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웃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개인의 주관적 건강, 건강관련 삶의 질과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지선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316

        Backgrounds: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has been discussed in many studie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lower status is associated with poorer health. Recent studies have tended to explore how individual health is impacted not only by the individual socioeconomic position, but by the neighborhood’s overall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mpact of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on individual health and health behavior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on residents aged 19 or older in Seoul, South Korea in 2009. Outcome variables were the indicators of health such as self-rated heal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 behaviors. Individual socioeconomic positions were measured using household incomes, educational levels and occupations. Seoul is divided into 25 autonomous districts, and these districts were used as sample neighborhood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variables of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were per capita regional taxes, the percentage of poor households,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nd distribution of income, which were separately calculated. We employed a multilevel analysis to investigate how health and health behaviors would be impacted not only by individual socioeconomic positions but by neighbor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Self-rated health wa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Highly educated, high income earners tended to be healthi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directly correlated with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However, self-rated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not associated with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In health behaviors, lower education, lower income and being in the sales and service fields correlated to a higher prevalence of smoking in men. The same results were observed in women. On the other hand, the association with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was different from the association with individual socioeconomic status. Neighborhoods with the lowest regional taxes and the lowest financial independence rate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smoking in men. However, in women, neighborhoods with the highest regional taxes and highest financial independence rate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smoking. The risk of binge drinking in men was slightly higher among those with lower education, and also was associated with lower regional taxes and the highest income distribution. The percentage of binge drinking in women was higher in the lower educated people, sales and service workers, and also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poverty rate, the highest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nd the highest income distribution. Conclusions: People in low socioeconomic position were poorer in self-rated health, and also lower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impact of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varied depending upon self-rated health and health behaviors, and the impact on health behaviors depended on the gender, which implies that the impact of neighborhoods might have different pathways, especially depending on gender. Therefore, further research would be necessary to investigate specific reasons that may explain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nd health behaviors, but also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 성장기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충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15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t proposes the life-course perspective to spec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since the adult health has been explained by the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only.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or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and adult health or health behaviors by utilizing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The major findings fro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hood economic status measured as a subjective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index has an independent influence on the adult self-rated health after adjusting the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These effects from a childhood economic status on the adult self-rated health are consistent regardless of respondent's gender.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impa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e adult self-rated health or health behaviors. Generally, the childhood or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has more effects on the current health of males than female counterparts. Third, the mediating role of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was partially proved. The impacts of mother's education level on health behaviors- respectively, male's smoking and female's alcohol consumption- were found to be mediated by the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This thesis explains the adult health and health behaviors as a consequence of both childhood and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And theoretically, it supports the importance of life-course perspective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The results above are consistent with the socioeconomic health disparity and it suggests that the social policy as a safety net should consider both past and present socio-structural factors having a cumulative impact on the current health. Notwithstanding, this paper still has a lack to ful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because it only focuses on empirically proving a limited path from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wo critical periods on the adult health and health behavior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more refined research model should be design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or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and adult health or health behaviors. 본 논문은 건강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계에 대한 것으로 두 변수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성인기 개인의 건강 불평등을 성인기 사회구조적 요인들에 의한 인과적 결과물로 설명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성인기 개인의 건강이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의 사회구조적 요인, 라이프스타일 등에 의해 누적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생애주기 관점에서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이 연구는 생애주기 두 시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기 건강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서구의 생애주기 관점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논의에서 성장기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가 일관적이지 않았고, 국내 연구들도 생애주기 관점의 연구에 대한 서구의 연구모형을 국내 맥락에 도입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한국노동패널』 조사자료에서 성장기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성장기 가구경제)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응답자 교육수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를 이용하여 구성한 회귀모형을 통해 사회경제적 지위가 주관적 건강과 건강행위(흡연,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한 지표인 성장기 경제적 수준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투입된 모형에서도 성인기 주관적 건강에 독립적인 영향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 이러한 성장기 경제적 수준의 정적인 효과는 성별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기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성에 비해 남성의 성인기 건강이 성장기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남녀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남성의 성인기 흡연여부와 여성의 성인기 음주여부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투입된 모형에서 그 효과가 사라지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남녀의 흡연과 음주여부에 미치는 영향이 남녀의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에 매개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검증된 성장기와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독립적 효과와 매개효과는 세대 간 불평등의 대물림을 건강차원에서 설명한다. 본 연구는 개인의 성인기 건강을 과거(성장기)와 현재(성인기)의 사회구조적 요인에 의해 설명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대물림을 건강차원에서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이론적으로 건강불평등에 대한 생애주기 관점을 지지하고, 성장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남성의 음주여부와 여성의 흡연여부를 제외하고 자녀의 건강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성장기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 불평등이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현실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 정책적으로는 개인의 성인기 건강불평등이 현재뿐만 아니라, 생애주기 내의 과거 성장기로부터 지속적으로 누적되어온 결과이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생애기간 전반에 걸친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세대 내 사회이동과 같은 계층지위 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못했고, 제한적 범위에서 생애주기 내 일정시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검토하는데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Health inequity of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according to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석홍덕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32314

