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예측 요인 분석

        남나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343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is is the age when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getting highlight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individual’s future career and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at school level. In the past,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sufficient to systematically compare and analyz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among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because those studies only targeted specific subjects or used the average values ​​of several subjects. In addition, analysis methods of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input variables, so it has been difficult to search for new 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Th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standard random forests, which allows to input limitless predictors, has been introduced and utilized; however, standard random forests cannot properly reflect the multi-level structure in the academic achievement-related data. This study uses mixed-effects random forest that can reflect the multi-level structure in academic achievement-related data, to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more accuratel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mpare and analyze significant predictors for each subject(Korean, English, mathematic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en mixed-effects random forest is used, does it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ng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standard random forests? Second, when mixed-effects random forest is used,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for each subject that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ird, when mixed-effects random forest is used, what are the common predictors between subjects that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Fourth, when mixed-effects random forest is used, what are the differentiating predictors for each subject that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is study, academic achiev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with 595 predictors(student level: 457 predictors, school level: 138 predictors), using the 5th year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third year of middle school) which was collected and manag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orean: 6,246 students, English: 6,236 students, Mathematics: 6,246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mixed-effects random forest was used, the accuracies of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were higher than when the standard random forests was used. More specifically, the accuracy indices of mixed-effects random forest were more accurate than those of the standard random forests in both training and test data, for all three subjects. In the training data, RMSEs were 12.14∼16.09% lower, MAEs were 13.03∼17.18% lower, and MAPEs were 13.08∼17.66% lower, and s were 4.19∼6.71% higher for the mixed-effects random forest, comparing to the standard random forests. In the test data, RMSEs were 2.92∼3.94% lower, MAEs were 3.77∼4.71% lower, and MAPEs were 3.75∼5.30% lower, and s were 5.82∼11.51% higher in mixed-effects random forest comparing to the standard random forests. Second, the results of using mixed-effects random forest for exploring import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by subject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Korean, the top 30 important predictors included 8 predictors of ‘use of time’, 7 predictors of ‘class participation’, 5 predictors of ‘high school plan’, 4 predictors of ‘non-cognitive achievement’, 2 predictors of ‘career and job-related programs’ and 4 other predictors(6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gender, height, parents' expectations of each student's educational level). In the case of English, the top 30 important predictors included 7 predictors of ‘class participation’, 6 predictors of ‘use of time’, 4 predictors of ‘high school plan’, 3 predictors of ‘career and job-related programs’, 3 predictors of ‘non-cognitive achievement’, and 2 predictors of ‘self efficacy’ and 5 other predictors(6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of English, 1 predictor of ‘motivation’, 1 predictor of ‘class climate’, 1 predictor of ‘school violence’, average monthly educational expenses). In the case of Mathematics, the top 30 important predictors included 6 predictors of ‘class participation’, 5 predictors of ‘high school plan’, 4 predictors of ‘self efficacy’, 4 predictors of ‘use of time’, 3 predictors of ‘motivation’, 3 predictors of ‘career and job-related programs’, 2 predictors of ‘non-cognitive achievement’, and 3 other predictors(6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verage monthly educational expenses,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ird, the results of using mixed-effects random forest for exploring the common predictors among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12 common predictors of three subjects (40% of the top 30 predictors), consisting of 5 predictors of ‘class participation’, 4 predictors of ‘high school plan’, 2 predictors of ‘career and job-related programs’, 1 predictor of ‘non-cognitive achievement’. Excluding these, there were 7 common predictors between Korean and English(23% of the top 30 predictors), which included 4 predictors of ‘use of time’, 2 predictors of ‘non-cognitive achievement’, and 1 predictor of ‘class participation’. There were 2 common predictors between Korean and mathematics(7% of the top 30 predictors), which included 1 predictor of ‘class participation’ and 1 predictor of ‘use of time’. There were 4 common predictors between English and Mathematics(13% of the top 30 predictors) included 2 predictors of ‘use of time’, 1 predictor of ‘career and job-related programs’, and the average monthly educational expenses. Fourth, when using mixed-effects random forest, there were differentiating predictors for each subject. For Korean, there were 9 unique predictors(30% of the top 30 predictors), which included 3 predictors of ‘use of time’, 1 predictor of ‘non-cognitive