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growth of startups : focusing on government R&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김덕용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급속한 기술의 발전은 기업의 경영환경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과 시장이 등장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반 플랫폼 시장은 기존 오프라인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전통적 제조업 기반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던 글로벌 시가총액 순위 역시 마이크로소프트, 애틀, 구글, 테슬라 등의 기업으로 대체되고 있을 정도로 기술의 발전은 많은 것들은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21년도 기준 우리나라 전체 R&D 투자 금액이 약 100조원에 가까운데 이는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 규모이다. 정부 R&D 예산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22년에는 30조원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지만 혁신기술의 개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신시장 창출 등의 가시적인 성과가 부족하다는 지적과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과학기술의 급속한 성장으로 우리나라는 어려운 현실에 마주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 R&D 예산이 증가한 만큼 효율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환경에서 기업의 성장과 생존을 위하여 기술 전략과 기업 역량 등의 내부적 환경 요인과 산학협력, 정부 R&D 투자 등의 외부적 환경 요인을 탐색하여 혁신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 R&D 예산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현황을 조사‧분석한 데이터와 벤처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301부를 수집하여 불성실 응답 및 결측값을 제외한 총 284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도구로는 SPSS 25.0과 AMOS 26.0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총 3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는 정부 R&D 투자 에 따른 벤처기업의 산학협력 경험이 조직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벤처기업의 산학협력 경험은 조직학습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학습역량을 구성하는 실험정신, 위험감수, 외부와의 상호작용, 대화, 의사결정 참여 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벤처기업이 내부역량을 구축하는 것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공동연구, 네트워킹 등 외부와 협력으로 조직학습역량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벤처기업의 기술 전략 수립이 신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 역량 그리고 개방형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하였다. 기술 전략성이 높은 벤처기업은 기술 역량과 연구개발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개발 역량이 높은 벤처기업은 개방형 혁신 활동에 적극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기술 역량은 개방형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벤처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기술이 외부로 유출 되었을 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기업경영에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에 개방형 혁신 활동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이다. 마지막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정부 R&D 지원 절차에 대한 신뢰에 따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과 기술 수준이 높은 고기술과 중고기술 그룹에서 유의하였으며 비제조업 및 저기술‧중저기술 그룹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정부 R&D 투자에 따른 벤처기업의 혁신성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수준별 분석에서도 고기술 및 중고기술 그룹과 제조업 분야에서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부 R&D 지원 단계별 신뢰에서는 사전, 중간, 사후 평가에 대한 모든 단계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부의 R&D 투자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R&D 지원 단계 전반에 걸쳐 정책에 대한 신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벤처기업과 정부 R&D 투자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의 R&D 투자가 벤처기업이 외부와 협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벤처기업은 자원과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외부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탐색과 활용함은 물론 연구개발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의 필요한 자원을 적절하게 공급함으로써 기업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벤처기업은 자원의 효과적인 배치를 위한 전략적 역량과 이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벤처기업이 보유한 역량은 전략을 실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원을 기술개발을 위한 역량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을 실증분석 하였다. 따라서 정부지원은 직접적인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투자도 중요하지만 기술 전략의 향상을 통한 역량 강화와 개방형 혁신 활동이 제고되도록 지원이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투자에 따른 벤처기업의 R&D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가 집행하는 정책에 대한 신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집행하는 지원 과정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정책의 효과성 역시 높아질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정부는 중소기업 R&D 성과제고를 위해 R&D 협력 활성화, 제도 및 인프라 개선 등을 중점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우선적으로 기업에게 신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정하게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벤처기업의 산학협력-조직학습역량-혁신성과, 기술전략-기술/연구개발 역량-개방형혁신 활동의 관계를 지원기반 이론과 조직학습 관점에서 실증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함으로써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정부의 R&D 투자에 있어서 지원 절차에 대한 신뢰가 혁신성과를 조절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정부의 신뢰제공이 벤처기업에게 중요함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음에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우선 벤처기업이 정부 R&D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처와 관리기관을 통해 집행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부처, 기술 분야 등에 따라 지원 절차와 방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정치, 사회, 문화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 활용된 조직학습역량, 기술전략, 정책에 대한 신뢰 수준을 측정하는 방식에 대해 추가적이고 심층적인 검증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설문조사의 대상을 정부로부터 R&D 지원을 받은 벤처기업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정부로부터 수혜 경험이 없는 기업과의 비교가 추가적으로 수행 될 필요성이 있다. 