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문명공동체 로드맵

        전홍석(Jeon, Hong-seok)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0

        현 동아시아권의 제반 분쟁과 균열 현상들은 초국가주의적 평화협력구상으로서의 ‘국제 공공성’ 공백이 불러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는 일국적 근대화 기획이 착수된 이후 동아시아공동체의 문화적 소통과 연대적 실제상들이 파편화ㆍ기형화되어 역내 국가 간 상호 대결과 분쟁이 일상화되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에 지속가능한 ‘문화와 평화 질서’의 출현이 무엇보다도 절실한 때다. 인권과 평화 보장을 위한 초국가적 연합체 강화는 ‘동아시아시민’, 곧 역내 인권주의자와 평화주의자의 상호 빈번한 교류와 공감 속에서만 가능하다. 바람직한 동아시아의 문명공동체는 ‘보편적 인권’과 ‘평화 이념’을 지향하는 시민세력이 그 정체성 구성의 주체가 되었을때 견고해질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초국적 시민사회로서의 ‘인문 · 종교 ·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통한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제안하는 이유다. 이제 동아시아인들은 맹목적이고 그릇된 ‘국가’ 관념에서 벗어나 보다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문명’에 터하여 타자와 호응하는 상호주체적인 공존공영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성’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에서는 역내 인문 · 종교 · 문화예술 네트워크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동아시아 문명공동체, 평화공동체 구상의 제반 사항들을 논구해보았다. 이 제안은 크게 보아 동아시아 시민사회 지역구상 노선에 합류한다. 그 발상은 ‘동아시아시민주의’라는 새로운 협력모델로서 정치 · 경제영역보다는 동아시아를 매일매일 체험하면서 살아가는 동아시아시민의 탈권력적 · 탈시장적 생활세계에 바탕을 둔다. 때문에 이 네트워크는 동아시아인의 공통된 생활유전자인 ‘동아시아 생명주의’를 시민사회의 문화영역에 구현하고자 하는 구상이기도 하다. 요컨대 본 ‘동아시아 문명공동체로드맵’은 동아시아 생명문화운동의 핵심인 인문인, 종교인, 문화예술인을 역내 연결망의 ‘생명주의 데모스’로 격상시켜 동태적이고 역동적인 ‘동아시아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데 목표를 둔다. 그 궁극적 지향점은 현재 세계적 담론인 예술 · 공감 · 영성 · 생태문명의 동아시아적 의미를 진작시키고 그로부터 각성된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정식화하는 데 있다. Disputes and ruptures arising in East Asia are caused by the absence of ‘international public spirit’ as supranational cooperation for peace. In East Asia, since national modernization planning started, cultur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mong countries in East Asia have fragmented and deformed and confrontation and disputes between countries in East Asia are common.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ppearance of sustainable ‘order of culture and peace’ in East Asia. Strengthening supranational consortium for securing human rights and peace requires frequent communication and sympathy among people who advocate human rights and peace living in East Asia. Desirable East Asian civilization community can be strengthened when citizens aiming for ‘universal human rights’ and ‘peace’ become the leading force of formation of its identity. This is the very reason for which the author of this paper proposes ‘peace community in East Asia’ through ‘humanitiesㆍreligion · culture · art network’ as supranational civil society. It is high time for East Asians to endeavor to organize autonomous ‘East Asia community’ that can exist and prosper together based on more comprehensive and open ‘civilization’ breaking away from blind and wrong ideology of ‘nationalism’. In this regard, this paper studied particulars to promote humanities · religion · culture · art network in East Asia and articles of idea of civilization community and peace community in East Asia. This proposal joins a line of East Asian civil society in a broad sense. This idea is based on non-power and market oriented everyday life of East Asians who experience East Asia as new cooperation model called ‘East Asia Civicism’. Therefore, this network is an idea of realizing ‘respect for life’ which is common to East Asians in the area of culture in civil society. To sum up, ‘road map for East Asia civilization community’ aims to seek dynamic ‘identity of East Asia’ by promoting humanists, men of religion and artists who serve as leading force of life culture movement in East Asia to ‘demos of respect for life’ in network within East Asia. ‘Road map for East Asia civilization community’ ultimately aims to boost artㆍsympathyㆍspiritualityㆍecology civilization which is global discourse in a sense of East Asia and form ‘East Asian peace community’ awakened from it.

