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박숙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1

        이미 많은 연구로 청소년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가 밝혀졌지 만, 우리나라의 학벌주의로 인한,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 때문에 발생하는 우울에 대한 해결책을 사회적 차원에서 찾기에는 부족한 실상이다. 따라서 개인적 차원의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이론•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인식된 자기효능감과 부모 지지 두 가지 변수 모두 학업스트레스-우울 관계 에 있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을 중학교 3학 년으로 정했는데, 그 이유는 종단적 연구에 의하면 중학교 3학년이 청소년 기 중에 우울 수준이 가장 높고, 부모 관련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높으며, 아울러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높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론적 틀로 Lazarus와 Folkman (1984) 의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에 관한 인지 이 론을 사용했다. 스트레스, 평가, 대처, 정서, 사기 중에 대처 및 정서 단계를 제외하고 모두 본 연구에 적용했다. 단, 선행 연구 중에 인식된 부모 지지 가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한다는 부분적인 결과가 있는 연구도 존재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코호 트 제6차(2015년) 자료를 사용했다. 총 2,061명의 중학교3학년 학생들이 설 문에 응답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 미한 관계가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유 의미한 조절효과를 갖는다. 셋째, 부모 지지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조절효과를 갖는다. 셋째 연구결과가 보여주는 사실 은, 선행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생 집단과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가진 집 단에서는 부모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한다는 점을 비추어볼 때, 전반 적으로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가진 집단이 부모 지지의 조절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중학교3학년이 자기효능감과 부모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학년이라는 점을 본 연구의 결과와 연결시킬 수 있다. Many studies have already pointed out problems relat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However, despite such interest from researchers, depression arising from academic stress continues to plague Korean adolescents. The emphasis on alma mater is widespread in Korean society. Consequently, adolescents’ competition to obtain a place at a top university is real. This struggle results in academic stress which leads to lower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s. This study deemed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as a crucial stage in adolescents’ mental health issues. Adolescents must, at least tentatively, decide on their career path; studies have reported adolescents to be the most depressive overall then; adolescents are under the most stress from their parents; and, they are at the peak of self-efficacy. It is difficult to conjure a social solution to the influence academic stress has on adolescent depression.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study and analyze factors that may protect adolescents on an individual level.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that alleviate adolescent depression, this study will focus on perceived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Alth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erceived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respectively, few studies have valued a simultaneous emphasis (note: this is not a simultaneous analysis) on perceived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One can consider two facets to moderating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for Korean adolescents: the person and situational factors. Social support alone does not suffice in explaining what leads to low, or high, morale. Concerning the person factor, “Everyone needs resilience,” and self-efficacy is a subordinate concept of self-resilience. For the situational factor, a child’s perceive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can lead to higher levels of resilience. A study also showed that among protective factors leading to adolescent resilience, parental suppor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Lazarus and Folkman’s (1984) cognitive theory of stress, appraisal, and coping. There are five components in this theory: (1) stress, (2) appraisal, (3) coping, (4) emotions, and (5) morale. Among the components of this theory, this study will deal with mainly (1) stress, (2) appraisal, and (5) morale. This study will not deal with coping due to the fact that the nature of its focused moderator variables, which are perceived self-efficacy and perceived parental support, are “appraisal” and not “coping”. Neither is depression “emotion”; it is a type of negative morale. First, (1) stress in this study is “academic stres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Second, (2) cognitive appraisal (of stress), includes the moderator variables “perceived self-efficacy” and “perceived parental support”. In other words, if one thinks they can control a stressful situation well (i.e. self-efficacy, Lazarus & Folkman, 1984), the outcome the person with high self-efficacy experiences will differ substantially in quality with the person with low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perceived parental support (cognitive appraisal) that an adolescent retains on an everyday basis becomes the basis for an adolescent’s belief that they will receive parental support in time of need. Thus, this study sees “perceived parental support” as the second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s. Finally, the (5) morale part of the process includes depression. Concerning empirical research, many consistently show that adolescents’ academic stress spawns negative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Various studies also attest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in a variety of mental health-related situations. Although most literature reported a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s, a few studies showed mixed results, such as different types of groups having different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firstly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secondly whether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The three hypotheses to be examined are as follows. [Hypothesis 1]: Increase in academic stress i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symptoms of depression, for Korean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Hypothesis 2]: Perceived self-efficacy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uch that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will be affected among Korean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er perceived self-efficacy levels. [Hypothesis 3]: Perceived parental support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uch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will be affected among Korean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er perceived parental support levels. This