정부로부터 R&D 지원을 받지 않고 있는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정부 연구개발 예산의 활용성이 강화 될 수 있는 정책 수립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the business environment of companies. New industries and markets are emerging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AI, Metaverse, and IoT, as the network-based platform market dominates the existing market. With the global market capitalization ranking occupied by traditional manufacturing-based companies being replaced by companies such as Microsoft, Apple, Google, and Tesla, the technology-based corporate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To cope with these global changes, the corporates and the government in Korea are also continuously expanding their invest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s of 2021, Korea's total R&D investment is close to 100 trillion won; the fifth largest in the world after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Germany. The government's R&D budget also will continue to expand and invest nearly 30 trillion won in 2022. Nevertheless, South Korea is placed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the lack of visible results such as innovative technology development,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and new market creation. Accordingly, it has been argued that with the increase in government's R&D budget, efficiency also needs to be increased. In this study, I focus on a startup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corporate growth and survival. Internal factors refer to their technological strategies and capabilities, while external factors engage thei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government R&D investment.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 so that the government's R&D budge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national R&D projects produc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Planning (KISTEP) and survey results for startups. A total of 284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and 17 missing values. SPSS 25.0 and AMOS 26.0 programs were used as analysis tool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is research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studies. The firs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tartups'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xperiences from government R&D investments o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OLC)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dicate that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xperience of startups has a positive effect on OLC. In particular, it is found to improve the experimentation, risk taking, interaction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that constitut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This result shows the need to improve OLC through external cooperation such as joint research and networking because startups with insuffici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face many difficulties in accumulating internal capabilities. In the second study, I attempt to analyze the impact of a startups’ technology strategy formulation on technology capabilitie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and R&D capabilities,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Startups with high technology strategy formulation te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R&D capabilities. In addition, startups with high R&D capabilities are active in open innovation activities, however, technology capabilitie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do not affect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ese results imply that companies mainly make use of internal capabilities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and companies with high R&D capabiliti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re considered for open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third study, I analyze the impa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support procedure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s that government R&D investments in startups increase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manufacturing and high-technology industries.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high-tech and manufacturing groups, and it is not significant in non-manufacturing and low-tech groups. In addition, the higher the trust in the government's R&D support procedure, the higher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startups through government R&D inves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the government's R&D support procedure is also confirmed by the high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groups, at all R&D support stages.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provid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artups and government R&D investments. First,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should induce startups to promote cooperation with the outside world. Since startups may not have many resources and capabilities, it is important to explore and make use of new knowledge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outside world as well as reduce uncertainty in the R&D procedure.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overnments should be helpful toward corporate growth and development by appropriately supplying the necessary resources for the companies. Second, startups need to establish strategic capabilities for effective resource allocation and strategize technology to secure them. For government support, direct investment in R&D activities is also important, but support should be expanded to strengthen capabilities and enhance open innovation activities by improving technological strategies. Finally, to maximize the R&D performance of startups following government investment, it is most important to provide trust in government-executed poli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trust in the support procedure executed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expanding investments focusing on revitalizing R&D cooperation and improving systems and infrastructure to improve R&D performance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but it is important to execute policies fairly, to provide trust to companies first. This study has theoretical meanings. The firs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s' technology strategy formulation, technology, and R&D capability, and open innovation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In addition, the startup’s experience of cooperation with the universities increases the OLC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I also present the importance of trust towar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in determining how to provide it effectively.

