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첩포검사를 시행한 습진성 입술염 환자에 관한 임상적 연구

        장석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8

        배경: 습진성 입술염은 입술 및 입술 주변부의 홍반, 가려움증 및 부종, 열창 등의 형태를 보이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접촉성 피부염의 한 형태로 입술연지, 입술용 크림 등 외부 물질과 장기간의 일광노출, 입술을 자극하는 습관 등 외인성으로 발생가능하며 아토피 피부염, 지루 피부염등의 내인성 요인에 기인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목적: 습진성 입술염 환자 중 첩포검사를 시행한 환자에서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 환자의 유병률 및 원인 항원을 알아보고, 자극에 의한 입술염, 내인성 입술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입술에만 가려움, 건조, 부종, 열창등을 동반한 입술염 환자 중 첩포검사를 시행한 환자 56명의 의무기록과 임상사진을 조사하였고 첩포검사 및 문진 결과를 통해 입술염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총 56명의 환자 중 41명의 환자에서 첩포검사 상 1개 이상의 항원에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 중 원인항원이 밝혀진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 환자가 25(44.6%)명 이었고, 자극에 의한 입술염이 13(23.2%)명, 내인성 입술염이 5(8.9%)명 이었다.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는 lipstick 및 lipstick casing 과 같은 cosmetics, 치약, 의약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습진성 입술염 중 화장품이나 치약, 의약품 등의 원인 물질에 의한 알레르기 접촉 입술염의 빈도가 높으므로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습진성 입술염에서 첩포검사가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heilitis is an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lips. Eczematous cheilitis can be caused by either endogenous or exogenous factors. Contact sensitization could be a common exogenous cause as the lips are exposed to lipsticks, toothpastes and topical medications. Objective: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irritant contact cheilitis from eczematous cheilitis patients. Methods: We indentified the patients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between January 2004 and February 2013. Clinical characteristics (age, gender, past history, disease duration, etc) and patch test results were carefully evaluated. Results: Allergic contact cheilitis was diagnosed most commonly (25 patients, 44.6%) followed by irritant contact cheilitis (13 patients, 23.2%) and endogenous cheilitis (5 patients, 8.9%). However the causative factors were uncertain in 13 patients (23.2%). Among 56 patients, 41 revealed patch test positivity to one or more antigen (73.2%) which indicated a clinical relevance for the positive antigen in 25 patients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Conclusion: The common cause of allergic contact cheilitis was related to lipstick casing, lip cosmetics such as lipsticks and lip balms followed consumer product like toothpaste. Interestingly, nickel sulfate was the most common in positive patch test followed by fragrance mix and balsam of Peru. While it’s difficult to conclude a clinical relevancy, patients with chronic eczematous cheilitis should be patch-tested to identify the possible cause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for skin sensitization by DPRA and (Q)SAR