      • KCI등재

        글로컬적 도전과 미래 동아시아 비교문학자의 과제

        조성원 ( Sung Won Cho )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53 No.-

        최근 세계 비교문학계에서 동아시아 연대를 촉구하는 목소리들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결성 등 서구사회에 불고 있는 문화적, 정치적 연대에 대응하기 위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노력을 반영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동아시아의 비교문학자들은 서로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며, 또 얼마나 많은 것을 "동아시아" 라는 이름으로 공유하고 있을까? 그리고 또 동아시아 비교문학자들은 동아시아 공유문화 형성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떠한 실질적인 노력을 해왔으며 또한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 이 논문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 동아시아의 문학들이 서로의 고유한 문화적 특질을 잃지 않으면서도 공통의 문화적 유산을 찾아내어 서구문화에 대응하는 문학공동체를 이루어 내기 위해서 선결되어야 할 여러 가지 과제들을 짚어 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동아시아 비교문학자들에게 요구되는 세 가지 과제, 즉, 동아시아 학자들에 의한 동아시아 문학사 집필, 동아시아 문학자들 간의 자유로운 학문적 소통을 위한 영어 및 이웃국가 언어의 습득, 전통문학의 전수를 위한 차세대 테크놀로지의 활용 등에 대한 문제들을 논의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중국의 대응전략

        서정경(Jeong Kyung Seo),원동욱(Dong Wook Won)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2

        탈냉전시대 세계화와 지역주의라는 양대 추세에 대응하여 동아시아는 전통적 지리학의 범주를 뛰어넘어 독특한 지역주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냉전시대의 잔재와 현실 상황의 제약으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은 일정한 한계에 봉착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전진과 후퇴가 반복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주요 행위자들의 전략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동아시아를 전략적 변경 혹은 안보권역으로 설정하고 있는 중국이 지역주의에 대해 어떠한 대응전략을 보이고 있는가가 매우 핵심적 사안이다. 오늘날 강대국으로서 중국의 전략적 거점지역이 동아시아라는 것은 분명하다.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관련하여 중국은 과거 소극적이고 피동적인 존재에서 점차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의 변화과정을 밟아 왔다. 지역주의가 각국 특히 강대국의 중요한 전략적 선택이 되어버린 오늘날, 지역주의 전략은 중국에게도 국내외 전략을 추진하는 중요한 선택사항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은 동아시아 지역주의를 추진할 여러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의식적이고 체계적인 동아시아 지역주의 전략이 부재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지역에서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적지 않은 제약요인을 갖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특성과 제약요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대외정체성 변화의 관점에서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수용과정을 밝히고,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중국의 대응전략의 추진배경을 지도부의 인식전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추진 여건과 한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중국의 향후 지역주의 전략이 여전히 중국의 부상에 따른 미국과 동아시아 주변국가의 우려와 의구심을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에 치중될 것이며, 중장기적으로는 지속적인 국력의 증가를 전제로 하여 동아시아를 전략적 변경으로 하는 강대국전략을 점진적으로 취해나갈 것으로 전망되었다. Coping with the international trend of globalization and regionalism in the Post-Cold War era, East Asia has been developing its own regionalism beyond traditional geographical sense. However, the ongoing cold war and present political environments have constrained the development of regionalism in East Asia. In order to have an insight into the future of regionalism in East Asia, which currently shows repetitive advance-and-retre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ategies of main regional actor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may be essential to scrutinize the strategy of China, which considers East Asia strategic frontier or its security realm. It is clear that China, the 'rising power', regards the East Asia region as a strategic point. China has changed its position on the East Asia regionalism from a negative and passive one to a positive and active one. As regionalism has become a key strategic choice of every country, particularly of big powers, regionalism also became a central strategic option for China to promote its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However, although China has many advantages to promote the East Asia regionalism, it has not yet built a conscious and systemic strategy for the East Asia region. Therefore, it is true that China currently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in playing a leading role in East Asia. Whil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 regionalism and the factors restricting its development, this study does not only examine how China has accepted the East Asia regionalism by focusing on its identity change, but also looks into how Chinese leaders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s about regionalism, and as a result, their regional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limitations restricting China from promoting regionalism, this study argues that China, for the time being, will concentrate on removing the fear of the U.S. and its East Asian neighbors for China's rise, but in a medium- and long-term, it will choose the 'power strategy' which considers the East Asia a strategic point on the basis of the continuos growth of its national power.

