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학생 진로결정의 흥미타협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연구

        김화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서 흥미타협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리고 흥미타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는 성, 전공, 학년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흥미타협의 2가지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흥미타협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흥미타협을 하는 대학생을 이해하고 그들을 도우며, 그들을 위한 진로상담 개입과 효과적인 조력에 필요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흥미타협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한다. <연구문제 2> 흥미타협과 성, 전공, 학년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밝힌다. <연구문제 3> 흥미타협한 대학생이 직업의 사회적 지위를 추구함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그리고 직업이 가진 성역할을 추구함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조사 가능한 서울 시내의 4년제 대학을 표본 집단으로 하고 편의표집에 의해 추출된 3개 대학을 중심으로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63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타협 점검표와 고려대학교 행동과학 연구소에서 제작한 직업흥미검사를 사용하였고 Betz와 Voyten(1997)이 구성하고 이은진(2001)이 번안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DMSE-SF)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두 독립집단의 t-test와 이원분산분석, 그리고 일원분산분석이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와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의 흥미타협과 자기효능감은 관계가 있다. 진로결정시에 자신의 흥미를 타협하고 진로결정을 하는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이 낮다는 것이다. 내담자의 자기효능감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인을 이해하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상담을 위해 진로결정의 흥미타협여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성, 전공, 학년과 흥미타협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개인배경변수와 흥미타협은 자기효능감에 각각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성이나 전공과 흥미타협여부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내담자를 성, 전공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기보다는 흥미타협여부를 바탕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학년과 흥미타협에 따른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흥미타협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4학년에서 두드러졌으므로 4학년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직업의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고 자신의 흥미를 타협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신의 흥미보다 직업의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는 학생들은 진로결정에 필요한 자기효능감이 낮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흥미타협을 하고 직업이 가진 성역할을 추구함의 여부에 따라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할때 직업이 가진 성역할은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진로결정과정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흥미타협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한 데 의의가 있다. 진로결정시 흥미타협으로 고민하는 학생들이 적절히 타협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키워주는 진로상담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자기효능감의 부족으로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이 흥미타협으로 갈등을 겪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omising interests and self-efficacy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It further attempt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omising interests and self-efficacy by examining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factors that seem to influence compromising interests such as gender, major, and year in school. In addition,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wo types of compromising interest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re is better understanding of undergraduates who compromise their interests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to help them, and to provide needed useful data for the intervention and effective assistance and strategy making of career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self-efficacy by compromising interest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y compromising interests and gender, major and year in school? 3. Are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s who compromise their interests to pursue a vocation's social prestige?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efficacy of those who pursue a vocation's sex type? For this study, a sample of 263 valid data from 350 undergraduates of three 4 year universities in Seoul were analyzed. For measurement, compromise checklist made by this researcher and career interest test developed by Korea University Behavioral Science Research Center were used. In addi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hort Form (CDMSE-SF) developed by Betz and Voyten (1997) and adopted by Lee Eun Jin(2001) to measure self-efficacy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two independent groups' t-test,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Analysis of the data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making a career decis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ompromising interests and self-efficacy. If an undergraduate student compromises one's interests in making their career decision, this means he has low self-efficacy.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mpose the realization of the client's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first examine the career decision making's compromising interests, for counseling to raise one's self-effica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y compromising interests and gender and major. Based on the finding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gender, major, year in school and compromising interests, it is SES and compromising interests that effect one's self-efficacy. Therefore, rather than to classify the clients by gender and major and analyse them, it is better to understand based on whether they compromised their interests or no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y year in school and compromising interests. In particular, since self-efficacy by compromising interests is prominent in fourth year students,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fourth year students is seen as necessary. Third, there were low self-efficacy in undergraduates who pursue a vocation's social prestige. When one pursues the social prestige of a vocation over one's interests, the self-efficacy needed in career actions fal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y compromising interests with the pursue of a vocation's sex-type or not. It was found that undergraduates do not take into significant consideration the gender role in the career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giving proof of a relationship between compromising interests and self-efficacy, which happens frequently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By confirming the exist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compromising interests and self-efficacy, one can help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troubled by their compromising interests or lack of self-efficacy in more concrete ways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 규제정책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동전화 단말기 보조금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36

