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출 방법에 따른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의 정미성분 및 항산화 특성

        이현정,유하나,이현규,Hyun Jung Lee,Ha Na Ryoo,Hyeon Gyu Le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추출 수율 및 소재의 풍미를 높일 수 있는 EE와 CE를 통해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정미 성분인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당류와 항산화 특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TPC, TFC를 비교분석하여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의 업사이클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명일엽 착즙박은 EE가, 돌미나리 착즙박은 CE가 더 높은 추출 효율을 가졌으며, 착즙 전 원물로 제조한 추출물에 비해 높은 추출 효율을 나타냈다. AKEE의 주요 아미노산은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AKCE의 주요 아미노산은 valine, alanine, aspartic acid 이다. OJEE의 주요 아미노산은 leucine, aspartic acid, arginine, OJCE의 주요 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arginine으로 추출물의 특성에 맞게 사용한다면 식품의 풍미 향상과 더불어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산과 당류 함량은 명일엽, 돌미나리 착즙박 공통적으로 CE의 추출 효율이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라 유기산 및 당류의 조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신맛과 단맛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며 산도 조절과 같은 기능적 특성도 예상할 수 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PC 함량은 명일엽, 돌미나리 착즙박 공통적으로 CE의 추출 효율이 높았다. 이는 CE에 사용한 에탄올과 페놀성 화합물이 반응하여 추출 함량이 증대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질수록 DPPH라디칼 소거능이 높아지고 있어 양의 상관관계 성립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착즙 전 원물 추출물 대비 착즙박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다소 낮은 수준이므로 사용량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TFC 함량은 명일엽 착즙박 추출물은 CE 대비 EE 에서 더 높은 추출 효율을 가지지만,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에서는 EE와 CE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게 나타났다. 이는, 착즙박 추출물에 가해진 효소의 활성 조건이 착즙박의 세포벽 결합 구조를 파괴하여 플라보노이드의 추출을 유도할 때 AKEE에서는 적합하였지만, OJEE에서는 부적합하여 다른 경향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명일엽과 돌미나리 녹즙 제조 후 생성되는 착즙박을 활용한 추출물의 정미 성분과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고 고부가가치 소재의 이용성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용화를 위한 구체적 연구개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pcycling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Oenanthe javanica juice by-products through comparing enzyme extraction (EE) and complex extraction (CE) methods to increase the extraction yield and flavor of materials. A higher extraction yield was obtained for free amino acid content with EE and CE for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respectively, and a higher extraction efficiency was achieved with juice by-products than with extracts prepared from raw materials before juice production. The content of major amino acids varied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used. When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 their use as a functional material was confirmed along with improvement in the flavor of the food. Consistently high extraction yields for organic acid and sugar levels were obtained with CE in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TPC were consistently high with CE in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e increase in extracted content was likely because of the reaction between the ethanol used for CE and the phenolic compounds. However, becaus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juice by-product extract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extracts from raw materials before juice production, the amount used should be reviewed. The TFC was found to be higher in extracts obtained with EE than with CE for A. keiskei juice by-produc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EE and CE in the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rough this study, the tast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btained from juice by-products produced after the production of A. keiskei and O. javanica green juice were analyzed, and the availability of high value-added materials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expanding specific R&D for practical use should be explored.

      • KCI등재후보

        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과 회복탄력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이현정(Hyeon-Jung Lee),강경민(Kyoung-Min Kang),이유진(Yu-Jin Lee),이효진(Hyo-Jin Lee),최희지(Hee-Ji Choi),하미현(Mi-Hyeon Ha),이병호(Byung-Ho Lee)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19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7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emotional labor. Methods: For this study, 198 dental hygienist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4.0 program. Results: We obtained the next results. First, sub-factor of resilience that has affected emotional labor is emotion control(β=-.281) and relationship (β=.142), R2=.088. Second,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has affected emotional labor is regulation of emotion(β=-.218) and other s emotion appraisal(β=.171), R2=.063. Conclusion: These result indicates that in order to reduce the emotional labor of dental hygieni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programs considering emotion control, relationship, regulation of emotion and other s emotion appraisal.

