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기 전이에 따른 보상 및 비용, 사회적 양육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초임부의 출산 전·후를 중심으로

        한영숙 全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32300

        The period of transition to parenthood from the first pregnancy to parenting for about a year after birth is one of the most critical changes that married people have ever experienc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fects that costs and rewards of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of first-time mothers and social parenting support have on parenting stress associated with expectation before birth, reality after birth, and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birth. This study surveyed 217 women expecting their first child and 192 women whose first born is more or less than 6 months old amo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typical tendencies of costs and rewards of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social parenting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expectation for relationship reward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s of mothers before birth. According to the mothers' academic backgrounds, household earnings, and whether they have jobs or not, differences in expectation for support from the husband were shown. Support from the husband family was different according to household earnings. Differences in support from the husband were shown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s after birth. Depending on the child's sex, in the case of a boy child, relationship rewards and support from the husband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a girl child, the interruption of married life and typical stress due to parenting was different. Secondly, when the tendencies of costs and rewards of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social parenting support were examined, the real grades of rewards after birth were lower than expected for rewards before birth. However, in the case of costs, the real grades of the interruption of individual life after birth were higher than expected before birth. The real grades of the interruption of married life after birth were lower than expected before birth. Thirdly, as the relations between costs and rewards of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social parenting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were examined in reality after birth and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birth, parenting stress was reduced when mothers after birth had a greater awareness of individual rewards. Parenting stress increased when mothers had a greater awareness of the interruption of individual life and married life after birth. The less support mothers received from the husband and the husband family, the more parenting stress they had. In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birth, the bigger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rewards and support from the husband family were, the more the pressure and distress pertaining to the parental role increased. Fourthly, when the independent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ing stress of first-time mothers were examined, typical stress by parenting was influenced by expectation for individual rewards before birth, relationship rewards, the interruption of individual life and support from the husband family after birth, and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rewards, the interruption of individual life and support from the husband and the husband family between before and after birth. The pressure and distress pertaining to the parental role were influenced by expectation for individual rewards and relationship rewards before birth, individual rewards, relationship rewards, interruption of married life, support from the husband after birth, and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rewards, relationship rewards, and support from the husband family. The most convincing variable related to typical stress by parenting was the interruption of individual life, and the most convincing variable for the pressure and distress pertaining to the parental role was support from the husband family. This study meaningfully found out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parenting stress caused by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Especially, this study could obtain sources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by scrutinizing variables related to expectation before birth, reality after birth, and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birth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parenthood. Although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s one of the many periods in family life, a variety of factors before birth and after birth could influence parenting stress with different individual situations. Therefore,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processes to plan a birth and nourish a child in the periods of family life for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lso,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to search for ways to support the first-time mothers as basic materials to educate potential parents.

      •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Exploration of Systemic Chang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Treatment

        Jenks, David B Utah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15902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s change that alters the very structure of the family system. Families who engage in this transition are often in need of assistance as they navigate and attempt to manage the changes and challenges that arise. The biopsychosocial-spiritual model is a modality that helps providers more holistically examine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realms of life’s experiences. This model provides a valuable way to look at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understand some of the interactions taking place tha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allenges such as mental health concerns. The present dissertation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psychosocial-spiritual aspects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order to identify ways to help families in need during this transition. A model of therapy,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is identified and explored as a helpful technique to be used by providers tasked with working with families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 vignette is then used to explore how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can be used by providers working in a collaborative care setting with a couple navigat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Additionally, a sample of 161 couples aged 21 to 44 (M = 31.52, SD = 4.48) who have given birth or are currently pregnant during the perinatal period completed a questionnaire exploring the biopsychosocial-spiritual aspects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was u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fortitude and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the perinatal period as mediated by attitudes towards parenthood. Present findings highlighted the influence that spiritual fortitude has on the development of peri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s parenthood and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the perinatal period. Although not a mediating effect,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xamining how spiritual fortitude could serve as a buffer against mental health concerns during the perinatal period.

