,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rime of Child Abuse" was enacted, since then social awareness of child abuse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 state is quite passive in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the family which is perceived as privacy domain, especially when interfering with the exercise of parental rights. because parental guardians are the considered as the first priority for raising, protecting, and supporting children. The law also aims to protect the child by stipulat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punishment for child abuse crimes and exception about its procedure, protection procedures for victims and protective disposition regulations against child abusers.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prevention of actual child victims and child abuse prevention and repeated crime. Accordingly, the National Assembly proposes amendments to the Act, most of them are aimed at raising the legal term of imprisonment of serious child abuse crimes, and most of the proposals are still pending.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Act and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Assembly revision initiative with a hope to propose an effective revis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effective protection plan for the victims.

      • KCI등재

        일본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처와 동향

        김잔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일본은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법률체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공통점이 존재하는 반면, 아동학대 등 가정폭력에 대해서는 다소 다른 법률체계를 유지해 왔다. 즉 우리나라는 가정폭력방지법, 가정폭력처벌법의 이원적 구조를 채택해 아동학대, 배우자폭력, 노인학대 등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가정폭력 사건 전반에 관하여 대처 해 왔지만, 일본은 아동학대방지법, 배우자폭력방지법, 고령자학대방지법 각각 대상을 한정하여 대처해 왔다. 이러한 방법은 각각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다른 법률체계로서 가정폭력에 대처하고 있는 일본의 법률에 대해서 고찰하고, 구체적인 대처방안과 그 동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가정폭력 대한 대처방안을 강구하고 제언하는 데 있어서 참고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효하다고 사료 된다. 또한 이러한 검토는 시행을 앞두고 있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별법”에 있어서도 참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아동학대 인식 및 방지노력에 미치는 영향

        김혜정 ( Kim Hye Jeong ),김세곤 ( Kim Se G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아동학대 인식 및 방지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50명이다.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아동학대 인식 및 방지노력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2019년 3월 한 달간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24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0.0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t-test와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아동학대 인식은 근무기관 유형, 직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아동학대 방지노력은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아동학대 인식 및 방지노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아동학대 인식 및 방지노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 아동학대 인식 및 방지노력을 높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child abuse recognition and preven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25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As a measuring tool,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 abuse recognition and prevention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March 2019,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a month and the final 24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0.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organization and job title, and the efforts to child abuse preven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organiz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child abuse recognition and prev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hir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 abuse recognition and pre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at child abuse recognitoin and prevention sh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전후의 아동학대 인식 변화에 대한 고찰

        이경은,김도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In order to infer whether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tc. actually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shared about child abuse in our society, we used big data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by the public. This study selected 'child abuse' as the keyword and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in 2013, the words "china" are kindergarten, teacher, body, problem, reporting obligation and neglect compared to the following.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law, daycare centers, incidents, eradication, campaigns, domestic violence and preventive education were newly introduced. Second, the interconnection of key words in the previous picture of 2013 shows that the left group focuses on measures to introduce to prevent child abuse while the right group consists of keyword intended to view child abuse in conjunction with domestic violence. They are still seen as a group of divorces, discipline, neglect and parental education, which they still perceive as a family problem.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in 2013, it will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the top group will be highlighted by the keyword related to child abuse cases, part of suspected cases and awareness of child abuse. In addition, the Act on the Special Cases of Child Abuse and the Child Protection Agency clearly appear as a child protection system.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실제 우리 사회에서 아동학대에 대해 공유 되어 지는 사회적 인식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추론하기 위해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중의 아동학대 인식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를 키워드로 선정하여 특별법 시행 전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13년 특별법 시행 이전에는 유치원, 교사, 신체, 문제, 신고 의무, 방임 등이 이후와 비교하여 차이 나는 단어들이다. 특별법 시행 이후에는 어린이집, 사건, 근절, 캠페인, 가정폭력, 예방 교육 등이 새롭게 나타났다. 둘째 핵심어들의 상호연관성은 2013년 이전 그림에서 II 집단은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 위주로 나타나고, III 집단은 아동학대를 가정폭력과 연계하여 가정 내의 문제로 인식하는 이혼, 훈육, 방치, 부모교육 들이 보여진다. 2013년 특례법 이후에는 4개 그룹으로 세분화 되고 아동학대 사건에 대해 특례법과 아동보호 체계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등 강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아동학대 재발방지를 위한 이야기 치료 기반의 가족치료 접근

        윤혜미 ( Hye Mee Yoon ),장화정 ( Wha Jeong Jang ),고미영 ( Me Young Ko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41 No.-

        아동학대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대상자별 개별 서비스뿐 아니라 학대가 발생한 가족이 스스로를 이해하고 학대로 진행되는 순환적 환류 고리를 차단할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증가하는 아동학대 재발예방의 한 방법으로 학대피해아동과 학대행위자 및 비가해부모 등 가족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접근방법을 개발, 시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동학대 재발가족의 특성과 우리나라 현장의 서비스 현황 분석결과, 가족단위 서비스의 부족과 문제중심 접근에 따른 해당가족의 서비스 기피현상 등이 지적되어 학대가정이 갖는 거부감과 낙인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으로 이야기치료에 착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8회기의 가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12개 아동보호전문기관의 60개 아동학대가정 구성원과 시행한 후 부모와 피해아동에 대한 양적 조사와 상담일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야기치료의 철학에 근거한 이 프로그램을 경험한 내담자들이 자신의 학대이야기를 해체하여 대안적 이야기를 구성하고 이를 가족과 주변사람들과 나누면서 치유하고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나 학대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가족치료 접근으로서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valuate a family therapy approach based on narrative therapy to prevent recurring child abuse. The narrative family therapy program promotes participation of every member of the family into the treatment proces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arry out narrative family therapy on 60 families of 12 local child protection service agencies for child abuse recurrence. Eight sessions included three couple sessions, one family sessions and four group sessions aimed to bring insights upon the abusive situation and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s.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Parenting behavior, par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skills, and anger management proved to be positively improved. The qualitative results show that the narrative family therapy was effective in removing the stigma of the abusive parents and also in opening them up to tell their life story. The parents found the solution by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the story of abuse and finding the alternative story.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participating therapists indicated that the narrative family therapy showed differentiation of client toward therapy sessions which lead to higher efficacy and higher satisfaction leve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