        This study examined why and through what kinds of processes regulatory policies that affect individuals and markets are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ain factors and policy processes that cause these changes to produce better regulations in the future. It analyzed the main factors behind and the paths by which policy changes occur or do not occu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beliefs and interests, and policy brokers. Particularly, it was conducted by empirically and normativey analyzing policy brokers that the government usually conducts to determine how the government can produce better regulations. This study analyzed mobile handset subsidy regulations which are unique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various other types of regulatory policy changes, such as introduction of regulations, the tightening of regulations,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This study modified and combined regulatory policy and policy change theories, namely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Policy Streams Framework, Punctuated Equlilibrium Theory and the model explaining why economic policy reversals occur(Hood, 1994) and presented a new analysis model. The results were as fellows. First, the mobile handset subsidy regulation was stable due to policy inertia, negative feedback, policy broker's non-decision making and passive strategy. However, policy changes were triggered by the policy's self-destruction, politics stream,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The policy then went through distinct periods of regulatory politics : introduction of the regulation(Period Ⅰ) which was marked by client politics, tightening of the regulation(Period Ⅱ) which was marked by entrepreneurial politics, abolishing the regulation(Period Ⅲ) which was made by majoritarian politics, and reintroduction of the regulation (Period Ⅳ) which was marked by entrepreneurial politics and interest group politics. A punctuated policy change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acro-political forces, the arrival of a new policy idea, and a change of policy broker' roles. Strong institutional constraints, like a sunset clause in the law, also contributed to the change. The factors of incremental policy change were negative feedback,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advocacy coalitions, and policy brokers. The policy monopoly could not be changed because policy competition and interaction remained in the policy subsyst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policy-oriented learning was the main factor driving the policy change. Second, policy beliefs played a different role than interests. Policy beliefs played a major role in making a punctuated policy change by introducing a new policy idea, whereas interests affected changes in secondary beliefs. In addition, actors prioritized policy beliefs and interests differently. Mobile carriers and handset makers prioritized their interests and used policy beliefs as a pretext to justify their interests, namely interests-driven policy beliefs. Consumer organizations and policy brokers prioritized policy beliefs over interests. Third, policy brokers were mainl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Policy brokers were either active, neutral, or passive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coalition conflicts, and motives for policy change intervention, and took various strategic actions accordingly. Active policy brokers did not necessarily bring about punctuated policy changes. Under sunset provisions, passive policy broker who allowed the law to lapse contributed to the punctuated policy change. However, regulatory politics and the role of policy brokers were strongly related and there were four different types : client politics-neutral, entrepreneurial politics-active, majoritarian politics-passive, and interest group politics-passive or neutral. Fourth, policy brokers in Korea became more influenced by politics, rent-seeking by interest groups, self-interest, and a lack of information and resources as society became pluralized and the bureaucracy politicized. As a results, there were many constraints on policy broker being a explorer for public value. Under these circumstances, when policy brokers pursued public value actively, policy brokers were more desirable for making the better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policy brokers engage in desirable behaviors and do not act simple public servants who obey the law, policy accountability must be enhanced and regulators' professional expertise must be developed. Fifth, the regulatory policy change examined in this study was not a process of creating perfect regulations, but rather a process of making a less imperfect alternative by the swing of the pendulum between regulation and deregulation. The equilibrium point of regulation did not reflect the interests of actors and interest groups in a balanced manner. The interests of mobile carriers were over represented because they were able to engage in rent seeking and regulatory capture given their resources and sophisticated strategies, leaving the interests of disadvantaged consumers underrepresented. The regulation continues to reflect this imbalance, although it has became improved slightly as consumer groups have increased their efforts to get their policy beliefs reflected in regulations. These findings have four major implications. First, in order for the government to effectively achieve punctuated policy changes, it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new policy ideas and to generate strong macropolitical support. Sunset clauses can help achieve punctuated policy changes, but com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avoid regulatory vacuum.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regulated entities' real interests rather than superficial policy beliefs. In order to avoid the capture, reasonable measures, such as cost-benefit analyses based on objective data, should be taken. Third, policy brokers need to internalize public value and enhance regulatory expertise to become more desirable for the better regula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the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levels. Policy borkers should be given more responsibility, allowing them to create strategic visions and search for public value in effective ways rather than just obeying statutes.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should assess policy brokers' goal setting capacity. Policy brokers should be permitted to make policy decisions conscientiously that are subject to democratic accountability. Fourth, systemic methods that guarantee equal-access to policy change processes should be developed to ensure that various groups' interests are refecleted in regulations in a balanced manner. Futhermore, government officials should collect the opinions of underrepresented groups actively and make conscious efforts to determine the needs of silent majorities. This study provided a new understanding of mobile handset subsidy regulations from a long term and continuous perspective. This study also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terms "interests" and "policy broker"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earnest in the policy change theories. Fu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a new framework for explaining regulatory policy changes by combining regulatory policy and policy change theories. 이 연구는 개인과 시장에 영향이 큰 규제정책이 왜, 어떤 과정을 통해 변동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변동요인들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좋은 규제로의 변동에 대한 함의를 얻기 위함이다. 세부적으로는 단절적·점진적 변동과 안정의 주요요인과 경로, 정책신념과 이해관계의 관계, 정책중개자의 역할 등을 분석한다. 특히, 규제정책을 담당하는 정책중개자에 대해 규범적 논의를 통해 좋은 규제를 만들기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도 얻고자 한다. 경제적 규제를 대상으로 하며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 사례를 분석한다. 이 사례는 한국에 특수한 규제로서 규제도입, 폐지, 재도입 등 다양한 규제정책변동을 고찰할 수 있다. 규제정책이론과 주요 정책변동이론 결합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마련하고 규제도입-강화-소멸-재도입의 네시기로 구분하여 정책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은 정책관성과 부정적 환류기제, 정책중개자의 무의사결정 등 소극적 역할로 정책안정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정책유산, 정치적 흐름 등 외부환경에 의해 촉발되어 정책변동과정을 거치게 되며, 각 시기별로 다른 규제정치유형을 보였다. 규제도입기는 고객정치유형, 규제강화기는 기업가적 정치유형, 규제소멸기는 대중적 정치유형, 그리고 규제재도입기에는 기업가적 정치유형과 이익집단 정치유형이었다. 단절적 변동과 점진적 변동을 가져오는 요인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단절적 변동은 정권교체, 대통령의 관심 등 거시 정치체제와 연계, 새로운 정책아이디어의 출현, 정책중개자의 역할이 결합하면서 일어났다. 일몰과 같은 강력한 법적 제약도 단절적 변동의 요인이었다. 반면, 점진적 변동의 요인은 부정적 환류기제, 옹호연합간 이해갈등, 정책중개자이며 정책경쟁이 정책하위체제내에만 머물러 있어 적극형 정책중개자도 정책독점을 전환시킬 수 없었다. 둘째, 정책신념은 새로운 정책아이디어를 통해 단절적 변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 이해관계는 주로 이차적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등 역할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행위자별로 정책신념과 이해관계간 비중이 달랐다. 이동전화사업자 등 기업은 이해관계가 우선이며 정책신념은 이해관계의 명분으로 활용되는 이익기반 정책신념(interest driven policy belief)이었다. 반면 소비자단체나 시민단체, 정책중개자는 조직권한 확대 등 이해관계도 있지만 공익 등 정책신념을 우선시 하였다. 셋째, 관료주도적 정책유산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정책중개자는 주로 주무부처가 수행하였으며, 외부환경, 정책경쟁상황, 개입동기에 따라 적극형, 중립형, 소극형 등 다양한 역할과 전략적 행위를 통해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만,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정책변동유형과의 관계는 적극형-단절적 변동, 소극형-점진적 변동과 같이 단선적이지 않았다. 일몰과 같은 강한 법적제약에서는 소극형이 단절적 변동을 가져왔다. 그러나 정책중개자의 역할은 규제정치유형과 연관성이 높았다. 고객정치-중립형, 기업가적 정치-적극형, 대중적 정치-소극형, 이익집단 정치-소극형 또는 중립형으로 관련이 있었다. 다만, 이익집단 정치유형(규제재도입기 등)에서 정책중개자가 설득과 협상 등 적극적 역할로 정책변동을 이끌어내는 등 상호관계가 기속적이지는 않았다. 넷째, 정책중개자는 다원화와 관료제의 정치화로 정치적 영향력, 이익집단의 지대추구행위, 조직의 이해관계, 정보 부족에 노출되어 공공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제약속에서도 적극형 정책중개자가 조직적 이해관계를 벗어나 공공가치를 추구할 때 가장 규범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립형과 소극형은 정치적·법적 제약에 순응하는 공복(public servant) 역할에 그쳤다. 정책중개자가 좋은 규제로의 변동을 위해 규범적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측면과 규제역량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다섯째, 규제정책변동은 완전한 규제가 아니라 진자운동을 통해 보다 덜 불완전한 대안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규제의 균형점에는 행위자들의 이해관계가 균등하게 반영되지 않았으며, 자원과 전략에 우위에 있는 이동전화사업자와 단말기 제조업자는 지대추구행위 등을 통해 과대대표되고 열위에 있는 소비자단체, 시민단체 등은 과소대표되는 경향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이 연구가 우리나라의 규제정책변동에 대하여 갖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가 단절적 변동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책아이디어 발굴과 거시정치체제의 지지를 획득하고 동원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일몰제와 같은 제도적 제약을 규제에 내재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만 일시에 전면적인 규제공백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비하여 보완대책도 병행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 등 피규제자에 대해서는 표면적인 정책신념보다 내포된 이해관계 파악과 갈등조정에 정책적 역량을 더 집중하고 대안 마련시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비용-편익 분석 등 합리적 접근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정책중개자의 규범적 역할을 제고하기위해 공공가치 내재화와 역량 강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책윤리로 확장하고, 교육훈련, 목표설정평가와 환류 활성화, 공익지향 조직문화, 민주적 책임하 자율성 보장 등이 이루어져 한다. 또한 이해관계자 갈등조정 능력 향상과 규제비용편익 분석 등 규제기획·평가 역량을 집중적으로 제고하여야한다. 넷째, 균형된 이해관계 반영을 위해 정책변동과정에 동등한 접근성을 보장하는 절차마련, 과소대표되는 행위자들에 대한 적극적 이해관계 수렴과 숨겨진 문제 발굴 등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끝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의 장기적 차원에서 조망하였고 경제적 규제의 도입-강화-소멸-재도입의 모든 유형을 고찰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그동안 정책변동이론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못한 이해관계와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규범적 논의도 진전시켜 연구의 설명력과 범위를 넓혔다는 의의도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단편적인 측면만 보는 기존의 규제정책이론과 정책변동이론을 결합하여 규제정책변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을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Examining China’s Approach to Core Interest Disputes : A Study of Conflicts between China and its East Asian Neighbors

        이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26

        In 2001, China became a member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2010, China established itself as the second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Over the past two decades since the obtainment of the WTO membership, China has emerged as a new global power. The rise of China has transformed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 especially the regional relations in East Asia. With the growing power of China, new dynamics brought about some tensions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s related to China’s responses to issues concerning core interests – implementation of economic measures against its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From time to time, China attempted to cope with political conflicts through deploying counteractions, such as restricting trade, banning tourism, boycotting the purchase of target countries’ products, and carrying out strict inspections against target countries’ companies. The paper aims to demonstrate how particular geopolitical events among China and its neighboring East Asian countries led to unexpected trade disputes, with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mingled together. Examining core interests as a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rivers behind counteractions, the observed trends in the implementation of counteractions, the resulting consequences, and the responsive measures taken by targeted countries. Utiliz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this research investigates various instances where China enacted distinct measures impacting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conflicts have been chosen for the case study analysis, categorized based on different dimensions of China’s core interests: Territorial/Security Core Interests, National Security Concerns, Economic Trade Relations, and Cultural/National Identity. (1) Analyzing Territorial/Security Core Interests: A Case Study of the China-Japan Senkaku/Diaoyu Islands Dispute (2010, 2012) (2) Analyzing National Security Concerns: A Case Study of the China-South Korea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Dispute (2016-2017) (3) Analyzing Economic Trade Relations: A Case Study of the China-South Korea Garlic Dispute (2000) (4) Analyzing Cultural/National Identity: A Case Study of the China-Japan Mushroom Dispute (2001-2002)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core interest viol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variations in policy responses between China and the target countries, shedding light on their different approaches. In conclusion, drawing insights from the case study analysi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variations in China's responses based on the engagement of distinct categories of core interests. Derived from the insights gained through each case study, the paper ultimately suggests ways to possibly prevent or effectively resolve disputes in East Asia. Keywords: Core Interests, Economic Retaliation, Rise of China, East Asia, China-South Korea Relations, China-Japan Relations, Case Study, THAAD, Senkaku/Diaoyu Islands Dispute, Mushroom Dispute, Trade Dispute in East Asia, Conflict Management 본 논문은 과거 중국과의 갈등상황에서 주변국인 한국과 일본을 상대로 경제보복을 취했던 사례들을 연구함으로써, 각국이 겪은 경제보복 과정 및 대응방안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동아시아 국가가 재차 비슷한 상황에 처해지게 됐을 때 수행할 수 있는 최선의 ‘보복 위기관리’ 로드맵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중국은 예로부터 국가의 핵심이익이라고 판단되는 사항들이 타 국가의 정책 및 국가리더의 행동에 의해 침해 받았다고 판단될 때마다, 타깃 국가를 대상으로 경제보복을 단행해왔다. 현재까지 일어난 주요 경제보복 관련 사건들 중 2010년도 이후, 중국이 한국과 일본을 상대로 가장 큰 규모로 보복조치를 취했던 한국과의 사드(THAAD) 배치 문제와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조어도 주권 문제의 유의미한 사항들을 정리하여, 중국의 전반적인 경제보복 의도를 파악하고 향후 신중히 대응하여 보복 행위를 방지하거나 경제 및 정치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의 경우,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로 사드 갈등에 대한 합의가 원만히 이뤄지고 양국 관계는 다시 정상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에도 중국이 한국을 향해 경제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영토 문제로 일본에 취한 보복조치 사례를 살펴보고 차용할 수 있는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핵심어: 경제보복, 핵심이익, 사드, 센카쿠 열도/조어도, 동아시아 갈등