      •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Early Success of Tourism Startup

        조창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initial success of tourism Startup.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analysis of success factors for start-up succes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HP analysis. First, based on the ERIS model, we establish four top factors: Entrepreneur,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 and derive subfactors belonging to each top factor through expert surveys. Later, we conducted an AHP analysis on 21 experts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factors belonging to the same hierarchy. As a result, an analysis using AHP foun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of the <Second hierarchy> parent factors was the most critical success factor, ''Strategy'' (0.385), followed by ''Entrepreneur'' (0.276), ''Resource'' (0.198), and ''Industry'' (0.141). This study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itial success of tourism startups and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each factor from the AHP analysis to present implications.

      • (A) service design strategy for the sharing economy startups : based on the quality perception model

        Wanichaya, Nukaew Sungkyunkwan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haring economy is a new business concept built around the advantages of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that changes customers' behavior. Moreover, people were changing attitude towards sharing things made the sharing economy a trend in doing business now and in the future. However, some challenges were limiting the companies' ability, such as the regulatory uncertainty and high failure rate of sharing economy startups that are causing hesitation to enter this market. With the idea that startups must learn about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the sharing economy to develop an effective strategy to manage the organization to reach the goal and overcome the challeng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case studies of sharing economy startups to identify business characteristics in every dimens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ree cores of business connected [2]: the customer, organization, and business strategy. The sharing economy was a business model that was different from other businesses. The sharing economy was a service innovation business that contributes to and use of resources through the peer-to-peer network. Furthermore, with this kind of business operation, the sharing economy had service issues in the management of service quality. In this type of business, the custom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 trust issue among sharing activities. This study presents an innovative perspective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by integrating theoretical frameworks to analyze the gap in the sharing economy service and aims to propose a guide to service strategy design for startups using the literature in the service science and case studies analysis of sharing economy startups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xisting literature. Also, propose a guide to service strategy design for startups using the literature in the service science and case studies analysis of sharing economy startups. 공유경제는 기술 패러다임으로 인한 기술 고도화 및 시장트렌드의 변화로 인해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고객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비즈니스 개념이다. 공유경제는 고객들의 공유에 대한 태도를 변화하면서 현재와 미래에 사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공유경제의 상황에서는 다양한 기업이 역량을 과시하면서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이 진입하기에는 높은 시장 진입 장벽으로 생긴 규제 불확실성, 실패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유경제 시장에서 스타트업이 공유경제 특성의 차이에 대해 배워야 목표 달성과 과제 극복에 효과적인 조직관리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번 연구는 공유경제 스타트업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사업 특성을 모든 차원에서 파악하였다. 공유경제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의 기여와 이용에 기여하는 서비스 혁신 사업인 만큼 다른 사업과는 다른 사업 모델이었다. 나아가 공유경제에서 효율적인 사업 운영으로는 서비스 품질 관리에 있어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객들이 공유 활동 중 신뢰 요소를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경제에서 스마트업들이 체감하고 있는 서비스의 차이들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통합하여 서비스 품질 관리의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또한 공유경제 스타트업의 서비스 및 다양한 관점에서의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스타트업의 서비스 전략 설계 가이드도 제안한다.

      • 액셀러레이팅과 기업가정신이 참여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범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6