study use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following 4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the 6th year of the survey, 2015, when the subjects were in their 3rd year of middle school. A total of 2,061 students were surveyed. From the KCYPS research table, ten questions relating to depression were used to measure depression, and five concerning studying habits were used to measure academic stress. Four from the category of self-identity, that by face validity reflects Sherer et al.’s (1982) original scale on self-efficacy, were used to measure self-efficacy. Four from the category of parental affection/attachment were used to measure parental support, given that Tsai et al. (2018) cites Armsden and Greenberg’s (1987) scale on parent-child “attachment” and uses it interchangeably with the words “parental support”, and Bong-eun Seo (2009) reports parental attachment is a subordinate factor of parental support. Concerning the results, the researcher examined sample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Following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was examined. Then,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oderating variables — self-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 were inserted into the equation, along with their interaction term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supports the first hypothesis that as academic stress increases, depression increases. Secondly,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in that self-efficacy proved to be a significant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Thirdly, the third hypothesis was rejected in that parental support proved to not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interaction term of academic stress and parent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ast research also presents mixed results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result of this study, which was a rejection of the original hypothesis—a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for Korean adolescents with high stress levels cannot be significantly moderated by parental support. Additionally, the fact that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is highest in parental stress may hinder the affect parental support has on the relationship. The second result may be supported or elucidated by the fact that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is highest in self-efficacy. Conclusively, the result that self-effic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for Korean adolescents, holds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udies on social welfare.

      • 자연 경험과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

        최민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rior study results that experiencing nature reduces stress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l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experience and stress. In addition, i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xper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hich has been relatively understudied,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experience and ubjective well-being. To this end, in this study, natural experience survey,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PRS), percived stress scale(PS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were conducted for adults, and 246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nd we di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al experience and str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al exper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natural experience and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ion,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and str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ly correlation, and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ion.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the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in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xperience and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xper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natural experiences to reduce stress and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xperienc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in prior research, and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to verify nature's effectiveness and treatment programs. Key words: nature,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perceived stress, subjective well-being 본 연구는 자연을 경험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비교적 연구가 부족했던 자연 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회복환경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자연 경험 설문지, 회복환경지각 척도, 주관적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를 실시하였고, 24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연 경험과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 경험과 회복환경지각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회복환경지각과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회복환경지각과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회복환경지각은 자연경험과 스트레스의 관계 및 자연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모두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경험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증가시키는 데 회복환경지각의 매개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자연경험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향후 자연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 및 자연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자연, 회복환경지각, 지각된 스트레스, 주관적 안녕감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39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o identify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at W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to measure pai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 developed by Tack (1991) to measure fatigue, Perceived Stress Scale (PSS) developed by Cohen et al. (1983) to measure perceived stress, and Kim's (1994) 44 items adopted from Noh's (1988) 47 items to measure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SW 18.0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age group was 40-49 years (49, 38.9%) and the average age was 49.01 (±8.08) years, 60 (47.6%) graduated from high school, 78 (61.9%) had spouses, 108 (85.7%) had family and the average family size was 1.86 (±1.31) members, 117 (92.9%) had children and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1.87 (±0.88), 46 (36.5%) were Christians, 83 (65.9%) were housewives, and 60 (47.6%) earned less than 1 million won a month. In terms of disability, 28 (22.2%) had disabilities in daily life caused by the disease, 23 (18.3%) had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17 (13.5%) had pain, and 17 (13.5%) had disability in working. The most common period of sickness group was 5-10 years (45, 35.7%) and the average period was 95.33 months (±75.40). The most common period of treatment group was 1-5 years (96, 76.2%) and the average period was 35.93 months (±30.89). In terms of hours of sleep, 92 (73.0%) slept less than 6 hours, whereas 34 (27.0%) slept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was 274.29 minutes (±100.81).