      • 벤처산업에서의 정부-기업관계

        구자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21

        이 연구는 벤처산업에서 나타난 정부-기업의 관계를 분석한다. 벤처산업이라는 중범위 수준의 정부-기업관계를 이해관계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정-기업관계의 변동을 종속변수로 하고 정부와 기업의 서로에 대한 이익변화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복합적 매개변수로는 현실정치, 대통령 리더십과 관료정치, 산업특성, 이익단체, 정부능력이 분석되었다. 한국에서 정부와 기업의 관계는 전략에 따른 '이익의 교환관계'이다. 김대중정부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발전국가적 유산이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으로는 규제국가를 향한 과도기적 현상일지라도 금융위기 이후 역설적으로 국가의 간섭은 정당화되고 있고 오히려 강화되었다. 정부는 사적부문을 지휘할 수 있는 법·제도적 능력을 여전히 갖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은 정치적 이해관계를 통해 구체화된다. 이러한 이해관계를 규정짓는 것은 궁극적으로 정부와 기업의 이익에 따른 전략이다. 벤처산업의 주기는 육성기, 팽창기, 조정기로 구분할 수 있다. 육성기에는 정부주도의 벤처육성이 이루어졌다.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되던 정부와 재벌을 대신할 새로운 경제주체로 벤처는 각광받았다. 경제위기의 극복이라는 명분으로 김대중정부는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고 정보화 사회로의 압력은 벤처산업의 육성에 사회적인 합의를 제공하였다. 나아가 최초의 정권교체를 이룬 김대중정부의 새로운 지배연합상대로도 벤처는 주목받을 수 있었다고 한국의 벤처는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을 통해 폭발적인 성장을 하였다. 벤처산업의 팽창기에는 정부와 벤처기업이 공생하는 관계로 발전하였다. 높은 국가개입이 유지되면서 벤처기업을 둘러싼 정부의 각종 특혜속에 벤처기업과 이익단체의 지대추구가 일어났다. 벤처기업은 로비와 뇌물을 통하여 이익을 보장받을 수 있었고 정부의 음성적 자금원으로 벤처기업은 역할하였다. 벤처기업과 정부의 이해가 일치하면서 정부와 기업의 기생관계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정부지원은 개발국가시대와는 달리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갖지 못함으로서 관료정치가 발생하여 벤처지원이 효율적이지 못하였고 이익단체의 요구에 피동적인 자세를 보이는 일관되지 못한 정책이 이루어졌다. 벤처산업의 조정기에는 정부-기업관계가 대립관계로 변화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벤처산업이 뚜렸한 경제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기존기업과 차별화가 없는 기형적 형태의 벤처기업이 난립하였다. 정부가 기술변화에 대해 한계를 갖고 있고 벤처산업의 특성상 정부지원은 지양되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지원 때문이다. 결국 벤처산업에 대한 회의가 대두되었고 동시에 정부와의 유착에서 오는 권력형비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자 정부의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대통령의 측근과 관련된 비리가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벤처비리는 정부기반 자체를 흔들 정도로 파괴력을 보였고 정부는 벤처를 기피하게 되었다. 벤처기업도 정부와의 유착으로 사회적 지탄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되어 자구노력을 시작하고 정부를 견제하였다. 벤처산업에서의 정부-기업의 관계변화를 살펴보면 서로의 이익에 근거했던 것이 명확하다. 정부-기업관계를 규명하는 '개발국가', '네트워크', '전략관계' 이론이 세부적인 벤처산업주기에 따라 적실성을 갖고 있지만 거시적으로 정부-기업관계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이익에 기반한 전략의 변화였다. 즉 정부-기업관계 변화의 근저에는 서로의 이익변화가 있다. 정부와 기업의 이익이 상반되면 관계는 갈등으로 전환하고 이익이 수렴할 때는 공생하는 관계로 변화한 것이다. 요컨대 벤처산업의 정부-기업관계는 서로의 이익에 근거한 변화라는 정치경제학적 근거를 가진 현상이었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Government-Business Relationships in the Venture Industry based on strategic exchange of interests. This study utilizes variations in Government-Business relationship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hanges of the interests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include several intervening variables: real politics, leadership of president and bureaucratic politics, property of the venture industry, interest groups and limits of government capacity. Eventually, Government-Business relationships Depends on strategic exchange of interests. The Korean Government has power and capacity to control private sectors in ways both legal, institutional bases and policies which realizes political interests. In spite of New-liberalism reform by Kim Dae-Jung Government, developmental inheritance still governs Politics, Economy and the Society of Korea. The Reformation might be the turning point from developmental state to regulatory state. However, ironically, State intervention has been justified and strengthened after economic crisis Conszuently, Government had power to pursue its interests. We can divide venture industrial cycle into three stages: upbringing, expansion and reconcile. In upbringing phase, the relationship was government leading as did in developmental state creating markets in 60-80. Since both Government and chaebol were the critical causes of financial crisis in 1997, Venture industry could move into the limelight. The justification of overcoming economic crises gave Kim's Government strong leadership and necessity of information business brought social consensus of upbringing venture industry. Also, The venture could be a new coalition partner of Kim's Government which made peaceful turned over of political power first time in korea. In these backgrounds, the venture could grow dramatically by Government leading. During Venture industry's expansion phase, it developed into symbiosis relationship. Intensive Government influence was preserved and Government provided caretaking in the sense of protection and policy. Direct alliance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was built that venture entrepreneurs could enjoyed not only preferences but also rent-seeking stems from government protection. Venture Businesses lowered risk and made benefits through lobby and bribe to the regime. In other way, venture was the source of illicit political funds which big Business used to be. Convergence of interests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brought their relationships symbiosis. However, government was not effective in intervening business as korea were in 60-80 for lack of effective bureaucracy system. In venture industry's reconcile state, the relations turned out conflict. Despite of positive policies on venture industry, economic performance of Venture were below anticipations and venture were booming only in numbers but in contents. Basically Government had limitation on capacity performing technology industry policy. Especially, property of Venture requires minimal intervention of Government. As a result, skepticisms on venture increased and continuous 'Gate' made Kim's regime can not stand its burden. kim‘s regime turned to be challenging against venture and The venture started to hold check against Government. Even though theories explaining the relation such as 'developmental state', 'network theory', are precise in its own way, Basically variations in Government-Business Relations in venture industry depended on political interests. The factors made the relationships are changes of strategies on each other based on the interests. In other words, change of Government-Business relations come along changes of interests. As the interests run counter against each other, the relations turns out to be conflict, and when interests converge the relation is symbiosis. Relation between Government-Business relation is based on exchange of Interests found in Political economy.