achievement’, 1 predictor of ‘high school plan’, 6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gender, height, and parents' expectations of each student's educational level. In English, there were 7 unique predictors(23% of the top 30 predictors), which included 3 predictors of 'self-efficacy' and 'motivation', 1 predictor of ‘class participation’, 1 predictor of 'class climate', 1 predictor of ‘school violence', and 6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of English. In Mathematics, there were 12 unique predictors(40% of the top 30 predictors), which included 4 predictors of 'self-efficacy' and 3 predictors of 'motivation', 1 predictor of 'use of time', 1 predictor of ‘non-cognitive achievement’, 1 predictor of ‘high school plan’, 6th grad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matics, a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This study not only used mixed-effects random forest which can reflect the multi-level structure of academic achievement-related data, to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greater accuracy, but also newly discovered important predictors that had rarely been mentioned in prior researches; ‘non-cognitive achievement’ and ‘career and job-related progra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policy establishment by revealing important predictors by subject and comparing and analyzing common and discriminatory predictors between subjec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ixed-effects random forest more precisely through follow-up studies. Moreover, follow-up studies regarding new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highlighted in this study are neede to be conducted. 중학생은 초등학생과 다른 발달 심리적 특성을 가지며, 학업성취의 중요성이 본격적으로 부각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향후 개인의 진로 및 학교 수준의 효과적인 교육활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다수의 선행 연구에서는 일부 교과를 대상으로 하거나 여러 교과들의 평균값을 활용하고 있어서 국어, 영어, 수학 교과간의 중요 예측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데 미흡하였다. 아울러, 기존 분석 방법들에서 투입할 수 있는 독립변인의 개수 제한 등으로 새로운 예측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다수의 예측 요인들을 투입할 수 있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하나인 표준 랜덤 포레스트 기법이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나, 이 또한 학업성취도 관련 데이터에 내재된 다층 구조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 관련 데이터에 내재된 다층 구조를 반영할 수 있는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고, 각 교과별 중요 예측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할 경우, 표준 랜덤 포레스트 기법에 비해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의 정확성을 더 높이는가? 둘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할 경우,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교과별 중요 요인들은 무엇인가? 셋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할 경우,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교과간 공통 요인들은 무엇인가? 넷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할 경우,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교과별 차별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집·관리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5차 연도 데이터(중학교 3학년 대상)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성취도(국어: 6,246명, 영어: 6,236명, 수학, 6,246명)를 학생 수준 예측 요인 457개와 학교 수준 예측 요인 138개, 총 595개의 예측 요인들을 투입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과 표준 랜덤 포레스트 기법으로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였을 때 학업성취도 예측의 정확성이 더 높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 교과의 훈련 데이터에서 두 기법간 모형 평가 지수의 차이는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이 표준 랜덤 포레스트 기법보다 RMSE는 12.14∼16.09%, MAE는 13.03∼17.18%, MAPE는 13.08∼17.66% 낮았고, 는 4.19∼6.71% 높았으며, 시험 데이터에서도 RMSE는 2.92∼3.94%, MAE는 3.77∼4.71%, MAPE는 3.75∼5.30% 낮았고 는 5.82∼11.51% 높아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교과별 학업성취도 중요 예측 요인들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어 교과의 경우 상위 30개 중요 예측 요인들로는 ‘시간 활용’ 관련 8개, ‘수업참여’ 관련 7개, ‘고교진학계획’ 관련 5개, ‘비인지적 성취’ 관련 4개, ‘진로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 관련 2개, 그리고 그 외 4개(초6 국어 학업성취도, 성별, 키, 부모가 기대하는 자녀 학력 수준) 요인들이 나타났다. 영어 교과의 경우 ‘수업참여’ 관련 7개, ‘시간 활용’ 관련 6개, ‘고교진학계획’ 관련 4개, ‘진로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 관련 3개, ‘비인지적 성취’ 관련 3개, ‘자기효능감’ 관련 2개, 그 외 5개(‘동기’ 관련 1개, ‘수업 분위기’ 관련 1개, ‘학교 폭력’ 관련 1개, 초6 영어 학업성취도, 월평균 교육비) 요인들이 포함되었다. 수학 교과의 경우 ‘수업참여’ 관련 6개, ‘고교진학계획’ 관련 5개, ‘자기효능감’ 관련 4개, ‘시간 활용’ 관련 4개, ‘동기’ 관련 3개, ‘진로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 관련 3개, ‘비인지적 성취’ 관련 2개, 그 외 3개(초6 수학 학업성취도, 월평균 교육비, 월평균 가구소득) 요인들이 포함되었다. 셋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교과간 학업성취도 공통 예측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 교과간 공통 예측 요인들은 총 12개(상위 30개 요인 중 40%)로, ‘수업참여’ 관련 5개, ‘고교진학계획’ 관련 4개, ‘진로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 관련 2개, ‘비인지적 성취’ 관련 1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국어와 영어 교과간 공통 예측 요인들은 총 7개(상위 30개 요인 중 23%)로, ‘시간 활용’ 관련 4개, ‘비인지적 성취’ 관련 2개, ‘수업참여’ 관련 1개로 나타났다. 국어와 수학 교과간 공통 예측 요인들은 총 2개(상위 30개 요인 중 7%)로, ‘수업참여’ 관련 1개와 ‘시간 활용’ 관련 1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영어와 수학 교과간 공통 예측 요인들은 총 4개(상위 30개 요인 중 13%)로, ‘시간 활용’ 관련 2개, ‘진로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 관련 1개, 월평균 교육비로 나타났다. 넷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교과별 학업성취도 차별 예측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어 교과의 경우 총 9개(상위 30개 중 30%)로, ‘시간 활용’ 관련 3개와 ‘비인지적 성취’ 관련 1개, ‘고교진학계획’ 관련 1개, 초6 국어 학업성취도, 성별, 키, 그리고 부모가 기대하는 자녀 학력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어 교과의 경우 총 7개(상위 30개 중 23%)로, 영어 교과와 관련된 ‘자기효능감’과 ‘동기’ 관련 3개와 ‘수업참여’ 관련 1개, ‘수업 분위기’ 관련 1개, ‘학교 폭력’ 관련 1개, 초6 영어 학업성취도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의 경우 총 12개(상위 30개 중 40%)로, 수학 교과와 관련된 ‘자기효능감’과 ‘동기’ 관련 7개, ‘시간 활용’ 관련 1개, ‘비인지적 성취’ 관련 1개, ‘고교진학계획’ 관련 1개, 초6 수학 학업성취도, 월평균 가구소득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 관련 데이터의 다층 구조를 반영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법인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요인 외에 기존에 부각되지 않았던 ‘비인지적 성취’나 ‘진로 및 직업 관련 프로그램’ 등을 중요 예측 요인으로 밝혔다. 또한, 교과별 학업성취도의 중요 예측 요인들을 밝히고, 교과간 공통 및 차별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여 학교 교육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활용한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정교히 발전시키고, 이 연구에서 부각된 학업성취도의 새로운 예측 요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중학생의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정현숙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0