      • KCI등재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론과 중국 : 구상과 현실

        이철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비평 Vol.- No.6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은 21세기 일본 외교의 변형을 표상한다. 이 글은 일본의 동아시 아공동체 구상의 정책적 내용을 ‘동아시아의 귀환’과 ‘중국의 부상’이라는 조건 속에 서 검토하고 동아시아의 진화와 지역질서의 변환에 갖는 함의를 찾는다. 특히 지역주 의 프로젝트가 내포한 탈국제정치적 성격이 동아시아 전통국제질서와 밀접히 연결되 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 정책을 동아시아 시공간의 구조와 장기지속의 패턴 속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특수성을 성찰하고 좁게는 일본 지역주의 정책의 이중성을 규명한다. Japan’s quest for East Asian Community represents a metamorphosis of Japanese deplomacy in 21st century. This paper reviews political contents of Japanese regional community idea in the context of ‘the return of East Asia’ and ‘the rise of China’, and seeks to fi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East Asia and the transformation of regional orde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ost-international political features of the East Asian regionalism are deeply rooted in the traditional regional order, this article sends Japan’s regional community policy back to the structure and longlasting patterns of East Asian time-space. In doing so, it reflects the particularity of East Asian regionalism and investigates the double face of Japanese regional policy.

      • 한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김교빈(Kim Kyo-Bi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1990년대 중반부터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이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동아시아공동체론은 동아시아를 하나로 묶자는 논의이다. 동아시아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합친 것이지만 논의의 중심은 동북아시아의 한ㆍ중ㆍ일 3국이다. 공동체 논의는 자유주의 논의와 대립쌍을 이룬다. 그런 점에서 동아시아공동체 논의는 동아시아에 속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대항 담론인 셈이다.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은 동양의 문화와 사상 속에 담긴 가치를 찾으려는 노력이며, 유교자본주의 논의와 아시아적 가치 논의의 연장선에 있다.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은 동아시아의 비슷한 문화적 토양을 지반으로 지역 내의 협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공동체적 통합을 내다보는 논의이다. 따라서 ‘국가들의 동아시아’를 넘어서서 ‘지역과 문명으로서의 동아시아’를 모색하는 논의이다. 그런 점에서 막연한 추상 수준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 토대에서 출발해야 한다. 범 유교문화권이라는 보편성을 강조하면서도 각 지역이 지닌 특수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구체적 맥락에서 중요한 것은 도덕적 사회관계보다는 연대적 사회관계인 것이다. 아시아적 전통에 바탕을 두되 전근대적인 요소 그대로를 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맞는 새로운 문명의 틀로 바꾸어 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탈근대성을 확립해야 한다. 동아시아적 상상력과 방법론을 사상 차원에서 끌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운동으로 확산해 가면서 ‘동아시아주의’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틀을 확고히 해야 한다.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proceeding excitment from middle of 1990s.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discussion to tie East Asia. East Asia together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but main of discussion is discussion about Korea, China, Japan. Discussion about community is opposed Discussion about liberalism. So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opposite against another community.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a effort that look for the value in oriental culture and thought. So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exist on extension of discussion about confucian capitalism and oriental value.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based similar cultural ground. That is a discussion to elevate cooperation in this area, finally make a communality unit. Therefore we must grope for East Asia as area and culture pass over East Asia of countries. So we have to make a start from not dim abstract level but our really foundation. We notice universality as pan-confucian cultural area but we don't failure to notice particularity of every area. In addition the important thing is not moral social relationship but jointly social relationship. We are based on oriental tradition. But we don't bring out premodern fact. We must change up to date new cultural frame. So we will free ourselves from premodernity. We must bring out East oriental imagination and method in thought level. On this background When we will diffuse citizen's campaign, we will fix the fram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as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East-Asianism.