      • 株主間의 利益衝突과 그 解決方案에 관한 硏究

        박인출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911

        The system of corporation is essential for capitalistic contries these days, for the merits that it has the rule of limted liability and the character of free transfer in stock exchange and of independence out of separating in ownership and management. For the merits, we can activate the national economy by investing scattered minority stocks. But it has the external problems of consentrating in execessive exconomic power, promoting of speculating and generating of panic, and the interal problems of the conflicts from majority shareholders' or directer's arbitrary decision, and crippled operation. Such a internal conflicts will result in secrificing of minority shareholders. So we have to regulate such a conflicts and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If we would not so, nobody will not become a minonity shareholder and we can not get activating national economics. Therefore firstly in this article, I have investgated what kind of conflicts in interests of shareholders had impeded the sound and harmonious development of enterprises. This investigation is essential to discuss the right regislation about this problems. But in the course' of this investigation, I have found that majority shareholders used various methods in oppression of minority shareholders, and exploited the methods of oppression in order to get away from regulating the oppresions. In consequence, I recongnized that we should have various and elastic systems or theoris to regulate those oppressions. Secondly, I have investigated what kind of systems regulating oppressions our country's commercial law had. Of course, it has various systems of regulating oppression, that is, strictness of condition in decision, exclusion of voting right when someone has a calculation of loss and gain, protection of the rights of shareholders, remedies of director's action etc. In particular, by accepting the appraisal rights of dissident shareholders in 1995, we have made a great advance toward settling the conflicts of interests among shareholders. But each system has defects respectively and can not perfectly regulate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For that reason, it is claimed that the theory of fiduciary duty of majority shareholders is to be introduced, but it ha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introducing and applying. So I concluded that we have to introduce a new system for settling of the conflicts. Thirdly, in order to introduce systems that can resolve problems in our commercial law, I surveyed generally about other country's systems of settling contlicts of the interests. And I found that the systems of other contries had their own specific character and structure. Therefore to introduce the other contries systems, I had to consider what kind of system would operate well in our commercial law system. And I concluded that we have to introduce the concrete and codified systems to cope with the conflicts generating frequently. It will protect the interests of minority shareholders and result in legal stability. Furthermore It will bring forth the legal base of introducing the theory of fiduciary duty which can solve the problem flexible. As being based on this conception, (1) I insist introducing a system of cancellation abusing majority rule, because majority shareholders would oppress minority shareholders generally by resolution in shareholders meeting. (2) I also insist introducing a system of compensation for damage, because majority shareholders would make directors and other people to do illegally to get a illegal interests outside the shareholders meeting. In these cases, the system of cancellation abusing majority rule cannot operate. (3) It is supposed to need introducing a suit for enforcing apportionment. Minority shareholders who are not directors, particulary in closed corporations, can not take any apportionment under the name of allowance. The ones of open corporations also have no other means against majority shareholders' arbitrary operation, that dispose of the profit which is to be given to shareholders. Accordingly the suit for enforcing apportionment is sure to be a means for protecting minority shareholders substantially. (4) A system of shareholder's proposal is also supposed to need introducing in our commercial law. As previously stated, the system of a corporation would have to bring together a large number of minority capitals in order to get its advantage. And for the purpose, every shareholders(particularly minority shareholders) must have the possibility of exercising their rights according to a proportion of possessing stocks. But minority shareholders in these days can not take part in management of their company in any shapes, as it become gigantic and specialized in its ownership and management. Therefore, if the system of shareholders proposal is introduced, shareholders meeting will be vitalized and a corporation can bring together minority capitals. Of course, even though all these systems were introduced, all the various means of oppression would not be prevented rationally, because the means of oppression are diverse and developed endlessly. But these systems will bring forth a reasonable settling conflicts among shareholders and a possibility of introducing fiduciary duty theory which is not well grounded in our commercial law. That is, firstly introducing the concrete systems.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flicts that are frequently occurred among shareholders. Secondly through the theory of fiduciary duty founded in such concrete systems we can solve the ones that the concrete systems can not cover.