        본 연구는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은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국내로 이주해 들어오는 외국인근로자와 새터민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며, 국제결혼 또한 증가하여 2010년 현재 외국인 주민이 12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수의 다문화가정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통합교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외모가 다르고 말투가 다르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따돌림과 괴롭힘을 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도 탈락하는 학생수 또한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새롭게 유입되는 구성원과 그들 자녀수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 학생의 원만한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중학생들의 다문화 및 다인종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여 다문화시대 학교에서 실시하는 다문화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개인변인별 차이는 어떠한가? 1-1. 중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1-2.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수준은 개인변인별(성별, 외국인과 생활 경험 유무, 다문화 친구 접촉 유무)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중학생의 각 문화권(동남아시아문화권, 백인문화권, 흑인문화권)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2-1. 중학생의 각 문화권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 수준은 어떠한가? 2-2. 중학생의 각 문화권에 대한 태도는 개인변인별(성별, 외국인과 생활 경험 유무, 다문화 친구 접촉 유무)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중학생의 각 인종(백인, 코시안, 흑인)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3-1. 중학생의 각 인종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 수준은 어떠한가? 3-2. 중학생의 각 인종에 대한 태도는 개인변인별(성별, 외국인과 생활 경험 유무, 다문화 친구 접촉 유무)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북부 포천시 소재 4개의 중학교 39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 기술 통계, t-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수준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보면 인지적 영역(M=3.47)과 정의적 영역(M=3.46)이 행동적 영역(M=3.20)보다 더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다문화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과의 생활 경험 유무에서도 다문화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과 생활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다문화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급에서 다문화가정 친구 접촉 경험 유무에 따른 다문화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의 자녀수가 아직 많지 않으며, 학교 교육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 학생의 접촉과 관련된 실질적인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한 현상으로 여겨진다. 둘째, 중학생의 다문화(백인문화, 동남아시아문화, 흑인문화)에 대한 태도는 백인문화권에 대한 태도가 타 문화권에 대한 태도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흑인문화권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는 타 문화권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대적인 문화권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의 차이는 문화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에서 나타나는 것이므로 특정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성별이나 학급에서 다문화가정의 친구와 같은 반이었던 경험 유무에 따른 다문화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인과의 생활 경험 유무에 따른 다문화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과 생활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중학생의 다인종(백인, 코시안, 흑인)에 대한 태도는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 점수로 보면 코시안(M=3.46)과 백인(M=3.43)은 큰 차이가 없으나, 흑인(M=3.10)은 이보다 낮게 나타났다. 흑인에 대한 태도는 백인과 코시안에 비해 정의적인 영역과 행동적인 영역에서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인종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이 존재하며, 특히 흑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성별 또는 외국인과 생활했던 경험 유무에 따른 다인종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외국인과 생활경험은 인종 편견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s of th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cultural and racial diversit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toward cultural diversity? 1-1. How is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cognition toward cultural diversity?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level toward cultural diversity by the individual variables(gender, whether they have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or whether they have met friends from different cultures)? 2. How is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different cultural areas (Southeast Asian cultural area, white cultural area, and black cultural area)? 2-1 How is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each cultural area?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each cultural area by the individual variables(gender, whether they have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or whether they have met friends from different cultures)? 3. How is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different races(white men, kosian, black men)? 3-1. How is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each race?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each race by the individual variables(gender, whether they have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or whether they have met friends from different cultur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397 middle school students of 4 middle schools in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leading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toward cultural diversity was positive in order of cognitive(M=3.47), affective(M=3.46), and behavioral(M=3.20) area. A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toward cultural diversity by gender, indicating that girl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recognition toward cultural diversity.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toward cultural divers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while it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met classmates from culturally different families. Seco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different cultural areas(white cultural area, Southeast Asian cultural area, and black cultural area), it seemed that their attitude toward white cultural area was more favorable than that toward other cultural area. On the other hand, it suggested that their attitude toward black cultural area was more unfavorable than that toward other cultural area. Their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show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r whether they have been in the same class with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e. However,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lived with foreigners, which means students who have lived with foreigners are more favorable to cultural diversity than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different races was totally normal in order of kosian(M=3.46), white men(M=3.43), and black men(M=3.10). That is, their attitude toward kosian and white men was almost same, but their attitude toward black men was a little lower. It seemed that their attitude toward black men was a little more negative in affective and behavioral realm compared to that toward white men and kosian. It mean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 kind of racial prejudice or bias and negative attitude especially toward black men. And their attitude toward different race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y gender and whether they have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oreigners is a good educational method to eliminate racial prejudice. But their attitude toward different races didn'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been in the same class with friends from different cultu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cultural and racial divers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n the education of cultural d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usual middle school students is very urgent. Second, the educational field in which students can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and races should be developed. Thir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material using multimedia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s a nationwide policy.