      • KCI등재

        대학생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소통과제’ 소개 및 결과물 사례 연구 : 인천대학교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현정(Lee Hye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인천대학교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수업에서 제시하는 ‘소통과제’를 소개하고, 수강생들이 제출한 소통과제 결과물과 설문조사를 통해 소통과제가 대학생들의 소통 능력에 어떤 도움이 되고 있는지 그 성과 및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9년 2학기와 2020년 1, 2학기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수강생들이 제출한 201편의 소통과제 결과물 중 정성평가 방법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형식과 내용으로 나누고, 내용은 처음-중간-끝으로 구분하여 불통의 원인, 감정 및 태도의 변화, 과제 후 느낀점을 분석하였다. 보조적으로 같은 수강생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Google 드라이브의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이용해 ‘소통과제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고, 회신된 130명의 응답률을 통해 수강생들의 만족도 및 소견을 참조하였다. 결과 소통과제는 자신과 소통이 필요한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소통이 잘 안 된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과 소통을 시도해서 한 학기 동안 그 사람과의 소통 과정 및 느낀 점을 리포트 형식으로 작성하는 과제이다. 학생들의 소통과제 결과물과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소통과제의 성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학습에 그칠 수 있는 소통의 개념 및 방법, 소통의 중요성 등을 학생들 스스로가 일상에서 소통 대상과 직접 부딪히고 체감하면서 깨달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타자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는 용기와 상대방과의 갈등해결능력을 향상시키며, 경청과 칭찬, 작은 정성과 웃음, 나-전달법과 인정의 법칙 등으로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상호 존중하며 타자와 연대하는 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소통 과정을 리포트로 작성하고 증거 자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문서작성능력을 향상시키고, 소통 과정과 자기 내면의 감정 변화를 기록하는 성찰적 글쓰기로 대학생들의 진정한 내적 성장을 도모해 주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종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실질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학 교양교육의 방법이나 방향을 넓히는 동시에 학습자 중심의 교과 교육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ommunication system” presented i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class, and to reveal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tasks through the results and surveys submitted by students. Methods Among the 201 results of communication tasks submitted by the students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nd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the case was selected as a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A “Communication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ame students using the Google Drive survey program from August 30 to December 31, 2020, and the response rate of 130 respondents referred to their satisfaction and feedback. Results The communication task is about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a person who is regarded as having bad communication even in the relationship in need of communication with themselves, and then writing a report on the communication process with the relevant person and feelings during a semester. The performance and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task are as follow. First, the students realized the concept, methods, and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ich could be simply regarded as theoretical learning, by directly facing and experiencing the target of communication in daily life. Second, it was helpful for improving the courage to approach the other first, an ability to solve conflicts with the counterpart,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respect and solidarity by using the intent listening, praise, small sincerity, laugh, I-message, and the law of recognition. Third, the process of writing a report on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inserting evidential materials improved their abilities to write documents while the reflective writing to record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their internal emotional changes promoted the true internal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broaden the methods or direction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t a time when practical and diverse methods are required to foster comprehensive communication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hile helping to study learner-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노화된 몸에 대한 인식 및 형상화 방식 연구

