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뱅의 신학적 인식론

        김선권 ( Sunkwon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이 논문은 칼뱅의 신학적 인식론에 관한 연구이다. 칼뱅은 철학적의미에서의 지식 이론을 전개시키지 않았다. 오히려 하나님을 알아가면서 우리 자신을 알아가는 관계적이며 인격적이며 실존적 의미에서의 신학적 인식론을 주장하였다. 칼뱅에게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 이것으로 인해 자기 자신을 안다는 것은 인간 실존의 목적이며 행복이다. 칼뱅은 지나치게 사색적이며 열매를 생산하지 못하는 공허한 지식, 그가 말했던 용어로 머릿속에서 떠돌아다니는 벌거벗은 지식에는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성령의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신앙의 생생한 경험을 일으키는 효과적 지식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단순히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좋은 은사들은 그분으로부터만 온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며 거기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과 자기 자신을 아는 인식의 토대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있다. 달리는 볼 수 없는 하나님을 거울처럼 성경을 통해서 볼 수 있으며 자기 자신도 성경이라는 거울에서 올바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에 계시된 신적인 진리조차도 호기심과 사색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신적진리의 신비는 너무나 높고 위대하기 때문에 호기심과 사색이 아닌 존경과 절제의 태도로 접근되어야 한다. 이 지식은 하늘에 속한 영적인지식이기에 오직 믿음에 의해서 도달 할 수 있다. 성령은 성도에게 믿음을 선물로 주신다. 성령은 말씀의 계시를 인간 지성에 조명하고 마음에 봉인시키면서 지식을 활성화한다. 칼뱅에게서 신학은 말씀의 봉사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학적 인식론의 목표는 실천적이며 목회적이다. 또한 그의 인식론은 윤리적이다. 칼뱅의 지식의 개념은 지성으로부터 마음, 개인의 경건과 교회의 봉사와 삶의 실천에 모두 다 관계한다는 의미에서의 전인격적이다. Cet article concerne l’epistemologie theologique calvinienne. Calvin ne developpe pas l’epistemologie au sens philosophique, une theorie de connaissance abstraite; il affirme plutot une epistemologie theologique au sens relationnel, personnaliste et existentiel. Pour Calvin, connaitre Dieu et par cela se connaitre soi-meme, c’est le but et le bonheur de l’etre humain. Calvin ne s``interesse pas a la vaine connaissance qui est speculative et sterile, selon ses termes : “une connaissance nue qui voltige au cerveau”. Bien plutot il s``interesse a la connaissance efficace qui procure la vive experience dans l``Ecriture par l``Esprit Saint. C``est pourquoi connaitre Dieu, ce n``est pas simplement affirmer que Dieu existe, c``est surtout savoir que tout don vient de Dieu, en meme temps croire que nous y participons par la foi. Le fondement de la connaissance de Dieu et de soi-meme est l``Ecriture, Parole de Dieu. on peut voir Dieu invisible dans le miroir de l``Ecriture, et de plus on peut s``y contempler soi-meme de facon exacte. Avec la curiosite et la speculation, nous ne pouvons pas acceder a la verite qui se revele dans l``Ecriture. Combien la sagesse celeste est-elle haute et grande a comprendre! Donc Nous devons y acceder en prenant l``attitude de la reverence et de la sobriete. Cette connaissance qui se retrouve aux cieux se saisit par la foi seule qui est l``operation principale de l``Esprit. En illuminant la revelation divine dans notre intelligence et en la scellant en notre coeur, l``Esprit active la connaissance religieuse. Chez Calvin, la theologie etant au service de l``Eglise, le but de l``epistemologie theologique est pratique et pastoral. Aussi, son epistemologie est-elle ethique. La notion de connaissance calvinienne agit sur la personne tout entiere. Parce qu``elle se rapporte a l``intelligence, au coeur, a la piete individuelle, au service de l``Eglise et a la pratique dans la vi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퇴적암과 화성암 관찰 활동에 대한 실천적 인식론 분석의 에너지 주제 적용 가능성 탐색

        맹승호(Maeng, Seungho)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1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1 No.1