      •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1589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시기의 첫 자녀를 키우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기혼여성이 현재 지각하고 있는 부부관계, 즉, 배우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가 어머니가 된 자신의 부모기 전이 과정에 있어 부모로서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로서의 만족, 부부간의 친밀감과 안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6개월∼48개월까지의 만4세 이하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97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측정도구의 주요내용을 정리해 보면 첫째, 부부관계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존중, 공감, 일치의 세가지 하위영역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기 전이는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의 만족,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의 세가지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s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기 전이의 일반적인 경향 역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의 차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가정의 평균월수입, 교육수준, 배우자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 및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기 전이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건강상태,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을 살펴보면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심리건강상태, 신체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자녀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와의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 신체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교육수준, 결혼지속년수,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부부관계 변인을 투입한 결과 먼저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존중과 일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는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기 전이기에는 부부 상호간의 관계와는 분리해서 부모로서 지각하는 만족감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저출산과 이혼이 심각한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만큼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결혼예비부부, 결혼초기부부, 첫 자녀 출산 부부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인의 역할에서 어머니라는 역할을 부여받은 기혼여성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불안감과 의무감을 배우자에 의해 보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보편화된 현대사회에서 기혼여성의 출산 전과 후를 계획할 수 있는 일가정 양립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가능한 지원체계의 확립과 실천이 요구된다고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nfluence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an raising the first child of infant period on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couple relationship currently percieved by married woman, that is, this research studies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emotional support of spouse hav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as a mother. For this, a survey with married women having babies from 6 months to 48 month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areas was conducted and total 297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erms of details about measuring tools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regarding couple relationship, respect, sympathy, and agreement were studied as three factors for measuring emotional support of spouse percieved by married women. Moreover,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s sub factors are divided into thre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was shown to be over the average and was relatively positive. The general trend of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over the average, meaning that they felt it relatively difficult.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sociolog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it was shown as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the spous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was found that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hys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on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studied. First of all, looking at th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as a factor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hys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gratification, children’s age,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spouse, life satisfaction cognized subjectively, and physical health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percieved subjectively had significant influence.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putting in factors of couple relationship, first, respect and sympath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respect and agre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affected transition to parenthood. What is more,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should be separated from couple relationship and gratification cognized as a parent shall be interpreted. Recently, as low birth rate and divorce are becoming serious social problems the research result showing couple relationship influencing transition to parenthood could be used as meaningful data for educating pre-marriage couples, newly married couples, and couples with the first baby. Moreover, this implies that ways to offset anxieties and responsibilities as a roles of married women by spouse which is given by the roles of a wife and a mother have to be made. Furthermo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women’s advance to the society is being generaliz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ractical and detailed support system on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allowing them to plan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 부모 전이기 어머니의 어려움 관련 변인 :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이인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15883

        본 연구는 부모 전이기의 어머니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어려움과 사회적 지원간의 관계가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곳과 종합병원의 소아과 1곳에 온생후 24개월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 120명(취업모 60명, 비취업모 60명)이었다. 부모 전이기의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해서 Steffensmeir(1982)의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원은 Belsky와 Rovine(1984)의 척도를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원이 취업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부모 전이기의 어려움과 사회적 지원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부모 전이기의 어려움에 대하여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 지원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전이기 어머니가 겪는 전체적인 어려움 정도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어 취업한 어머니가 취업하지 않은 어머니보다 어려움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 차이는 주로 ‘부모 책임감 및 제약’ 영역에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전이기 어머니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그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정도는 낮았다. 셋째, 부모 전이기 어머니의 어려움에 대한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 지원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ifficulties and social supports they receive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relationship was explored based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employed and unemploy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0 mothers (60 employed and 60 unemployed), who gave birth to their first child within last two years. Steffensmeir's Scale (1982) was employed to assess mother's difficulties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addition, to evaluate the social supports, the scale that was applied by Belsky and Rovine (1984)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begin with, overall difficulties that mothers experienced during the transition were varied based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at is,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less difficulties than their counterparts of unemployed mothers. Second, mothers' overall difficulties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supports they received. This means, the more social supports mothers got, the less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ird,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supports on mothers' difficulties of parenthood transition.