        이현정(Lee, Hyeon-Jung)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이 글은 한국 현대 노년시 연구의 일환으로, 노년시에 나타난 ‘노화된 몸’에 주목하여 노년시의 주체가 몸의 각 기관의 노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서의 시적 대응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외견상의 노화된 몸’에 대한 사유는 발화주체가 노년인 시에서 더 직접적이며 사실적으로 발화되고 있다. ‘외견 상의 노화된 몸’은 늙음을 인정하게 되는 주요 요인이며, 그 노화된 놈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 이미지나 비유를 통해 비탄의 감정으로 드러나는가 하면, 긍정적 표현을 통해 노년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예찬하기도 한다. ‘감각기관의 노화’는 시인들이 가장 안타까워하는 노화이며, 고령의 시인들은 그들이 시인으로서 더는 시적 대상을 감각할 수 없을까 봐 몹시 두려워한다. 그중 청각의 노화는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큰 장애가 되는 요인이고, 그로 인해 느끼는 노인의 소외감이 표현되고 있지만, 노년시의 주체들은 청각의 노화로 심한 갈등을 겪기보다는 스스로 그러한 몸의 노화를 수긍하는 자세를 보인다. 한편 시각의 노화는 생활의 불편함을 가져오고 때론 위험한 일을 겪게도 하지만, 오히려 잘 보이지 않는 현상을 새로운 시각적 경험으로 받아들이면서 그 세계를 다시 감각하는 시적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골조직의 노화’에 대한 사유는, 골조직의 노화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젊은이들의 건강하고 빠른 걸음과 대비함으로써 노화된 몸의 고통을 부각하는 한편, 젊은이들에게 건강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마음을 가지게 하고 있다. 또한, 골조 직이 노화된 몸을 우대받고자 하는 마음보다 타인에게 배려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태도를 보여주거나, 골조직의 노화가 주는 고통과 죽음에 대한 공포를 유희적 표현으로 무마하고 있는 노년시도 있다. ‘비뇨기관 및 생식기관의 노화’는 노년들이 몸의 노화에 있어 가장 수치심을 많이 느끼는 부분인 만큼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비뇨기관및 생식기관의 노화’에 대한 사유는, 그것이 결코 수치스러운 모습이 아니라 처음으로 돌아가는 한 과정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또한 ‘늙 음’이란 몸이 정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며, 그 상황에서 느끼게 되는 노년의 난감함과 당혹감은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결코 모를 감정임을 강조하면서, 노인들이 비뇨기관의 노화나 생식기관의 노화로 몸을 통제하지 못할 때, 함부로 노인들을 비하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한국 현대 노년시에 나타난 ‘노화된 몸’은 주체가 그것을 자연의 패러다임 속에서 하나의 순리로 받아들이고 있을 때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사회적 관계의 패러다임 속에서 퇴보되고 있다고 여길 때 소외감과 두려움의 발로가 되어 부정적 의미로 받아 들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how subjects of old age poems recognize senescence of each organ and how they embody it by focusing on ‘senescent body’ appearing in old age poems as a part of a study on modern old age poems of Korea, so it can show the poetic response in the aging society. The reasoning about ‘seemingly senescent body’ in modern old age poems of Korea is spoken more directly and realistically in poems whose utterance subjects are the old. The ‘seemingly senescent body’ is a major factor of admitting aging. The recognition about the senescent body is sometimes expressed as anguish through negative image or comparison, and some poems reveal the beauty and significance of old age through positive expression. ‘The senescence of sensory organs’ is the senescence that poets feel most regretful, and they are very afraid that they can t perceive poetic objects any more. Among the sensory organs, the senescence of hearing is the factor that becomes obstac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a sense of alienation as a result is expressed. However, the subjects of old age poems show the attitude of accepting senescence of body in stead of experiencing bitter conflict caused by the senescence of hearing. Meanwhile, the senescence of eyesight brings about inconvenience of life sometimes causing dangerous situations, but rather they accept the phenomenon of being unable to see well as a new visional experience, showing poetic talent that perceive the new world differently. The reasoning of ‘the senescence of bony tissue’ highlights the pain of senescent body by comparing the old with mobility difficulties to young people s healthy and fast walking. It also makes young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have understanding and thoughtfulness towards the old with mobility difficulties. In addition, there are some old age poems that show the attitude of considering others rather than wanting to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with their senescent bony tissue, or that appease the pain of senescent bony tissue and the fear of death with playful expression. The reasoning of ‘the senescence of urinary system and genital organ’ in modern age poems of Korea instills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ver shameful phenomenon but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beginning as it is the part that causes the worst humilation among other organs senescence. In addition, it emphasizes that ‘aging’ is the one that moves regardless of body and mind s intention, and that those who haven t experienced never know what the helplessness and embarrassment would be like. It conveys a message to not despise the old when they can t control their body due to senescence of urinary system or genital organ. In this context, the ‘senescent body’ described in Korean modern old age poems is admitted as a positive meaning when the subject takes it as a one of the way conforming the paradigm of nature, however, when the senescent body reflected to paradigm of social relations, subject of poem often takes it a feeling of alienation and fear of identity.