      •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흥미와 사회인지적 변인들과의 관계

        김민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06

        인간의 삶은 다양한 가능성들에 대한 선택의 연속이다. 대학 입학 후 졸업까지 이어지는 진로탐색과 결정의 과정은 개인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택적 경험이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학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진로상담은 전공 선택, 전공과 관련된 학업수행, 진로계획, 탐색행동, 선택의 과정을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체계적으로 연결해주지 못하고 있다.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적 변인들을 규명하고 그 관계를 밝혀, 공과대학 학생들의 학업수행과 합리적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공학흥미가 공학계열로 입학 후 졸업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증진될 수 있는 진로상담 및 진로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공학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강의 위주의 수업 보다는 다양한 현장 경험이나 실습 위주의 설계 과목들을 늘림으로써 입학 당시의 공학에 대한 흥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보다 세부적인 전공 분야로 구체화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인지진로모형 중 하나인 흥미모형(Lent, Brown, & Hackett, 1994)을 근거로 하여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사회적지지 및 장벽과 공학흥미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남학생, 여학생 집단별로 흥미 모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고 집단별 경로계수의 차이를 알아보았다.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변인들 사이의 상관을 살펴보면, 공학흥미와 사회적장벽을 제외하고는 모든 변인들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공학흥미, 사회적지지 사이에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장벽은 흥미를 제외한 다른 변인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기본모형인 Lent 등(1994)의 흥미모형이 우리나라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사회적지지 및 장벽과 공학흥미와의 구조적 관계를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흥미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도 Lent 등(1994)의 흥미모형에서처럼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와 공학흥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지지와 장벽이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공학흥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셋째, 공과대학 남학생들과 여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면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자기효능감과 공학흥미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공학을 전공하는 데 있어서 학업수행에 대한 자신감이나 공학에 관한 흥미 모두 남학생들이 더 높은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또한 공학흥미와 각 사회인지적변인들 사이의 관계는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에서 Lent 등(1994)의 흥미 모형을 동일하게 지지하였다. 두 집단의 측정 모형 역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는 남학생의 경우 사회적 장벽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여학생의 경우 사회적 장벽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전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 및 결정과 같은 발달적인 변인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기존 진로연구들과는 달리 공학이라는 특정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흥미와 사회인지적 변인들과의 관계 모형을 직접적으로 검정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공학이라는 특정한 전공에 대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상담에 있어서 흥미변인이 체계적으로 개념화 되거나 고려되지 않았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흥미가 입학 후 졸업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보다 세부적인 전공 분야로 구체화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사회적지지 및 장벽과 같은 사회인지적변인들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생들에게 공학 분야에서의 다양한 역할모델의 제시나 교수, 학사지도 교수, 상담자 등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3, 4학년 때 주로 이루어지는 진로나 취업지도 보다는 저학년 때부터 지속적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현장 경험과 설계 프로그램들을 통해 자신들이 관심이 있고 잘 할 수 있는 세부 전공을 선택하게 하는 것 또한 체계적인 학업수행 및 진로선택을 위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공과대학 학생들을 위한 이러한 차별적이고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 및 진로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interests and social cognitive variable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support), which are rooted in social-cognitive career theor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concepts to aid in growing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the college of engineering students.Toward this goal, the survey is based on questions concerning the academic milestone scale, coping efficacy scale, outcome expectation scale, engineering interest scale, social support, and barrier scale. A total of 729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investigations into the differences in interest models between men and women. Models were tested on each group and the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of each group were invested.Specific results are indicated below.First,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nterest formation process was explained well by the interest model (Lent et al., 1994). In this model, however, the path coefficient of outcome expectancy was not significant concerning interest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directly affected outcome expectation and interests, while social support and barri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interests through self-efficacy.Second,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re are clear gender differences in the social cognitive variable averages. The average scores of the male subje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subjects, and the gender-based sco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interes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social support, and barriers supported the model of Lent et al.,(1994) both for men and women.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found what kind of situations Korean engineering college women are in now. In the process of interest formation concerning their gender, they do not have sufficient role models or success models regardless of their potentialities and capabilities.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set of basic ideas to specifically and effectively design counseling programs concerning technical interests, career sele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 醫療政策의 比較 硏究 : 영국, 스웨덴,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김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906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건강한 삶을 갈망한다. 또한 불가피하게 건강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때에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각국에서는 2차 대전 이후 늘어난 재원을 바탕으로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인구의 적용범위를 넓히고, 급여의 수준과 범위를 확장하는 등 의료체계를 충실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와 같이 사람들의 유사한 기대와 각국의 유사한 정책목표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의료체계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되고 안정화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의료체계를 둘러싸고 크고 작은 국내외의 정치적, 경제적 긴장과 압력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의료체계는 일국 차원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각국간 차별성을 유지해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문제를 제기하면서 논의를 전개한다. 의료정책은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무수한 행위자들간의 정치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의료정책의 핵심적인 두 행위자는 관료와 의사라고 할수 있다. 각국의 의료체계는 바로 이들이 어떤 선호와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이들간의 권력관계가 어떠한가에 따라- 특히 관료의 선호와 집행능력-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선호와 집행능력은 본래부터 주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책은 단지 행위자들의 의지, 합리성, 전략적 차원에서 이해되기는 어렵다. 이들의 선호와 권력관계가 어디에서 유래하는가는 설명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가- 사회의 관계적 맥락인 제도를 강조하였다. 특히 핵심적인 제도로서 정치행정제도와 이익중재제도는 행위자들의 선호와 권력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정치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각국의 의료체계의 차이를 낳으며, 그러한 차이가 일정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만든다. 기본적으로 관료의 집행능력은 정치행정제도의 안정성, 통합성, 집권성 등에서 유도된다. 의회- 행정부 관계가 권력융합적으로 구성된 의회정부제를 채택하고 있는 영국, 스웨덴, 일본에서는 상대적으로 관료의 집행능력면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미국과 같이 의회- 행정부 관계가 권력분립적으로 구성된 경우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며, 이외에도 미국은 연방주의, 강력한 사법부의 존재, 다원주의적인 이익중재제도 등 분절화된 제도적 특성으로 인해 관료의 집행능력을 집권화, 안정화 하는데 있어 큰 제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이러한 분절화된 제도적 특성으로 인해 의사들의 영향력이 침투되기가 용이하며, 오늘날 미국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민간의존적인 의료체계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단, 전인구의 25% 정도 되는 잔여인구인 노인, 저소득층에 대하여만 공적인 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그나마 인구의 약 15% 정도는 무보험자로 방치되어 있으며, 보험의 책임과 운영도 연방정부와 주정부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 영리부문과 비영리부문간 분절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의회정부제를 채택하고 있는 세 나라의 경우에도 거시적인 유사성 내에 정당정치의 특성 등의 차이로 인해 의료체계가 동일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일당우위의 정당정치의 특성을 보이는 스웨덴의 경우 이념적 성격이 강한 사민당이 장기집권을 하였고, 일본의 경우에는 보수주의적인 자민당이 장기집권을 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사실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관료제라는 제도적 속성으로 인해 관료의 선호는 현상유지적인 경향을 보이며, 개혁보다는 현상유지를, 변화보다는 안정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료의 현상유지적인 속성은 불변하는 것이 아니며, 정치행정제도의 특성에 따라 재구조화될 수 있다. 예로 스웨덴의 경우 이념적 성격이 강한 사민당이 이념적 노조와의 긴밀한 유대하에 안정적으로 장기집권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관료들의 선호는 보다 연대주의적이고 형평지향적인 방향으로 재구조화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모든 국민이 소득이나 기여에 무관하에 보편적이고 충분한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의료체계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일본과 같이 보수주의적인 자민당의 장기집권하에서는 관료의 선호는 보다 보수주의적인 쪽으로 강화되기 쉽다. 특히 민주적인 정치제도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관료제가 잘 확립되어 있었고, 관료들은 정계와 재계와의 공식적, 비공식적 유대하에 높은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도적으로 국가재건과 경제발전을 목표로 폐쇄적이고 집권적인 정책결정 과정을 통하여 결국 국가의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고, 개개인의 소득과 기여의 원칙에 입각하여 가입을 강제하는 사회보험형의 의료체계를 만들어내게 된다. 의료서비스 급여는 고용여부와 고용지위에 따라 달라지며, 직종별, 직업별로 독립된 무수한 보험자들에 의해 보험은 복잡하고 분립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한편 영국의 경우 일본의 경우와는 또 다르다. 두 나라 모두 관료의 집행능력면에서 비교적 강하게 구조화되어 있다 할지라도 영국의 경우는 정치주도적으로, 일본의 경우는 관료주도적으로 정책이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국의 NHS는 오랜 전쟁과 경제적 충격으로 인해 고통을 겪은 전국민적인 연대감이 작용하여 국내정치역학의 변동으로 집권하게된 노동당의 강력한 차별화된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의료체계의 내용의 충실성 보다는 소득과 기여에 무관하게 최소한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정치적인 상징성이 크다고 볼수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전후 자민당 일당 우위의 정치구도가 안정화되었을지라도 정치적 추동력이 강하게 작용할 기회는 적었다. 