        As startups emerge and lead economic innovations of a country, it’s required to build up sustainable startup eco-system which can be continuously supported by government. In the early stage of startup eco-system, various entities such as angels, venture capitals (VC),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had played as a main investor. In the early 2000’s, new players called accelerator emerged as a supporter of startup and are expanding rapidly around the world. In Korea accelerators are performing as incubators as well as investors ever since they were introduced and legislated more than five years ago. However, researches on startup are, in fact,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accelerating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duct quantitative research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elerator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incubated startup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achieve the goal, this researcher performed some studies as follows; Firstly, investigated the concepts, variables, and research trends on accelerators in Korea and overseas. Secondly, identified how the variables of accelerating such as education, networks and entrepreneurship influence business performance, And additionall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on cap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established to achieve the goal of research, this researcher conducted online surveys to startup CEOs who had experienced accelerating from accelerators registered in Korea and collected data.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collected, SPSS Version 22.0 and Process macro Version 4.1 were utilized, and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otal effects,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variables of accelerating, the network with the investor and investmen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but the rest including education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econdly, the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proactiveness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Third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support service of accelerating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capability, but the rest such as investment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Fourth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capability. Fifthly, among the variables of accelerating, innovation capability has mediating effects only between support service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there are no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on capability observed between the rest such as edu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Lastly, it has been found that innovation capability has mediating effects on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The results from the above paragraphs confirm as follows; Firstly, the investment of accelerating and the network with investors, the subjects of investment, for open innovation enhances the overall business performance of incubated startup and influences them positively. Therefore, this means that accelerator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incubated startup only when they make the seed inve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investment and incubation for the startups screened, and also, incubated startup need to make use of accelerating as a process of building up implicit knowledge and raising their growth engines through interaction with investors. Secondly, only the support service of accelerating has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capability, and other programs including education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are all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on capability; therefore, accelerators need to conduct their accelerating effectively to raise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incubated startup and they also required to increase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en operating programs such as education, mentoring and networks to enhance business performance of incubated startup. Third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when the CEO of incubated startup is equipped with greater entrepreneurship, the portfolio’s innovation capability get stronger and it leads to higher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innovation capability. This implies that entrepreneurship is still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a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y and contributes to business performance by promoting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has performed with data collected directly from the CEOs of startups who experienced accelerating and has verifi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o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research to a level of identifying the effects of accelerating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incubated startup. Furthermore, as this study used education, networks, support service, and investment as the variable of accelerating and classified the targets of a network into peers, mentors, and investors, external knowledge sources for open innovation. Therefore,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variables of accelerating in future studies. Lastly,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 that, many variables of accelerating still fail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novation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of incubated startup. Although it is unreasonable to generalize in the entire industry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ing a domestic accelerator business model and a virtuous cycle of 'invest-incubate-exit' for all accelerator policy-making institutions, accelerator industries and startups.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critical awareness for future policy establishment, such as publiciz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ructure. 창업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경제성장과 혁신을 이끌어가는 주역으로 스타트업이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벤처창업 생태계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스타트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함께 필요한 시점이다.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초기투자 자본의 주체는 엔젤, 벤처캐피탈(VC), 정부, 공공기관 등 다양하며, 2000년대 초 스타트업 지원기관으로 액셀러레이터가 새롭게 등장하여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는 거의 없어 이에 대한 정량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액셀러레이터가 도입되고 법제화 된지 5년 이상이 지났으며, 투자와 보육이라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액셀러레이터가 참여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액셀러레이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국내·외 연구흐름을 살펴보고, 교육, 네트워크 등 액셀러레이팅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등록된 액셀러레이터로부터 액셀러레이팅을 경험한 스타트업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22.0과 Process macro V4.1를 이용하여 변수 간 영향관계와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셀러레이팅의 구성요소 중 투자자와의 네트워크와 자금지원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육 등 나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기업가정신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진취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액셀러레이팅의 경영지원은 혁신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금지원 등 나머지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정신의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모두는 혁신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액셀러레이팅 중 경영지원과 경영성과 사이에서만 혁신역량의 매개효과가 있고, 교육 등 나머지 요소들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의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혁신역량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액셀러레이팅의 자금지원과 자금지원의 주체인 투자자들과의 개방형혁신을 위한 네트워크가 참여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성과를 높이고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는 선발된 참여기업들에게 투자와 보육이라는 원칙에 따라 반드시 초기투자가 이루어져야 이들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참여기업들도 투자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암묵적 지식을 쌓아 성장 동력을 키워나가는 과정으로 액셀러레이팅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액셀러레이팅의 경영지원만이 혁신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교육 등 다른 프로그램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기업가정신의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모두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가 교육, 멘토링, 네트워크 등 프로그램 운영 시 기업가정신 교육을 강화하여 이를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영성과를 높이는 실효성 있는 액셀러레이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참여기업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높으면 해당 기업의 혁신역량도 커지고, 혁신역량을 매개로 높은 경영성과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것은 기업가정신이 여전히 기업의 혁신역량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며, 혁신역량을 촉진함으로써 경영성과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액셀러레이팅을 경험한 스타트업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직접 자료를 수집하여 검정한 연구로서 액셀러레이팅의 참여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는 단계로 연구가 확장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액셀러레이팅의 구성요소로 교육, 네트워크, 경영지원, 자금지원을 활용하고, 개방형혁신을 위한 외부지식자원인 동료, 멘토, 투자자를 네트워크 대상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와는 관계없이 향후 연구가들이 액셀러레이팅의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데에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액셀러레이팅의 많은 요소가 아직까지 참여기업의 혁신역량과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제한된 표본에 따른 한계로 업계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정책수립기관, 액셀러레이터 업계 그리고 스타트업 모두에게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비즈니스 모델 정착과 ‘투자-보육-회수’의 선순환구조 확립의 필요성을 알리는 등 향후 정책수립 등에 문제의식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Cross-border migration of startups :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involved among global startups in South Korea