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ubject's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 average scores were 7.79 (±1.65), 39.81 (±8.53), 23.78 (±5.62), 122.77 (±14.80),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 (F=4.082, p=.008), occupation (F=4.584, p=.002), monthly income (F=4.337, p=.003), hours of sleep (t=2.704, p=.008) in pain and education (F=3.751, p=.013), marital status (t=-2.159, p=.033), occupation (F=3.423, p=.011), monthly income (F=2.531, p=.044), period of sickness (F=5.751, p=.004), and hours of sleep (t=4.231, p<.001) in fatigue, family status (t=-2.353, p=.020), monthly income (F=5.925, p<.001), period of sickness (F=3.272, p=.041), duration of treatment (F=7.029, p=.001), and hours of sleep (t=5.285, p<.001) in perceived stress, and marital status (t=5.009, p<.001 ), family status (t=4.003, p<.001), monthly income (F=10.741, p<.001), period of sickness (F=3.727, p=.027), and hours of sleep (t=-4.199, p<.001) in quality of lif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fatigue (r=.616, p<.001), pain and perceived stress (r=.430, p<.001), and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r=.494, p<.001), wherea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quality of life (r=-.446, p<.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r=-.544, p<.001), and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r=-.653, p<.001). 5.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1) In model Ⅰ, pain (ß=-.342,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74, p=.005)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life (R²=.313). 2) In model Ⅱ, fatigue (ß=-.434,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305, p=.001)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373). 3) In model Ⅲ, perceived stress (ß=-.551,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09, p=.016)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466). 4) In model Ⅳ, pain (ß=-.079, p=.356) was not significant whereas fatigue (ß=-.215, p=.016), perceived stress (ß=-.436, p<.001),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ß=.192, p=.022)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507). Among them, perceived 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patients with fibromyalgia had been experiencing moderate to severe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se symptoms tha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duce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m,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life, nurs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목적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을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W대학병원에서 류마티스 내과 전문의에 의해 섬유근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여성 외래 환자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통증은 시각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고, 피로는 Tack(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인 피로척도(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를 이경숙과 이은옥(1998)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전체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노유자(1988)가 개발한 47개 문항의 도구를 김종임(1994)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4개 문항으로 수정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40-49세가 49명(38.9%)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49.01세(±8.08)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78명(61.9%), 가족이 있는 경우 108명(85.7%)으로 평균 가족수는 1.86명(±1.31)이며, 자녀가 있는 경우 117명(92.9%)으로 평균 자녀수는 1.87명(±0.88)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46명(36.5%), 직업은 주부 83명(65.9%),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으로 인한 불편감으로 일상생활 장애가 28명(22.2%)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장애 23명(18.3%), 통증 17명(13.5%), 직장생활 장애 17명(13.5%)순 이었다. 투병기간은 5-10년 미만이 45명(3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투병기간은 95.33개월(±75.40)이었고, 치료기간은 1-5년 미만이 96명(76.2%)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치료기간은 35.93개월(±30.89)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미만이 92명(73.0%), 6시간 이상은 34명(27.0%)으로 평균 274.29분(±100.81)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평균 7.79점(±1.65), 피로는 평균 39.81점(±8.53), 지 각된 스트레스는 평균 23.78점(±5.62), 삶의 질은 평균 122.77점(±14.80)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증은 학력(F=4.082, p=.008), 직업(F=4.584, p=.002), 월수입(F=4.337, p=.003), 수면시간(t=2.704, p=.008)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피로는 학력(F=3.751, p=.013), 배우자 유무(t=-2.159, p=.033), 직업(F=3.423, p=.011), 월수입(F=2.531, p=.044), 투병기간(F=5.751, p=.004), 수면시간(t=4.231,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가족 유무(t=-2.353, p=.020), 월수입(F=5.925, p<.001), 투병기간(F=3.272, p=.041), 치료기간(F=7.029, p=.001), 수면시간(t=5.28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삶의 질은 배우자 유무(t=5.009, p<.001), 가족 유무(t=4.003, p<.001), 월수입(F=10.741, p<.001), 투병기간(F=3.727, p=.027), 수면시간(t=-4.199,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증과 피로(r=.616, p<.001), 통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과 삶의 질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46, p<.001)가 있었다. 피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4, p<.001)가 있었고,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44, p<.001)가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5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 Ⅰ에서 통증과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342, p<.001) 과 가족수(ß=.274, p=.0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1.3% 설명하였다(R²=.313). 2) 모형 Ⅱ에서 피로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피로(ß=-.434, p<.001) 와 가족수(ß=.305, p=.001)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7.3% 설명하였다(R²=.373). 3) 모형 Ⅲ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지각된 스 트레스(ß=-.551, p<.001)와 가족수(ß=.209, p=.01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46.6% 설명하였다(R²=.466). 4) 모형 Ⅳ에서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079, p=.356)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피로(ß=-.215, p=.016), 지각된 스트레스(ß=-.436, p<.001), 가족수(ß=.192, p=.022)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50.7% 설명하였으며(R²=.507),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결론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가족수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이었다. 따라서 섬유근통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스트레스 관리에 초점을 둔 간호중재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Sport Involvement, Optimistic Intelligence Quotient and Life Satisfaction using Resilience, Self-Efficacy, Social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리량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38