오히려 고위 관료를 중심으로 정재계와의 공식적, 비공식적인 강한 유대를 통하여 경제발전을 목표로 관료적인 전문성을 발휘하는 방식으로 정책결정이 추진되었으며, 정부의 재정부담이 최소화되고 기업복지차원에서 노동시장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의료체계를 통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정치행정제도와 더불어 이익중재제도는 의료정책을 둘러싼 갈등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산업사회의 기본적인 이해관계의 대립을 중재하는 이익중재가 중앙교섭화된 형태로 제도화될수록, 또한 대등한 교섭파트너로서의 노조의 참여절차가 제도화되어 있을수록, 의료정책이 다루어지는 정치공간은 협소해지며, 포괄적인 정책구상의 범위내에서 조정되는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스웨덴의 경우 분파이익을 넘어서서 대규모로 조직화된 노조와 자본간의 역사적 타협, 조합주의적인 이익중재제도는 의사들의 민주적 참여가 절차적으로 보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정책의 협상범위를 포괄적인 복지국가 프로젝트내부로 축소시켰다. 한편 일본의 경우는 독특하여 노조가 배제된 조합주의 라고 인식될 정도로 조합주의적 구도내의 노조의 역할은 미흡하며, 정- 관- 재의 철의 삼각구도 내에서 일반적인 노조의 이해관계 뿐 아니라 제반 사회적 이해관계의 협상범위는 경제개발이라는 정책 우선순위에 밀려 개별적이고 부수적인 것으로 다루어졌다. 영국의 경우는 스웨덴과 유사한 조합주의적인 이익중재제도를 보이고 있지만 강력한 노조의 임의주의적인 성격 즉, 이념적 원칙보다는 단기적, 실리적 이익 중심적인 성향으로 인해 보수당 및 노동당 정부와의 관계는 긴장과 갈등이 상존하고 있어 이익중재제도의 안정성이 손상되어 왔다. 1970년대 이후 경제 위기로 인식되는 국제정치경제적 압력은 그 시기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국의 국내정치역학을 변동시킬만큼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1980년대 이후 의료부문에 대한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각국에서는 의료개혁을 천명하고 나서게 된다. 그러나 강력한 정치적 추동력과 떠들썩한 정치적 선전으로 시작한 의료체계의 재편 시도는 그 의도와는 달리 그 결과를 보장하진 못했다. 각국의 의료체계는 현재까지 크게 위협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변화가 있다면 소폭의 경로의존적인 변화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는 제도적 맥락과 그로 인한 의료체계의 지속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기존의 의료체계의 성격은 오히려 기존 경로를 따라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에는 기본적 재원조달방식이나 서비스 제공시점상의 무료 원칙 등 구조적틀은 유지되고 있으나, 제도적 맥락이 배태하고 있는 변화의 가능성들- 특히 노조와 노동당과의 관계 등- 로 인해 경로의존적 변화를 장기적으로 예고하고 있다고 조심스레 전망해본다. 이와 같이 의료정책과 그 결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제적 요인이나 정치적 요인과 같은 단일한 요인을 넘어선 제도라는 관계적 맥락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상호작용의 성격과 그 결과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서 역사와 제도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또한 정책의 실현가능성과 선택 범위를 가늠하는 제도적 맥락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정책 실패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Human being has desire for healthy life. If people lose their health, they also hope to be provided with good health care with low costs. To meet their expectations, each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enrich health care system expanding the coverage and the level of benefits based on increased funds a her World War Ⅱ. Although policy goals are similar among many government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care system are not similar. Why are they so diverse? This i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nd al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tensions and constraints, how could the health care system persist in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one and diversity among them? This i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Health care policy is formed through political interactions among many actors with their own interests. There are two key actors in health care policy-the bureaucrats and the doctors. The diversity of health care systems is summarized to differences of the preference and executive capacity of the two. Especially the preference and executive capacity of bureaucrats matter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preference and capacity result in the difference of the health care systems. But where is his preference and capacity from? It is not to be given, but to be explained. It is the institutional contexts that are continuously, invisibly influenced in formation of his preference and capacity. To understand what and how these institutional contexts to structure and reshape is the key to explain the diversity of health care systems. My focus is on politico-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interests intermediation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s reshape the preference of the bureaucrats and influence the capacity to execute stably, and so result in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interactions. Consequently they lead to another policy outcome, and we could find diverse health care systems. Basically the capacity of the bureaucrats comes from the stability, integrity, and centralization of politico-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 fusion of powers of the parliamentary system helps bureaucrats to have more capability to execute in stability. But in the U. S. presidential systems, the bureaucrats have more limits to execute capacities systemically, because of the seperation of powers-check and balance between legislative and executive powers, the existence of powerful judicature, the federalism, pluralistic interests intermediations, etc. In contrasts, the doctors could access more easily to political routes and influence on fragmented politico-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many ways. Consequently the health care systems of the U. S. is highly dependent on private sector. Therefore the old, the low-incomer of which private sector cannot be resopnsible, only 25% residuals of the total population are covered by public insurance, and also the rate of the have-no-insurance reaches 15% of total population. The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insurance is much fragmented between the federal and the state, local government,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for-profit and non-for-profit organizations. While three other nations exept the U. S. which selected parliamentay systems have institutional structures for bureaucrats to execute policy objectives more easily, but some differences of the health care systems could be found among them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middle range instituional contexts. Sweden and Japan is characterized of being under one dominant party in a relatively long terms. Being under these party politics, they could be more stable in policy implementation. With regard to bureaucratic constraints on bureaucrats, they prefer stability to change, the status quo to reform. Although one's preference persists long and can not change easily, they could be reshaped by the politico-adminstrative institutions. For example, Sweden is dominated for a long time by SDP which has persisted in strong ideological stance, and there have been continued thick and tight tie between SDP and LO. With these institutional contexts the preference of Swedish bureaucrats could be reshaped from fiscal conservative to more solidaristic and equity-oriented. The most universalistic and comprehensive health care systems of Sweden is due to these institutional contexts. In contrasts, under long term conservative LDP domination, a few elite bureaucrats which has tight tie with elite business leaders and elite politicians formally or informally have played the role of leader of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In these historical backgrounds, their preference could be intensified more conservatively. So the Japanese health care system is for minimalized government fiscal burdens, and is on the principle of self contribution. And although the coverage reaches all populations, there are a lot of independent insurers which is seperated according to occupations, etc. The benefits are dependant on employment and employment status, and the status of labor market is reproduced in health care systems in regard to its benefits and contribution rates. In the U. K. Life Japan, the executive capacity of the bureaucrats is relatively strong. But unlike Japan, in the U. K. instead of bureaucrats politicans have played key role in nation's development after 1950's. Therefore the principle of NITS of the U. K., i.e. 'national minimum' is good political symbols. Suffering from wars and economic crises, people have desire to live safe and stable lives. These situational factor help to inflame political engine for all people to be protected in 'national minimum' level from many hazards including health hazards regardless of income and contributions. Interests intermediation institutions also hel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 politics around health care policy. The more centralized is the interests intermediations institutions which negotiate relevant interests, and the more equitably they participate in negotiation, health care policy is more likely to be coordinated under the comprehensive policy design. In Sweden, LO is regarded as an equal partner against the business, and a large centralized one which is organized beyond individual interests. In 1930's there were historic compromise between the capital and the labor, then established equal negotiations procedures like this. Since 1950's health care policy of Sweden is under the broad project of welfare state, the level and the range of doctor's influences is considerably limited although of democratic participation procedures. The U. K. is another case. It's appearance is similar to that of Sweden,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of the U.K. is voluntaristic- that depends on short term interests and regards rather mportant their own interests than ideological principle, so interests intermediation institutions is unstable. But due to the situation empowering political leadership, NITS could be formed under the package of general political contexts. Japan is somewhat different case. Unlike the coporatism of European countries, the role of the labor is considerably limited as an equal partner. Authoritative, centralized and closed negotiation procedures within iron-triangle influences on the range of general social interests negotiation to be minimalized under long term broad economic develomment. Increased economic pressure without exception has given changes in political dynamics each by each. After 1980's general welfare state crisis, there has been health care reform under the fiscal burdens. But It is not the same as it intended, and the health care systems has not changed dramatically, but changed path-dependent, if any. Rather the health care systems of Japan and the U.S. intensified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U. K. also has persisted in their structure and features of NITS. It was due to institutional contexts that health care policy and it's politics could not change easily. The differences of the health care systems could be explained more properly not just by one factor -political or economic, but by relational contexts such as institutional contexts and history. And to understand policy more profoundly, beyond the knowlege of political interaction of actors, their rationality and intentions, it is needed to explain the institutional contexts influencing the preferences and capacities of key actor's participating in policy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 피터싱어(Peter Singer)의 동물해방론과 전 지구적 윤리