        서론: 산재 환자들에 있어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와 건강회복의 관련성, 그리고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와 필요의료 미충족의 관련성을 통하여,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산재 환자들의 건강 비형평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산재패널 조사에 참여한 2,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다변량 회귀 분석을 통하여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가 하층인 군과 비교하여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가 중하층과 중상층의 건강회복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 구간을 구하였다. 또, 다변량 회귀 분석을 통하여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가 하층인 군을 나머지 군과 비교하여 필요의료 미충족 발생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 구간을 구하였다. 결과: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에 대한 분류를 살펴보면 상층은 아무도 없었지만, 4.9%에서 중상층이었으며, 51.3%에서 중하층이었으며, 43.8%에서 하층이었다. 또한, 16.6%에서 만성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14.9%에서는 건강회복을 하였으며, 5.7%에서는 필요의료 미충족이 발생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 흡연, 음주, 만성질병, 요양기간, 사고유형, 장애여부, 경제참여를 보정하였을 때,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가 하층인 군과 비교하여,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가 중하층인 군의 건강 회복에 대한 교차비 (95% 신뢰 구간)는 1.85 (1.38 ∼ 2.48)이었으며, 주관적 사회 경제적 지위가 중상층인 군의 건강 회복에 대한 교차비 (95% 신뢰 구간)는 3.65 (2.12 ∼ 6.31)이었다. 또, 공변량들을 보정하였을 때, 사회 경제적 지위가 하층인 군을 다른 군과 비교하였을 때, 필요의료 미충족에 대한 교차비 (95% 신뢰구간)는 2.00 (1.29 ∼ 3.09)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산재 환자들의 주관적 사회 경제적 차이가 그들의 건강 비형평성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지 확대 등을 통하여 이런 건강 비형평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Health inequity of occupational injured work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recover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000 participants in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determined for participants with perceived lower socioeconomic status and for those with perceived lower middle and upper middle socioeconomic statuses. Furthermore, the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unmet healthcare needs of participants with a lower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and other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es were investigat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articipants based on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there were no people in upper class while there were 4.9% in upper-middle class, 51.3% in lower-middle class, and 43.8% in lower class statuses. Of all participants, 14.9% belonged to the health recovery group, and 5.7% belonged to a group with unmet healthcare needs. Adjusted for sex, age, education, smoking, alcohol, chronic disease, recuperation duration, accident type, disability, and economic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with a lower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the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s) of health recovery was 1.85 (1.38 ∼ 2.48) for participants with a lower middle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and 3.65 (2.12 ∼ 6.31) for participants with a upper middle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Moreover,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the odds ratio of unmet healthcare needs in participants with a lower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was 2.00 (1.29 ∼ 3.09) compared to participants with other 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es. Conclusion: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participants’ perceived socioeconomic disparities extend to inequity in their health status. The reinforcement of welfare measures is greatly needed to temper these disparities.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분석