      •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스마트폰 과몰입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

        최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39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스마트폰 과몰입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중학생 대상의 배려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연구방법과 절차에 있어서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중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63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3가지로서, 가족기능은 김정운(2016)이 개발한 청소년용 가족기능척도로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전체 26문항 4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 경우 가족기능이 원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마트폰 과몰입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청소년용 자가진단 척도로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전체 15문항 4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 경우 스마트폰 과몰입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배려는 조규판·주희진(2013)이 개발한 청소년용 배려척도로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전체 20문항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배려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몰입 및 가족기능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경향성을 살펴보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의 전반적인 경향은 4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균 3.15(표준편차 .45)로 하위영역에서 ‘정서지지’, ‘성장지원’, ‘가족화합’, ‘의사소통’, ‘가족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의 전반적인 경향은 애정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가족구성원 간에 규칙 및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자녀의 성장지원을 위한 물리적 지원 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족갈등의 경우 대체적으로 비난이나 원망, 책임전가 등 없이 원만한 해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과몰입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결과 4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균 2.00(표준편차 .53)으로 하위영역에서는 ‘내성’, ‘일상생활장애’, ‘금단’, ‘가상세계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몰입의 전반적인 경향은 스마트폰 사용이 현실세계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대인관계를 불편하게 느끼지는 않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을 중단할 경우 불안감을 느끼지는 않았고 스마트폰 사용을 더 많이 할수록 만족감을 느끼는 내성의 경우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종합적으로 스마트폰 과몰입은 높지 않은 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려의 전반적인 경향은 5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균 4.02(표준편차 .66)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행동’, ‘정서’, ‘인지’ 순으로 나타나 이는 중학생들은 배려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반응이 가장 높았고, 상대를 이해와 공감하고 배려가 필요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는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심리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학년, 지역, 학업성적이 개인심리적 특성은 자기자신만족, 또래관계만족, 스트레스정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종교와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학년, 지역, 학업성적이, 개인심리적 특성은 자기자신만족, 또래관계만족, 스트레스정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종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배려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학년, 지역, 학업성적이, 개인심리적 특성은 자기자신만족, 또래관계만족, 스트레스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종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몰입 및 가족기능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과 학업성적은 배려의 하위영역 인지, 정서, 행동 배려전체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은 배려의 하위영역 인지, 행동 및 배려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심리적 특성에서는 또래관계만족이 배려의 하위영역 인지, 정서, 행동, 배려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과몰입의 하위영역 중 일상생활장애와 내성은 배려의 인지, 정서, 행동, 배려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금단은 배려의 하위영역 행동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기능의 정서지지는 배려 하위영역의 정서, 배려전체에, 가족화합은 배려 하위영역 인지, 행동에, 의사소통은 배려 하위영역 정서, 행동, 배려전체에, 가족갈등은 배려 하위영역 인지, 정서, 배려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교, 자기자신만족, 스트레스정도, 스마트폰 과몰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 가족기능의 하위영역 중 성장지원은 배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스마트폰 과몰입은 배려에 비교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기능 강화교육 및 스마트폰 사용교육, 배려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청소년 관련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실천이 요구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are improvement program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eparing opportunities of using them. In the method and procedure, this study target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Korea; the data surveyed from 636 student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3 kinds of measurement tools: To measure family functioning, the family functioning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Kim Jeong-un(2016) was used. It was the 4-point Likert scale with 26 questions composed of 5 kinds of subdomains; higher scores can be understood smoother family functioning. For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 self-diagnosis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NIA(2011) was used. It was the 4-point Likert scale with 15 questions composed of 4 kinds of subdomains; higher scores mean higher level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For care, the care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Cho Gyu-pan and Ju Hui-jin(2013) was used. It was the 5-point Likert scale with 20 questions composed of 3 kinds of subdomains; higher scores can be understood higher level of care.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0.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endencies of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the post hoc test were carried out. Thir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ummariz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endencies of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general tendency of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3.15 on average on the 4-point Likert scale (standard deviation = .45);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order of emotional support, support for growth, family harmony, communication and family conflict.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tendency of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regul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were smooth based on affection and familiarity and the physical support for supporting children’s growth went on well. Family conflict can be understood to be settled amicably without accusation, resentment or buck-passing in general. Next,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general tendency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 score was 2.00 on the 4-point Likert scale (standard deviation = .53);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order of toleranc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withdrawal and virtual life orientation. Through this, the general tendency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hat using smartphones did not make trouble in the real life or make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comfortable. In addition, students did not feel anxiety when stopping using smartphones. Tolerance, which they feel satisfaction when using smartphones more, was found a bit higher, but smartphone overindulgence can be understood not high in general. Lastly, the general tendency of care was found 4.02 on average on the 5-point Likert scale (standard deviation = .66).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order of behavior, emotion and cognition, which mean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of putting care into specific behaviors was the highest an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others and recognizing the situation that needs care can be also understood high.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as for the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chool year, region and school record, while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lf-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 On the other hand, religion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ext, as for the difference in smartphone overindulg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school year, region and school record, whil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lf-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igion. Lastly, as for the difference in car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school year, region and school record, whil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lf-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igion. Third, as for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 first, it was found that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the school record influenced all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and region influenced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In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influenced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tolerance among the subdomain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were found to influence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Withdrawal was found to influence a subdomain of care ― behavior. Lastly, emotional support of family functioning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ubdomains of care ― emotion and overall care; family harmony on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and behavior; communication on subdomains of care ―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family conflict on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emotion and overall car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religion, self-satisfaction, stress level, virtual life orientation among the subdomain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the support for growth among the subdomains of family functioning did not influence care. In summary,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influence care relatively. Therefore, this study demands enthusiastic practice in the adolescent-related field as well as development of programs for family functioning reinforcement education, smartphones use education and care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노호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39

        국 문 요 약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낙관성, 정서지능, 학습몰입,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가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매개하는가? 셋째,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하는가? 넷째,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가?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부산 4개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2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낙관성, 정서지능, 학습몰입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성은 정서지능, 학습몰입,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정서지능은 학습몰입,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습몰입은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지능은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학습몰입은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이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낙관성, 학습몰입, 진로준비행동 간 관계 연구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선행연구를 중학생 대상으로 확장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하는 낙관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지적 측면의 낙관성이 정서와 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중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담 및 교육적 개입을 시도할 때, 낙관성, 정서지능 및 학습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No, Ho-Chong Major in Counc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does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does learning flow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urth,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o conduct this study, an online or off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four regions: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Busan. A total of 620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ptimism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flow,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Learning flow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learning flow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ur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ptim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tudy presents its significance for expanding the subject in the previous studies from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learning flow,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oreover, structurally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in the influence of optimism that brings positive expectations for futu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conveys meaningful value as it explores the course on how cognitive optimism affects emotion and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optimism,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when attempting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promot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분석