        이 연구는 실천적 인식론 분석을 적용하여 퇴적암과 화성암을 관찰할 때 초등학생들의 지식구성을 위한 인지적 과정을 조사한 결과가 에너지 주제에 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 학생들이 퇴적암 표본을 직면하여 관찰하는 기준으로서 알갱이의 크기와 색깔이 정착되었다. 알갱이의 육안 관측 여부에 관한 유사성 연관을 통해 네 암석에서 알갱이를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간극이 해소되었다. 학생들은 퇴적암을 구분하기에 적합한 기준에 관한 인식론적 결정을 교사 언술의 권위에 의존하였다. 학생들이 알갱이의 크기를 기준으로 퇴적암을 관찰할 때는 간극이 해소되었지만, 암석의 색깔을 기준으로 관찰할 때는 간극이 존속되었다. 같은 학생들이 화강암과 현무암 표본을 직면하여 암석의 알갱이가 정착된 언어로 사용되었다. 학생들은 화성암의 알갱이에 대한 언어 게임에 익숙하지 않아서 화강암과 현무암의 알갱이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교사의 도움과 돋보기를 사용한 관찰을 직면하여 화강암과 현무암과 알갱이에 관한 차별성 연관을 통해 두 암석을 구성하는 알갱이의 크기에 관한 간극이 해소되었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학생들의 암석에 대한 지식구성의 인지적 과정을 촉진하려면 암석 관찰에 적합한 기준을 판단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접근을 고려해야 하며, 암석의 종류에 따라 암석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언어 게임에 학생들이 익숙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에너지 주제의 사례에도 적용 가능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to energy topics of elementary students’ epistemic cognition when observing sedimentary and igneous rocks by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When the participant students encountered four sedimentary rocks, grain size and color as the criteria for observing rocks stood fast to them. Also, a gap whether they could see the grains in four rocks was filled by the similarity relations between rocks in terms of seeing the grains. The students’ epistemological decision on the criteria for observation was dependent upon the teacher’s authority. While the gap was filled when they observed rocks focusing on grain size, it lingered when focusing on the color of rocks. When the same students encountered a granite and a basalt, grains of a rock stood fast to them. Since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e language game on igneous rocks, they felt difficulty recognizing the grains of a granite and a basalt. A gap on the grain size of a granite and a basalt, respectively, was filled by difference relations between the grains and both rocks with encountering the teacher’s utterances and using a magnifier.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ing epistemological criteria for observing sedimentary rocks and familiarizing language games for understanding igneous rocks were suggested to facilitate elementary students’ epistemic cognition. Also, it was discuss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energy topics.

      •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하대청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생명윤리정책연구 Vol.3 No.3

        How can the attention to bioethics be compatible with the pursue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productivity? In this article,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is compatibility through the redefinition of scientific practices. The dominant discourses in animal ethics haven’t taken scientific practices into account seriously even if it contributed much to understanding animal rights. I examine major points made by STS scholars, Bruno Latour, Isabelle Stengers and Vincianne Despret, Donna Haraway, which I call ‘practical epistemology.’ From those works, I try to reconfigure what scientific practices really are and should be, which is summarized as these four themes; (1) From representation to re-presentation (2) from ‘disinterested’ to ‘interesting’ (3) from ‘true’ to ‘articulated’ (4) from judges to care-takers. And then I show that these themes in this practical epistemology apply well to several researches in ethology, such as McClintock’s study of rat, Rowell’s sheep, Pepperberg’s parrot. I also argue that this practical epistemology can channel animal ethics into its adjustment toward the attention to scientific practices, becomings of animals and humans, companionship between them. Most important, thanks to this practical epistemology, one doesn’t have to only choose between ethics and science but can choose both. In the end, I introduce my personal experience of an animal research in a laboratory and carefully suggest that animal ethics in the context of invasive animal researches can also obtain some insight from this practical epistemology.

      • KCI등재

        한국기독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 교육 방법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적용-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Education is a powerful tool of socialization process to perpetuate the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An ideology to maintain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is established as social convention b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Korean church should reform herself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move not only for her renewal and revival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To make it come tru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seminary students is needed for their’s recognizing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the seminary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the seminary student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illustrates a lesson plan model to practice into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employing the teaching method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This study describes the following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ntroduction brings out a question related to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 and presents main topics to be discussed for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hapter II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Korean chu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gender equality issue in Korean churc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women minist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and the renewal of the church. Chapter III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r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t tries to build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includ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e study of chapter II and chapter III, Chapter IV explicates the components and movement process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practical teaching model and adds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o teaching-learning scene. Chapter V illustrates the example of an actual model employing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o practice in a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at example is presented as a lesson plan with the class topic titled as “a typical pattern of workload sharing in pastoral ministry between men and women” for one session of a course of women’s studies in a theological seminary’s curriculum. Conclusion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of the study and proposes the practical use of this praxis model for the teaching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over the various educational a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for the paradigm shif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가치를 영속화하는 사회적 과정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역시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회의 양성 불평등 문제의 개혁은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 사회의 양성평등 가치의 발전에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 차원에서부터 기독교 사역자로 교육받는 남녀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하다. 본서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기독교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교 차원의 커리큘럼에서 실천적 교육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의 인식과 관련한 실천적 교수-학습 모델(레슨 플랜)을 구성하여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실현을 위해 본서는 1장 서론에서 한국 기독교회의 사역자들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다루게 될 주요 명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회 내 젠더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회와 양성평등 인식 수립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과정의 신학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와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 철학의 구성 요소를 다루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기초로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토마스 그룸의‘나눔의 프락시스’방법론의 구성 요소와 핵심 활동의 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이를 적용하기 고려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나눔의 프락시스’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진행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신학교 차원의 한 학기의 여성학 강의 중‘교회 내 남녀 사역자의 업무 분담의 정형성’이라는 한 차시의 수업을 위한 레슨 플랜을 프락시스 모델의 전개과정을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의 활용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진술하였다. 본 연구가 ‘양성평등 인식’의 가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써 활용되고, 한국 기독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교육대학 프로그램의 관계