        주미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32298

        이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 자녀의 건강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자료는「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12~19세 청소년 2,123명(남자 1,066명, 여자 1,057명)이었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수입, 부의 직업, 부모교육으로 측정하였으며, 각각 상위층, 중위층, 하위층으로 구분하였다. 건강행위에는 흡연, 음주, 운동을 포함시켰고,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는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BMI, 허리둘레 등을 포함시켰다. 이 중 3개 이상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자를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각각의 건강행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 대하여 자녀의 연령,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건강행위 또는 부모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의 각각의 상위층을 기준군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건강행위 차이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부가 흡연을 할 때 흡연을 할 경우가 높았으며(OR=3.52), 사회경제적 지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주는 남녀 모두 부모교육과 강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즉, 남자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2.53)과 하위층(OR=2.36)에서 음주할 경우가 높았고, 여자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하위층(OR=1.96배)에서 음주할 경우가 높았다. 남자의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비운동의 경우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0.61)과 하위층(OR=0.59)에서 낮았다. 둘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차이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BMI에서, 여자는 중성지방, 공복시 혈당, 수축기혈압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남자는 부의 직업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3.74)과 하위층(OR=4.17)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 많았다. 여자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하위층(OR=2.37)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 많았던 반면에 수입에서는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0.60)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 적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건강행위와 관련하여서는 음주가 남녀 모두에게서 부모교육과 강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은 남자에게서는 부의 직업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고, 여자에게서는 부모교육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기부터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위험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며, 성(性)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부터 심혈관질환 예방사업, 특히 낮은 사회경제적 집단의 청소년에게 초점을 둔 사업이 필요하다. 이는 청소년기의 건강행위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차이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뚜렷해지면서 성인기의 건강불평등을 형성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하다. 요컨대 가능한 심혈관질환이 발생하기 이전인 청소년 시기부터 사회적 맥락에서의 건강증진사업 및 포괄적인 보건정책을 통한 심혈관질환 예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the health behavior and CVD risk factors in their adolescent children.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btained in 1998 and 2001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1,066 boys and 1,057 girls aged 12 to 19 years were included into the analysis. The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used were Χ^(2)-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is present study socioeconomic status (SES) was measured by monthly household income, paternal occupational class, and parental education. Health behavior (smoking, drinking, exercising) and a set of risk factors for CVD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waste circumference) were included. The subjects who had 3 more CVD risk factors were defined as the CVD “high risk group”.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hild's age, socioeconomic status, and paternal health behavior or CVD risk factors, were controlled for.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levels. In each of the 3 indicators used to measure socio economic status (income, paternal occupational class, parental education), the highest socioeconomic group was used as a reference group. The main findings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presented below. Firstly,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re as follows. The father's smoking status had a strong effect on the rate of smoking in boys. When adjusted for the child's age and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e significant effect of father's smoking status remained (OR =3.52). The indicators of SES (income, paternal occupational class, parental edu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y's smoking status. Drinking had a strong reverse association with parental education in both boys and girls. Boy's drinking rates were higher in the middle and the low parental education levels, (OR=2.53 and OR 2.36, respectively), than in the high parental education level. In girls, the drinking rate was highest in the low parental education level (OR=1.96). However, the non-exercising rate was lower in the middle and in the low parental education level, (OR=0.61 and OR=0.59, respectively), than in the high parental education level. Secondly, the differences in CVD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re as follows. In boy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BMI. In girl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triglyceride and fasting blood sugar levels, an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More boys from the middle and low paternal occupational class, were in the CVD high risk group (OR=3.74 and OR=4.17,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from the high paternal occupational class. In girls the effect of paternal occupational class was not significant. More girls from the lowest parental education level were in the CVD high risk group (OR=2.37). In contrast, fewer girls from the middle income level were in the CVD high risk group (OR=0.60), compared to those from the high income level. In summary, these results showed a strong inverse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and parental education in both boys and girls. An inverse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VD high risk group and paternal occupational class in boys, and parental education in gir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lies the necessity to initiate the prevention of CVD at young ages and to focus especially on lower SES groups. This is important, considering that adolescents unhealthy behavior and CVD risk factors in lower SES groups may become more pronounced in older age and lead to even greater inequalities in health. Thus, health promotion should be done in a social context and through comprehensive public health policies.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년 삶 만족도에 대한 연구

        김한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98

        이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년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두 요인 간의 관계를 청년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더불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청년층 내 사회경제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9차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하였으며 19세에서 34세까지의 응답자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경우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 비해 삶 만족도 수준이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청년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사회경제적 이질성에 따라 성취형, 불안형, 정착형, 소외형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비교적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삶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OED 삼각형을 토대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교육수준을 매개로 청년의 삶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논의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and whether the socioeconomic status of yout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life satisfaction differs according to socioeconomically heterogeneous groups within youth.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19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and the respondents aged 19 to 34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higher in the case of high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than in the case of low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s a result of mediation analysis, socioeconomic status of youth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 According to socioeconomic heterogeneity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 “achieving”, “insecure”, “settled”, and “alienated”. In the case of the more educated group, the higher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Finally, based on the OED triangle, this study discusses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may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youth by mediating their education.