        조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27

        1990년대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의식의 변화로 중등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의 형태와 구조는 다양해졌지만 현행 교육과의 부조화 및 입시위주의 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여가활동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비롯된 문제들로 중등청소년의 여가선용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와 같은 분야의 연구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등청소년들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질적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서울 시내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11명(남학생 6명, 여학생 5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심층면담 방법(개별면담 및 집단면담)을 활용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참여관찰법을 실시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때 많이 쓰이는 주제적 분석의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여가의 의미, 즐겨하는 여가활동, 학교생활과 여가, 여가만족 요인, 여가제약 요인이라는 다섯 가지 상위주제 하에 하위주제들로 나뉘어 졌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등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여가의 의미는 연구대상자 대부분이 시간적 개념 하에서의 여가로 생각하였고, 자발적인 활동이라 생각하는 의견도 나타났다. 둘째, 즐겨하는 여가활동은 컴퓨터의 확대 보급으로 연구대상자 모두가 인터넷 서핑을 즐겨하며, 남학생들은 PC게임과 축구 등에 여학생들은 인터넷 채팅 프로그램과 쇼핑, 요리, 십자수 등을 즐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과 여가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들이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었으나 학업과 성적보다는 교우관계 개선 등 학교생활에서의 즐거움 추구에 관한 의견들이 많았다. 넷째, 여가만족 요인에 관해서는 자발성과 승부욕 그리고 성취욕을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만족이 가장 컸고, 학교 학급에서 교우관계 유지 및 신임을 얻기 위한 태도와 역할을 획득할 수 있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만족이 두 번째로 컸으며, 다음으로 남자 연구대상자들은 운동기술 습득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시도를 통한 지적자극과 PC게임을 할 때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실력 등에서 만족과 기쁨을 느끼고 있었고, 여자 연구대상자들은 주로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식을 알게 되면서 교육적으로 만족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휴식적 만족과 건강 및 체력증진에 대한 생리적 만족 그리고 풍부한 물리적 환경에 관한 언급으로 환경적 만족에 대한 의견들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가제약에 관한 문제는 시간 부족이 여가활동을 함에 있어서 가장 방해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학업과 성적에 대한 부담, 그리고 이에 따른 부모님의 잔소리 등을 제약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음이 공통의견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보면 중등청소년들은 한정적 여가활동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교육적이고 건전한 여가활동을 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1990, while forms and struc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have been getting more various thanks to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students haven't been served the appropriate leisure activities because of the discord in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good use of leisure activities has been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the qualitativ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leisure satisfaction. The eleven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a middle school in Seoul(six boys and five girls) were selected and the method of in-depth-interview(individual interview and group interview) was chiefly used, to compensate for this method,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method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The method of thematic analysis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performing the phenomenological study is used for analyzing thes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sidered leisure as the concept of time. Second, the most popular leisure activity was proved to be surfing the Internet. Boys enjoyed playing the computer games and soccer, and girls enjoyed the programs of Internet chatting, shopping, cooking and cross stitching. Third, as school live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concerned, most students thought that leisure activities could help them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ssociates. Fourth, the primary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psychological satisfaction : spontaneity, the desire of winning and achievement. The secondary factor was sociological satisfaction behaviors and roles for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ociates and gaining credit from schoolmates. And the next, boys felt satisfied and happy through the intellectual stimulus and performance ability, otherwise, girls felt satisfied through getting general knowledges. Fifth, the leisure activities were restricted chiefly by time. The burden of studies and parents' interference also restrict the leisure activities. After all,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limited leisure activities passively, so there were too many problems to be educational and sound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was thought to be the first step toward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The Analysis of Two Comprehensive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on Reading Outcom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rawford, Mark Conard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Hous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33327

        Backgrou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s) are faced with many academic and social challenges that can follow them throughout their lives. Reading achievement scor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Ds are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students without LD. Even more alarming the reading achievement gap has been a continuing challenge for more than 35 years. Additionally, due to the inadequate reading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Ds, the kind of instruction, practices, materials, and other considerations needed to reach struggling readers differ from those that needed to reach struggling readers in the primary grades. To meet national, state, and district mandates, schools must address inadequate reading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Ds and implement effective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will significantly reduce gaps in reading achievemen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wo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Achieve3000 and LANGUAGE! Live that have been utiliz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Ds at a local public school in the Houston metropolitan area. Specifically,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nswers to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RQs). RQ1: Was performance on State of Texas Assessment of Academic Readiness (STAAR) significantly improved, across middle school grades, when enrolled in each program? RQ2: To what extent is one program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as measured by the STAAR reading assessment in Grades 6 to 8? RQ3: Do gender or race/ethnicity influence reading outcomes for each of the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Methods: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Ds in Grades 6, 7, and 8 who participated in either Achieve3000 (n = 31) or LANGUAGE! Live (n = 45)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at least one year. The sample was diverse, with 75% of students identified as Hispanics, 12% African American, and 10% White. Most (91%) students were eligible for free/reduced-price lunch. Archival data of student performance from the STAAR reading assessment, as well as demographic information, was utilized to answer the three RQs. Results: For RQ- 1, findings indicated there was not significant growth on the STAAR reading test between Grades 6 and 7 and Grades 7 and 8 for the LANGUAGE! Live reading intervention group. However,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growth from Grade 6 to Grade 7 for students enrolled in the Achieve3000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no significant growth was evident from Grades 7 to 8. For RQ-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Grades 6 to 8 in terms of student performance on the STAAR. For RQ- 3, results indicated that race/ethnicity was not related to STAAR outcomes for any grade, though gender (females outperformed mal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on STAAR Grade 7. Conclusion: No conclusive evidence was found to support either Achieve3000 or LANGUAGE! Live, as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significantly impact STAAR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Ds Overall, students remained considerably below grade-level peers in reading achievemen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s and strategies to meet the needs of these students with LDs.