      • KCI등재

        연구논문 : 고령화 시대 한국의 복지 프로그램과 새로운 노년 주체의 형성: 서울 K복지관 도시락 배달사업의 사례

        이현정 ( Hyeon Jung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3

        고령화 사회에 직면하여 한국 사회의 노인복지담론과 실천은 새로운 노년 주체를 형성하는 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년의 행위자들은 이러한 담론과 실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들의 일상과 주체성을 구성해가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고자 연구자는 2013년 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서울시북부 지역에 위치한 K복지관의 도시락 배달사업에 매주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면서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행위와 태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총 28명의 노년 남성과 여성 및 관련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수혜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경제적 어려움’과‘신체적 불편함’의 기준은 국가기관 및 다양한 참여자의 논쟁과 협상을 통해 그 의미가 정해지며, 그 결과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틈새는 노년의 개인들이 복지정책의 공정성 및 형평성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둘째, 복지정책의 행정 편의주의는 문서로 표현될 수 없는 노년 개인의 복잡한 삶의 맥락들을 간과하고, 결과적으로 젠더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차별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셋째, 노년개인을 등급을 매기고 그에 따른 권리와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노인복지정책은 노년 집단 안에 새로운 형태의 위계와 차별을 생성하고 개인 간의 경쟁 관계를 조장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한국의 노인복지담론은 연령주의를 통해‘나이 듦에 있어서 의 평등’이데올로기를 확산시키지만, 복지정책의 실행 속에서 노년 주체는 더 많은 권리획득을 위해 기존의 차별 논리에 기대어 경쟁적 주체로 살아갈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이들의 삶은 노인복지담론이 지향하는 새로운 공동체적 가치와 삶의 방식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In the face of an aging society, how do the discourse and practice of welfare programs for the aged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new type of elderly subjects in South Korea? And how do the older actor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respond to the discourse and practice, and construct their daily lives and subjectiv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I observed the behavior and attitudes of program participant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of lunchbox delivery in a seniors’ welfare center located in northern Seoul from February 2013 to June 2014. I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28 male and female elderly participants and program activ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s of financial difficulty and physical discomfort, the two official criteria that determine beneficiaries of the welfare program for the aged, is ambiguous and open space for negotiation and debates among state agencies, program activists, and elderly candidates. Second, the administrative expediency of the welfare program tends to overlook the complex lived experiences of older individuals and as a result, contributes to reinforcing the social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class, and regional difference. Third, by investing the elderly with graduated subjectivity, th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contributes to creating a new type of hierarchy and discrimination and promotes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To conclude, although the welfare discourse for the aged propagates the ideology of‘equality in agedness’in the logic of ageism, it paradoxically promotes competitive elderly subjects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ultimately reducing the likelihood of building new communal values and modes of life for the elderly.