        유지수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99

        Aroma compounds and natural products are the commonly detected allergens used in cosmetics and other household products. When allergens are absorbed through the skin, some compounds may caus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as a representative disease caused by skin sensitization, which is part of T-cell-mediated immunotoxicity. Therefore,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skin sensitization on cosmetic ingredients is an important process to avoid the skin trouble. An increasing ethical demand to replace animal experiments resulted in the regulatory requirement in Europe to assess the safety of cosmetic ingredients without testing on animals (EU 2009). In this study, skin sensitization to 38 aroma compounds and 22 natural product-derived compounds was evaluated by the direct peptide reactivity assay (DPRA) using HPLC/UV, an animal substitution test developed into a test guideline (TG) in 2015 (OECD 442C). The peptides used in DPRA were cysteine (Ac-RFAACAA_COOH) and lysine (Ac-RFAAKAA_COOH) and the loss rate of peptides was evaluated by reacting with the 100 mM test substance for 24 hours and by measuring the reduced peak area at HPLC/UV 220 nm. The independent dataset in the (Q)SAR programs of Toolbox, Derek, and VEGA were combined to determine the skin sensitization potential. The aroma compounds showing obscure criterion either by DPRA or by (Q)SAR programs were determined by a human patch test. Collectively, 16 aroma compounds and 7 natural product-derived compounds were finally classified positive in skin sensitization by the DPRA linked (Q)SAR. This evaluation process provided the high score in selectivity,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ability. Therefore, this method will be useful to determine the skin sensitization potential in aroma chemicals used in cosmetics.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알려져 있는 아로마 화합물 및 천연물은 화장품 및 기타 생활용품에 사용된다.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피부를 통해 흡수될 경우 일부 화합물은 T-cell 매개 면역독성의 일부인 피부 감작에 의한 대표적인 질환으로 알레르기 접촉피부염(ACD)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성분에 대한 피부 감작성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은 피부 트러블을 피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실험 동물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유럽에서는 화장품 관련 동물실험을 규제하는 법이 생겼다(EU 2009). 본 연구에서는 38개의 향료와 22개의 천연물 유래 화합물을 2015년 OECD에서 개발된 동물대체 시험법인 Direct peptide reactivity assay (DPRA)로 피부 감작성을 평가하였다. DPRA에 사용된 펩타이드는 시스테인(Ac-RFAACAA_COOH) 과 라이신(Ac-RFAAKAA_COOH) 이었으며, 펩타이드와 100mM의 시험물질은 24시간 동안 반응하고 HPLC/UV 220nm로 감소된 피크면적 즉, 펩타이드의 소실율로 평가하였다. 또한 3가지 (Q)SAR 프로그램인 Toolbox, Derek 및 Vega의 독립적인 데이터 세트를 결합하여 피부 감작성을 평가하였다. DPRA와 (Q)SAR에서 모호한 결과를 가지는 화합물은 첩포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총 16개의 향료와 7개의 천연물 유래 화합물이 DPRA와 (Q)SAR를 조합한 시험법에 피부 감작성 양성으로 평가되었다. 이 과정은 selectivity, sensitivity, negative predictability에서 높은 점수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이 방법은 화장품 성분의 피부 감작성을 결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접촉피부염 환자에서 최근 5년간 표준항원 첩포시험 성적

        배유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108

        배경: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allergic contact dermatitis)은 알레르겐 또는 항원이라는 외부 물질에 접촉된 사람에게 습진을 비롯한 다양한 피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원인이 되는 항원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종류에 차이가 있다. 첩포시험 (patch test)은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을 진단하고 원인 항원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목적: 접촉피부염 환자에 있어서 첩포시험에 의한 시대별, 지역별 호발 항원의 차이, 각 항원들 간의 연관성 및 이전 보고들과의 차이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5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에 내원하여 현병력과 피부 소견 상 접촉피부염으로 진단한 환자 74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첩포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첩포시험 양성률은 68.5%이었고 20대와 40대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가 가장 많았다. 높은 양성률을 보인 상위 5개 항원은 nickel sulfate, cobalt chloride, potassium dichromate, mercuric ammonium chloride, 4-phenylenediamine base의 순이었다. Nickel sulfate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들의 각각 37.8%와 27.3%는 cobalt chloride와 potassium dichromate에도 양성 반응을 보여 Nickel sulfate 음성 반응 환자의 16.2%와 14.3%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금속 항원과 더불어 향료 관련 항원인 4-phenylenediamine base, balsam peru, fragnance mix 등의 양성률도 높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수은 항원인 mercuric ammonium chloride에 양성을 보인 환자가 최근의 보고에 비하여 많았고, 백신에 함유되는 성분인 thimerosal은 10대 연령 군에서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결론: 접촉피부염을 진단하였던 환자에서의 양성률은 지금까지 보고된 양성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흔한 항원은 시대적, 지역적으로 다양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금속 연관 항원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또한 항원들 간의 상호작용 또는 교차반응이 비교적 흔하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 number of skin manifestations including eczema in patients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result from sensitization with specific allergens. Patch testing is a primary diagnostic tool for identifying allergens causing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bjective: Our aim was to report the results of patch testing with Korean standard series in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with contact dermatitis. Also, we identified the specific relationship with each allergens. Methods: During 5-year period, 743 patients were patch tested with standard Korean series. The results of patch testing were examined. Results: Overall, 68.5% of patients had at least one positive reaction and 43.6% of patients had two or more positive reactions. Five allergens most frequently caused positive reactions were nickel sulfate (27.1%), cobalt chloride (22.1%), potassium dichromate (17.9%), mercuric ammonium chloride (13.8%), and 4-phenyledediamine base (10.2%). Patients in 3rd and 5th decades showed highest rate of positive reaction. Metal allergens still had higher positive rates than any other standard allergens. Two hundreds and one patients who showed positive reaction to nickel, 37.8% and 27.3% of patients also had positive reaction to cobalt and chromium respectively, meaning concomitant reactions between metal-related antigens. In addition, there were cross reactions and concomitant reactions among cosmetics-related antigens including balsam peru, fragnance mix, etc. Conclusion: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overall positive rate in patch test compared with recent studies. However, we could identify metal-related allergens as more commonly encountered allergens throughout past two decades. Also, it was notable that cross reactions and concomitant reactions between allergens were relatively common.