      • 중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중심으로

        박유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27

        I performed a survey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ing school library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focusing on using rate in this study. To represen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highly rated group and the low rated group of school library use by figuring out using condition of school library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dividing 3 groups according to library using rate and analysis it by using factors that affecting each groups. This suggested library using factor is going to be used to increase the using rate of library which has the purpose of making worthy of reference to school library. Research was done by Questionnaire to the randomly selected 3 places of Kyunggi based middle school and collected 332 copies of answer sheets was analyzed to SPSS WIN 17.0 program and x² verification and enforced One way anova and enforced post analysis by Scheffe to post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 verification. This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of school library using rate less than 1 to 2 times is 157students out of 322 students, 75 students who visit library 1 to 2 times a week (23.3%), more than 3 times a week is 90 students (28%). 1st and 2nd middle school library using rate is more higher than 3rd students and boy students exceeds than girls students. According to materials in the library which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ing rate shows that the higher using rate of library for students the more perceives of library materials can be highly useable when in come to purpose. And that students who highly use to library perceives fully of school library has enough materials or latest materials and interesting materials. According to human resources in school library when it comes to school library using rate, the librarian is always reside in the library and provide assistance to a students or the librarian uses an easy term to the story or librarian takes care to answer of a question precisely is the factor that a students who use the library often could more positively estimate. A highly using of school library students can perceive precisely that volunteer attitudes of librarian towards kindness and using information introduction can affect school library using rate. And the more using school library, the more students contentment is getting from kindness and volunteer attitudes and the students who use often of school library got more assistance when it comes to assistance experiences from librarian. Also, according to influence factor for school library using rate, a highly using of school library students can perceives precisely that events are held in the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using instruction training, morning reading in schools, convenient acquisition of the necessary materials in the library, library open during vacation, school library equipped with computers for searching the internet can affect school library using rate. Finally, according to the school library service satisfaction, for school library using rate, the more using of school library, the more students contentment is getting than those who low using of school library. Those factors suggested by means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low using of school library students and highly using of school library students can be assumed as unconditional help to raising school library using rate but please be acknowledge that referring to this factors can be help of operating school library for sure.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중심으로 중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중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에 따라서 세 집단으로 나눈 후, 각 집단의 학교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이용 요인을 찾아 제시하려 한다. 제시된 도서관 이용 요인은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도서관이 참고할 도움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경기도 북부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3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지에 의해 조사하였고, 수집한 322부의 자료를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검증 그리고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 유의차 검증을 위해 쉐페(scheffe)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가 한 달에 1~2회 이하인 학생은 전체 322명 중 157명(48.7%), 일주일에 1~2회인 학생은 75명(23.3%), 일주일에 3회 이상인 학생은 90명(28%)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는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3학년 보다는 1,2학년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자료에 따른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일수록 도서관 자료가 이용 목적에 도움이 됨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서관 내 자료들이 충분히 준비되어 있는지, 도서관 내 최신 자료가 충분한지, 도서관 내 흥미로운 분야의 자료가 충분히 준비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일수록 충분히 준비되어 있음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인적자원에 따른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사서선생님께서 항상 도서관에 상주하며 도움을 제공하는지, 선생님이 쉬운 용어를 사용하며 이야기 하는지, 선생님이 질문에 대해 정확하게 처리해주는지에 대하여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일수록 긍정적으로 높게 평가했으며, 선생님의 친절도 및 이용 안내에 대한 봉사태도가 학교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일수록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생님의 친절도 및 봉사태도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일수록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생님께 도움 받은 경험에서도 역시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영향 요인에 따른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학교도서관에서 진행되는 행사, 학교도서관 이용 교육 실시, 학교에서의 아침독서, 도서관에서의 필요한 자료의 편리한 습득, 도서관에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 방학 중 도서관을 개방을 하는 것, 학교도서관에 인터넷 검색용 컴퓨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학교도서관 이용에 영향 주는지에 대하여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일수록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 만족도에 따른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서비스에 대해 더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빈도가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간의 학교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요인들이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높이는데 무조건 도움이 될 것이라고는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참고한다면, 학교도서관을 운영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권오경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5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ovement-orient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on self express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aim more effectively, the following two sub-questions were asked and inquired. (1) Do a movement-orient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have some effect on self ex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2) Do a movement-orient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have some effect on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parts: (ⅰ) 1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movement-orient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that is, a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4 males and 8 females, and (ⅱ) 12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d in this kind of program, that is, called a control group, consisted of 5 males and 7 females. This program was put into operation as a 12-sessions program and one session time of this program was roughly 60 minutes. The elements of self expression were divided into speaking manner, phonetic peculiarities and physical signs. And the elements of self-efficacy, into self-confidence, self control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leve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F and ANCOVA verification were mainly applied to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his program had some significant effect on self ex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ll of three elements of self expression were enhanced in the experiment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 was also showed that this program had some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wo elements of self-efficacy, viz. self-confidence and self control efficacy were enhanced in the experiment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reas one element of self-efficacy, viz. task difficulty level was not enhanced in the experiment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Key Words: middle school students, a movement-orient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self expression, self-efficacy, speaking manner, phonetic peculiarities, physical signs. self-confidence, self control efficacy, task difficulty level