      • 부모 전이기 남성의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지각과 아버지 역할수행

        홍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15871

        본 연구는 부모 전이기 남성들을 대상으로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지각 수준과 그들의 아버지 역할수행 정도를 밝히고, 아버지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첫 자녀가 만 36개월 이하인 부모 전이기 직업 남성 187명이었다. 남성의 아버지 역할수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경혜(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송지은(1994)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다른 독립변인인 부인의 역할기대는 서혜영(1999)이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연구 대상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 부인의 역할 기대, 그리고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지각 수준에 따른 아버지 역할수행을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부모 전이기 남성의 아버지 역할수행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부모 전이기 남성의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 지각 수준은 높은 반면 부정적 지각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부모 전이기 남성의 아버지 역할수행은 중간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남성이 지각한 부인의 역할기대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편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부인의 기대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아버지 역할수행 수준도 높았다. 또한, 부모 전이기 남성의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지각 수준에 따른 아버지 역할수행은 부정적 지각과 상관없이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 지각이 높을 때 아버지 역할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부모 전이기 남성의 아버지 역할수행을 설명해 주는 변인은 아버지됨에 대한 긍정적 지각, 부인의 역할 기대, 교육수준이었다. 즉, 아버지됨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남성이 부인의 역할기대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그리고 대졸 이상인 남성의 경우 아버지 역할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 of positivenegative perceptions of fathering and father''s role performance among men in transition to parenthood.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7 married and employed men who had their first children under the age of 36 months ol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Father''s Role Performance Scale''(Han, Gyoung-Hae, 1999) and ''Benefit-Costs Scale''(Song, Ji Eun, 1994), and the instrument used for wife''s expectations of fathering was the one composed by Seo, Hye-Young(199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men in transition to parenthood reported a high level of positive perceptions and a low level of negative perceptions of fathering.Second, the men in transition to parenthood report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father''s role performance than the median of the scale. And among socioeconomic factors and wife''s expectations of fathering, father''s role performance only differed according to the men''s perceptions of wife''s expectations of fathering. That is, the more wife''s expectations of fathering the subjects perceived, the higher father''s role performances there were. Regardless of the negative perceptions, father''s role performance was high when father''s positive perception was high.Third, the variables explaining father''s role performance in transition to parenthood were found to be the subjects'' positive perceptions of fathering, the wife''s expectations of fathering, and the men''s educational level. That is, men who had positive perceptions of fathering, had higher wife''s expectations of fathering, and had university-level of education reported higher father''s role performance.

      •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the Family System: Links from Grandparents, Parents, and Infants to Perinatal Medical Risk and Early Parent Affect

        Loi, Elizabeth C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Oreg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15854

        Biopsychosocial factors in early childhood set the foundation for later neurocognitive and language competence. This dissertation aime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early psychosocial correlates of perinatal medical risk and parent affect. Prior research has documented associations between both perinatal medical risk and parenting behavior and child functional outcomes across a wide array of developmental domains, including cognition and language. However, perinatal medical risk and parent affect do not emerge out of a vacuum. Rather, they are formed against the backdrop of, and in response to, factors embedded within the family system across time and among individuals.In three sub-studies, this dissertation sought to elucidate the multigenerational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s in pregnancy, birth, and parenting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Participants were three generations within 137 individual families who took part in both the Oregon Adolescent Depression Project (OADP) and the Infant Development Study (IDS). The proband participants were adolescents who enrolled in the OADP; this cohort and their partners represented Generation 2 (G2) of the overall dissertation project. The parents of the G2 participants constituted the Generation 1 (G1) cohort, while the infant children of the G2 participants represented Generation 3 (G3). Indices of environmental context, psychological adaptation, relationship dynamics, and affect at both family and individual levels across the three generations were collected between the G2 cohort’s adolescence through the early period of their transition to parenthood. Analyses sought to broadly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links among grandparental, parental, and child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unctioning and outcomes in perinatal medical risk and parent affect. Results across the series of three studies revealed a lack of clear links between the majority of factors sampled from the familial ecology and the outcomes of perinatal medical risk and parent affect, likely due to restricted power resulting from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However, in support of the view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s mutually reinforcing, infant positive affect was related to parent positive affec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proposed areas for ongoing research are discussed.