        조민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05

        본 논문의 목적은 전 지구적 윤리를 통해서 도덕적 고려대상이 국경을 넘어서야 하고 동물해방론을 통해서 도덕적 고려대상이 동물에까지 확대되어야 한다는 싱어(Peter Singer)의 주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실천적 성향이 강한 싱어의 윤리관을 통해서 도덕적 사고력과 가치 판단 능력을 함양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의도에 맞게끔 민주적 토론 수업을 위한 지침들을 분석하고 토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싱어는 동물을 실험대상이나 식용대상으로 삼는 것은 “자기가 소속되어 있는 인간이라는 종의 이익을 옹호하면서 다른 종의 이익을 배척하는 편견 또는 왜곡된 태도”, 즉 종차별주의(speciesism)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면서 인간 중심적 사유에 대해서 반성하기를 촉구한다. 그는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여러 특징들이 인간과 동물의 종을 구분하는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 정도의 차이라고 주장한다.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근거로 사유되어져 왔던 도구, 언어, 지능 등과 같은 특징들은 도덕적 고려대상에서 일부 사람들을 배제하거나 일부 동물들을 포함하게 되므로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경계선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말한다.싱어는 어떤 존재가 도덕적 고려대상에 포함되는 지를 판별하는 옹호 가능한 유일한 기준은 고통과 쾌락을 느낄 수 있는 능력, 즉 쾌고감수능력(sentience)이라고 말한다. 그는 쾌고감수능력은 이익을 갖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말하며 이익평등고려원칙을 쾌고감수능력을 지닌 동물에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인간의 고통과 동등하게 고려하는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류의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닌 이상 무의미한 동물실험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단으로서 윤리적 채식주의를 권한다.그러나 쾌고감수능력을 도덕적 고려 대상을 판별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삼고 쾌고감수능력을 지닌 동물들의 고통을 인간의 고통과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싱어의 주장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드러낸다. 첫째, 쾌고감수능력을 도덕적 고려 대상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는 것은 쾌고감수능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식물들과 많은 동물들을 도덕적 고려대상에서 제외하게 된다. 이것은 인간과 유사한 행위방식과 신경체계를 지닌 인간을 닮은 고등동물만을 도덕적 고려대상에 포함하게 되는 새로운 종차별주의가 될 수 있다. 심지어 쾌고감수능력을 상실한 인간 또한 도덕적 고려대상에서 제외되는 심각성이 있다. 둘째, 그의 주장은 쾌고감수능력과 이익평등고려원칙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지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다. 오히려 자기 이익은 돌보아져야 한다는 자연스러운 관심을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얻은 이익평등고려원칙은 오직 윤리적인 사유⋅판단⋅행위⋅반성을 할 수 있는 도덕 행위자들 사이의 상호성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쾌고감수능력을 지닌 동물들은 단지 고통을 느낄 수 있을 뿐이다. 그들은 도덕 행위자(moral agent)가 될 수 없고 인간들과 협력하여 보다 큰 이익을 창조하고 향유할 수도 없다. 따라서 쾌고감수능력을 지닌 동물들은 도덕적 고려대상에 포함되는 것은 확실하지만 인간의 고통이나 이익과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직접적 의무(duties to animals)는 없다. 셋째,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단으로서 제안하는 싱어의 채식주의는 윤리적인 이유만이 아니라 건강과 경제적인 이유로 제안하고 있는 데, 아직은 실제 현실에서 실천하기 어려운 측면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많은 영양학자들은 육식과 채식을 조화롭게 하는 식사가 영양과 건강에 좋다고 말한다. 그리고 만약 싱어의 제안처럼 거의 모든 사람들이 채식주의자가 되어서 공장식 농장이 실제로 중단하게 된다면 공장식 농장을 운영하는 사람들만이 타격을 받는 것이 아니라 거대한 육식 산업에 종사하는 다른 특별한 기술이나 자본이 없는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과 그의 가족들의 생계에 보다 많은 타격을 주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싱어가 주장하는 채식주의 역시 현실에서 실천하기 어렵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싱어의 동물해방론은 인간의 동물에 대한 지배와 착취, 인간중심적 사유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도덕적 관심 영역에서 불모지에 다름없었던 동물을 도덕적 관심영역에 끌어들이기에 충분한 문제제기와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익평등고려원칙이 동물에까지 확대되어 적용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아들이기 힘들겠지만, 최소한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동물들에 관한 간접적 의무(duties regarding animals)가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기에 충분한 설명이 될 것이다.세계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와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로 위시로 편성되는 경제화로 인해서 점점 하나가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교토 의정서와 같은 인류의 합의가 보여주듯이 여전히 도덕적 고려대상이 자국의 이익, 즉 민족국가의 단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세계무역기구를 위시로 편성되는 하나의 경제는 환경, 동물복지, 인권에 대한 관심보다도 경제적인 관심사항들을 우선시함으로써 많은 문제들을 만들어내고 있다.이에 싱어는 보다 나은 하나의 지구 공동체를 건설하기 위하여 자기 이익을 타인의 이익과 동등하게 고려하는 이익평등고려원칙이 한 사회에서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사회에까지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롤즈가 그의 방대한 저서 「정의론(The Theory of Justice)」에서 자연적 우연성과 사회적 우연성에 의해 이익을 누리거나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 한 사회내의 정의 체제를 옹호하면서도 왜 사회들 간의 정의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지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한다. 싱어는 전 지구적 윤리에 의해 한 사회에서만 국한되는 결속력이 강한 윤리망(moralnets)을 확대할 것을 요구한다. 국경을 넘어서 오는 구원의 손길을 외면하면서 자국민만을 위한 보다 강력한 윤리망, 세계 최고의 정보력, 경제력, 군사력을 추구하는 행위는 제2의 9․11 테러를 재현할 수 있다고 싱어는 경고한다.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는 그 당시 유대인들이 이웃의 경계를 유대인에게만 한정하는 편견과 오늘날에도 여전히 자신의 이웃을 자국민에게만 한정하고 있는 현실을 잘 말해준다. 또한 이 이야기는 이성적 추론이 제시하는 전 지구적 윤리의 가능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그러나 편협한 자기 이익을 뛰어넘고자 하는 보편적 이성의 추론들은 자신과 보다 가까운 관계성을 맺고 있는 편향성과 친화성에 의해서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물론 우리는 모종의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을 향한 보다 큰 의무가 있다. 그러나 자신과 보다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을 향한 보다 큰 의무로 인해서 공평성을 담보하는 보편적 이성의 추론이 제시하는 윤리적 판단을 저지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는 오직 두 가지 의무를 다할 수 없는 상황뿐이다. 세계에는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절대적 빈곤에 처한 10억 이상의 사람들이 있다. 또한 매년 천만 명 이상의 5세 미만 어린이들이 막을 수 있는 원인으로 죽어간다. 이에 싱어는 절대적 빈곤의 삶에서 구원의 손길을 요청하는 해외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소득의 1%를 기부하자고 제안한다. 이러한 그의 제안은 보다 가까운 사람들을 향한 더 큰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게 하는 행위가 아닌 것에 분명하다.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르면 도덕교과는 체제 옹호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사고력과 가치 판단 능력을 배양하는 데 역점을 둔다. 이에 실천적 성향이 강한 싱어의 윤리관을 통해 민주적 토론 윤리 수업을 위해 제시될 수 있는 지침은 다음과 같다. 개인의 윤리적 결단은 어느 누구의 강요나 주입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어떤 삶의 방식을 옹호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정당화하는 것으로서 타인에게까지 권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타인에게 권할 수 있다는 것은 할 수 있는 지평에서만 말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타인과의 의미있는 의사소통을 통해 자기 이익을 넘어서 자신의 윤리적 선택에 의해 영향을 받을 모든 도덕적 대상에 대해 동등하게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개인의 윤리적 결단은 현실의 삶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지침이 되도록 끊임없이 수정되고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ter Singer's suggestio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moral consideration beyond a border through global ethics and give moral consideration to even animals through animal liberation. It also aims at analyzing guidelines to democratic discussion and presenting and applying an instructional model to fit the seventh curriculum which emphasizes improvement in abilities to do moral thinking and value judgement through Singer's view of ethics with strong tendency toward practice.Insisting that using an animal for experiment or for food is no more than speciesism, that is, a 'biased or distorted view by which they look after their own interest but reject other species' interest,' Singer urges them to reconsider human-centered thinking. He insists that many characteristics to differentiate human beings from animals are not critical but a matter of degree. He also suggests that such characteristics as tools, language, and intelligence,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bases of differentiation of human beings from animals, exclude some people from or include some animals in moral consideration and cannot be accepted as the boundary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Singer suggests that the only supportable standard to determine which being should be taken into moral consideration is sentience, or an ability to feel a pain and pleasure. He emphasizes that sentience is a precondition for benefit and that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should be expanded to reach animals possessing sentience. So he insists on quitting meaningless experiments on animals, if not under unavoidable situations for human survival, in order to minimize animals' pain under equal consideration with that of human beings. He recommends ethic vegetarianism as a means of minimizing animals' pain.However, Singer's insistenc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sentience as the only standard to determine moral consideration and consider pain of animals possessing sentience on equal terms with that of human beings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aking sentience as the only standard to determine moral consideration can make plants and many kinds of animals judged to have no sentience excluded from moral consideration. This can be a new type of speciesism to take only higher animals possessing similar behavior modes and neural system to human beings into moral consideration. More seriously, even human beings who have lost sentience can also fail to be taken into moral consideration. Second, he fails to give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ience and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Rather, starting from recognition of natural concern that self-interest should be taken care of,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can be supported only by reciprocity between moral agents who can make moral thinking, judgement, behaviors, and reflection. Animals possessing sentience can just feel a pain. They cannot be a moral agent or create or enjoy greater interests in cooperation with human beings. Therefore, animals possessing sentience are certainly taken into moral consideration; however, there is no duty to animals to consider their pain on equal terms with that of human beings. Third, vegetarianism Singer suggests as a means of minimizing animals' pain not only on the ethic ground but also on the health and economic ground still has many aspects hard to practice in actual situations. Many dietitians suggest that a meal with harmony between a meat diet and a vegetable diet is good for nutrition and health. And if almost all the people become vegetarians, as suggested by Singer, and actually discontinue a factory farm, not only those who manage a factory farm but also the majority of people engaged in the large meat-diet industry without other special skill or capital and their family will get a severe blow on their living. For this reason, Singer's vegetarianism is also hard to practice on a realistic basis.Still, Singer's animal liberation provides human beings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control and exploitation of animals and human-centered thinking and gives enough issues and information to take animals almost neglected into moral consideration. His insistence that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should be expanded and applied to animals is hard to be acceptable to most people but can be enough explanation to urge them to accept the fact that they have duties regarding animals that can at least feel a pain.With such environmental problems as global warming and economy formed on the basis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the world is increasingly becoming one. However, as such human agreements as the Kyoto Protocol show, it is certain that targets for moral consideration still fail to go beyond interests of one's own country, or the unit of nation-states. In addition, one economy formed on the basis of WTO gives priority to economic concerns rather than environment, animal welfare, or human rights, causing many issues.In this context, Singer insists that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o consider self-interest and others' interest equally should not only be available in one society but also be expanded to other societies in order to construct one better global community. As Rawls suggested in his grand-scale work, The Theory of Justice, he severely criticizes why people support the justice system within a society as long as they enjoy benefit or are never taken at a disadvantage from natural and social contingencies but observe strict silence concerning justice between societies. Singer demands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expand a moralnets with strong solidarity which is limited to only one society by global ethics. He warns us that the failure to lend a helping hand over the border and the pursuit of a stronger moral net for one's own country, world-best information, economic strength, and military capacity can cause another 9.11 terrorism. The story of a good Samaritan indicates both the then Jews' prejudice in favor of themselves alone for neighborhood and today's people who still limit the range of neighborhood to their fellow countrymen. This story also shows possibilities of global ethics rational reasoning suggests.However, inferences based on universal reason to go beyond narrow-minded self-interest have been severely criticized by biasedness and friendship for closer existence. Of course, we have a greater obligation to people who we have something to do with. However, it is only when we cannot perform both duties that we can stop moral judgement suggested by inferences based on universal reason which mortgages impartiality due to the greater obligation to closer people. There are more than one billion people who live on less than one dollar in the world. And more than 10 million children who are less than five years old die of preventable causes every year. Singer suggests contributing 1 percent of income for foreign poor people who ask for a helping hand due to absolute poverty. It is certain that his suggestion never prevents one from failing to perform the greater duties for more intimate people.According to the seventh curriculum, moral education puts emphasis not on cultivating supporters of the status quo but also on developing abilities to do moral thinking and make value judgement. From Singer's view of ethics with strong tendency toward practice, the following guidelines can be suggested for an ethics class based on democratic discussion. Personal moral determination should not be made by any demand or infusion but it should be able to support one's own way of living and suggest and justify the ground and be recommended to others. The possibility to recommend to others means that it should be said within a possible rang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lf-interest and all the moral objects to be affected by one's own ethic selection equally through meaningful communication with others. It also means that personal ethic determ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can be modified and improved continuously to be a more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