        삶의 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의 근본적인 차원이다. 대학생들은 인생의 결정적 시기에 있으며 그들의 삶의 만족도는 더 많은 관심을 받아야 한다. 연구에 따르면 중국 대학생의 전반적인 심리건강 상태는 좋지 않으며 심리건강 문제는 최근 몇 년 동안 대학생들이 퇴학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심리건강 문제는 또한 자살이나 범죄로 이어지는 중요한 요인이다. 낮은 삶의 만족도는 일련의 심리건강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스포츠심리학의 관점과 낙관성지능(OI)의 개념에서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며 과거 연구에서 다루어진적이 없다. 스포츠관여도(SI), 낙관성지능,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탄력성(RE), 일반 자기효능감(GSE), 인지된 스트레스(PS) 및 사회적불안(SA)을 본 연구에 포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0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H1: 스포츠관여가 낙관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H2: 스포츠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낙관성지능은 매개역할을 한다. H3: 낙관성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일반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회복탄력성, 사회적불안, 인지된 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한다. H3a: 낙관성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일반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한다. H3b: 낙관성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때 심리적 회복탄력성은 매개역할을 한다. H3c: 낙관성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불안은 매개 역할을 한다. H3d:낙관성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인지된 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한다. H4: 스포츠관여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낙관성지능과 일반 자기효능감, 낙관성지능과 심리적 회복탄력성, 낙관성 지능과 사회적불안, 낙관성지능과 인지된 스트레스가 각각 매개역할을 한다. H4a: 스포츠관여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낙관성지능과 일반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한다. H4b: 스포츠관여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미칠 때, 낙관성지능과 심리적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한다. H4c: 스포츠관여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낙관성지능과 사회적불안이 매개역할을 한다. H4d: 스포츠관여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낙관성지능과 인지된 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585 개의 설문지조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문판 스포츠 참여 척도, 중문판 대학생 OIQ 척도, 중문 판 Connor-Davidson 회 복력 척 도(CD-RISC-10), 중 문판 일 반 자 기효 능 감(GSES), 중문판 인지된 스트레스(CPSS), 중문판 사회적불안 척도, 중문판 대학생 생활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기술분석, 다중회귀분석, ANCOVA 분석, 상관분석, SEM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SI 가 개인의 OI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다(β=0.948, P<0.001). 한편, SI 는 OI 와 RE 의 매개효과를 통해 LS 에 영향을 미치고 (β=0.963, P<0.05), SI 는 OI 와 SA 의 매개효과를 통해 LS 에 영향을 미치며(β=0.466, P<0.01), SI 는 OI 및 PS Affected LS 의 매개 효과(β=0.581, P<0.01)를 통해 LS 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SI 는 OI 의 매개적 역할을 통해서만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SI 이외의 다른 변수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OI 는 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SI 는 OI 의 90%를 설명할 수 있고, SI 와 OI 는 GSE 의 90%, RE 의 96%, SA 의 70%, PS 의 90%를 설명할 수 있다. SI, OI, GSE, RE, SA, PS 6 잠재 변수는 LS 의 90%를 해석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 포함된 7 가지 심리적 변수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이용하여 가정된 각 경로와 변수의 매개효과를 모델링하고 분석하였다. 10 개의 가설 중 3 개가 성립하지 않았지만 7 개의 변수가 여 전히 연구 모델을 완전히 해석할 수 있다. 스포츠관여도는 낙관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심리적 회복탄력성, 사회적불안, 인지된 스트레스는 낙관성지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스포츠관여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낙관성지능과 심리적 회복탄력성, 낙관성지능과 사회적불안, 낙관성지능과 인지된 스트레스가 각각 매개역할을 하였다. 전반적으로 낙관성지능은 심리적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낙관성지능은 또한 사회적불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낙관성지능은 인지된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스포츠관여도는 낙관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낙관성지능은 심리적 회복탄 력성을 향상시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포츠관여도는 낙관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낙관성지능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불안을 줄일 수 있다. 스포츠관여도는 낙관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낙관성지능은 인지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스포츠관여도가 중국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그림을 제공한다. Life Satisfaction(LS) is a basic dimension of subjective well-being. College students are in a critical period of their lif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Research shows that the overall mental health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s not high, and mental health problems are the top reason for college students to drop out of school in recent years. Mental health problems are also important factors to induce suicide or delinquency. Low Life Satisfaction is easy to induce a series of mental health problem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research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ports psychology and the concept of Optimistic Intelligence(OI) for the first time. This is not involved in the past research.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 Involvement(SI), OI,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ncludes Resilience(RE), General Self-Efficacy(GSE), Perceived Stress (PS) , and Social Anxiety(SA) .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10 Hypotheses. H1: Sports Involve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I. H2: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will play a mediating role. H3: When OI affects Life Satisfaction, General Self-Efficacy, Resilience, Social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will play a mediating role. H3a: When OI affects Life Satisfaction, General Self-Efficacy will play a mediating role. H3b: When OI affects Life Satisfaction, Resilience will play a mediating role. H3c: When OI affects Life Satisfaction, Social Anxiety will play a mediating role. H3d: When OI affects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tress will play a mediating role. H4: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and General Self-Efficacy, OI and Resilience, OI and Social Anxiety, OI and Perceived Stress will play a mediating role. H4a: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and General Self-Efficacy will play a mediating role. H4b: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and Resilience will play an intermediary role. H4c: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and Social Anxiety will play a mediating role. H4d: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and Perceived Stress will play a mediating role. To examine the hypotheses, 585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hinese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Chinese version of the sports involvement scale, OIQ Rating Scale for College Students, Chinese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10), Chinese version of General Self-Efficacy Scale (GSES), Chinese version of Perceived Stress Scale (CPSS), Chinese version of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C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were used.