      • 기획논문1 : 구명숙의 여성주의 문학연구 성과

        이현정 ( Hyeon Jung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이 글은 숙명여자대학교 구명숙 교수의 퇴임을 앞두고, 그의 여성주의 문학연구의 성과를 되짚어보고 그 성격 및 지향점을 밝힘으로써 그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구명숙은 여성주의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러한 연구가 창작으로 이어져 여성주의 시를 꾸준히 발표하는 시인이기도 한데, 연구와 창작, 나아가 대내외적인 사회 활동에 이르기까지 구명숙의 여성주의에 대한 관심과 열정은 대단하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구명숙의 연구 논문 중 여성주의 문학에 대한 연구 논문 14편과 여성주의 문학 관련 저서 및 업적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구명숙의 여성주의 문학연구의 성격 및 지향점을 밝히고자 하였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의 연구 실적 중 가장 우수한 업적은 무엇보다 여러 곳에 산재해 있어 잊히거나 소외되었던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발굴하고 복원하여 수집·정리한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 전 6권을 발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업적은 그동안 한국 문학사에서 남성적 질서에 의해 가려져 있었던 여성작가들의 텍스트를 찾아내어 정당하게 재평가하는 데 이바지했으며, 더욱 활발하고 다양한 측면에서 여성주의 문학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한편, 구명숙의 여성주의 문학연구는 남녀의 전통적인 지배관계로 인해 여성이 얼마나 억압되고 부당한 삶을 살아왔는지에 대한 보고의 성격을 가진다. 그 보고는 여성 스스로 삶에 대한 자각에서 비롯된 ‘여성적 글쓰기’로 가능한 것이었다. 구명숙은 여성들이 주변인 혹은 타자로 인식되어 온 자신의 모습을 진지하게 들여다보면서 자기 정체성을 찾으려는 성찰적 관점에서 여성적 글쓰기를 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와 동시에 구명숙의 여성주의 문학연구가 중요시하는 것은 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다. 여성의 몸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생명을 잉태하고 양육하는 모성성을 회복하자는 것인데, 그러한 여성성과 모성성이야말로 상생과 공존,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는 새로운 세기의 비전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요컨대, 구명숙의 여성주의 문학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여성 스스로가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자아를 실현해가는 삶을 추구하고, 여성성과 모성성을 회복하여 화해와 용서로 성차별 문화를 극복하여 여성과 남성이 평등하고 조화로운 상생의 평화 세계를 이루며, 나아가 인간과 자연이 서로 조화롭게 공존하는 생명공동체의 세계를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complishments of Myongsook Goo`s feminist literary research, and to honor her academic legacy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before her retirement of professor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he has performed profound research with interest in feminist literature. The research continued to consistent creation of poems about feminist poems. Furthermore, her great passion about feminism led to various social activities not to mention research and creation. This study reviewed 14 research papers about feminism literature among her whole research papers, her literature books and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n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her feminist literary research.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prominent accomplishment is publishing 6 volumes of 『Korean Feminist Literary Materials』, in which she discovered forgotten or alienated female writers, restored their works and then collected and organized them. This accomplishment contributed to finding and re-evaluating female authors` texts that were hidden by male-dominated literary world, leading to vibrant feminist literary research in various aspects. Meanwhile, her feminist literary research reveals how oppressed and unfairly treated women have been by conventional male-dominated relationship. The revelation was made possible by ``feminist writing`` based on women`s own realization of their lives. She viewed it as self-reflective writing that women try to find their own identity by looking into their appearances perceived as marginal people or strangers. What her feminist literary research focuses on is new findings about femininity. It is to instill new meanings to a woman`s body and to recover maternity that give a birth and nurture. She considers the feminity and maternity as the new century`s vision that pursues coexistence, co-prosperity, harmony and peace. In short, what her feminist literary research aims is that women themselves pursue lives of active and independent self-realization through feminist writing, that women and men accomplish harmonious, equal and peaceful world together by overcoming gender-discriminating organizational culture with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along with recovering feminity and maternity, and that human and nature form the world of community of life by coexisting harmoniously.

