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이지원,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For this, a total of 201 undergraduates(114 males, 8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strengths knowledge, strengths use, career identity,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23.0, and two-step approach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AMOS 20.0.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tested with a bootstrap procedu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findings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all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s a result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engths knowled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strengths use showed positive effects on career identity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and career ident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significantly. There were mediation effects of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And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and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 수준의 관계에서 강점활용 및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01명(남 114명, 여 87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SPSS 23.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0.0을 활용하여 2단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Bootstrap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강점인식은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강점인식은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강점활용은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즉,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는 강점활용 및 진로정체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ootstrap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어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대학생 상담 실제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s for research subjects,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3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excluding 7 which were inappropriately or incompletely answered, 29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verific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econd, in the analysis of subjective happines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der among the factors of environment and personality, and in gender, school year,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mong the factors of life events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hird, among sub fa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he factor of environment and personality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sub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peer relationship, while factors of life events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had an influence on both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peer relationship among the sub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enhance subjective happiness of students by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various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and by providing differentiated leisure programs, realistic an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taken. 본 연구는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서울지역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을 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회수결과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7부의 설문을 제외한 총 293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대학생활만족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분석 결과 주변환경 및 성격 요인에서는 성별, 생활사건 및 활동참여 요인에서는 성별, 학년, 참여빈도 모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주변환경 및 성격요인은 대학생활만족의 하위요인인 학교만족과 교우관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생활사건 및 활동참여 요인이 대학생활만족의 하위요인 중 학교만족, 교우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다양하고 활발한 여가활동 참여유도와 차별화된 여가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대학생활만족을 높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아효능감과의관계

        조결자 ( Kyoul Ja Cho ),박순복 ( Soon Bok Park ),이명희 ( Myung Hee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연변 Y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변수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볼 때 자신에 대해 갖는 개인의 인지와 감정의 총체를 말하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기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개인이 자기 자신에게 내리는 평가를 의미한다. 연구 대상자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은 평균 3.40 (±.31)점으로 나타나 Lee (2006)는 대학생5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체 자아존중감 평균 3.55점보다 다소 낮았다. 그리고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BMI의 경우 23-24.9 (과체중)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가족 수는 4명 이상이 3명 이하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으며, 어머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습성적이 상위권일수록 자아존중감은 더 높았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고, 경제수준이 높고 부모와 동거하는 핵가족 형태의 대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연구 결과(Lee, 2006)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Kwon & Oh, 2004)는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Park (2000)은 대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대학생활 적응 정도가 높은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학습성적이 상위권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Rosenberg (1985)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청소년들은 불안하고, 우울하며,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고, 그들은 높은 이상을 가지고는 있으나 선택한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능이 부족한 것으로 자신을 보기 때문에 결코 그들이 원했던 성공이나 더 좋은 직업을 얻으려고하지 않는 반면에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청소년들은 자기표현에 대한 능력, 자기확신, 인내, 잠재적인 지도력, 재주, 지능과 숙련도, 좋은 인상을 주는 능력, 사회적인 기술, 실용적인 기술 등의 특성을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가족기능은 Smilkstein (1984)의 family APGAR인 가족의 적응(adaptation), 협력(partnership), 성장(growth), 애정(affection), 융화(resolve)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연구 대상자들이 지각한 가족기능은 평균 2.32 (±.49)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간호학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았다. 대학생들의 진로문제나 가치갈등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가족관계 문제를 가지고 있다(Jang, 1998)는 보고와 Yang (2001)은8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족개념에 대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가족을 사랑을 나누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으면서 비혈연이라도 애정을 나누는 관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때 대학생들은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모, 형제자매의 의사소통 등 상호작용이 원활해지게 되고 가족 간의 소속감과 신뢰감이 높아지게 되면 대학생들은 부모의 기대에 걸맞게 행동하려고 노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Kim (2008)은 만성질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담감이 적고 삶의 질이 높음을 보고하고 있어 가족기능이 높을 수록가족에게 문제가 있거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경우에 가족 간에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회의 가족기능(APGAR) 점수로 가족기능을 진단할 수는 없는데, 모든 가족은 문제가 더 심각할 때도 있고 또 문제가 해결되어 만족도가 높을 때가 있기 때문에 가족기능은 어느 정도의 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Cho et al., 2005)는 것을 감안할 수 있으며 가족기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자기효능감은 평균 2.93 (±.29)점으로, BMI가 18.6-22.9과체중인 경우와 간호학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경우일수록 자아효능감이 더 높았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할 때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인 동시에 신념이다(Bandura, 1977).Park (2003)은 4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고한 보고와 Chartrand, Camp와 McFadden (1992)은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적응의 예측변수라는 것을 밝히고 있어 본 연구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또한 Zhang과 Richarde (1999)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동기가 높은 사람은 더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고, Shin (2007)은 대학생37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Bandura (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 네 가지 정보원에 의해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여러 경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데, 주로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동기가 높은 사람은 더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고, Shin (2007)은 대학생37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Bandura (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 네 가지 정보원에 의해 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여러 경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데, 주로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 수를 크게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경우 어머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이 높고, 간호학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과 자아효능감이 높음을 볼 때 가족 내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BMI와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과의 관계는 선행연구가 없어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자신의 능력, 중요성 등 자신의 가치성을 평가,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인생의 전 단계에서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인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며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o surve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supplemental data useful in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ir adjustment touniversity life.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03 Chi-neseundergraduate studentsin one university in Jilin, Chin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Duncan`s test and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Mean scores were 3.40 for self-esteem, 2.32 for family function, and 2.93 for self-efficacy. The score for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body mass index (BMI), family number, education level of mother, and course of study. The mean score for family fun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ursing satisfaction.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MI and nursing satisfaction. Positive correlations were evident betwee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Conclusions: To promot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support family function is prudent.