        최화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6

        As startups are regarded as a booster for the economy, nations are competing to attract ambitious global entrepreneurs and potential startups in their local startup ecosystem. In response to this trend, entrepreneurs are getting darer to cross the border in expectation of more feasible resources and startup-friendly environment. However, entrepreneurship on the transnational move has rarely been studied about. As such, using those involved in the global entrepreneurial migration to South Korea as a research sample, this study academically tackles with the cross-border migration of startups, explores underlying factors and subfactors, and seeks to take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erforms literature review,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a row. As for the literature review, given tha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startup migration between countries, this study takes an alternative of reviewing the main factors for the comparison of regional startup ecosystems on the global stage. As the global migration of startups means interactions between regional startup ecosystem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factors that work for shaping a regional startup may do to some extent for the global entrepreneurial migration. Drawing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moves on to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search employs the Delphi method. Based on what is deducted from the literature, this study excavates the underlying factors and the elements that are important for the global entrepreneurial migration. Then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s used for the next. Hiring the global entrepreneurs who have migrated to South Korea for their startup as a survey sample, the quantitative research with the AHP model put the factors and elements in terms of priority.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few significant findings. One, the research results suggests that the global migration of startups becomes popular. They show that some entrepreneurs are nomadic. Two, there are some distinguished factors and elements that especially matter in the context of global entrepreneurial migration. For instance, the support from the federal government like a visa sponsorship is a good example. Three, the factors and elements that are crucial for the pre-global migration of startups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post-migration. The factors and elements at the individual level are more prioritized for the former situation, whereas those at the firm level are for the latter one. Such a difference means that the global migration of startups needs a customized support package depending on the stage of the migra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taps on the new topic of global entrepreneurial migration in increasing popularity and finds out the underlying factors and the elements on it. In this regard, this study opens the doors for the futur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스타트업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인식되면서 여러 국가들은 원대한 포부를 가진 글로벌 창업가와 잠재성을 가진 스타트업을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하듯 글로벌 창업가들은 접근 및 획득 가능한 자원과 창업 친화적인 환경을 찾아서 새로운 국가로 이동이 결심하고 있다. 이처럼 스타트업의 글로벌 창업 이주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매우 희소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창업 생태계로 이주한 글로벌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고 스타트업의 국가 간 이주에 관한 실증적 결과를 얻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글로벌 창업 이주의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의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탐색, 질적 연구, 양적 연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선행 연구는 국가별 창업 생태계 거점 비교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글로벌 창업 이주 관련 선행 연구가 매우 미진하기 때문에 대안으로 창업생태계 형성 주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글로벌 창업 이주는 국가별 지역 생태계간 이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창업 생태계 형성요인은 역시 창업 이주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는 델파이 방법론을 일부 차용하여 온라인 인터뷰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 단계에서 글로벌 창업이주 전문가들에게 창업 생태계 형성 요인을 배경 정보로 제시한 다음 인터뷰를 통해 글로벌 창업 이주에 중요한 기저 요인과 하위 요인들을 도출했다. 양적 연구는 AHP 모델을 차용한 설문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으로 이주한 글로벌 창업가를 연구 표본으로 삼아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요인별 중요도를 물었다. 부가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이주 전 요인별 중요도와 국내 이주 후 요인별 중요도를 개별 측정하여 중요도의 변화 모습도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시점을 보여준다. 첫째, 설문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결과는 글로벌 창업 이주 시도가 점점 빈번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설문 참여자들의 상당수가 국내 정착 전 복수의 국가에서 창업이주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둘째, 글로벌 창업 이주 관련하여 중요한 고유 요인과 하위 요인이 존재한다. 이는 창업생태계 형성 요인 요소와는 다른 것으로 국가에서 지원하는 비자 지원제도(visa sponsorship)등이 하나의 예이다. 셋째, 글로벌 창업 이주 전과 이주 후의 중요도에는 변화가 있다. 전자의 상황에서는 개인 차원의 요인이 중요한 반면, 후자의 상황에서는 기업 차원의 요인의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이는 글로벌 창업 이주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주 단계에 따라 맞춤형 지원 패키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국내로 이주한 글로벌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글로벌 창업 이주의 함의를 찾아보았기에 일반화가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글로벌 창업 이주 관련해 선제적으로 탐색 연구를 진행하고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tartups in Developing Countries: Case Study on Libya

        엘라라쉬 마흐무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looks into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that contribute to the startups' success in developing countries focusing on Libya. Startups are becoming vital drivers of job creation,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as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reshape economies. Startups in developing economies face different challenges compared to those in developed economies, despite their potential.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CSFs for startups in Libya. The study adopts a qualitative methodology, utilizing a hybrid thematic analysis approach that combines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startup founders from various industries.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19 factors were identified and examined their impact on the startups in Libya. All of the factors represented the themes of the study. The study found that motivation and passion, team, and effective strategy were most significant to startup success. Meanwhile, the factors of govern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mentorship, and government support were seen as the least important. Furthermore, thematic analysis reveals two new factors that were critical for startups' success in Libya, market dynamics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llenges.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that could be used as guidance for policymakers, investors, and entrepreneurs to help them in the creation of a powerful startup ecosystem in Libya, or other similar developing countries. 본 논문은 리비아를 중심으로 개발도상국 내 스타트업 성공의 중요한 요인(CSF)을 조사한다. 세계화와 기술 발전이 경제를 재편하면서 스타트업은 일자리 창출, 혁신, 경제 성장의 주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스타트업은 높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의 스타트업과는 다른 도전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의 목표는 리비아 스타트업을 위한 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의 10명 스타트업 창업자를 대상으로 'inductive' 및 'deductive' 인터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주제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접근했다. 포괄적인 문헌 검토를 통해 리비아 스타트업에 영향을 미치는 19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동기부여와 열정, 팀 구성, 효과적인 전략이 스타트업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 정책 및 규제, 멘토링, 정부지원은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주제 분석을 통해 리비아에서 스타트업의 성공에 중요한 두 가지 새로운 요인인 시장 역동성과외부 환경 문제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물은 리비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서 강력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 입안자, 투자자, 기업가들에게 유용한 시사점과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ECH-Assisted Plasma Startup in KSTAR