      •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성인기 교육수준과 고용형태의 다중매개효과

        최지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98

        본 연구는 우울의 사회적 현상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관점에서 성인이 우울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에 근거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와 성인기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교육수준, 고용형태, 소득수준)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년)와 16차년도(2021년)에 모두 응답한 1,955명을 데이터로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은 경로분석과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로 측정된 생계 곤란하여 학업중단 경험, 아동기 경제적 생활상태, 부모 교육수준은 매개변수인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로 설명되는 교육수준, 고용형태, 소득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을수록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인 교육, 직업, 소득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둘째,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교육수준에서 우울로 가는 직접경로와 교육수준이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을 각각 거쳐 우울로 가는 간접경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를 다중매개로 성인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때 생계 곤란하여 학업중단 경험이 있고, 경제적 생활 수준이 낮고,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성인기 교육수준은 낮아지고, 이는 불안정한 고용형태와 소득을 감소시켜 성인기 우울을 증가시키는 경로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성과 여성의 데이터를 분리하여 우울 경로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에 따라 어떠한 경로에서 우울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일부 경로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우울 예방과 개입을 위해서는 성인기 위험요인뿐만 아니라 특히 삶의 초기 단계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의 영향력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아동기 위험요인이 있는 아동에게 집중하여 초기 불리한 영향력을 줄이고 인생에서 공정하고 평등한 출발선을 보장할 수 있는 개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또한, 우울의 일부 경로에서 남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성인 우울의 예방 전략을 고려할 때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방법을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관점을 적용하여 사회적 맥락 안에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리하였다. 아동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생애과정관점에 기초하여 우울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높아지는 시점에 성인 우울 예방을 위한 사전적 예방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h of depression among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main purpose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socio- economic status and adult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adult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income level) in relation to the two variables. The sample included 1,955 adults from the first year (2006) and the 16th year (2021)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or the analysis, path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due to economic conditions, childhood economic living conditions,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indicating the socioe- conomic status in childhood, were found to affect the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and income level, the parameters of adult socio- economic status. In other words, lower socioeconomic status in childhood, affected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which are socioeconomic statues in adulthood. Seco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adulth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ath from the education level to depression through employment type and income level,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childhood affects adult depression through multiple mediums of socioeconomic status of adulthood.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of parent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in adulthood, and the lower level of education in adulthood i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depression through unstable employment and low income. Fourth, when models were examined separately for each gender, most of the path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ult depress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hould emphasize not only adult risk factors but also the influence of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of life. Interventions that focus on children with childhood risk factors to reduce their initial unfavorable condition and to ensure a fair and equal starting line in life are needed above all els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ome paths of depression indicates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prevention strategy of adult depression.

      • (The) socioeconomic status of Chinese Americans as presented in the verbal and visual elements of contemporary Chinese American picture books

        Gao, J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32287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status (SES) of Chinese Americans presented in the verbal and visual texts of contemporary Chinese picture books based on stories about the Chinese American immigrants from the gold rush to the present and their lives in and outside of Chinatown. Socioeconomic status is the combination of economic and sociological measurement of a person's work experience and of an individual’s or family’s economic and social position in relation to others, based on income, education, and occupation (Saegert et al 9-11). Some experts divide SES loosely into low, middle and high levels. Socioeconomic status in picture books has thre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 The first is that children from all backgrounds have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cultural representations of lives of Chinese American people. According to Cai, the first impression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in their impressionable years. Children’s books about people of other cultures have great potential to impact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ose people in the future (Images169). Children will be influenced by these representations and construct certain perspectives about Chinese American immigrants. The second is that these picture books can have a great impact on Chinese Americans’ self-esteem, self-concept, and self-positioning by examin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as revealed in picture books. Children who do not see themselves reflected at all or who see only distorted or comical reflections come to understand that they have little value in society in general (Bishop 3). Lo and Lee also believed that “invisibility is dangerous to one’s self-esteem. “If the world is described and you are not in it, you feel lessened” (15). The third is that through reading works depicting the lives of Chinese Americans which are similar to their own experiences, both Chinese and Chinese Americans will construct appropriate cultural understandings about Chinese heritages, beliefs, and values. Readers’ perceptions of their own cultures are constructed through picture books (Kuo 9). Thus, they will appreciate and take pride in their Chinese heritage. Picture books help non-Chinese people to understand Chinese immigrants and also contribute to Chinese American children’s understanding of how they are viewed and valued by the world and allow their voices to be hear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e how picture books portray Chinese people and Chinese Americans.