      • KCI등재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현재와 미래

        박민철(Park, Min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3 No.-

        ‘동아시아’라는 문제제기와 결부된 여러 시각과 논의는 과거처럼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분단극복과 통일의 위한 사상적 자원으로서 ‘동아시아’라는 질문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는 구체적인 현실로서 더욱 강하게 우리들에게 다가오고 있다. 바로 그렇기에 동아시아담론 그리고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새로운 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논문은 바로 그러한 목적을 위해 쓰여진 것이었다. 본 논문은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담론적 이행에 따른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발생과 관련해서,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공동체론의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동아시아담론이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본격화로 이행해왔다는 점을 주장했다. 나아가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진전을 가로막는 논쟁점들을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미래적 전망을 위한 이념적 지향과 선결조건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이념적 지향을 ‘역사적 연대’로 설정했으며, 그 선결조건으로서 한반도 분단극복과 평화체제로의 이행을 시론적으로 제시했다. There have not been active discussions or different perspectives related to the topic of ‘East Asia’ compared with the past.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find questions dealing with ‘East Asia’ as an ideological resource for reunification or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spite of this, East Asia as a concrete reality has been approaching us with higher intensity. Because of this, a fresh discourse on East Asia and an East Asian Community has seen renewed calls. Indeed,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courses on East Asia and an East Asian Community with regard to the subsequent appearance of an East Asian Community which came into existence following the East Asian discourse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rguments that, as a result, discourses on East Asia have moved forward into the realiz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Furthermore, this paper, by examining points in dispute that impede further advancement of an East Asian Community, verifies prerequisite conditions and ideological directions for the sake of the future prospects of an East Asian Community. Therefore ‘historical solidarity’ is ultimately established as an ideological direction for an East Asian Community, and as for prerequisite conditions, this paper proposes the overcoming of division and the building of a Peace Regime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views.