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SI can significantly promote the level of individual OI, (β=0.948, P<0.001). At the same time, SI can affect L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I and RE (β=0.963, P<0.05), SI affects L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I and SA (β=0.466, P<0.01), and SI affect L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I and PS (β=0.581, P<0.01). But in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SI can only affect other variable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OI, and SI cannot directly affect other variables except OI, so OI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I explained 90% of OI, SI and OI explained 90% of GSE, 96% of RE, 70% of SA, and 90% of PS. Six latent variables, SI, OI, GSE, RE, SA, and PS, were found to explain LS by 90%. Conclusion: The seven psychological variables covered in this stud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used to model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ll hypothesis paths and their variables. Although 3 of the 10 hypotheses are not established, all 7 variables can still explain the research model comprehensively. Sports involv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OI. Resilience, Social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play a mediating effects when OI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When sports involvement affects Life Satisfaction, OI and Resilience, OI and Social Anxiety, OI and Perceived Stress are all mediating effects. Overall, OI can enhance Resilience and posi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OI can also improve Life Satisfaction by negatively affecting Social Anxiety. OI improves Life Satisfaction by negatively affecting Perceived Stress. Sports involvement can improve OI, and OI can improve Resilience, thu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ports involvement can improve OI, while OI reduces Social Anxiety, thu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ports involvement can improve OI, and OI reduces Perceived Stress, thereby affecting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of how Sport Involvement improves Chinese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 노인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박미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elations among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method, self-care behavior and Hemoglobin A1C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and provide a basic data of the nursing mediation development for Hemoglobin A1C control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is about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define relations among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method, self-care behavior and Hemoglobin A1C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128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aged over 60 years old who were under medical treatment in outpatient department at C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earch lasted from Aug.27.2007 to Sep.15.2007.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SPSS/Win 12.0 and was analyzed by using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ived stres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 and illness related characteristic of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du- cational backgrounds, a person in charge of a medical fee and current health condition. Secondly, the self-care behavior from general characteristic and illness relate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tatistically ha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educational backgrounds, smoking or non-smoking, exercise or non-exercise, dietary habits and current health condition. Thirdly, there wasn’t statistically a big difference in the stress coping method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and illness relate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Fourthly, the Hemoglobin A1C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 and illness relate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mployed or unemployed. Fifthly, the relation among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method, self- care behavior and Hemoglobin A1C. Hemoglobin A1C of patien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exercise of self coping method under the lower category. Perceived stress had also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s as coping method in the lower category and medication of self-care behavior.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coping method based on emotions under the lower category of stress coping method.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didn't much use a coping method based mainly problems and another method based emotions in case of perceived stress. It is required to have nursing meditation development which reduces Hemoglobin A1C by improving coping method based problems and self-care behavior level for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who don't have enough alternative re- sources against stress caused by situation as a aged person and chronic illness as diabetes. According to this, we would like to recommend as follows. Firstly, we propose nursing mediation development which can improve stress coping method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Secondly, we put forward research activities to examine relation closely with other variable factors which affect a self-care of aged person. Thirdly, we recommend repeated/continuous study activities along with more various samples regarding perceived stress, coping method, self-care behavior and Hemoglobin A1C of elderly diabetic mellitus patients and it is also suggested efforts to develop energy alternativeson perceived stress, coping method and self-care measuring tool tha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aged person.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당뇨병환자의 당화혈색소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노인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와의 관계를 규명하기위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은 C대학병원에 외래통원 치료중인 60세 이상의 노인당뇨병환자 128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8월 27일부터 9월15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program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빈도, 백분율, T-Test 및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d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남자53명(41.4%), 여자 75명(58.6%)이고, 연령은 평균 67.8세였다. 