      • 산업제어시스템(ICS) 보안취약점 제거시 한계점 사례 분석 : 패치적용 중심으로

        이재명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1998

        국가기반시설산업제어시스템(ICS, Industrial Control System)이란 에너지, 정보통신, 가스, 수도 등의 중요 산업분야에서 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기반의 시스템을 말한다. 국가의 중요 산업시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안전하게 운영되도록 지원하는 중추신경계로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사이버테러,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은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으며, 사회 주요기반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 피해사례를 살펴보면 우크라이나 전력발전소 제어시스템 악성코드 감염(2015년 12월)으로 8만여 가구에 정전 피해가 발생하는 등 주요 시설 인프라를 대상으로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내발전소에도 악성코드 공격(2016년 2월), 미국 원자력발전소 공격(2017년 5월) 등 국가·사회적으로 중요한 산업시설 및 제어시설에 대한 타킷형 사이버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초기의 산업제어시스템은 폐쇄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안전하다는 의견을 갖고 있었으나, 최근 악성코드에 의한 우회적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대처하는 것에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또한 ICT 기술의 발달과 공정정보 활용을 위해 산업제어 네트워크는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보안취약성과 사이버 침해위협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가 기반시설 산업제어시스템은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로서 사이버 공격 피해 발생 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그러나 기반시설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 취약점 현황을 살펴보면 폐쇄망이어서 패치적용의 기술적인 한계와 안전할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중요 취약점들이 여전히존재하고 있다. 특히, 가용성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보안패치를 장기간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안이 강화된 현시점에서의 기반시설 ICS 제어시스템 보안취약점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패치적용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다.

      • Augmenting Directed Greybox Fuzzing using Constraints

        이광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1979

        유도 퍼징은 크래시 재현이나 PoC 입력 생성과 같이 특정 코드 지점을 집중적으로 검사하는 용도에 맞게 퍼징을 증강한 기법으로, 퍼징 시드를 지정된 코드 지점으로 끌어당기는 식으로 퍼징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용도들은 여전히 종래의 유도 퍼징기법 하에서 긴 시간이 요구될 수 있는데, 이는 유도 퍼징이 타깃 지점에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크래시 유발에 필요한 데이터 조건 역시 무시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이 논문은 타깃 지점에 "제한조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순서와 데이터 조건을 유도 퍼징에 도입, 유도 퍼징의 목표 크래시 유발 성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하 CDGF)에 대하여 제시한다. CDGF에서 가정하는 제한조건은 도달해야 하는 타깃 지점과 해당 지점에서 만족되어야 할 데이터 조건의 조합으로, CDGF 퍼저는 이러한 제한조건을 순서대로 더 잘 만족한 퍼징 시드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유도 퍼징을 증강시킨다. 이 논문은 7가지 타입의 크래시 덤프와 4가지 종류의 패치 로그에서 자동으로 제약조건을 생성할 수 있게 하여, 총 47개의 실세계 버그를 대상으로 프로토타입 시스템 CAFL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FL이 종래의 최신 유도 퍼징 시스템인 AFLGo 대비 크래시 재현 성능에서 평균 2.88배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C 입력 생성 역시 제한조건이 명확하게 주어질 수록 더 월등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Directed greybox fuzzing is an augmented fuzzing technique intended for the targeted usages such as crash reproduction and proof-of-concept generation, which gives directedness to fuzzing by driving the seeds toward the designated program locations called target sites. However, I find that directed greybox fuzzing can still suffer from the long fuzzing time before exposing the targeted crash,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ordered target sites and the data conditions. This dissertation presents constraint-guided directed greybox fuzzing that aims to satisfy a sequence of constraints rather than merely reaching a set of target sites. Constraint-guided greybox fuzzing defines a constraint as the combination of a target site and the data conditions, and drives the seeds to satisfy the constraints in the specified order. I generate the constraints with seven types of crash dumps and four types of patch changelogs in an automatical way, and evaluate the prototype system CAFL against the representative directed greybox fuzzing system AFLGo with 47 real-world crashes and 12 patch changelogs. The evaluation shows CAFL outperforms AFLGo by 2.88x for crash reproduction, and better performs in PoC generation as the constraints get explicit.