      • 동아시아 경제발전 모형에 관한 연구

        황상연,강정모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12

        경제학에서 근본적인 문제의 하나는 왜 어떤 나라들은 성장하는 반면 다른 나라들은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낙후된 경제가 서양국가들이 밟아온 전통적 성장경로와 다른 성장경로를 따라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본질을 조직적으로 정형화하고 둘째,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정신을 따라 동아시아 국가들이 침체되고 낙후된 경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빠르게 성장하여 현대적인 경제로 전환하였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동아시아의 빠른 경제성장은 다른 개발도상국 경제의 70% 이상이 선진국 경제의 평균 성장률보다 느리다는 면에서 특히 괄목할 만한 것인데, 이처럼 경이로운 경제발전을 이룬 동아시아의 경제발전 모형은 신고전학파 경제성장 모형과는 상당히 다르다. 동아시아발전모형은 동아시아국가들의 경제발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개한, 현실에 기반을 둔 경제이론들과 가설들을 전통적 이론들보다 더 정밀하게 통합하고 정리한 것이다. 동아시아경제발전 모형과 신고전학파경제성장 모형과의 차이점은 케인즈 모형과 신고전학파경제성장 모형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만큼 크다. 본 모형은 8개의 명제를 사용하여 동아사아국가들이 어떻게 낙후된 경제에서 산업화하였는가를 설명한다. 최근까지 서구 경제학자들은 근대 경제발전이 유럽문명에 독특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서양의 고유한 현상이었다고 믿었으나 비유럽문화권인 동아시아국가들이 이루어낸 경이적인 경제발전은 동아시아국가들의 고유한 산업정책으로 그들 국가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고, 정부가 시장 경제 요소들을 보완한 것이 경제발전에 효과적이었고 이는 비고전학파적이라는 것이다. 동아시아경제발전모형의 핵심은 정책으로 강화된 인적 자본, 경제적 차별화, 비교우위추종전략, 정치적 안정이다. 동아시아국가들은 효과적인 정책에 의해 인도된 양질의 인적자본, 경제적 차별화 및 정책으로 강화된 비교우위 때문에 경제기적을 이룰 수 있었다. 동아시아경제발전 모형은 서양의 신고전학파와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면에서 고유하다. ㉠ 높은 경제발전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으로 물적 자본의 축적이 강조되었을 때, 동아시아모형에서는 높은 경제발전을 이루는데 인적 자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입증하였다. ㉡ 완전경쟁모형에 입각한 신고전학파의 경제성장 모형이 보편적 이론이었을 때 동아시아모형은 경제적 차별화가 경제발전의 필요조건임을 입증하면서 성공한 혁신가 들이 사회의 역할모형으로서 국가의 각 분야의 발전을 이끄는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 불균형적인 현상이 보편적이라는 복잡계경제학과 진화 경제학을 뒷받침 한다. ㉢ 동아시아모형은 또한 정부 개입주의 정책이 다른 곳에서 실패하였을 때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였을 때에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을 입증하였다. ㉣ 동아시아모형은 효과적인 경제정책이 인적자본을 깨우치고 격려하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하고 경제발전에 있어서의 심리적 효과의 중요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수많은 정책효과와 결합된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효과가 주어진다면, 일관된 일련의 정책을 갖고 있는 국가는 그렇지 못한 국가보다 빈곤을 박멸하고 정치적 안정을 달성할 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 전통적인 지혜와는 반대로, 동아시아경제발전모형은 경제발전이 민주주의보다 선행하여야 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다른 개발도상국들에게도 적합할 뿐 아니라 북한의 경제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One of the fundamental questions in economics is, Why do some countries grow while others are stuck in poverty? Another is, Can a backward economy follow a growth path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ath traveled by the West and generate sustained economic growth successfully? This paper addresses these two questions by presenting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helps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EA) economies. The EA growth experience provides a fascinating case study of what makes a backward and stagnant economy suddenly start to grow rapidly and reach the status of an industrial economy within thirty years. Using eight propositions, the EA model explains economic transition from a backward economy to an industrial economy. Because human capital determines the nature and direction of product specialization and trade, and the speed of economic growth, the EA model puts more emphasis on the human capital that underlies investment in physical capital?ideas,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assimilation through learning by doing. The model is unique in that, (a) it validates the critical role of human capital, economic differentiation, and political stability in a time of “high development theory“ (Krugman 1993), when the emphasis was skewed toward the accumulation of physical capital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development; (b) it also validates the role of government at a time when interventionist policies were either failing elsewhere (in 1950s and 1060) or facing opposition (in 1970s and 1980s) (c) it takes cognizance of the importance of the psychological effect that an effective policy brings to human capital. Poverty is as much a psychological and mental problem as it is an economic problem. Given this psychological and mental effect combined with a myriad of more obvious policy effects, a country with a coherent set of policies can have a better chance of eradicating poverty and achieving political stability than a country without it. And (d)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the EA model provides evidence pointing to precedence of economic development over democracy.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동아시아 문학의 수용 방향 연구