종교는 무교 및 기타가 46명(35.9%)으로 가장 많았고, 동거가족이 있는 사람이 121명(94.5%)이고, 교육정도는 초등졸이하가 38명(29.7%)로 가장 많았다. 현재 직업이 없는 사람이 102명(79.7%)이고 비흡연자가 115명(89.8%), 술을 안마시는 사람이 103명(80.5%), 운동을 하는 사람이 100명(78.1%), 식습관이 규칙적인 사람이 93명(72.6%)이었다. 2) 질병관련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입원경험이 없는 사람이 85명(66.4%), 당뇨교육경험이 있는 사람이 90명(70.3%), 당뇨로 인한 합병증경험이 없는 사람이 93명(72.7%), 치료비부담자가 자녀가 39명(30.4%)이었고, 건강상태가 좋다고 느끼는 사람이 33명(25.8%)이었다. 3) 노인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각은 5점척도에서 평균평점 1.89 이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4점척도에서 평균평점 1.71로 나타났다. 하부 영역별로 보면 정서중심 대처방식 1.94 문제중심 대처방식 1.45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 정도는 4점척도에서 평균평점은 3.08로 나타났다. 하부 영역별로 보면 식이실천 3.89, 약물투여 3.82, 신체적 운동 2.86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당화혈색소는 3.5%에서 13.3% 범위이며, 평균 6.90±1.49였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당화혈색소 스트레스지각은 교육정도(F=2.88, p=0.04), 자가간호행위는 교육정도(F=4.87, p=0.00), 흡연유무(t=-2.50, p=0.01), 운동유무(t=7.49, p=0.00), 식습관(t=2.88, p=0.00) 당화혈색소는 성별(t=-1.97, p=0.05), 교육정도(F=2.69, p=0.05), 직업유무(t=-2.43,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대처방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질환별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당화혈색소 스트레스지각은 치료비부담자(F=3.62, p=0.03), 건강상태(t=4.66, p=0.01), 자가간호행위는 건강상태(F=3.26,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환별 특성에 따른 대처방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간호행위, 당화혈색소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정서중심 대처방식(r=-.35, p=0.00), 스트레스 지각과 자가간호행위(r=-.27, p=0.00), 당화혈색소와 자가간호행위 중 하부영역 신체적 운동(r=-.18 p=0.04)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가간호행위와 정서중심대처방식(r=.2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노인당뇨병환자의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변수와의 관계 규명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노인 당뇨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가간호행위와 당화혈색소에 대한 더 많은 표본수의 반복 연구의 필요성과 노인당 뇨병환자의의 특성을 고려한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가 간호측정도구의 개발에 대해 제언한다.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역할행동, 조직시민행동,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동료지원의 조절효과

        조유호 수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927

        Workplace abusive supervision has become a social issu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in-role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and to further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th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worker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perceived stress. The study design was a cross-sectio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sampled 288 full-time employees. Data were conducted with SPSS 20 and AMOS 18 to empirically test the study hypothes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perceived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in-role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I, OCBO), and deviant behavior. And the study found that perceived coworke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perceived stress. In addition, supplementary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study model supported a mediated moderation model. The study found significant effects of mediated moderation of perceived stress with PCS on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CBI and in-role behavior while it did not find significant effects of mediated moderation of perceived stress with PCS on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CBO and deviant behavior.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가족관계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김세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25

        Since 1990's, the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Korean society. Assuming that the foreign women married to the Korean men and emigrated into Korea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he intra-family relationship conflicts, it was deemed necessary to survey their stress and health conditions in specific and integrated way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foreign women married to the Korean men for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level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thereby,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intra-family stress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thus, explore the ways to relieve them of the stress.In this study, 80 foreign woman married to the Korean men living in Namyangju-si were interviewed face-to-fac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for One-wa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s well as for Logistic Regression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on women's perceived health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The sample women's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scored 1.56 on average on a 5-point scale, which seemed to be less serious. In view of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tress, they were experiencing the highest level of stress due to their relationship with husbands, followed by health problems, financial problems,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their order.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scored 3.25 on average, which was deemed normal.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origin of country, age and number of children, while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origin of country, age, difference of age between them and their husbands, and period of residence.It was found that the women's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was reversely correlated with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hich suggests that the more they were stressed due to the intra-family relationship,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worse.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because it was a sectional study, it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women's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such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as their relationship with husbands and financial problem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relief of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would be 'conversation'.