      • 중학생의 직업흥미유형과 성격 및 지적능력간의 관계

        최윤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3332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to key personality factors and key intelligence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ose research questions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and personalit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and intellig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key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factors related with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n=664) of this study were 314 male and 35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o control the age variable among the students, this study had sampled only 9th graders. In the current study, we used a modified 'my interest' test, which originated from the subsidiary tests of the 'Career exploration tes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Jong seung Lee(2009)test of interests. For the personality test, we used a modified personality test for youths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For the intelligence test, question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Central aptitude test (1998)' and 'Path of discovery and career exploration', were provided after modified. Data had been collected for 3 weeks in 2010 October. Class teachers supervised each test in the clas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determine if there is a relationship of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to key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factors in the current study. The key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vocational interest types to personality. The social type is the only type among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having correlation to personality in both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ersonalities had correlations to both the realistic type and the investigative type, but had no correlation to the artistic type in 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personality had correlation to the artistic type but showed no relationship with either realistic type or investigative type in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of vocational interest types to intelligence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social types had correlations to both verbal abilities and mathematics, realistic types showed to have a correlation to both space ability and technical ability in male students.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investigative types and technical ability in male students. In female students, while social types had a correlation with both verbal and logical thinking, realistic typ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gical thinking.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ventional types and mathematics in female students. Third, there were gender depende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to the key personality factors and intelligence. For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1) social and conformity, (2) realistic and sociability, (3) realistic and technical capacity, (4) realistic and conformity, (5) enterprise and sociability, (6) conventional and mathematics, (7) conventional and self control, and (8) realistic and logical thinking. For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1) social and leadership, (2) social and initiative, (3) social and conformity, (4) enterprise and sociability, (5) conventional and mathematics, (6) conventional and self control, and (7) realistic and logical thinking. Based upon the results in current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key personality factors having correlations to vocational interest type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key intelligence factors having correlations to vocational interest types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key intelligence factors had less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vocational interest type than the key personality factors.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vocational interest types to the personality factors and intelligence factors between male and female. While those who are determined as social type show stronger correlation with conformity, those who are determined as realistic type show stronger correlations with sociability, technical capacity, and initiative in male students. In addition, male students of investigative type show higher responsibility. For female students, they are stronger in enterprise type and are higher in leadership, initiative, and conformity. Those who are stronger conventional type show higher self control and lower mathematics in female students. While those who are stronger in realistic show higher in logical thinking, and those who are stronger in artistic type show higher in conformity and confidence in femal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직업흥미유형에 관련된 주요 성격요인 및 지적능력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1> 중학생의 직업흥미유형과 성격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문제 2> 중학생의 직업흥미유형과 지적능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문제 3>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직업흥미유형과 관련된 주요 성격요 인 및 지적능력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학생 남자 314명, 여자 350명으로 총 664명이었다. 연령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중학교 3학년생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직업흥미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이종승(2009)의 ‘중고등학생용 진로탐색검사’ 중 ‘나의 흥미’의 일부 문항들로 구성된 검사를 사용하였다. 성격요인은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93)에서 개발한 ‘청소년 인성검사’를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적능력요인은 ‘중앙적성검사(1998)’와 ‘적성발견과 진로탐색의 길(1991)’에서 관련 문항들을 추출하여 만든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10월에 3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직업흥미검사, 성격검사, 지적능력검사의 실시는 표집대상 학교의 교과담당 교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흥미유형과 성격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흥미유형에 따라 유의한 상관을 맺고 있는 성격요인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남자집단 사회형의 경우 자신감, 주도성, 사교성, 책임감, 동조성, 성취욕구 등의 성격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형의 경우는 책임감, 호감성, 자기통제성, 성취욕구 등의 요인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가 하면 사업형과 사무형의 경우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성격요인이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직업흥미유형과 지적능력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직업흥미유형에 따라 유의한 상관을 맺고 있는 지적능력요인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집단의 경우, 사회형은 언어력과 수리력, 현장형은 공간지각능력과 기술적 능력, 탐구형은 기술적 능력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집단의 경우, 사회형은 언어력과 논리적 사고력, 현장형은 논리적 사고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흥미유형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놓고 8개의 성격요인과 7개의 지적능력요인 점수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직업흥미유형별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남자집단의 경우 사회형은 동조성, 현장형은 사교성, 기술적 능력, 성취욕구, 탐구형은 책임감이 각각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집단의 경우 사회형은 주도성, 성취욕구, 동조성, 사업형은 사교성, 사무형은 수리력, 자기통제성, 현장형은 논리적 사고력이 각각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직업흥미유형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성격요인들은 다르다. 예를 들어, 예술형의 경우 남자집단에서는 특별히 유의한 상관을 맺고 있는 성격요인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여자집단에서는 자신감, 사교성, 동조성, 성취욕구 등의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직업흥미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지적능력요인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사회형의 경우 남자집단에서는 언어력과 수리력이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집단에서는 언어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들의 직업흥미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과 지적능력요인은 성별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사회형의 경우 남자집단에서는 성격요인의 동조성만이 유의한 반면에, 여자집단에서는 동조성 이외에 주도성과 성취욕구의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생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연구