        우신영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동아시아 문학 개념이 문학교육에 수용될 수 있는 가능역을 타진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현재 문학 교과서의 동아시아 문학 수용 양상을 관점/목소리/작업의 분석틀로검토하였다. 분석을 위해 동아시아 문학을 ‘동아시아 각국의 국가적 특수성 혹은 동아시아 국가간의 관계적 특수성이 주도적으로 드러나는 문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현재유통되는 11종 문학 교과서 수록된 제재 중 동아시아 문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작품 29편을추출하였다. 관점 차원에서는 주로 단원 설계 및 제재의 경향성이 분석되었는데 대부분의 교과서들에서 동아시아 문학 제재들은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단원이나 ‘문학과 공동체’ 단원에 수록되어 있었다. 이러한 단원 설계와 제재 배치로 인해 동아시아 문학이 한국 문학의범주를 확인하거나 동아시아 이주민들을 정형화하는데 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소리 차원에서는 서술 이데올로기와 삽화가 주 분석 대상이 되었는데 관점 차원과 마찬가지로 순(純)국문학의 개념이 여전히 강고하게 자리한 가운데 많은 서술과 삽화들이 동아시아/동아시아인에 대한 관습적 스테레오 타입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작업 차원에서는 학습활동이 분석되었는데 분석 결과 대부분의 동아시아 문학이 사회적 담론 생성을 위한 도구/자료로 처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아시아인들을 소수자로 낙인찍는 활동들과 함께 한국 문학의배타적 우월성을 확인하는 활동들 역시 다수 포착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토대하여 향후동아시아 문학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을 시도하였다. 관점 차원에서는 기계적 단원 설정및 동아시아 문학 제재 배치를 지양하고 서정과 서사, 고전과 현대 작품 사이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목소리 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개념에 대한 실체론적 관점을 지양하고동역학적 관점을 채택할 것을 제안하는 한편 동아시아인들을 다문화 문제의 유발자로 처리하는서술과 삽화의 신속한 조정을 제안하였다. 활동 차원에서는 동아시아 문학 작품들에 대한 상호문화적 독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상호문화적 감수성이 형성될 수 있음을 논구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ast Asian literature as the middle point between the world literature and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ried to explore the possible role of the concept of East Asian literature in literature education. The aspect of East Asian literature in textbooks has been analyzed with perspective/voice/ work analysis framework. The concept of East Asian Literature was defined as the literature on which the peculiarity of the countries in East Asia or the relationship specificity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led the way. Based on these definitions, 29 pieces of works which can be classified as East Asian literature among the texts included in 11 kinds of literary textbooks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East Asian literature education. On the view dimension, we proposed a direction to eliminate the imbalance between lyricism, narrative, classical and contemporary works by avoiding the setting of mechanical unit and arrangement of East Asian literature. On the voice dimension, we proposed not to take a substantive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Korean literature but instead to adopt a dynamic viewpoint, while suggesting the rapid adjustment of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that treat East Asian people as motivators of multi-cultural problems. On the activity dimension, we proposed intercultural literacy for East Asian literary works and argued that true intercultural sensitivity can be formed through them.