        박승일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5

        One of the major issues in fusion plasma is the development of an operation scenario for a robust and reliable plasma startup in a fully superconducting tokamak which has a limited toroidal electric field. For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low loop voltage plasma startup using ECH pre-ionization was proposed, and many studies on this method were carried out in other devices.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KSTAR) demonstrated the electron cyclotron heating (ECH)-assisted startup using 84/110-GHz second harmonic EC wave which provided the reproducibility of plasma initiation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lasma campaigns. But in KSTAR’s third plasma campaign in 2010, a comparative study of flux consumption between pure Ohmic and second harmonic ECH-assisted startup is carried out to quantify the effect of ECH assistance on plasma startup in a fully superconducting tokamak. In ECH-assisted startup using the second harmonic pre-ionization (with a ramp rate of 0.49 MA/s, prefill pressure of 1.6 × 10-5 mbar, and X-mode EC wave of 300 kW), the loop voltage is reduced from 3.7 V (0.33 V/m) to 3.2 V (0.28 V/m) as compared to the pure Ohmic startup. The flux consumption is decreased by 14 % at the end of ECH pulse. ECH-assisted ramp-up after Ohmic breakdown is propose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tant radial position of plasma during current ramp-up and to minimize the production of carbon impurities by ECH. In the ECH-assisted ramp-up after Ohmic breakdown (with a ramp rate of 0.45 MA/s, prefill pressure of 1.4 × 10-5 mbar, and X-mode EC wave of 300 kW), flux consumption for reaching the current flat top (which means that loop voltage becomes almost zero) is reduced by 14 %. To study the effect of ECH-assistance on plasma startup, a pre-ionization code (0D code) is used to analyze the burnthrough and the current ramp-up using ECH pre-ionization. In conditions similar to the experiments of the ECH-assisted startup using pre-ionization, the resistive voltage is reduced from 1.31 V to 1.23 V at the middle of the ECH pulse and the flux consumption is reduced by 5.5 % at the end of ECH pulse as compared to the pure Ohmic startup. In the ECH-assisted ramp up after Ohmic breakdown, the flux consumption is reduced by 2.8 % at the end of ECH pulse. All of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similar behaviors as the experimental results except for the injection mode scan and the ramp-rate scan. These differences could be resulted from the failure of the plasma radial position control during the plasma startup.

      • Impact of Founder Educational Attainment on Startup Performance in Early Stages : Exploring the Roles of Knowledge Inertia and Absorptive Capacity

        Wonho Kim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5

        To examine startup performance of Korean ventur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nd under what conditions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might matter. Building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tartup growth stages, knowledge inertia,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tartup performance, this research empirically address this central question by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how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could improve or hinder startup performance of Korean venture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firm’s absorptive capacity to determine whether R&D intensity could constrain or enhance startup performance implications of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Empirical results obtained from a sample of 2052 Korean ventures demonstrate that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can differentially affect Korean venture’s startup performances by providing positive and negative contributions for both sales and technology performances.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role of absorptive capacity as the moderating agent for startup performances. Specifically, the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contribution of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to startup’s sales performances in early stages, while showing no relationship to startup’s technology innovation. By contrast,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the contribution of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to sales performances for mature startups. This study draws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by introducing the idea of knowledge inertia and examining the roles of found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absorptive capacity in explaining startup performances of Korean ventures. 창업자 교육성취도가 스타트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조사한 본 연구는 창업성장단계, 지식 관성, 조직학습, 창업성과의 이론적 이해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기업의 흡수 역량이 창업자의 교육성취도와 스타트업 성과 사이의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도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한국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에 참여한 2052개의 벤처기업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최소차승법 및 음이항회귀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창업자의 교육성취도가 스타트업 성장단계에 따라 각각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초기 스타트업의 흡수역량은 창업자의 교육성취도와 영업실적 사이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반면, 성숙기 스타트업에서는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타트업 성과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지식 관성을 도입하고 창업자의 교육성취도와 기업의 흡수역량의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의미있는 연구기여를 제공한다.