        조애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24

        To find out a variety of information needs and uses, this study investigated in which cas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information and how they are satisfied with each need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information needs.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generally to understand which information they need and how they use the information. The other is to obtain fundamental data to improve school library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ly students with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methods and quantitative methods. Among 'W' middle school students(from first grade to third grade)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largest, middle and the smallest class of each grade in the number of checked out books were classified. Totally 358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and 34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the rate of response is 96%). To supplement contents obtained by questionnaires, 9 students of each grade (totally 27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ponse that the information for homework, preparation for lesson, preparation for the test, and university and career development is definitely or at least needed is as follows; 67.4%, 62.2%, 77.3% and 71.8%. The rate of response that information is needed in leisure activities appeared 49.7%. As shown above results, on the whole, thes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is greatly needed. (2) Although the information needs occurred by any reason except preparation for the test, the favorite channel to get information is the Internet. On the whole, nearly 35% of respondents selected the Internet as the favorite channel. On the contrary, the rate of response school library as an information channel is desperately low (3.7% of all); This is the lowest level. (3) First and second grade's Internet dependance to solve homework is much higher than third grade(first grade: 71.8%, second grade: 77.8%). Third grade respondents selected the Internet as the favorite information channel(56.3%). Relatively, respondents that use personally owned material appeared 31.1%. (4) As grade gets higher, Internet dependance as the first information channel to get information for lesson gets lower. On the contrary, personally owned material dependance gets higher. (5) Personally owned books rather than the Internet is the source of Information to prepare for the test. But,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showed 55.6% and 54.6%(There is nearly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rd grade is 62.2%; Dependance on personally owned books is higher. Dependance on the Internet is 17.6%(second grade) and 16.8%(third grade). There is nearly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first grade appeared 26.5%. (6) To determine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university, they use the Internet and personal communication including teacher, family/relative. The rate of the Internet vs. personal communication use is 42.8%:41%(first grade), 38.9%:57.4%(second grade), 44.6%:40.3%(third grade). (7) The Internet use to get information about culture and interests in leisure activity is overwhelmingly high. In personal communication, the priority over friends is high. The response that friends are the important information channel is each 14.8% and 14.3%. (8) In the use of school library, It appeared that 40% of respondents never use school library. The main reason is that they can get information without using school library. The other reasons are the lack of material in school library and the lack of general interest in reading a book. (9) Because many students realize the necessity to learn how to use school library, 67.2% of the all respondents say "Yes" about that. The favorite way to learn is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41.4% chosen). (10) In library operation, need to equip computers, printers, and duplicators appeared 30.8%. And need to reflect on request of students in library operation appeared 30.5%. These two needs are the most urgent items to improve in library operation. (11) Material management field in school library entirely was not different. So, the need to reflect on request to buy books appeared 28.5% and the need to arrange books to read conveniently without damaged books appeared 26.5%. The request to buy newly-published books periodically appeared 27.3%. (12) In point of education by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student's response to question, "what is improved first", appeared evenly various in given six suggested items. But, among items, response that school library must present needed material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performance and solution of homework appeared 25.2%. This rate is the highest of the assessment other items. The followings from this study of school library are suggested; (1) Students need information by a variety of reasons. Therefore school library must secure data to meet these diverse information needs, or must strengthen service to be able to make a minimum approach. First of all it is information about study that they need. Providing students with information needed in learning knowledge, school library helps them to learn by themselves and to do discovery study. In order to do so, school library as the core of education in school, must play a leading role in solving the student's learning and homework and personal requirement. (2) Students need leisure information about culture and hobby, the newest information of university and career development except for information of a study. School library must help students to collect data for university and career development sufficiently and to utilize interpersonal information, and finally to get data for university which students need quickly. So, school library timely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individual difference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3) Through teaching how to search and use school library material, school library helps students to search and to study by themself. That is to say, school library must make students develop information practice ability to use library data. School library must equip optimum education environment which can develop rapid and accurate data practice. (4) As we can know through the behavior of information uses, it is shown that the dependance on the Internet is very high, and this dependance will increase more and more as time goes by. Therefor, school library must equip multimedia facility, the newest-model computer and printer, duplicator, visual presenter etc. (5) School library must be a living culture and art center which students approach in their daily life. School library must strive to make students feel friendly towards library and to use a library continuously. At this atmospher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voluntarily will to use librar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다양한 정보요구와 이용행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에 정보를 요구하고 있으며, 정보요구가 발생된 맥락에 따라 어떻게 정보요구를 충족시켜나가는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일반적 이해와 더불어 중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W중학교의 재학생 1~3학년 중에서 각 학년별로 2006년도 도서 대출 건수가 가장 많은 반, 중간인 반, 가장 적은 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법으로 수행하였다. 총 358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344부의 응답지를 회수하였다(응답률 96%). 질문지를 통해 입수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학년별로 9명씩 총 2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과제물 해결, 수업준비, 시험준비 및 진학/진로를 위한 정보가 정말 필요하거나 적어도 필요하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각각 67.4%, 62.2%, 77.3%, 71.8%에 이른다. 여가활동에 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9.7%로 전반적으로 정보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중학생들은 시험준비를 위한 경우 외에는 어떤 맥락에서 정보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더라도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가장 선호하는 채널이 인터넷이었는데, 전체적으로 거의 35%의 응답자들이 인터넷을 제1의 선호하는 채널로 꼽고 있다. 반면 정보채널로서 학교도서관의 비중은 예상했던 대로 극히 저조하여 전체의 3.7% 정도의 수준으로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3) 학습과제물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 입수에 1학년과 2학년의 인터넷 의존도는 3학년보다 훨씬 높아서 각각 71.8%와 77.8%이다. 3학년은 인터넷을 제1의 선호하는 정보채널로 응답한 응답자가 56.3%이며 상대적으로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우선적으로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31.1%에 달한다. (4)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제1의 정보채널로서 인터넷에의 의존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료에의 의존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커지고 있다. (5) 시험준비에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보다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책이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1학년과 2학년은 각각 55.6%와 54.6%로 큰 차이가 없지만, 3학년은 62.2%로 자신의 책에 대한 의존도가 더 크다. 인터넷에의 의존도는 2학년과 3학년은 각각 17.6%와 16.8%로 큰 차이가 없지만, 1학년은 26.5%에 달한다. (6) 진학을 포함하여 진로 결정에 중학생들은 인터넷과 교사 및 가족/친척을 포함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 대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도의 비율이 1학년은 각각 42.8%와 41%, 2학년은 각각 38.9%와 57.4%, 그리고 3학년은 각각 44.6%와 40.3%이다. (7) 여가활동으로 교양이나 관심 분야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터넷 이용이 압도적인 것을 볼 수 있다.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친구들의 비중이 커서 특히 2학년과 3학년은 친구가 중요한 정보채널인 비율이 각각 14.8%와 14.3%이다. (8) 학교도서관 이용에 있어서 40%의 응답자들이 도서관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자료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료부족 및 독서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9) 다수의 학생들이 도서관 이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서 전체 응답자 중 67.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선호하는 교육방식은 이론과 실습을 겸한 학습으로 41.1%가 선호하였다. (10) 도서관 운영 면에서 개선되었으면 하는 사항으로 컴퓨터와 프린터, 복사기 등을 설치해 줄 것과 도서관 운영에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해 줄 것에 각각 30.8%와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1) 학교도서관의 자료 관리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서 도서 구입 시 희망도서 요청을 반영해 줄 것에 28.5%, 파손된 책이 없고 편하게 책을 볼 수 있도록 서가를 배열해 줄 것에 26.5%, 정기적으로 신간도서를 구입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에 27.3%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12) 학교도서관의 교육과 정보서비스 측면에서 가장 개선되었으면 하는 사항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선택하도록 제시된 여섯 가지 사항에 고루고루 나타났지만, 그중에서 수행평가 및 과제물 해결에 필요한 자료 제공은 25.2%로서 다른 사항에 비추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중학생들은 여러 다양한 맥락에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은 이런 다양한 정보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자료를 확보하거나 최소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먼저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학습활동에 관련된 정보이다.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율학습과 탐구학습 활동을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도서관은 학교 내 교육의 심장부로 학생들의 학습 및 과제해결과 개인적인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2) 중학생들은 학습과 관련된 정보 외에 교양, 취미와 관련된 여가정보와 진학 및 진로와 같은 최신정보를 필요로 한다. 진학 및 진로에 대한 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대인정보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진학 선택을 위한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에서 준비하여 다양한 개인차를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 각각 알맞은 정보를 시기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 (3) 학교도서관 자료의 검색 및 이용방법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율적 조사연구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즉 학생들이 도서관 자료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정보 활용능력을 계발시켜 주어야 하고, 다양한 자료와 매체를 이용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자료 활용능력을 개발시켜 줄 수 있는 최적의 교육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4) 학생들의 정보이용 행태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정보요구에서 인터넷에의 의존도가 무척 크며 이와 같은 현상은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학교도서관은 최신형 컴퓨터 및 프린터, 복사기, 실물 화상기 등의 멀티미디어 기자재, 초고속 인터넷 망을 갖춘 정보화 환경의 구축이 절실하다. (5)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살아있는 문화 · 예술의 장의 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친근한 공간으로 느끼고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이 때 학생들에게 자발적인 도서관 활용 의지와 문제 해결 능력이 배양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