      • KCI등재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 개발 및 효과

        방희원,조규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urse dealing with life in university and career explor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its impac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a pre-post-test of each variable was conducted on 297 students in the course of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at D University in Busan, and data of 195 people who responded to both pre-post-test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subjec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Thir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mplies that a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subject positively affects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pports systematic career exploration through self-understanding, career world understanding, career/job information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career goal setting and execution, and career development. Ultimately, such a subject can be considered as successful in helping students adapt to university life.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th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ubject focused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can be the basis for future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과목이 진로발달 관련 변인인 대학생활적응,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 소재 D대학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 수강자 297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사전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 모두 응답한 19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은대학생의 진로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은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는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기이해, 직업세계 이해 및 진로/직업정보탐색과 진로의사결정, 진로목표설정 및 실행, 경력개발을 통한 체계적인진로탐색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관련한 진로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은 향후 진로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토대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외로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와 유튜브과의존의 이중매개효과

        윤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느끼는 외로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서 자기통제와 유튜브과의존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1~4학년에 재학중인 대학생 49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UCLA외로움척도, 자기통제척도, 유튜브과의존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46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기술통계, Pearson상관 분석을 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6를 이용해 이중매개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외로움과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 유튜브과의존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외로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와 유튜브과의존은 각각 개별매개효과가 있었고, 외로움이 자기통제와 유튜브과의존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를 투입한 후에도 외로움과 대학생활적응의 직접효과가유의하였으므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 또한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대학생이 외로움이라는 정서를 느낄 때 자신이 처한 어려움이나 자신의 주변상황을 잘 통제할 수 없을 것으로 지각하게 되어 이것을 회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유튜브를 과의존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결국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는 것을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행복하고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위해 이들의 친밀한 대인관계와 유대감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지원 및 자기통제력을 높여줄 수 있는 개입과, 유튜브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loneliness on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examine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YouTube over-depende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498 college students in grades 1 to 4 nationwid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UCLA Loneliness Scale, Self-Control Scale, YouTube Over-Dependence Scal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Scale.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468 data after excluding non-responding data using SPSS 21.0, and a serial mediating effect was calculat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6. Results First, lonelin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self-control, and YouTube dependence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college adaptation, self-control and YouTube over-dependence had individual mediating effect, respectively, and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affecting college adaptation through self-control and YouTube over-dependence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Even after adding mediators, the direct effects of loneliness and college adaptation were significant,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when college students feel lonely, they perceive that they are not in control of their difficulties or their surroundings, which leads to their overdependent use of YouTube as a way to avoid this, and eventually have difficulty adapting to college lif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intervention that can increase their self-control and support programs for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bonds for college students to live happily and adaptively in college. Additionally, the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them to control use of YouTube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원철(Weon-Cheol Jeong),김진영(Jin-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일부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8명(남학생 61명, 여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 성별과 학년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고,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임이 드러났다. 특히 우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 또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접근들 못지않게 장애대학생을 둘러싼 사회적지지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epress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SWD) and their adjustment of campus life. For the purpose of the reas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SWD from questionaries in Bus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grade and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justing campus life of SWD.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SWD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of campus life. Social support of SWD also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of campus lif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of SWD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epression of SWD and their adjustment of campus life. This study verified tha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djusting level in college life of SWD, it was as important to make social support to be delivered at SWD as decreasing the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SWD. Finally, the authors suggested som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his study question and remark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연실(Yonsil Lee),이명희(Myounghee Lee)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368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은 성별, 연령,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셀프리더십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이론적 기초자료에 필요한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368 nursing students,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grad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had an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necessary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oretical basic data to improve positi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현혜순,김윤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06월부터 2022년 08월까지 A시와 D시에 위치한 지역의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학생의 우울 점수는 평균 0.45점, 대인관계 만족도는 3.73점,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34점이었다. 대상자의 우울은 학년(F=5.252,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664, p<.001), 거주형태(F=3.171, p=.025)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인관계 만족도는 연령(t=2.755,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953, p<.001), 거주형태(F=7.64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연령(t=3.362, p=.001), 주관적 건강상태(t=4.080, p<.001), 학업 성적(F=9.642, p<.001), 흡연(t= 2.384, p=.01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우울(r=-0.314, p<.001), 대인관계 만족도(r=-0.447, p< .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해 대학생활 요소 중 우울 감소와 대인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대학생의 경력계획이 고용가능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