      •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전망과 과제

        현오석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Economic relations of countries with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been getting stronger in recent years. With China that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s a central forc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increased the share of intra-regional trade in their trade. On the investment front, for some years, intra-regional investment was mostly concentrated on China. However, in recent years,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looking for more investment opportunities following China. The East Asian region is also more actively working on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FTAs) than any other continent on the globe. Countries in this region have shown a great interest in establishing an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EAFTA) bringing the whole East Asian region into a single economic zone based on current regional FTAs.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an EAFTA may be realized by 2008. If an EAFTA was concluded, its economic scale would surpass that of the North Atr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and resulting effects would be much considerab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at an EAFTA would be created by simply integrating various regional or bilateral FTAs to form a single economic community. The degree and scope of liberalization in the ASEAN integration model that has been suggested so far has turned out to be not enough to lead to an EAFTA. Therefore, it is more realistic that an EAFTA can be eventually materialized through establishing a China-ASEAN FTA, Korea-ASEAN FTA and Japan-ASEAN FTA, to which a Korea-Japan FTA, Korea-China FTA and China-Japan FTA are added.Bilateral FTAs which are now underway should serve as a foundation in creating an EAFTA. Furthermore, if these bilateral FTAs were to serve as a springboard in establishing an Asian economic community,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to be tackled before achieving that goal. First of all, bilateral FTAs that are currently underway should be developed into more comprehensive ones. Simultaneously, mutual conformity of each individual FTA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the scope of FTA negotiations should include not only liberalization of commodities, but also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services, investment,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mpetition policies, and economic cooperation, etc. What'smore, there must be more efforts to reduce the length of exception list in the liberalizationof commodities and the service sector. As there is an enormous gap in the national income among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y have different industrial structures, it would not be easy for a simple horizontal integration to help achieve such a comprehensive FTA down the road.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e to provide assistance programs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o find a way for a mutual existence in the area of agriculture, the biggest obstac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intra-regional FTA. For individual countriesin the region, they should take a more positive action to facilitate restructuring of less competitive industrie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nsensus on the scope of participation in the EAFTA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like the US. Although the scope of an EAFTA will first include the ASEAN plus three, which groups ASEAN with Korea, China and Japan, the settlement should be made about its relationships with the US, Oceania, and India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conomy and security of the East Asian region. There are substantial political and economic obstacles standing in the way of realizing EAFTA. Politically, the perception of a common destiny and regional identit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East Asia Mistrust between China and Japan, arising from historyand the emerging rivalry for Asian leadership, may be difficult to overcome in the immediate future. Economically, because of the wide differences in development levels and different ambitions for liberalization, the regional countries will want to open up at different paces and protect different sensitive sectors. These are difficult challenges. But judging from the experience of regionalism elsewhere, they should not be insurmountable. 최근 동아시아지역 내에서는 경제적 밀접도가 점점 높아가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은 역내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투자 또한 그 동안 중국에 집중 되었지만 최근에는 중국에서 탈피, 여타 ASEAN 국가로의 투자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동아시아 지역은 또한 현재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양자간 자유무역협정 (FT A: Free Trade Agreement)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내 양자간 FTA를 바탕 으로 동아시아 전체를 하나로 묶는 FTA. 즉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 (EAFTA: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08년쯤이면 EAFTA가 실현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EAFTA가 실현된다면 그 경제 규모는 현재 NAFTA를 능가하는 수준이며, 그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지금의 동아시아 역내 국가 간의 FTA가 EAFTA로 확대 발전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ASEAN 통합 모델을보면 자유화 정도나 그 포괄범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어서 EAFTA로 이어지기에는 매우미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AFTA는 결국 중-ASEAN, 일-ASEAN, 한-ASEAN이 체결되고 여기에 한 일, 한-중과 함께 중-일이 통합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양자간 FTA가 EAFTA의 기반이 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아시아공동체」구축의 출발점이 되려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현재 진행되고있는 양자간 FTA는 한 층 더 높은 수준의 FTA되어야 하고, 동시에 각 FTA 상호간의 정합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FTA 대상에 상품자유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경쟁정책, 경제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합할 필요가 있으며, 상풍 및 서비스 분야의 자유화 수준 또한 예외를 최소한으로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현재 동아시아 내에서는 국가별 소득 수준의 차이가 심하고 산업구조도 상이하여 단순한 수평적 결합으로는 높은 수준의 FTA체결이 어렵다. 저개발국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이나 역내 FTA 체결에 가장 큰 걸림돌인 농산물 분야에서 상호 공존 방안도 찾아야 할것이다. 국가별로는 취약한 산업분야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EAFTA 참여 범위와 향후 미국 등 역외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EAFTA의 범위가 우선적으로는 ASEAN+3이 되겠지만 경제적으로나 안보적으로나 동아시아에 영향력이 큰 미국, 대양주, 인도 등에 대한 관계도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EAFTA를 실현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정치적, 경제적인 장애물도 있다. 정치적으로는 동아시아내 국가들은 아직 공동 목표와 지역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게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다. 역사 문제와 아시아 리더에 대한 라이벌 의식에서 야기되는 중국과 일본 간의 불신도 가까운 장래에 극복되기 어려울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 경제적 발전 수준이나 자유화 요구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고 있어 이들 각국이 원하는 개방 속도나 민감 분야가 국가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 이처럼 EAFTA 실현에는 많은 어려운 과제들이 많지만, 여타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주의를 감안한다면 이런 과제들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제도화 : ASEAN의 인식과 전략