      • Study on Solenoid-free Startup utilizing outer PF coils with help of pre-ionization via direct XB mode conversion in VEST

        이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5

        Solenoid free startup scenario is the efficient way to utilize loop voltage from the evolution of equilibrium field using outer PF coils and can be applied for fusion devices such as Spherical Torus (ST) with narrow space in the central region. Also, it can be an attractive startup scheme in the fusion machines with low aspect ratio since flux from external inductance change can be utilized when the plasma is started from outboard and moved inward. The solenoid free startup experiments using outer PF coil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devices, but the results show the failure of the closed flux surface (CFS) formation or low plasma current with sufficient ECH power. In this paper, the condition for formation of CFS assisted by pre-ionization is investigated for successful startup. Electron Bernstein Wave (EBW) collisionless heating near outboard and enhancement of particle confinement with change of mirror ratio in trapped particle configuration (TPC) have been utilized to reduce the resistivity of pre-ionization plasma. Also, solenoid free startup scenario has been sugges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and size of CF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FS formation for important factor of successful startup condition and the experiments for CFS formation have been conducted. The startup in VEST is divided with three phases that open field current, the CFS formation and the current ramp up phase. Before CFS formation, the plasma current increases with open field current. The CFS formation has been occurred when the poloidal field from open field current overcomes the existing vertical field from PF coils. After CFs formation, the plasma current kicks up rapidly inside CFS due to different confinement from CFS formation. This has been confirmed with the experiments along the ECH power and toroidal field and the model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general criteria have been derived with the model for CFS formation and the criteria are matched better than the Lloyd condition that is known for startup condition. This quantitative condition for CFS formation tells that the pre-ionization plasma and the size of CFS must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startup. After the successful CFS formation, the plasma curren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ramped up with loop voltage from outer PF coils with help of reduced external inductance when the plasma column grows and moves inward. The plasma current evolution has been presented with 0 dimensional power balance modeling with consideration about force balance along plasma current. The initial plasma current evolution has difficulty due to the size of CFS that causes resistive dissipation. Also, the induction voltage from outer PF coils has limitation that it is not easy to change rapidly due to eddy current from vessel wall and causes increase of vertical field that affects to CFS formation and equilibrium. The solenoid free startup using outer PF coils must consider the distribution between flux from external inductance and resistive dissipation. The successful startup has been determined by the location and size of CFS along the pre-ionization resistivity. The region for successful startup has been broadened along lowering the resistivity of pre-ionization plasma. It is essential for increase on the electron temperature to lower the resistivity of pre-ionization plasma. The pre-ionization plasma with low resistivity is necessary for CFS formation based on the quantitative condition. EBW collisionless heating makes possible to have lower resistivity of pre-ionization plasma due to the existence of 2nd or 3rd harmonics near outboard. Also, the enhanced particle confinement along mirror ratio in TPC is helpful for lowering resistivity of pre-ionization plasma near outboard. With comparison between mirror ratio 2.3 and 3.5, the higher mirror ratio makes the higher confinement time and the condition for successful startup has been expected with ECH power ~45 kW in case of mirror ratio ~ 3.5 and ~60 kW in case of mirror ratio ~2.3. 솔레노이드 시동 없는 시동 시나리오는 바깥쪽 PF 코일들을 이용하여 평형을 위한 자기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일주 전압을 이용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ST와 같이 좁은 가운데 공간을 가지고 있는 핵융합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플라즈마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외부 인덕턴스의 도움이 가능한 낮은 aspect 비율을 가지고 있는 핵융합 장치에서의 매력적인 시동 방법일 수 있다. 바깥쪽 PF 코일들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사용하지 않은 시동 방법은 다양한 장치에서 실험이 진행되었으나 충분하지 않은 ECH 파워로 인하여 CFS가 형성되지 않거나 낮은 플라즈마 전류를 나타내었다. 이 논문에서는 성공적인 시동을 위하여 전이온화의 도움으로 CFS 형성의 조건을 알아볼 것이다. TPC 구조의 미러 비율 조율과 그로 인한 입자 구속의 강화를 이용하여 전자 번스타인파의 충돌없는 가열은 전이온화 플라즈마의 비저항도를 낮추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없는 시동 시나리오는 형성되는 CFS의 크기와 위치를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다. 성공적인 시동 조건 중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CFS 형성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그에 대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VEST에서의 시동은 세 과정으로 나누어지는데 열린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 CFS 형성 순간 그리고 전류 상승 구간이다. CFS 형성 전 플라즈마 전류는 열린 자기장 아래에서 증가한다. 그 후, 열린 자기장에서 형성된 플라즈마 전류로부터 발생되는 폴로이달 자기장이 바깥쪽 PF 코일들로부터 발생되는 존재하는 수직 자기장을 이겨낼 때 CFS 형성이 일어난다. CFS 형성 후, 플라즈마 전류는 CFS 형성 이후 달라지는 구속 때문에 CFS 내부에서 급격하게 자라나기 시작한다. 이는 ECH 파워와 토로이덜 자기장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으며 또한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에서도 확인되었다. CFS 형성에 대한 모델을 기반으로 일반 식을 유도하였으며 이 유도식은 기존의 성공적인 시동 조건으로 알려진 로이드 조건보다 더 잘 맞는 것을 확인하였다. CFS 형성에 대한 이런 정량적인 조건은 성공적인 시동을 위해서는 전이온화 플라즈마와 CFS의 크기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해준다. 성공적인 CFS 형성 후, 플라즈마가 자라고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외부 인덕턴스의 도움과 바깥쪽 코일로부터 공급되는 일주 전압으로 플라즈마 전류는 증가하기 시작한다. 플라즈마 전류는 플라즈마의 평형을 고려하여 0 dimensional 파워 균형 모델로부터 예측되었다. 초기 플라즈마 전류 상승은 저항 방사 때문에 CFS 크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바깥쪽 PF 코일에 의한 일주 전압은 벽으로부터 발생하는 회오리 전류와 CFS 형성과 평형을 위해 존재하는 수직 자기장의 증가와도 연관되어 있어 쉽게 바꾸기 어렵다. 그러므로 바깥쪽 코일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없는 시동은 바깥쪽 인덕턴스와 저항 방사 사이의 구속 사이의 적절한 배분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시동은 전이온화 플라즈마의 비저항도와 CFS 위치와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성공적인 시동 지역은 전이온화 플라즈마의 비저항도가 낮아질수록 더 넓어진다. 그러므로 전이온화 플라즈마의 비저항도를 낮추기 위해서 전자 온도의 증가가 필수적이다. 앞서 말한 CFS 형성을 위한 정량적인 조건에 따라 낮은 비저항도를 가지는 전이온화 플라즈마는 반드시 필요하다. 바깥쪽 챔버 근처의 두번째 또는 세번째 harmonics의 존재로 인하여 변환된 전자 번스타인파의 충돌없는 가열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TPC로 인하여 강화된 입자 구속은 바깥쪽 부근의 전이온화 플라즈마의 비저항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미러 비율 2.3과 3.5 사이의 비교를 통하여 더 높은 미러 비율은 더 높은 구속 시간을 보여주며 3.5인 경우 ECH 파워 약 45 kW 그리고 2.3인 경우 약 60 kW로 예측된다.