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fic alternatives should be arranged to help the foreign women married to the Korean men to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improve their health conditions. To this end,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nd public health service institutions are obliged to understand them holistically and approach them very carefully.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국제결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이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언어 및 생활방식,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가족 간 갈등을 경험할 위험이 높은 것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 수준, 주관적 건강인식도 등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가족관계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도간의 관련성 및 미치는 영향을 통해 스트레스 해결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연구 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국제결혼 이주여성 80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도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One-way ANOVA, T-test, 각 변수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ents, 가족관계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 수준은 5점 만점에서 평균 1.56(±0.67)점으로, 별로 심각하지 않은 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고, 5개의 하위요인별로 나누어 살펴본 가족관계스트레스 수준은 남편관계에서 가장 높았고, 건강관련문제, 경제문제, 시부모관계, 자녀관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인식도는 평균 3.25(±0.83)점으로 보통의 수준을 보였다.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스트레스 전체 수준은 국적, 연령, 자녀수, 남편관계스트레스는 국적, 자녀관계스트레스는 국적, 연령, 종교, 거주기간, 자녀수, 시부모관계스트레스는 가족형태, 경제관련 스트레스는 국적,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거주기간, 자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건강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도 수준은 국적,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거주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도 간에는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모두 역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가족관계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고, 가족관계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단면연구라 제한점은 있지만, 가족관계스트레스 중 남편관계, 경제관련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가족관계스트레스에 대한 원하는 해결방안으로는 대부분 ‘대화’라고 응답하여 이들의 요구를 알 수 있었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적응 및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의 구체적 대안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며, 지방자치단체 등 보건의료당국은 이들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와 세심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민동선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25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on the point that the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re still dealt insufficiently. Therefore, the study was investiga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oretical evidence to raise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idering job stress. Moreover,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raise the quality of occupational welfare and workers job stress management by present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tical proposes reducing the job stress and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support.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done b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through the end of year 2014 to the beginning of year 2015 which conducted a survey of 139 worker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general and variable features of the surveyed people. Bootstraping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general feature of respondents is worker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35.5% are male. The average age is 35.95 and 81% of them were college graduates. Second, job stress had the average of 46.24,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3.37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3.01. Third, it appeared that job stress affects negative infl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th, Bootstrap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search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 the mediating effect and found out that job stress effected direct full mediation variabl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 the mediating effect(BC 95% CI .250~1.373).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esents theoretical implication as follows. First, worker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respondents to analys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shown to be significant in studying workers welfare. Second,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ve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and the theoretical implication stated so far, political proposal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to reduce the job stress selfesteem should be enhanced and advanced corporate welfare system such as EAP should be introduced. Also, family friendly policy can be actively applied to enhance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nhancing employee welfare and service could be used. However, flexible benefit plan is necessary.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에 있어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인식에서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여 조직지원인식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직무스트레스의 감소와 조직지원 향상을 위한 이론적 함의 및 정책적 제언을 모색하여 기업복지 발전과 근로자의 실질적인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2014년 말부터 2015년 초까지 실시한 ‘근로자의 휴가와 복리후생제도 이용현황 및 욕구 조사’ 연구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이며 남성이 여성이 35.3%로 나타났으며, 연령의 평균은 35.95세로 나타났고 학력의 경우 대졸 이상이 81%로 조사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평균은 46.24로 조사되어 중간수준이며, 조직몰입은 3.37, 조직지원인식은 3.01로 보통수준이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완전매개의 직접영향을 확인하였다(BC 95% CI .250~1.373)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사이에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근로자 복지를 연구하는데 있어 조직지원인식을 적극 활용해야 할 개념으로 보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조직지원인식의 관계에 있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함의에 따른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직에서는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EAP와 같은 선진기업제도가 도입이 되어야한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을 향상하기 위해 가족친화제도의 적극적인 활용이 있으며, 복리후생서비스 자체를 향상시키는 것이 있는데 복리후생서비스 자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선택적 기업복지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후승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2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인문계 남, 녀 공학 고등학교 2곳,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1곳, 인문계 남자 고등학교 1곳, 실업계 남자 고등학교 3곳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총 980부를 배부하여 82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방법으로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측정을 위해서 Cohen과 Hoberman이 개발한 대인관계지지 평가 척도를 기초로 문성원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Block & Block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구자은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지각 측정을 위해 이정순의 척도를 수정한 변영주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은 각각 스트레스 지각수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즉, 사회적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각이 낮았으며 그 중 자아스트레스와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가졌다. 