      • KCI등재

        현대 중국 농촌의 시장개혁과 혼인관습의 변화: Jack Goody의 신부대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현정 ( Lee Hyeon J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7 韓國文化人類學 Vol.50 No.1

        중국 농촌의 혼인에서 신부대는 신랑의 친족과 신부의 친족 간에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경제적 거래이자 의례적 절차로서, 특히 아들을 둔 부모에게는 일생의 과제로 인식될 만큼 핵심적인 문제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중국에서 시장개혁이 진행되면서 신부대 가격이 급상승해왔다는 것을 보고해왔다. 또한 신부대가 첫 수령인인 신부의 부모에 의해서 사용되기보다는 시집가는 신부에게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신혼살림에 사용된다고 하였다. 오늘날 중국 농촌에서 신부대가 신부의 부모에 의해 신부에게 전달되는 양상은 인류학자 잭 구디의 `간접적인 지참금`의 개념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해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 허베이성 펑롱현에서의 수집한 민족지적 자료를 토대로, 과연 구디의 `간접적인 지참금` 개념이 오늘날 중국 농촌에서 나타나는 신부대 관습의 성격을 제대로 드러내고 있는지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구디의 `간접적인 지참금`이 중국 펑롱현의 신부대 관습을 설명하기에는 적절치 못한 개념이며, 나아가 오늘날 중국 농촌에서 딸과 친정부모 간의 관계가 변화해가는 것의 함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도록 이끈다고 주장한다. Brideprice is the most important economic transaction as well as ritual procedure between the kin of the groom and the kin of the bride in the marriage of rural China. It is also a serious burden for the parents who have a son, even regarded as a life-long task. Scholars have commonly reported that brideprice in rural China has risen sharply since market reforms. It is also said that although the bride`s parents are the first recipient of brideprice, today the parents give it to the bride so that she can use it as part of a conjugal fund. This change reminds me of the concept of “indirect dowry” proposed by Jack Goody. Thus, I analyze whether “indirect dowry” can explain the custom of brideprice in today`s rural China through ethnographic data collected in Feng Long County in Hebei Province.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concept of indirect dowry is inadequate for explaining Chinese brideprice practices; it rather tends to keep us from understanding the actual implications of the changing custom in rural China today.

      • KCI등재

        연구논문 : 1991∼2010년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우울증 담론의 변화와 그 문화적 함의