      • GenAI 스타트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MAXQDA를 활용한 질적 내용분석 중심으로

        이현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5

        This dissertation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Generative AI (GenAI) startups, focusing 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MAXQDA. In November 2022, the launch of 'ChatGPT' by OpenAI significantly increased global interest in GenAI technology. This technology has demonstrated human-level performance in various areas such a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reative writing, and coding, prompting major global tech companies like Microsoft, Google, Meta, and Amazon to invest substantial resources in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GenAI technology. Consequently, strategic approaches to ensure the success of GenAI startup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uccess factors and strategic approaches of GenAI startup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rapid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potential of GenAI technology. The first objective is to systematically review literature related to GenAI and analyze secondary data to understand the impact of GenAI technology on the market entry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startups. The second objective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GenAI technology and GenAI-based startup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o extract key keywords and themes. The third objective is to quantify the extracted key keywords to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particularly in the stages of market entry and product development and service innovation,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success factors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Finally, the study aims to reframe successful GenAI startup cases based on the identified success factors to propose strategic approaches for success. This study employs bibliometric analysi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GenAI technology and startups an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VOSviewer and MAXQDA software were used for this purpose.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enAI technology,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a comparison of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in various countries, and the strategic approaches for the success of GenAI startups. The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1. Introduction: Present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scope and methodology, and explains the development of GenAI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startup ecosystem. 2. Literature Review: Defines GenAI technology and its development process,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ecosystems of GenAI startups, and reviews prior research on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to identify research questions. 3. Research Methods: Outlines the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dures, and explains the methods of bibliometric analysi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4. Results: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bibliometric analysis results on GenAI research trend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5. Conclusion: Summarizes the research findings,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stages of market entry and product development and service innovation. In the market entry stage, key factors include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operational efficiency improvement, and investment attraction opportunities. In the product development and service innovation stage, important factors include unique technological capabilities, rapid market response capabilities, and customer-tailored service provision.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success factors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revealed that success factors vary according to each country's economic, social, cultural, technologic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s a systematic and in-depth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of GenAI startups and provides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enAI startup ecosystem. The research findings offer critical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successful strategies for GenAI startups and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GenAI technology and the high expectations of the market, this study proposes strategic directions that enable GenAI startups to offer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and achieve success in the global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