      • KVD: A scalable approach for known vulnerable code detection and patch presence testing using code similarity and function signatures

        Yun, Jaeku Sungkyunkwan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15754

        오늘날 오픈소스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오픈소스 내 알려진 취약점을 탐지하는 것은 취약점에 의한 시스템 전체의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취약한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몇 가지 관련 연구(예: 코드 클론 기반 탐지 (VCC), 패치 존재 테스트 (PPT)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분석 (SCA))가 존재하지만, 오픈소스 코드 내 발생한 사용자에 의한 수정사항과 오픈소스 개발 흐름상 발생한 업스트림의 수정사항은 취약점을 탐지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점검 대상 소프트웨어 안에 사용자에 의한 수정사항 및 오픈소스의 업스트림 내 발생한 다양한 코드 수정이 존재하더라도 점검 대상 코드 내에서 알려진 취약점에 대해 취약한 상태로 남아있거나 패치 된 코드 조각을 식별할 수 있는 KVD를 제안한다. 코드 수정에 대응하기 위해 KVD는 함수 간의 편집 거리에 기반한 코드 유사성 점수를 사용하여 일부 변경 사항이 있는 코드 조각을 효과적으로 식별한다. 편집 거리 계산의 큰 부담을 피하기 위해 KVD는 함수의 시그니쳐를 활용하여 비교 대상이 되는 코드 조각 간의 비교 횟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 효과와 확장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리는 KVD를 최첨단 취약 코드 클론 기반 연구(MOVERY)와 비교했다. KVD는 10개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포함된 벤치마크에서 MOVERY(정밀도 74%, 재현율 66%)를 능가하는 100% 정밀도와 92%의 재현율을 보였으며, MOVERY보다 6-14배 빠른 점검속도를 보였다. 또한 KVD는 취약점에 대한 패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데 효과적이다. KVD는 Android Kernel (Linux Kernel의 수정 사용 케이스)을 대상으로 한 테스트에서 100%의 정밀도와 89.6%의 재현율을 달성했으며, 이는 최신 Patch Presence Testing 방법 (PDiff)보다 27.2% 높은 재현율을 달성했다. Detecting vulnerabilities in open-source software (OSS) is a fundamental task in the software industry because OSS is widely used for various software products. Therefore, several approaches (e.g., code clone-based detection, patch presence testing, and software component analysis) have been presented to identify vulnerable codes. However, unmanaged code reuse practices through code customization and integration make it challenging to trace vulnerable code fragments in downstream projects, which are discovered from upstream pro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KVD, a scalable OSS analysis approach that can robustly identify vulnerable and/or patched code fragments in downstream projects against code modifications. To hold a certain tolerance for code modifications, KVD uses a code similarity score based on edit distance to identify code fragments with some changes effectively. To avoid the heavy burden of edit distance computation, KVD uses well-designed function signatures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candidate code fragments examined.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and scalability, we compared KVD with the state-of-the-art vulnerable code clone-based scheme (dubbed MOVERY). KVD showed 100% precision and 92% recall that outperformed MOVERY (74% precision and 66% recall) on a benchmark containing ten open-source projects. Moreover, KVD is 6-14 times faster than MOVERY. KVD is also effective in determining the patching status - KVD achieved 89.6% recall, higher than the state-of-the-art patch presence testing scheme (dubbed PDiff) by 27.2%, and the same 100% precision on the Android Kernel images modified from the Linux Ker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