      • 부모 전이기 남성의 정서 표현성과 부인의 지원 및 역할 만족도

        임국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15594

        본 연구는 부모 전이기 남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정서 표현 정도와 부인으로부터 받는 지원 및 가족 및 직업 생활에서 경험하는 역할 만족도(부모역할 만족도, 결혼 만족도, 직업 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고 역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첫 자녀가 만 24개월 이하인 부모 전이기 직업 남성 156명이었다. 남성의 정서 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Kring과 동료들(1994)이 개발한 정서 표현성 척도(Emotional Expressivity Scale, EES)를 한정원(1997)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 전이기 남성이 지각한 부인의 지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Greenberger와 동료들(1990)이 제작한 배우자 지원 척도(Spousal Support for Work and Parenting, SSWP)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부모역할 만족도는 Duke, Rose 와 Halverson(1997)의 Parent Satisfaction Scale(PSS)을 번안, 수정한 서혜영(1999)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혼 만족도는 Roach, Frazier 및 Bowden(1981)이 개발한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중에서 이인수(1986)가 수정한 8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직업 만족도는 고종욱(1999)이 번안ㆍ수정한 Brayfield 와 Rothe(1951)의 직업 만족도(Job Satisfaction)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백분율) 분석을 하였으며, 부모 전이기 남성의 역할 만족도가 남성이 지각한 정서 표현성과 부인의 지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 표현성과 부인 지원 총점을 평균을 기준으로 상집단과 하집단으로 나누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부모 전이기 남성의 역할 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4개월 이하 첫 자녀를 둔 부모 전이기 남성의 정서 표현성은 중간 수준이었고 남성이 지각한 부인의 지원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부모역할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결혼 만족도와 직업 만족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24개월 이하 첫 자녀를 둔 부모 전이기 남성의 부모역할 만족도, 결혼 만족도 및 직업 만족도는 정서 표현 정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 전이기 남성의 역할 만족도는 남성이 지각한 부인의 지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부인으로부터 받는 지원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각 만족도의 수준도 높았다. 셋째, 24개월 이하 첫 자녀를 둔 부모 전이기 남성의 부모역할 만족도를 설명하는 변인은 부인의 지원과 자녀의 성이었다. 부인으로부터 지원을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 때, 그리고 자녀가 여아일 때 부모역할 만족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결혼 만족도를 설명하는 변인은 부인의 지원, 자녀의 월령, 결혼 기간으로 나타났다. 부인으로부터 받는 지원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첫 자녀 월령이 어릴수록, 결혼기간이 길수록 결혼 만족도가 높았다. 또, 직업 만족도를 설명하는 변인은 부인의 지원, 직종, 일주일 근무 시간이었다. 즉, 부인으로부터 받는 지원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생산노무직이나 판매서비스직보다는 사무직, 전문직, 관리직일수록, 일주일 평균 근무 시간이 짧을수록 자신의 직업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VID-19 팬데믹과 전업모의 부모기 전이 경험 : 임신, 출산, 영유아기 자녀 양육의 생애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혜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15577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모기 전이를 경험한 전업모들이 그 현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그들의 일상을 통해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또한 전업모들이 직장 생활을 하다가 임신, 출산과 같은 부모기 전이 맥락에서 직장을 그만두게 되는 과정과 이후의 상황, 그리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체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적 시간과 공간이 변화하면 생애과정도 변화한다는 생애과정관점에 따라 전업모에게 부모됨은 어떠한 의미인가, 전업모들은 COVID-19 상황에서 부모기 전이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COVID-19와 부모기 전이 과정에서 어떻게 전업모를 선택하고 유지해가는가, COVID-19 상황에서 전업모의 부모기 전이를 돕는 사회적 체계와 적응을 위한 스스로의 노력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질문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모기 전이’는 부부가 첫 자녀의 임신과 출생으로 인해 겪게 되는 중요한 변화이자 부모로의 역할에 적응해가는 점진적인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부가 첫 자녀의 임신을 결정한 순간부터 아이가 만 3세가 되는 때까지를 부모기 전이기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2020년도에 임신기간을 3개월 이상 경험하고 첫 자녀를 출산하였거나 2020년도에 48개월 미만의 영유아기 첫째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전업모 30명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 분석 방법 중 체계적인 단계와 조직적․구조적 기술을 조합하는 Moustakas(1994)의 분석단계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시기의 전업모들은 부모기 전이를 ‘당연하게’ 여기기보다는 ‘자발적인 선택’으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전업모들은 자녀의 출산으로 새로운 역할을 경험하며 더 나은 인간으로 성장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본인들이 부모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부모로서 해야 하는 희생과 헌신, 다양한 책임감도 함께 따른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COVID-19는 부모기 전이로 전업모들이 경험하는 새로운 변화에 대한 적응의 문턱을 더욱 높게 만들었다. COVID-19로 제한된 일상과 고립된 상황 안에서 첫 자녀를 양육하며 엄마로서의 역할 수행이 미숙한데서 오는 어려움과 죄책감, 돌봄과 가사노동 등 다중적인 역할을 반복적으로 해내야 하는 부담감, 전업모로서 느끼는 경제적인 측면의 부담감을 경험하였다. 자신을 주 양육자로 받아들이고 있는 전업모들은 갈수록 높아지는 육아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기대수준에 대한 부담감과 함께 가정 내 보육의 질에 대해서도 어려움을 이야기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전업모가 동일한 특성을 가질 것이라는 기존의 인식과 달리, 전업모 진입 배경과 COVID-19 상황에서 부모기 전이 동안 전업모로서의 생활을 유지하는 이유에 따라 '직업으로서의 엄마, 경력단절 엄마, 정체성 혼란 엄마'라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는 세 가지 유형을 발견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의 유형에 따라 COVID-19 시기의 부모기 전이와 전업모 전이의 적응을 돕는 사회적 체계와 능동적인 노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자발적으로 전업모를 선택한 ‘직업으로서의 엄마’ 유형과 ‘경력단절 엄마’ 유형은 COVID-19 상황에서도 남편을 포함한 가족의 도움 및 지지를 받고 있었다. 엄마가 되기를 기대하며 스스로 전업모를 선택한 ‘직업으로서의 엄마’ 유형은 전업모로서의 역할을 긍정적인 자기 정체성으로 삼고 현재의 상황에서 자신의 역할에 적응해가고자 다방면에서 능동적으로 노력하고 있었다. 자발적으로 전업모를 선택했지만 출산 후 여러가지 이유로 경력단절을 경험하며 비자발적으로 전업모를 유지하는 ‘경력단절 엄마’ 유형에서는 전업모로서의 역할과 개인으로서의 역할 내 양가감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은 현재 자신의 역할이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이라고 인식하며 자녀양육과 가사노동에 있어 전업모로서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의 노력을 하면서도 시간이 지나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고민도 멈추지 않고 있었다. 반면 COVID-19로 인해 남편을 포함한 가족의 도움 및 지지가 부족한 ‘정체성 혼란 엄마’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통적 규범을 따라 부모가 되었지만 막상 자녀를 낳고 직업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게 되며 현실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들은 앞으로 자신이 어떠한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조차 정하지 못한 상태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기 때문에 적응을 위한 노력도 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 부모기 전이를 경험한 전업모의 일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COVID-19 시기의 전업모가 임신‧출산‧자녀 양육이라는 생애과정에 따라 유사한 부모기 전이 경험을 공유하면서도,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적 체계와 전업모 선택 및 유지 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의 과정을 경험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성찰하고 조율해가는 노력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해가거나 체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COVID-19 시기 전업모의 부모기 전이 과정이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전업모 유형에 따라 이해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Exploring Family Resilient Outcome and Its Association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Women