        이유경(Lee Yu-Kyoung),김재웅(Kim Jae-Wo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결정짓는 요인으로서 교육대학의 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하다. 많은 연구들이 교육대학 프로그램이 교사의 전문성을 기르는 데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교육대학의 하위 프로그램들이 이러한 전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교사들의 시각에서 질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모 초등학교 교사 10명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교육 이외에도 행정, 상담, 인간관계, 지역사회 봉사 등 여러 영역에서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한편, 교육대학 프로그램은 실습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전문성을 기르는 데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학에 대한 교육본위론의 입장과 아울러 전문성에 관한 기술적 합리주의보다는 실천적 인식론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실천적 인식론에 따른 교사양성과정의 개편이 요구된다. The program of teachers" colleges is very important from the point of pre-service education which decides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rogram of teachers" colleges. But they did not pay proper attention to the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and restricted the concern to the pedagogic field and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the myth of "schooling=education". Also most of the studies were administered utilizing the quantitative methods, being difficult to understand the opinion of the research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conceptualize th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professionalism and the program of teachers" college by a qualitative research, i.e., in-depth interview. For that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by career and sex.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garded instructing ability, humanity education, understanding and love towards children, administrative business management ability, human relationship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s elements of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Second, most of the teachers had negative opinions that teachers" college"s program didn"t help much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This implies that knowledge for improving th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is not a theoretical one that is learned in a form of lesson in a lecture room but a practical one learned by trial and error of business performed at the school. Thus, the program of teachers" colleges need to be designed and operated not based on "technical rationalism" but on "practical epistemology" advocated by Schon.

      • KCI등재
      • KCI등재

        대안적 인지 이론으로서 “자원 기반 관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시험 적용

        오필석 ( Phil Seok 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첫째는 대안적인 인지 이론으로서D. Hammer와 그의 동료들이 발전시켜 온 ‘자원 기반의 관점(RBV)’을이론적으로 고찰하는 것이고, 둘째는 그것을 대학생들이 계절 변화에관한 모델을 구성하는 학습 활동을 해석하는 데 적용하여 이론의 유용성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것이었다. 이론적인 고찰은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세 가지 유형의 자원들-개념적, 인식론적, 실천적 자원-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시험 적용을 통해 과학 모델은 하나의 전체로서 제안되기보다 참여자들에게서 활성화된 여러 가지 자원들이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활성화된 자원들이 모두 모델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었으며, 어떤 개념적 자원들은 과학적인 모델을 구성하는 데 제한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과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에 반응적이어야 하며, 학생들이 자신의 자원을 생산적으로 활용하여 과학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을 시사점으로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theoretically review the ‘resources-based view’ (RBV) developed by D. Hammer and his colleagues as an alternative cognitive theory and to illustrate the usefulness of the theory by applying it to interpret a science learning activity in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worked together to construct a model of the seasons. The theoretical review wa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relevant literature and dealt mainly with three types of resources: conceptual,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resources. The trial application revealed that scientific model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pieces of conceptual resources activated from participants, rather than emerging as unitary wholes. However, all the activated resources were not included into a model, and some of the conceptual resources acted as constraints to constructing a scientific model. The implications included that science educators should be attentive and responsive to students` resources and help them use the resources productively to learn science.

      • KCI등재

        인식의 체현성과 도덕 추론의 방법 - 여성주의 실천적 대화 -

        허라금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논집 Vol.40 No.-

        이 글은 자신의 도덕관과 선관을 갖는 것이 허용되는 현대 사회에서 ‘도 덕적 인식’이 가능한지의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 우선, 논의는 소통불가능해 보 일 수 있는 심각한 실제의 쟁점 사례로부터 출발한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도덕 적 인식 가능성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 주류 남성중심사회가 발전시켜 온 바 ‘도덕적 인식에 이르는 도덕적 추론’이 특정한 실천적 사유의 방식 을 특권화한 것임을 비판적으로 밝힌다. 그리고 대안적인 도덕적 추론의 방식으로 엘리슨 재거(A. Jaggar)가 소개한 여성주의 실천적 대화(FPD:feminist practical dialogue)를 살펴본다. 그 다음, 여성주의 실천적 대화를 일종의 인식적 추론으로 해석하고자 한 재거의 견해가 갖는 한계를 밝히고, 이 글은 인식의 체현성에 주목 한다. 마지막으로, 이질적인 실천적 지향들이 대결하는 현실적 상황에서 도덕적 인 식 혹은 도덕적 합의를 지향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탐색하면서, 도덕적 인식 에 대한 철학적 이해에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