        변창구(Byeon Chang-gu)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2

        현재 동아시아공동체에 관한 담론과 그 제도화 논의의 중심에는 ASEAN이 있다. ASEAN은 이미 1990년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전 총리가 EAEG(East Asian Economic Group)를 제안한 이래,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를 계기로 APT(ASEAN Plus Three)정상회의를 시작하고 나아가 EAS(East Asia Summit)를 출범시키는 등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을 위한 초기 제도화과정을 주도하면서 상당히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ASEAN이 동아시아 지역통합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떠한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향후 동아시아 공동체의 제도화 진전과 그 향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한 ASEAN의 기본적 인식은 역내(동남아시아) 및 역외(동아시아) 차원에서 이중적인 지역통합정책, 즉 ‘대내적 심화’와 ‘대외적 확산’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다. 다만 그 비중은 역내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AC(ASEAN Community)의 건설에 있으며, AC를 바탕으로 동아시아공동체의 제도화를 진전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동아시아공동체는 참여국의 주권과 자율성이 존중되는 가운데 강대국의 패권적 지배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데, 이는 ASEAN의 성공적인 동남아지역통합의 경험을 반영하는 것인 동시에, 동북아 3국에 비해 상대적 약자의 입장에 있는 동남아 국가들의 강한 국익보호의식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기본적 인식하에 ASEAN은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제도화과정에서 몇 가지 전략을 구사하여 왔는데 그것은 첫째, ASEAN이 일차적 추진력과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 둘째, 강대국간의 균형을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리를 극대화시키는 것 셋째, ASEAN 방식(ASEAN way)에 의해서 동아시아공동체를 추진하는 것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특히 지역통합전략으로서의 ASEAN 방식은 동남아시아의 어려운 통합여건에도 불구하고 구성주의적 접근법으로 공동체에 필요한 ‘우리 의식’과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성공적인 통합을 추진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사한 통합환경에 있는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적지 않은 함의를 던져주고 있다. ASEAN's perceptions and its strategies to build an East Asian Commun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ASEAN has always played a leading role in reg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The Prime Minister Mahathir Muhamad of Malaysia in 1990 proposed EAEG(East Asian Economic Group), since then ASEAN has hosted a number of key forums of regional cooperation, including APT(ASEAN Plus Three), EAS(East Asia Summit), and ARF(ASEAN Regional Forum) etc. In the perspective of ASEAN, AC(ASEAN Community) is more important than East Asian Community, and so the latter must not be disturbed the former in community building processes. And ASEAN's strategies toward the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re as followers. In the first, ASEAN intends to keep continuously a driving force in East Asian integrating process in order to protect its own interest. Secondly ASEAN strives after balance of power among regional big powers such as China, Japan United States, and at the same time seek for its material interests from them. Thirdly ASEAN intends to develop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course on 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by using ASEAN way, which is a unique integration approach among ASEAN member countries. In conclusion ASEAN's success story in Southeast Asian integration is a model of a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ASEAN as the driving force of 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is still important, but ASEAN's ability to keep it will depend on how effectively it continues to manage its differences as well as its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