그러나 학교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가지지 않았다. 또한 자아탄력성 지각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각이 낮았다.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의 각 하위요인과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학교스트레스와는 상관을 보이자 않았다. 둘째, 스트레스 지각에 지각한 사회적 지지보다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자아탄력성이 영향을 미치고, 가정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총 사회적지지, 정서적지지, 자아탄력성이 영향을 미친다. 대인 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자아탄력성과 물질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며, 자아스트레스 수준에 자아탄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올바르게 줄 수 있는 방법의 제시나 자아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on stress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4 students sampled in 2 co-ed high schools, 1 girls' high school, 1 boys' high school, and 3 boys' technic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For measuring perceived social supports, Mun Sung Won's modified scale based on Cohen and Hoberman's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was used. Ego-resilience was measured by Gu Ja Eun's modified scale based on Block and Block's study. In order to measure stress perception, Byun Young Ju's modified scale was used. Data were processes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perception respectively. The more social supports students perceive, and the lower stress students perceive. Perceived social supports show the highes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tress perceptio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stress perception. The more ego-resilience students perceive, and the lower stress students perceive. Ego-resilience show high level of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stress, but doesn't show correlation with school stress. Second, ego-resilience has relatively more influences on stress perception than perceived social supports. Ego-resilience have influences on total stress perception. Total social supports, emotional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have influences on domestic stress perception. Ego-resilience and material social supports have influences on interpersonal stress perception. Ego-resilience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self-esteem stress perception. In conclusion, since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have influences on stress perception, suggestions of giving proper social support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ego-resilience are needed to study.

      • 부부적응이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조두성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08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effect of marital adjustment on employee's job involvement, and reviewed the path of by which marital adjustment affects perceived stress and this perceieved stress affects on employee's job involvement. The subjects of this are married employees in KTL company.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October 2 to October 21, 2008 and the researcher requested each branch for cooperation and mail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filled and send them back. 437 of 450 deployed questionnairs are recovered, and 380 cases (84%)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processed by SPSS 12.0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In step 1, in which Baron & Kenny (1986)s' moderator verification stage, it is identified that marital adjustment has significant effect, the higher marital adjustment, the higher employee's job involvement. In step 2, the consequence of analysis of marital adjustment and job involvement shows that the higher subject's marital adjustment, the lower perceived stress. In step 3, marital adjustment is identified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ment, perceived stress having effect on job involvment. Therefore, rather than marital adjustment directly affects job involvment, via perceived stress marital adjustment affect indirectly on job involvment, and perceived stress has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job involvment and marital adjustment. It is figured out that low marital adjustment affects negatively on employee's job involvment through increasing perceived stress level.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employer's necessity to involve to employee's family as well as employee, by being almost the first research on the effect of marital adjustment on employee's job involvement. This research, in addition, ha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by figuring out the path on which marital adjustment affects job involvement increasing stress, the point of intervention to employees themselves and their family. 본 연구에서는 부부적응이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부부적응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쳐 이러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KTL기업에 근무하는 기혼근로자이다. 자료수집은 2008년 10월 2일부터 10월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자는 각 지사에 협조를 요청하고,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응답자들이 근로자들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한 후 지사별로 취합하여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배포된 450부 중 437부 수거, 응답내용이 부실한 사례를 제외하고 총 380부(84%)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결과,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단계를 사용한 경과 1단계에서는 부부적응은 직무몰입에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부적응이 높아질수록 근로자의 직무몰입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2단계에서는 부부적응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부적응이 높을수록 조사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부부적응은 직무몰입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적응은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해 직무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부부적응과 직무몰입에 대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정리해보면, 낮은 부부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켜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는 거의 처음으로 부부적응이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기업이 근로자 개인은 물론 근로자 가족에게도 개입해야 할 필요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근로자의 부부적응이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근로자 개인 및 가족에 대한 개입의 초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