        이현정 ( Hyeon Jung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1

        최근 한국 사회에서 자살률 증가와 더불어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사회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한가지 시도로서 지난 20년간 한국 신문기사에서 우울증을 다루어 온 방식과 시각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본다. 연구자는 1991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한국의 다섯 개 주요 일간지(조선, 동아, 국민, 경향, 한겨레)의 전체 기사 중 제목에 ‘우울증’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검색 프로그램(KINDS)을 이용하여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총 958개의 기사를 획득하였다. 이 기사들을 정해진 유목에 따라 Excel 2007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빈도 분석한 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지난 20년간 제목에 우울증을 포함한 기사 수는 1996년과 2005년 두 번의 시기에 크게 급증하였으며, 이러한 급증의 배경에는 국가적 규모의 사고와 IMF 구조조정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1996) 및 유명 연예인의 자살사건(2005)이 주된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지난 20년간 우울증 기사는 우울증 환자의 ‘폭력적’이고 ‘비정상적’인 사건을 드러내는 ‘사건 보도’의 성격으로부터 점차 질병으로서의 우울증의 개념과 치료법 및 예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의 성격으로 변화되어 왔다. 셋째, 지난 20년간 우울증의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이 전체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별로 없었지만,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을 언급한 기사 수의 변화는 생의학적 연구결과를 포함한 기사 수나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 의견이 인용된 기사 수의 변화와 대체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자료 분석 결과로부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난 20년간 한국의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우울증은 단순히 의학적 질병을 넘어서 현대 한국인의 일상적 위험과 불안을 상징하는 사회적 은유로서 사용되고 있다. 둘째, 대중 독자의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는 매스미디어 담론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명 연예인과 관련된 우울증 기사는 특별히 집중 보도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후 매스미디어를 통한 우울증 담론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점차 ‘정보 제공’의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 우울증 기사들은 개인의 지속적인 자가진단과 관리에 의해서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거나 조기치료할 수 있다는 사고를 확산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통치 담론을 지지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우울증에 관한 기사가 점차 ‘과학’이나 ‘건강’과 같은 전문 섹션에서 다루어짐에 따라, 최신 과학적 실험 결과를 강조하는 생의학적 관점은 특히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increasing degree of social concern with depression today, this paper examines how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treated depress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KINDS(Korean Integrated Newspaper Database System), from which I selected a total of 958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from five daily newspapers between January 1, 1991 and December 31, 2010. The selected articles were cod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three main findings: Firs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the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has remarkab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wo contexts. The increase is associated with widespread socioeconomic anxiety in the mid-1990s, while it is also related to the shocking news of a celebrity`s suicide motivated by depression in the mid-2000s. Second, articles about depression have gradually focused more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and its treatment and prevention methods, rather than on recounting ``violent`` and ``exceptional`` episodes surrounding the victim of depression. Third,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have contained a consistent yet smaller proportion of biological/ genetic causes of depression every year, compared with that of the social causes. From these results, I discussed four cultural implications: First, in Korea`s mass media discours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epression is represented not merely as a medical disease but as a social metaphor that symbolizes everyday risks and anxiety among the Koreans. Second, articles about a celebrity`s illness experience tend to contribute to spreading a new type of depression discourse in Korean mass media. Third, articles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depression and its preventive methods reinforce neoliberal political discourse, particularly by spreading the idea that the risks of depression can be prevented by relevant self-diagnosis and self-management. Fourth, articles dealt with in the specialized section of health or science contribute to disseminating biomedical perspectives on depression, particularly by way of psychiatrist commentaries which highlight the results of recent scientific experiments.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친환경 항만정책의 도입 중요도 순위에 대한 연구

        이현정 ( Lee¸ Hyeon-jung ),이정욱 ( Lee¸ Jung-wook ),이향 ( Lee¸ Hyang-sook )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6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선진국의 항만들은 항만에 기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해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친환경 항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에서의 대기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친환경 정책의 중요도 순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AHP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학계, 하역사, 항만공사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AHP 구성요소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4개의 대요인, 16개의 세부요인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대요인의 우선순위는 선박정책, 하역정책, 트럭정책, 항만운영정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집단별로 구분할 경우 학계, 하역사, 항만공사 모두 선박정책을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나, 2순위 요인부터는 인식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의 우선순위는 선박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도입, 환경선박지수 도입, LNG선박 보급 및 벙커링 구축, LNG 트럭 전환사업 순으로 선박정책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친환경 항만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가장 먼저 시행되고 개선해야 할 정책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국내 항만들은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해외 선진항만 사례 벤치마킹, 이해관계자 간 협의 등을 통해 항만 내 대기질을 모니터링하고, 오염원을 규제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개발하며, 정책을 지속적으로 평가 및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ants has been rising around the world. Ports in advanced countries have introduced various policies to reduce air pollution caused by ports and interest in green ports has recently been on the rise. This study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licies to encourage Korean ports to apply proper and necessry policies. AHP methodology was employed and survey was conducted for different groups like academic circles, loading and unloading companies and port authority. AHP components consisted of four great factors and 16 detailed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As results, the priorities of major factors were ship policies, loading and unloading policies, truck policies, and port operation policies. All groups answered that ship policies were the most important, however differences occurred in perception of the second-highest factor. The priority of detailed factors was relatively high in ship exhaust post-processing system, followed by environmental ship indices, LNG ships and bunkering, and LNG tru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co-friendly port policies and guidelines for identifying which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near future, ports will need systems to monitor port air quality, develop various eco-friendly policies that can regulate pollutants, and continuously evaluate and supplement policies throu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licies, benchmarking overseas advanced ports, and consultation among major stak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