      •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among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in Chicago metropolitan area

        김신열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 2002 해외박사

        RANK : 2322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 that Socioeconomic status (SE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may influence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It was premised that SE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are directly and/or indirectly related to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manifested by respective symptoms. The following two objectives were established: 1)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including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level, social support,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2) Asses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level,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Though the social support construct itself did not correlate to the degree of health status in this study, some of observed indicators such as number of network contact, the degree of perceived and actual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respondent's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indicators and mental health construct. Those who had social support available were less vulnerable to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some of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the aging process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appeared to be complicated with many factors. First of all they were old immigrants who came to the United States relatively recently to unite with their adult children. The majority of them were living apart from their children. Their sense of self and satisfactio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Secondly,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were living in a culturally and physically different environment with a number of barriers, such as language, transportation,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finally, they lacked appropriate socioeconomic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 20〜30대 성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양희수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8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expressed as job, income and level of education among 1,466 adults aged 20 to 39 years, including unemployed persons, using the original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7th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used R statistical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s dependent variable, and Socioeconomic status including level of education, income level, and job classification, health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Chi 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2-week outpatient us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moking behavior, adequate sleep, stress perception, obesity in Health behavior and income level in socioeconomic statu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ressful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In addition, the order was influenced by obesity, gender, smoking status, income level, and physical activity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better health status, and to provide education or policy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 : 외모만족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

        신민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8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ego-identity,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of undergraduates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ego-identity and depress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may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and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lated program development in counselling and education filed.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ssigned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relationships among ego-identity,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of undergraduates? Second, are there any moderating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ego-identity and depression? Third, are there any moderating effect of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ego-identity and depression?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paper gathered survey data from 386 undergraduat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nalyzed them using SPSS 21.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ego-identity,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of undergraduat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wo moderating effec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identity, depress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ut it did not show correlation between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Second, moderating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weren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As a result of specific analysi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the group of lower appearance satisfaction shows better effect of depression decrease, rather than the group of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hen ego-identity is getting higher. Third, moderating effects of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The present study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predictive variables of depression, which include ego-identit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ighlight the value of improvement in the level of appearance satisfaction as well as ego-identity when counselling and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of undergraduat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우울,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계를 확인하는 동시에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우울,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전국 대학생 4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어지는 14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386명의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첫째, Dignan(1965)이 제작한 자아정체감 척도를 기반으로 한국의 중고생 및 대학생에게 맞도록 박아청(2003)이 보완하고 수정한 한국형 자아정체감척도를 둘째, Beck(1978)이 제작한 우울척도를 셋째, Mendelson과 White(1993)가 제작한 외모만족도 척도를 넷째, 부모의 학력, 소득, 직업 지위에 기초하여 다수의 국내연구들(박주희, 2006; 신명호, 2010; 이중섭, 이용교, 2009; 이호영, 김상돈, 2006)이 사용하고 있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주요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은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정적 상관이, 우울과의 부적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외모만족도의 경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정적 상관이, 우울과의 부적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우울과의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외모만족도의 조절효과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외모만족도가 낮고, 높은 모두의 경우에서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졌으며, 외모만족도가 높은 경우보다 외모만족도가 낮은 경우에서 자아정체감이 우울을 낮추는 영향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아정체감, 외모만족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라는 변인을 설정하여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그들이 지각한 외모만족도가 우울을 낮추는데 조절효과가 있으며, 외모만족도가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서 자아정체감이 우울을 낮추는데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우울의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치료적 개입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