        Zhong, Jie New York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15561

        Background. Even though pregnancy is normal and usually a happy event, it creates major change in the lives of the woman and her family. In the United States,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mpact about 1 in 9 women, with a total of 184,828 women per yea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ged 15-24 years account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new mothers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Depression in the postpartum period is significantly undertreated, because of the stigma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lack of knowledge, and the reluctance to use psychotropic medications during breastfeeding. The low rate of treatment makes it essential to find new ways to prevent depression particularly among adolescent and young adult mothers. The use of family therapy intervention has shown significant reductions in depressive symptoms and a trend in promoting family functioning among intervention group mothers.Methods. This dissertation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renting and Relationship Transition & Risk Study (PARTNRS). A total of 295 young mothers aged between 15-22 years was followed from late pregnancy, 6-month, and 12-month postpartum. There were three manuscripts in this dissertation to address three specific aims: (1)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Resilient Outcome during Pregnancy by Adolescent and Young Adult Mothers. (2)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Mothers: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3) Identifying Family Environment Typologies and the Outcome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Mothers: Implications for Family-Centered Maternity Care.Results & Implications. These three studies provided findings on family functioning and its association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among pregnant young women. As one important aspect of family resilience, childbearing families with high family functioning are equipped with the abilities to develop or maintain resilience in the stress of pregnancy. These childbearing families are able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experience satisfying relationships, and solve the problems together as a unit when facing the challenging situations of pregnancy (e.g., the financial burdens, the psychological adaptations to new roles, and the interpersonal conflicts). (1) Antecedents of higher family functioning included having ever attended religious services, individual perception of experiencing higher social support and lower discrimination, lower annual household income, and fewer reports of experiencing family violence. (2) A mother's ability to regulate emotional experiences could serve as one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linking the path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This means that family functioning may be critical to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process of nurturing the young mother's abilities to communicate and regulate emotions. (3) Furthermore, using the multiple indicators of family environment (family structure,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support) an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most of young women were identified in the Higher-Functioning Families in Large Households or Small Households and only a small portion of young women in the Lower-Functioning Families with Violence. Higher-Functioning Families in Large Households were characterized by the co-residence of families (mother, father, and siblings), financial source from parent or guardian, and lower risk of family violence. In addition, Higher-Functioning Families in Large Households presents lower odds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t is possible that the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could be the most beneficial to young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