      • 좌·우뇌 비대칭과 활성뇌파가 성격과 직업흥미에 미치는 영향

        허미라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905

        The studies about how personality affects a college student's individual work performance in various situations as well as occupational choices suggest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own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making career decisions. Furth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the technology to measure aspects of brain function in real time helped research the relations between the cerebral nerve mechanism and personality traits. The studies in counseling psychology, which researches the brain and personality, and vocational interests, have asserted it is an effective counseling strategy to promote self-understanding with the brain. However, these studies have limitations. For example, they developed new concepts, which were different from counseling psychology theories, in order to classify personality types. They divided personality types in two, affirmative and pessimistic, and outgoing and introvert. They used the questionnaires made on EEG a long time ago.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brain and personality, as well as between the brain and vocational interests by measuring precisely EEG signals over all brain regions of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reexamine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experiments while assuming the brain laterality has an effect on individual personality and vocational interests. Next, this study assumed active EEG on the prefrontal, the frontal, the temporal, and the parietal lobe affects individual personality and vocational interests to find out how the function of brain regions relate to personality. Lastly,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lative EEG power affects personality traits and vocational interest types In order to assure this study's hypothesis, the EEG of one hundred and four college students was measured by an eight channel EEG device after taking Personality Five Factor Test and Vocational Type Test. The ninety-six EEG data and answers with the exception of eight students' data due to not attending EEG measurement test were analysed. QEEG-8(LXE5208, Laxtha Inc., Korea), a computerized EEG system was used, which detected a total of eight regions on the scalp : the prefrontal lobe(Fp1, Fp2), the frontal lobe(F3, F4), the temporal lobe(T3, T4), and the parietal lobe(P3, P4) in that order. The absolute power value and the relative power value of theta, alpha, and beta that came from the background EEG were analysed while the students closed their eyes for 5 minutes. The result was that when theta's laterality is bigger, neuroticism is higher in the personality factors. Whereas when theta's and alpha's laterality are both bigger, Conventional interest degree is lower in vocational interest types. On each of the brain regions, theta's activity makes higher neuroticism but lower conscientiousness in the personality factors, and makes lower Realistic interest, Investigative interest, Social interest, and Conventional interest degree in vocational interest types. Next, when alpha's activity on the left temporal lobe and on the left prefrontal lobe is both higher, Social interest degree is lower. In contrast, when alpha's activity of the left frontal is higher, Social interest degree is higher. This result could not be found in previous studies. Beta's activity makes lower Extroversion and penness to Experience, and causes lower Realistic interest degree and Investigative interest degree. Lastly, when relative alpha is higher on the right parietal lobe, Realistic interest degree is higher, in contrast on the left frontal it is higher, Realistic interest degree is lower. When relative beta is higher on the right frontal lobe, Realistic interest degree is higher and Social interest degree is lower. When relative beta on the left parietal lobe is higher, Realistic interest degree is lower, while when on the right parietal lobe it is higher, Social interest degree is higher. When relative beta on the left temporal lobe is higher, Conventional interest degree is highe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brain region activated specific EEG affects individual personality or psychological traits. This study suggested the counseling strategy with the brain is effective to improve self-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 in career counseling. Also it branched out into theta band while most previous studies measured in alpha and beta band. Especially, theta's activity affects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in personality factors, it makes lower vocational interest degree,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neuroticism is in inverse proportion to vocational interest types, and conscientiousness is in proportion to vocational interest types. Significantly this study breaks from the brain's bisection structure, which it correlated each active EEG of the brain regions with vocational interest's type and degree, it cannot be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Lastly, the personality test based upon EEG has the merit that the test time is short and scientific, can support the objective material, its result isn't influenced by the student's responses against the test, remedies questionnaire test's shortcoming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how EEG exam can be used in counseling. I hope that the result about the relation of the brain with personality and vocational interests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ing program with the brain. I look forward to the psychological inspection with neurological traits being suggested as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material that college students can utilize to develop self-understanding and make career and rational decisions. 성격이 직업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면에서의 개인의 직무수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련 연구들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에서 자신의 성격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과학의 발달로 인간의 두뇌활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뇌기능의 측정기술은 뇌신경기제와 인간의 성격특성간의 관계를 연구하려는 시도를 하게 하였다. 두뇌와 성격, 두뇌와 직업흥미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두뇌와 관련지어 자기이해를 촉진하 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상담전략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기존의 심리·상담 이론에 근거한 성격유형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개념으로 성격유형을 분류한다거나, 좌·우 두뇌의 이중적 구조에 치우쳐 성격을 단순히 긍정적, 부정적 혹은 외향적, 내향적이라는 식으로 양분화하거나, 실제 측정이 아닌 오래전 개발된 뇌파기반 질문지를 토대로 이루어졌다거나 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두뇌기능을 실 제로 측정하고 두뇌영역별 뇌파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두뇌와 성격, 그리고 직업흥미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우선 좌·우뇌의 비대칭이 개인의 성격과 직업흥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하고 실제 측정을 통해 기존의 연구들을 재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는 두뇌의 각 부위별로 나타나는 기능상의 특징이 성격과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알아보고자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에서의 각 활성뇌파들이 개인의 성격과 직업흥미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대뇌파가 성격요인과 직업흥미유형에 영향을 줄 것 으로 가정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대전·충남지역의 대학생 총 104명에게 성격5요인 검사와 직업흥미검사를 실시하고 8채널 EEG장비를 사용하여 뇌파를 측정하였다. 이 중 설문지 조사만 하고 뇌파검사를 하지 못 한 8명을 제외한 96명의 응답과 뇌파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뇌파는 전산화 뇌파측정기인 QEEG-8(LXE5208, Laxtha Inc.,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전전두엽(Fp1, Fp2), 전두엽(F3, F4), 측두엽(T3, T4), 두정엽(P3, P4)의 차례로 두피 총 8부위에 배 치하였다. 쎄타파, 알파파, 베타파의 절대파워 값과 상대파워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피실험자가 눈을 감고 안정된 상태에서 5분을 측정한 배경뇌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쎄타파 좌·우뇌비대칭이 클수록 성격요인 중 신경증을 높이고, 쎄타파와 알파파 좌·우뇌 비대칭이 커질수록 직업흥미유형 중 관습형의 점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두뇌영역별로 쎄타파 활성은 성격요인 중 신경 증은 높이고 성실성은 낮추며, 직업흥미유형 중에서는 현실형, 탐구형, 사회형,관습형의 흥미정도를 낮아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측두엽 좌측, 전전두엽 좌측의 알파파 활성이 클수록 사회형의 점수는 낮아지는데, 이와 반대로 전두엽좌측의 알파파 활성이 높아지면 사회형의 점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베타파의 활성은 성격요인 중에서 외향성과 개방성은 낮추고, 직업흥미유형 중에서는 현실형과 탐구 형의 점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대알파파의 경우 두정엽 우측에서 크게 활성 될수록 현실형의 점수는 높고, 반대로 전두엽 좌측에서 커지면 현실형의 점수가 낮아진다. 상대베타는 전두엽우측에서 크면 현실형의 점수는 높 아지고, 사회형의 점수는 낮아진다. 두정엽 좌측에서 상대베타가 커지면 현실형의 점수는 낮아지지만, 두정엽 우측에서 커지면 사회형의 점수가 커진다. 측두엽 좌측의 상대베타가 커지면 관습형의 점수도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 과는 특정뇌파리듬이 활성 된 두뇌 영역이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 장면에서 두뇌관련 상담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이해를 심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제언하는 것과 함께 뇌파를 기반으로 한 성격연구가 대부분 알파파와 베타파 위주로 측정 되어졌던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넘어 세타파영역으로 확대시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를 갖는다고 본다. 특히 쎄타파의 활성이 성격요인 중 신경증과 성실성에 영향을 주고 직업흥미유형의 점수가 낮아진다는 결과는, 신경증이 직업흥미유형과 부적상관을, 성실성은 정적상관을 갖는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 또한 두뇌의 이중적 구조를 탈피하여 두뇌의 각 영역별로 활성되는 뇌파에 따라 직업흥미의 유형과 정도가 달라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었던 거라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뇌파를 기반으로 한 성격검사가 짧은 검사시간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의 제시, 수검자의 반응태세에 의한 검사결과의 영향 배제라는 매력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어 질문지형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며, 뇌파검사를 상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 Political Dynamics of Education Reforms in Moldova during Transition Period : Institutions, Interests, and Ideas

        타티아나 마르다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89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litical dynamics of educational reforms in the Republic of Moldova during the transition to democratic governance by employing the concepts of Institutions, Interests, and Ideas. The research focused on educational reform amidst political transformations that entails the transfer from communist to democratic ideological discourse. This study was divided into five major sections. The first section provided a brief overview of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education reform has been promoted considering major societal shifts (economic, ideological, philosophical, political, social etc.). This was followed by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definition of key terms, and the limitations occurred during the research. The second section then outl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 reform in Moldova against the South-East Europe transition context. In addition the section also provided an overview on theoretical models for policy processes in education to motivate their adoption in the case of education reform in countries of transition. The third section introduced and motivated the adoption of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urrent study. By employing the pol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research adopted the case study approach coupled with mixed substantive content and discourse analysis. The section also explained th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procedures, and provided insight about validation strategies. The forth section, which served as the main section of the study, was devoted to explanation of education reform changes due to political dynamics of major education stakehold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during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process facing the Soviet legacies the dominant and minority coalitions have had to overcome the institutional dissonance and to manipulate with compensatory legitimation during debate on education reform. From the interest-based perspective the education stakeholders review the education policy in the light of group interests of coalitions. The ideational perspective highlighted the increasing role of policy broker that engaged in transformation of ideational perceptions on education reform. The final section provided a platform for discussion on political dynamics of education reform in Moldova and concluded the whole study. Furthermore the section attempted to provid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countries experiencing transition. The analysis of political dynamics of education reform in countries experiencing transition from political science perspective has point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education policy is subject to change when stable coalitions backed by policy broker get the dominant role on the political arena. Despite unstable political orientation, Moldovan education system is called for adapting its own formula on education reform provided the present Soviet legacies. Keywords : institutions, interests, ideas, coalition, tran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