        이종찬,이종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 of career planning, major commitment, employability, and creativity for the desirable career development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of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planning upon employability and creativity,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major commitment. For this, with 491 students of 4 year-course university as study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est for norma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planning had a positive effect upon major commitment. Second, career planning had a positive effect upon employability. Third, career planning also had a positive effect upon creativity. Fourth, major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upon employability. Fifth, major commitment also had a positive effect upon creativity. Sixth, the mediation effect of major commitment was valid in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planning and employability and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reativity. In short, it was proved once university students establish self-directed career planning and are motivated to major commitment, they can grow up as creative human resources with high employability in employment.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the aspect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universities' creative human resourc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바람직한 경력개발과 창의인재 양성차원에서 경력계획, 전공몰입, 고용가능성, 창의성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결과를 참조하여 대학생의 경력계획이 고용가능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4년제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정규성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경력계획은 전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경력계획은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경력계획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전공몰입은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전공몰입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경력계획이 고용가능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전공몰입은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대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본인의 경력계획을 수립하여 능동적인 대학생활과 전공몰입에 동기부여가 된다면 취업에 유리한 고용가능성과 창의성을 가진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이론적 시사점과 아울러 대학과 대학생에게 보다 실질적인 경력개발과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및 가치관에 따른 대학생활의 만족도차이에 관한 연구 - K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을 중심으로(2013년~2016년) -

        박수진,구영애,오윤자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1

        대학생 시기는 학교 교육을 마치고 사회로 진출하는 준비과정으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인데 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은 학업과 진로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되어도 학교 내에서는 적극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 대학생들의 복지를 위한 시설과 제도가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진로결정에 관한 문제는 대학생들에게는 더욱 절실하고 구체적인 과제로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이 늘어나게 되 면서 자퇴, 전과, 편입, 공무원 준비 등 진로변경을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와 가치관의 변화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 선택과 결정에 도움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에서 보다 효과적 으로 대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적 맥락을 고려한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과 진로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진로지도 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대학생의 진로, 가치관, 대학생활 만족 도에 대한 주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둘째, 연도별(2013~2016년) 대학생의 진로와 가치관의 변화 및 대학생활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2016년 최신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와 가치관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대학생들은 행복한 가정과 경제적 안정도 중요하지 만 무엇보다 건강을 인생의 행복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공적인 진로 및 취 업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전공에 대한 중요성과 경계가 허물어지고 대학생활에서 본인의 의 지만으로 언제 어디서든 교육을 통해 대학생 본인의 의지대로 진로방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성 과 흥미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진로결정을 위하여 자신의 특성 및 적성을 알아보 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 취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한 후,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현장 체 험 및 실습과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자신의 특성 및 적성을 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 취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습득 한 후,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현장 체험 및 실습과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ven though university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in life as a preparation process of advancing into society after completing the school education, there are insufficient facility and system for welfare of university students as schools not being able to provide active help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going through various difficulties with studies and career. Specially, the issue of career decision is a more urgent and specific matter to university students that a phenomenon of changing course as dropping out of school, changing major, transfer, and preparing for civil service is happening more frequently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career decision. Therefore,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changes in career, values, and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university lif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an help with selection and decision of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in counseling and career-decision making that considered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contex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obtain implications of career guidance strategy. First,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reviewed the key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studies on career, values, and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university life, secondly, difference in career, value, and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university life was investigated by year(2013∼2016), and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 in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ir value based on the latest data of 2016.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health most importantly for happiness of life than happy family and economic stability, and in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of successful career and employment, they placed a high importance on aptitude and interest because the boundary of importance of major crumbled down and they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career by their own will through education anywhere and at any time.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look into their characteristics and aptitude for career decision, acquire various information on the right career and employment for them, and put effort to decide their career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s field experience and education before they decide their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